KR100965784B1 -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784B1
KR100965784B1 KR20090086864A KR20090086864A KR100965784B1 KR 100965784 B1 KR100965784 B1 KR 100965784B1 KR 20090086864 A KR20090086864 A KR 20090086864A KR 20090086864 A KR20090086864 A KR 20090086864A KR 100965784 B1 KR100965784 B1 KR 10096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ft tube
circulation device
inlet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8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석
김영철
박희창
이탁기
송동근
신완호
박명하
김태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주)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703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657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주)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09008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784B1/ko
Priority to CN2010800236550A priority patent/CN102448895B/zh
Priority to PCT/KR2010/005196 priority patent/WO2011034282A2/ko
Priority to JP2012513890A priority patent/JP537776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물 순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으로서 수역에 위치되는 몸체, 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수역의 저층에 정체된 물을 유입 받는 메인 유입구, 몸체의 측벽에 제공되고 측벽에 인접한 수역의 물을 유입 받는 다수의 서브 유입구, 및 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며 유입 받은 물을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를 가진다. 드래프트 튜브로 유입된 물은 구동모터에 의해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해서 확산부를 통해 인접 수역 상층으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수역의 물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고 데드 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역, 드래프트 튜브, 확산부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WATER CIRCULATION DEVICE FOR WATER-BLOOM PREVENTION USING SUNLIGHT}
본 발명은 물 순환장치 및 이 장치에 대한 부력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역의 하부에 고여있는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물 순환장치 및 이 장치에 대한 부력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수, 강이나 바다에 유기물을 함유한 생활하수와 분뇨가 과량 흘러 들어가면 미생물이 유기물을 과량 분해하므로 수역에 영양이 많아지는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자정능력을 넘는 대량의 유기물이나 염류가 강, 바다에 유입되면 수역은 분해산물 또는 이차생성물 등의 영양염류가 풍부해지는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하여 수초와 녹조류가 번창하고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이 증가하게 되며 물 속의 산소 부족으로 물고기 등 수중생물이 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특히, 기온이 상승하면 성층화 현상이 심화되어, 호수 표면에서의 산소가 호수 저층으로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호수 저층에서의 용존 산소량이 1㎎/L 이하로 떨어지고, 그 결과 생태계의 파괴가 더욱 악화된다. 따라서, 부영양화된 수역의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역의 물을 효율적으로 순환시켜 수역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물 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순환장치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 순환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으로서 수역에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역의 저층에 정체된 물을 유입 받는 메인 유입구, 상기 몸체의 측벽에 제공되고 측벽에 인접한 수역의 물을 유입 받는 다수의 서브 유입구,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유입 받은 물을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유입구와 상기 서브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되도록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몸체의 측벽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드래프트 튜브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서브 유입구는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몸체의 측벽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유입구의 직경은 수역의 상층으로부터 수역의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서브 유입구는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는, 상기 확산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확산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안내 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상기 산기관의 배출구는, 상기 드래프트 튜브의 상기 메인 유입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물 순환장치는 상기 산기관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 받아서, 공기 버블을 생성하는 공기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물 순환장치는, 상기 물 순환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유부에는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물 주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물 순환장치는 상기 물 주입구에 주입되는 물의 양에 의해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기관은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몸체의 외벽 또는 내벽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물 순환장치에서의 부력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으로서 수역에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역의 저층에 정체된 물을 유입 받는 적어도 적어오 하나의 유입구,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유입 받은 물을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드래프트 튜브;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유입구와 상기 서브 유입구로 유입 받은 물을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되도록 회전하는 임펠러; 및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부에 주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 순환장치에 따르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측벽에 제공되어 수역의 물이 순환되지 않는 데드존의 물을 몸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다수의 서브 유입구를 구비함으로써, 수역에서 데드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역의 수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산소가 부족한 저층의 물과 측면에서 유입되는 물을 혼합시킴으로써 산소 부족수에 의한 수역으로의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저층과 측면으로부터 유입한 물을 인접하는 수역의 상층으로 넓게 확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역 저층의 무 산소층에 직접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저층의 용존 산소량을 크게 증가시키며, 나아가 버블의 형태로 공기를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내로 공급함으로써, 드래프트 튜브 내부의 물의 상승속도가 느려져서 드래프트 튜브를 통해서 유입된 물들이 충분한 시간 동안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단순히 물을 순환시키는 것이 아니고, 수역의 저층에서부터 상층까지 이동시키면서 지속적으로 공기를 물에 공급함으로써, 필요한 용존 산소량을 단 시간내에 수역에 공 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물 순환 장치의 부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따르면, 본 물 순환장치의 물에 대한 높이 조절을 손 쉽게 세팅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원 명세서에서 "수역"이라고 함은, 호소, 호수, 바다, 강, 또는 하천 등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라고 함은, 그 측면에 물이 유입되는 서브 유입구를 가지고, 주름 형상의 몸체를 가진 드래프트 튜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 순환장치(100)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임펠러(120), 구동 모터(130) 및 다수의 솔라 셀(140)을 포함한다.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는 몸체(111), 메인 유입구(112),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 및 확산부(114)를 포함한다.
몸체(11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역(10)의 수중에 설치된다. 몸체(111)의 하단부에는 메인 유입구(112)가 형성되며, 구동 모터(130)에 의해 임펠러(120)가 회전됨에 따라서, 수역(10)의 저층에 고여있는 물이 메인 유입구(112)를 통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수역(10)의 중층에 있는 물이 서브 유입구(113)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11)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원통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4각형상의 통, 5각형상의 통, 또는 6각 형상의 통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1)는 주름을 가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역(10)의 저층에는 수역(10)의 상층보다 산소가 적은 저산소수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수온약층(thermocline)(10a)을 기준으로 수역(10)의 상층은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저층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으므로, 저층으로 갈수록 수압이 강해진다. 따라서, 임펠러(120)의 회전에 의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상층에 존재하는 물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밖(즉, 드래프트와 인접한 수역의 상층)으로 이동되면, 메인 유입구(112)나 서브 유입구(113)를 통해 수역(10)의 저층 또는 중충에 존재하는 저산소수 및 저온수가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역(10)의 저층에 정체되어 있는 저산소수 및 저온수를 주름 형 드래프트 튜브(11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서 몸체(111)의 하단부를 수역(10)의 저층에 위치시킨다. 수역(10)의 저층은 수역 마다 다를 수 있으며, 하나의 수역(10)에서도 저층의 깊이는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몸체(111)의 길이가 수역(10)의 수심에 따라 가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11)의 길이가 수역의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길어지고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짧아질 수 있도록, 몸체(111)를 주름관으로 형성한다. 몸체(111)의 길이는 원격 컨트롤러에 의해서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몸체(111)의 측벽에는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가 제공된다. 수역(10)의 수심은 통상적으로 깊어서, 물을 메인 유입구(112)를 통해서만 순환된다면, 수심의 중간 지점에서의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주위 영역과 그에 인접한 영역들이나 확산부(114)의 하부 영역(이하 '데드 존'(dead zone)이라고 함)에서는 물이 순환되지 못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유입구(113)가 몸체(111)의 측벽에 제공됨으로써 그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즉, 데드존에서 순환되지 못하는 물이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를 통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내로 유입됨으로써, 데드존에서 정체된 물이 순환될 수 있고, 따라서 수역(10)에서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데드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유입구(113)를 통해서 물을 순환시키는 것과 함께, 서브 유입구(113)에 의해 산소가 부족한 저층의 물과 측면에서 유입되는 물과의 혼합 시킴으로써, 산소 부족수에 의한 수역의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의 직경을 수심 깊이에 따라서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역(10)의 상층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는 물의 상승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데드존의 물이 유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의 직경은 수역(10)의 상층으로부터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저층에 형성된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의 직경을 증가시키면, 수역(10) 저층에 존재하는 저온수 및 저산소수가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내로 유입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는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는 주름형 원통 몸체(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 유입구(113)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확산부(114)는 몸체(11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내로 유입된 물을 인접 수역(10)의 상층으로 배출한다. 유입된 물은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자체 압력에 의해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확산부(114)를 통해 인접 수역(10)의 상층으로 배출된다.
임펠러(120)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상측 내부에 구비되고,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상측으로 이동한 물이 확산부(114)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임펠러(120)는 회전축(121) 및 회전 축(121)에 결합된 다수의 날개(122)로 이루어진다. 회전축(121)은 구동 모터(130)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13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121)에 연결된 다수의 날개(122)는 회전축(121)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상측 내부로 이동한 물은 다수의 날개(122)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확산부(114)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유입구와 서브 유입구의 면적은, 메인 유입구가 유입하는 물: 서브 유입구가 유입하는 물이 7:3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서브 유입구로 물이 지나치게 유입되면 메인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이 적어져서 수역의 저층의 저산소수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서브 유입구로 물이 유입되는 양이 적으면 데드 존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확산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산부(114)의 상면에는 다수의 안내 깃(114a)이 구비된다. 다수의 안내 깃(114a)은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물의 회전 방향으로 구부러진 나선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물이 다수의 안내 깃(114a)에 의해서 확산부(114)의 외측으로 가이드되고, 그 결과 상기 물은 인접 수역(10)의 상층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안내 깃은 물이 넓게 확산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물의 인접 수역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물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솔라 셀(140)은 구동 모터(130)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축전한다. 축전된 전원은 구동 모터(130)로 공급되어 구동 모터(130)를 가동시킨다. 구동 모터(130)가 태양광에 의해 축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풍력에 의해 발전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교체가능한 축전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물 순환장치(100)를 통해 수역(10)의 저층에 정체되어 있던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저층의 저산소수는 상층의 산소수와 혼합되어 저층에서의 녹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층의 저온수가 상층의 고온수와 혼합됨으로써, 수역(10)의 온도 성층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역(10)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물 순환장치(100)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측벽을 따라 구비된 산기관(150)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물 순환장치와 차이가 있다.
산기관(150)은 컴프레셔(미도시)로부터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관(150)의 배출구(151)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메인 유입구(112)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가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 내부로 공급되면, 수역(10) 저층 의 무산소층에 직접 공기를 공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저층의 용존 산소량이 증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기관(150)이 공기 버블을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산기관(150)의 구성을 공기 버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공기 버블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내로 공급되면, 물의 상승속도가 느려지며, 따라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를 통해서 유입된 물들이 충분한 시간 동안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버블은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하단에서 공급되거나 또는 임펠러(120)의 하부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공기 버블을 공급하는 산기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산기관(150)의 배출구(151)에는 공기 버블을 생성하기 위한 버블 생성부(160)가 연결되며, 배출구(151)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버블 생성부(160)를 통해서 버블의 형태로 공급된다.
공기 버블 생성부(160)는, 도 7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수히 많은 공기 버블을 포함하며, 배출구(151)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는 미세공(163)을 통해서 배출된다. 한편, 미세공(163)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되는 순간 주위의 물의 흐름에 의해 잘리게 되는데, 미세공(163)의 직경이 작을수록 미세한 크기의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미세공(163)의 구조는, 공기가 물로 방출될 때 주의 물의 흐름에 의해 잘 잘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임펠러(120)의 회전에 의해서, 임펠러(120) 주위에는 물이 급격한 흐름이 존재하며, 그러한 물의 흐름에 의해서 미세공(163)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들이 미세하게 잘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버블 생성부(160)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연결 수단에 의해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공기 버블 생성부(160)의 원통형상과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 형상이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산기관(150)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공기 버블 생성부(160)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산기관(150)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측면을 관통하지 않고,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하부를 통해서(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로 연장되어 공기 버블 생성부(160)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공기 버블 생성부(160)가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하단에 위치되었다는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공기 버블 생성부(160)가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이 보다 공기 버블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버블 생성부(160)는, 적절한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단부(157)에 고리나 리브를 이용하여 공기 버블 생성부(160)를 부 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버블 생성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공기 버블 생성부(160)는, 수없이 많은 미세한 미세공(163)을 포함하며, 미세공(163)은 산기관(150)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은 관로(161)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로(161)를 통해서 이동되는 공기는 미세공(163)을 통해서 배출되며, 배출시에 미세공(163) 주위의 물의 흐름에 의해서 잘림으로서 공기 버블이 생성된다. 한편, 도 7의 공기 버블 생성부는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 모두로 공기 버블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와 도 10은 도 8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들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는, 드래프트 튜브(810), 확산부(814), 임펠라(820), 솔라 셀(840), 블레이드(842), 부유부(880), 미세기포 발생부(860), 레그(865), 제1베이스(867), 제2베이스(869), 충전부(871), 컴프레셔(875), 컨트롤부(877), 부유부(880), 지지대(881), 물 주입구(88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드래프트 튜브(810), 확산부(814), 임펠라(820), 솔라 셀(840), 미세기포 발생부(860) 등은 앞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다만 다른 구성요소들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블레이드(842)는 풍력 발전을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바람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842)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며, 그 회전력은 증속기(미도시)와 커플러(필요한 경우에만)를 통해서 발전기(미도시)의 회전자(미도시)에 연결된다. 회전자가 회전됨으로써 여기 되는 기전력은 후술하는 충전부(871)에 충전(또는 축전)된다. 풍력발전을 위한 기술적 요소들, 예를 들면 블레이드, 증속기, 커플러, 및/또는 발전기 자체에 관한 기술은 본원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유부(880)는 솔라 셀(840), 블레이드(842), 컴프레셔(875), 컨트롤부(877), 충전부(871)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물 위에서 뜰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부(88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부(880)는 지지대(881)를 통해서 상술한 솔라 셀(840), 블레이드(842), 컴프레셔(875), 컨트롤부(877), 충전부(871)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직접 또는/및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본 물 순환장치를 물위에 띄우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부(880)는 물 주입구(885)(도 9와 도 10에 도시)를 포함한다. 물 주입구(885)를 통해서 부유부(880) 내부로 물이 주입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본 물 순환장치는 수면과의 높이 조절(이하, "높이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 기술의 경우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을 시도하였지만, 높이 조절을 세팅하거나 유지시키기가 어렵다. 이는, 물 위에서 수행하는 작업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장치 전체의 무게가 완전한 균형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치의 마모로 인하여, 높이 조절을 추가적으로 할 필요성이 발생 되는데, 그때 새롭게 높이 조절을 하는 것도 쉽지 않다.
본원 발명에서는, 별도의 복잡한 장치의 도입 없이, 높이 조절을 쉽게 세팅할 수 있고 유지시키기도 편리하다. 본원 발명은 부유부(880)에 물 주입구(885)가 마련되어 있어서, 부유부(880)에 물을 투입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2개의 부유부(880) 각각에 물 주입구(885)가 마련 되어 있으므로, 본 물 순환장치의 무게 균형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라도, 물 주입구(885)에 주입되는 물의 양을 통해서 거의 완벽한 균형을 유지시키면서 높이 조절을 세팅할 수 있다. 물이 부유부(880)에 많이 들어간 경우에는 펌프등을 활용하여 물을 배출할 수도 있고, 아니면 부유부(880)에 물 배출구(미 도시)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물 배출구(미 도시)를 통해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부유부(880)에 투입되는 물에 의해서 높이 조절을 세팅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의 세팅이나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복잡한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가 편리하고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도 8에 도시된 부유부(880)는 총 3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개수일 뿐, 이보다 많거나 더 적게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물 주입구(885)의 위치나 개수도 역시 변형 가능하다.
레그(865)는 드래프트 튜브(810)를 제1베이스(867)에 고정시키며, 제1베이스(867)에는 미세기포 발생부(860)가 안치된다. 미세기포 발생부(860)가 제1베이스(867)에 안치됨으로써, 미세기포 발생부(860)에 물 속에 포함된 오염물이 퇴적되지 않게 된다. 제2베이스(869)는, 충전부(871), 컴프레셔(875), 및 컨트롤부(877)를 지지한다.
충전부(871)는 솔라 셀(840)이나 블레이드(842)를 통해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충전부(871)에 의해 충전된 전력은 컨트롤부(877)의 제어하에 임펠라(82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에 제공된다. 모터는 도 8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임펠라(8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적절하게 배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베이스(869)의 상면에는 충전부(871), 컴프레셔(875), 및 컨트롤부(877)가 위치되고, 제2베이스(869)의 하면에는 모터(미도시)가 위치된다.
컴프레셔(875)는 미세기포 발생부(860)에 공기를 제공한다. 산기관(미 도시)을 통해서 컴프레스(825)는 미세기포 발생부(860)로 공기를 제공한다. 산기관을 드래프트 튜브(810)의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서 배치시킬 수 있다. 드래프트 튜브(810)의 외부를 따라서 배치시킨 예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으며, 내부에 배치시키는 구성도 당업자가 적절하게 배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부(877)는 본 물 순환장치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전자적 장치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부(877)는 솔라 셀(840)이나 블레이드(842)를 통해서 발 전된 전기를 임펠라(820)로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부(877)가 임펠라(82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계속 참조하면, 물 주입구(885)가 부유부(880)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물 주입구(885)를 막는 마개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래프트 튜브에는 다수의 서브 유입구(813)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 유입구(813)의 구조와 기능은 도 1과 도 2의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서브 유입구(813)는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수역의 상층에서 하층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층으로 갈 수록 서브 유입구(813)의 직경이 커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부(814)가 나선형 구조를 가지고 안내 깃이 마련됨으로써, 물이 회전하면서 상승하며, 상승하는 물이 안내 깃에 의해서 확산부(814)의 외측으로 가이드 된다. 안내 깃에 의해 가이드 된 물은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의 설명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에 사용되는 기계적 및/또는 전기전자적 기능 블록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는, 전력을 획득하여 임펠라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솔라전지(840), 블레이드(881), 충전부(871), 컴프레셔(875), 컨트롤부(877), 모터(89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부(877)는, 솔라 셀(840)를 통해서 발전된 전력을 모터부(891) 및/또는 컴프레셔(875)로 공급할 수 있으며, 솔라 셀(840)에 의해 발전된 전력 중 남은 전력은 충전부(871)에 저장한다.
한편, 컨트롤부(877)는 솔라 셀(840)에 의해 발전 되는 전력이 없는 경우, 충전부(893)에 저장된 전력을 모터부(891)로 공급한다.
충전부(871)는 솔라 셀(840)과 블레이드(842)를 통해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한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에 의해서 발전되는 전력을 일단 충전부(893)에 저장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바람이 자주 부는 지역이라면, 블레이드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바로 모터부(891)로 공급하고, 남은 전력을 충전부(893)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자라면, 솔라 셀(840) 및/또는 블레이드(84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바로 모터부(891)나 컴프레셔(875)로 공급하도록 하거나 또는 충전부(893)에 저장시킨 후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도면들에 도시된 예들의 크기 및 축척 비율은 본원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축소 및/또는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으므로, 실제로는 이와 다른 크기나 축척 비율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6에 도시된 공기 버블 생성부들의 미세공의 크기는, 공기 버블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미세공의 실제 직경은 공기 버블의 크기에 준하거나 그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임펠러(120)의 형상은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110)의 상층에 있는 물을 인접 수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임펠러라도 사용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확산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기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버블 생성부의 단면도를 도시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장치에 사용되는 기계적 및/또는 전기전자적 기능 블록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물 순환장치 110 : 드래프트 튜브
111 : 몸체 112 : 메인 유입구
113 : 서브 유입구 114 : 확산부
114a : 안내 깃
120 : 임펠러 130 : 구동모터
140 : 솔라 셀 150 : 산기관
842: 블레이드 880: 부유부
865: 레그 867: 제1베이스
869: 제2베이스 871: 충전부
875: 컴프레셔 877: 컨트롤부
881: 지지대 885: 물 주입구

Claims (10)

  1.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으로서 수역에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역의 저층에 정체된 물을 유입 받는 메인 유입구, 상기 몸체의 측벽에 제공되고 측벽에 인접한 수역의 물을 유입 받는 다수의 서브 유입구,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유입 받은 물을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유입구와 상기 서브 유입구로 유입 받은 물을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되도록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몸체의 측벽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브 유입구는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몸체의 측벽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유입구의 직경은 수역의 상층으로부터 수역의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서브 유입구는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프트 튜브는,
    상기 확산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확산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 안내 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상기 산기관의 배출구는,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상기 메인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 받아서, 공기 버블을 생성하는 공기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장치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유부에는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물 주입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구에 주입되는 물의 양에 의해서 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의 몸체의 외벽 또는 내벽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
  10. 물 순환장치에서의 부력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으로서 수역에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역의 저층에 정체된 물을 유입 받는 하나의 메인 유입구, 상기 몸체의 측벽에 제공되고 측벽에 인접한 수역의 물을 유입 받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입구,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유입 받은 물을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상기 주름형 드래프트 튜브 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유입구와 상기 서브 유입구로 유입 받은 물을 상기 몸체의 상단부의 인접 수역의 상층으로 배출되도록 회전하는 임펠러; 및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부에 주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장치에서의 부력 조절방법.
KR20090086864A 2009-09-15 2009-09-15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KR10096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6864A KR100965784B1 (ko) 2009-09-15 2009-09-15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CN2010800236550A CN102448895B (zh) 2009-09-15 2010-08-09 利用太阳光防止藻花的水循环装置
PCT/KR2010/005196 WO2011034282A2 (ko) 2009-09-15 2010-08-09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JP2012513890A JP5377761B2 (ja) 2009-09-15 2010-08-09 太陽光を用いた緑藻防止水循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6864A KR100965784B1 (ko) 2009-09-15 2009-09-15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784B1 true KR100965784B1 (ko) 2010-06-29

Family

ID=4237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86864A KR100965784B1 (ko) 2009-09-15 2009-09-15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77761B2 (ko)
KR (1) KR100965784B1 (ko)
CN (1) CN102448895B (ko)
WO (1) WO2011034282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76B1 (ko) 2011-02-16 2011-05-23 (주)에코코 수처리용 교반장치
KR101048970B1 (ko) * 2011-02-16 2011-07-12 (주)에코코 공원 및 호수에 설치되는 물순환장치
KR101196995B1 (ko) 2012-09-21 2012-11-05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상수도원에서의 드래프트 튜브를 이용한 물 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방법
KR101440141B1 (ko) * 2012-11-01 2014-11-03 이종명 물 순환장치
KR20160058450A (ko) * 2014-11-17 2016-05-25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 가능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20190078879A (ko) 2017-12-27 2019-07-05 한영인 녹조나 적조를 예방하거나 저감하기 위한 물순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3987A (sl) 2012-02-01 2013-08-30 ENVIT, okoljske tehnologije in inženiring d.o.o. Preprečevanje masovnega pojavljanja škodljivih cianobakterij
CN102897857A (zh) * 2012-10-18 2013-01-30 上海交通大学 一种利用水体扰动抑制蓝藻生长的方法
CN103787433A (zh) * 2012-10-18 2014-05-14 上海交通大学 一种利用水体扰动抑制蓝藻生长的方法
JP6521595B2 (ja) * 2014-09-10 2019-05-29 ジヤトコ株式会社 液体の撹拌装置
JP6944286B2 (ja) * 2017-06-29 2021-10-06 聡 安斎 超微細気泡発生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297A (ja) * 1992-09-14 1994-04-05 Hitachi Kiden Kogyo Ltd 水域の浄化装置
KR20050093813A (ko) * 2002-12-31 2005-09-23 피에스아이-이티에스 연못, 호수 및 기타 수역을 위한 물 순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222Y2 (ko) * 1971-03-10 1978-04-27
JPS5443220B2 (ko) * 1972-10-06 1979-12-19
JPS5473569U (ko) * 1977-11-02 1979-05-25
US4585484A (en) * 1983-03-24 1986-04-2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liquid
JPS6031328U (ja) * 1983-08-09 1985-03-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液体撹拌装置
JPS6154288A (ja) * 1984-08-21 1986-03-18 Nippon Kokan Kk <Nkk> 閉鎖水域の浄化装置
JPS62213897A (ja) * 1986-03-12 1987-09-19 Jiyabara:Kk ダム貯水池等の曝気方法及びその装置
JP2557635B2 (ja) * 1987-02-09 1996-11-27 中山環境エンジ株式会社 貯留水の撹拌装置
JP2614093B2 (ja) * 1988-10-27 1997-05-28 東急建設株式会社 水の浄化装置
JPH0433999U (ko) * 1990-07-18 1992-03-19
JP3396795B2 (ja) * 1996-03-18 2003-04-14 株式会社クボタ 曝気攪拌機のフロート装置
JP4006063B2 (ja) * 1997-07-31 2007-11-14 株式会社マサキ・エンヴェック 浮遊式流水発生装置
JP3464134B2 (ja) * 1997-12-17 2003-11-05 ナカシマプロペラ株式会社 底層水揚水装置
CN1188208C (zh) * 1997-12-30 2005-02-09 大成博文 旋转式细微气泡发生装置
KR100436206B1 (ko) * 2000-11-06 2004-06-16 백 기 김 저수지 수질 개선 방법
CN1272095C (zh) * 2002-01-25 2006-08-30 Seair公司 扩散器和装有该扩散器的曝气装置
JP2003340489A (ja) * 2002-05-22 2003-12-02 Gifu Josui Kiko:Kk 閉鎖性水域の浄水装置
WO2005115596A1 (ja) * 2004-05-31 2005-12-08 Sanyo Facilities Industry Co., Ltd. 微細気泡含有液生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に組み込まれる微細気泡発生器
KR200407731Y1 (ko) * 2005-11-03 2006-02-02 도병호 파이프 에어 파워 세척기
KR200407331Y1 (ko) * 2005-11-19 2006-01-26 거성에이티엘(주) 부력 분수
CN201264941Y (zh) * 2008-09-16 2009-07-01 北京市水利科学研究所 三维水体循环增氧净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297A (ja) * 1992-09-14 1994-04-05 Hitachi Kiden Kogyo Ltd 水域の浄化装置
KR20050093813A (ko) * 2002-12-31 2005-09-23 피에스아이-이티에스 연못, 호수 및 기타 수역을 위한 물 순환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176B1 (ko) 2011-02-16 2011-05-23 (주)에코코 수처리용 교반장치
KR101048970B1 (ko) * 2011-02-16 2011-07-12 (주)에코코 공원 및 호수에 설치되는 물순환장치
WO2012111987A2 (ko) * 2011-02-16 2012-08-23 (주)에코코 수처리용 교반장치
WO2012111972A2 (ko) * 2011-02-16 2012-08-23 (주)에코코 공원 및 호수에 설치되는 물순환장치
WO2012111972A3 (ko) * 2011-02-16 2012-11-01 (주)에코코 공원 및 호수에 설치되는 물순환장치
WO2012111987A3 (ko) * 2011-02-16 2012-12-20 (주)에코코 수처리용 교반장치
US9260331B2 (en) 2011-02-16 2016-02-16 Ecoco Co., Ltd. Water circulat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 or lake
KR101196995B1 (ko) 2012-09-21 2012-11-05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상수도원에서의 드래프트 튜브를 이용한 물 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방법
KR101440141B1 (ko) * 2012-11-01 2014-11-03 이종명 물 순환장치
KR20160058450A (ko) * 2014-11-17 2016-05-25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 가능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1669730B1 (ko) * 2014-11-17 2016-10-27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 가능한 조립용 수질 정화 장치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 장치용 조립체
KR20190078879A (ko) 2017-12-27 2019-07-05 한영인 녹조나 적조를 예방하거나 저감하기 위한 물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8895A (zh) 2012-05-09
JP2012528714A (ja) 2012-11-15
WO2011034282A2 (ko) 2011-03-24
CN102448895B (zh) 2013-09-18
JP5377761B2 (ja) 2013-12-25
WO2011034282A3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784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KR101168372B1 (ko) 자가 발전이 가능한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KR101189783B1 (ko) 호소수의 수질 정화장치
US9260331B2 (en) Water circulat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 or lake
US8651766B2 (en) Wind, solar and hybrid wind-solar water circulation and aeration methods and apparatus
CN203079757U (zh) 一种扬水造流曝气装置
KR101899444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고효율 물순환장치
JP2013163177A (ja) 水力発電装置を配設した散気方法及び散気装置
KR20140020592A (ko) 풍력을 이용한 녹조 방지 및 수질개선용 폭기장치
CN107827186B (zh) 太阳光发电式赤潮及绿潮去除装置
CN103755046B (zh) 机械混合充氧一体化湖泊水库原位水质改善装置
KR20150067659A (ko) 호수의 녹조방지 및 녹조제거용 수질정화장치
CN105417743B (zh) 间歇式机械混合‑表层充氧一体化中试装置
KR101453730B1 (ko) 저층수와 상층수의 물순환을 위한 물순환장치
KR20140139898A (ko) 해양 오염 방제 무기포 산소용해장치
JP2014144451A (ja) 水力発電装置を配設した曝気装置
KR100333245B1 (ko) 밀도류 생성방법 및 그 장치
CN113754073B (zh) 一种微生物载体固化发生器
JP2011007174A (ja) 気泡浮力を用いた発電装置
KR101502048B1 (ko) 하천 정화 장치
KR101196995B1 (ko) 상수도원에서의 드래프트 튜브를 이용한 물 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방법
KR20080076998A (ko) 부유식 수질 개선 장치
JP2009022847A (ja) 曝気混合循環施設。
JP2004351377A (ja) 有機汚泥の浄化剤拡散装置
KR101936519B1 (ko) 풍력을 이용한 부유형 물 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208

Effective date: 201105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616

Effective date: 201201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21

Effective date: 20120329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