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176B1 - 수처리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176B1
KR101036176B1 KR20110013753A KR20110013753A KR101036176B1 KR 101036176 B1 KR101036176 B1 KR 101036176B1 KR 20110013753 A KR20110013753 A KR 20110013753A KR 20110013753 A KR20110013753 A KR 20110013753A KR 101036176 B1 KR101036176 B1 KR 10103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water
discharge
inflo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1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호
서대석
박명하
Original Assignee
(주)에코코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코,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에코코
Priority to KR2011001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176B1/ko
Priority to PCT/KR2012/001168 priority patent/WO201211198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driven stirrers with completely immersed stirring elements
    • B01F23/2334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driven stirrers with completely immersed stirring elements provided with stationary guiding means surrounding at least partially the stirrer
    • B01F23/2334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driven stirrers with completely immersed stirring elements provided with stationary guiding means surrounding at least partially the stirrer with tubes surrounding the stirr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3Floating 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02F3/206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with helical screw impe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라와, 상기 모터가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부유부가 마련된 구동부; 수역 내에 수직하게 침지된 관체로서, 상기 임펠라의 회전을 통해 수역 저층에 침전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구동부와 유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되는 영역과, 수위변화에 대응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부유부가 마련된 배출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부력 조절이 가능한 부유부가 마련되어 수처리장은 물론,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와 같은 야외 공간에도 설치가능함은 물론, 부유부를 통해 장치의 균형 및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력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유부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의 수심층을 선택배출되도록 하여 교반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행함으로써, 오염된 수역에 대한 수질 정화작업이 용함은 물론, 야외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함으로 오염된 영역을 확장하여 정화시킬 수 있으며, 부유부를 통해 교반장치의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부가 침지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수면에서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여 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용 교반장치{Stirr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를 위한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역에 설치하되, 부유부를 통한 부력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임펠라의 회전에 의한 상승수류 작용을 통해 수역 저층에 침전된 이물질이 상층 수 또는 약품 등과 서로 교반되도록 하여 이물질 제거는 물론, 수질 정화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용 교반장치는 오염된 수역에 설치되어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반장치는 국내 선등록된 수처리장의 교반장치(등록특허 제10-0482408호)가 있는데, 이 선출원된 교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에 설치된 교반조(10)를 통해 오염된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교반기로서, 임펠러(41,42)를 통해 교반수와 침전된 이물질 및 약품 등의 희석이 용이하도록 교반조(10) 내부를 교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교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조(10)를 통해서만 설치 가능한 것이며, 교반조의 용량만을 정화할 수 있는 제한적인 장치이다.
즉, 종래의 교반장치(1)는 제한적인 설치구조를 통해 정수장, 하수장 또는 폐수처리장 등의 수처리장에 구비된 교반조(10)에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적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교반장치(1)를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와 같은 야외 공간에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의 구조물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교반기를 통해 정화시킬 수 있는 오염수는 교반조의 크기에 대응하는 용량만을 정화할 수 있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장치에 부력 조절이 가능한 부유부가 마련되어 수처리장은 물론,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와 같은 야외 공간에도 설치가능한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외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함으로 오염된 영역을 확장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부유부를 통해 장치의 균형 및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력 조절이 가능한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부유부가 교반장치에 일체형으로 밀착 설치되어, 교반조와 같이 협소한 영역에서도 설치 가능함은 물론, 콤팩트한 부피를 통해 운반, 설치, 수리작업 등을 위한 용이한 작업환경을 부여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부유부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의 수심층을 선택배출되도록 하여 교반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부유부를 통해 교반장치의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부가 침지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패널을 통해 장치의 설치와 추후 발생되는 유지보수 및 기타 작업을 할 경우, 수면에서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라와, 상기 모터가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부유부가 마련된 구동부; 수역 내에 수직하게 침지된 관체로서, 상기 임펠라의 회전을 통해 수역 저층에 침전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구동부와 유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되는 영역과, 수위변화에 대응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부유부가 마련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유부는, 상기 배출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유입부는,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관체 형상의 유입부 몸체; 상기 유입부 몸체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는, 하부로 확산된 형태로서, 수역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거나, 유입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와 플랜지를 통해 긴밀하게 체결되고,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부유부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배출부 몸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의 상층으로 확산 배출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 몸체는, 관체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 상기 구동부를 이격하여 체결시키기 위한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 타측에 상기 제2부유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 몸체는, 관체 내주면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임펠라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유부는, 배출부 몸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링 형태이거나, 상기 외주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채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유부는, 상기 배출부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2부유부가 존재하며, 상기 각 제2부유부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캡; 및 상기 각 제2부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다른 하나로 유입되도록 상기 각 제2부유부를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부는, 상부로 확산된 형태로서, 이물질이 확산되는 일면에 확산을 유도하는 확산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라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을 통해 침지된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중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장치의 유지보수 및 작업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부력 조절이 가능한 부유부가 마련되어 수처리장은 물론,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와 같은 야외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야외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함으로 오염된 영역을 확장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부유부를 통해 장치의 균형 및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력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부유부가 교반장치에 일체형으로 밀착 설치되어, 교반조와 같이 협소한 영역에서도 설치 가능함은 물론, 콤팩트한 부피를 통해 운반, 설치, 수리작업 등 용이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부유부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의 수심층을 선택배출되도록 하여 교반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부유부를 통해 교반장치의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부가 침지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패널을 통해 장치의 설치와 추후 발생되는 유지보수 및 기타 작업을 할 경우, 수면에서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제2부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유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유부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교반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교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교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반장치(100)는 부력 조절이 가능한 부유부(117,139)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은 물론,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와 같은 야외 공간에도 별도 구조물 없이도 설치 가능함은 물론, 넓은 범위에 대한 정화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반장치(100)는 수역 저층에 침전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유입부(160)와, 유입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130)부 및 임펠러(115)를 구동하여 이물질을 수역 저층으로부터 상층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구동부(110)로 크게 구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교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장치(100)는 유입부(160), 배출부(130) 및 구동부(110)로 크게 구성된다.
유입부(160)는 수역 내에 수직하게 침지된 관체형상으로, 임펠라(115)의 회전을 통해 수역 저층에 침전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입구(165)와,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입부 몸체(161) 및 유입부 몸체(161)와 배출부(1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플렌지(163)로 구성된다.
유입부(160)는 하부로 확산된 관체로서, 수역 바닥면과 마주하는 유입구(165)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체(16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체(169)는 유입구(165)와 바닥면을 소정 이격시켜줌으로써,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유입구(165)와 바닥면의 이격상태를 유지하되, 유입부 몸체(16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지지체(169)를 바닥면에 고정하여 유속 등에도 유입부 몸체(161)가 현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반장치(100)가 야외에 설치되고, 유입부 몸체(161)가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 저수지 또는 댐에서 방류하는 방류량이나 또는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한 유속을 통해 설치된 장소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오염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분실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오염된 영역의 수질개선이 이루어질 수 없는 큰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히 교반장치(100)가 야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반드시 고정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지지체(169)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부 몸체(161)는 수역 내에 수직하게 침지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부(167)가 형성된 관체로서, 유입구(165)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의 상승수류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유입부 몸체(1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관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아야 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원통은 물론, 사각, 오각 및 육각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의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주름부(167)는 유입부 몸체(161)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위변화에 따라 수심이 깊어지거나 또는 낮아질 경우, 그에 대응하는 길이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와 같은 야외의 경우, 물의 방류량 또는 조수간만의 차로 수심이 주기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름부(167)는 수심변화에 대응하여 반드시 유입부 몸체(161)의 길이가 신장되거나 또는 단축되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배출부(130)는 제1플랜지(149)가 마련되어 제2플랜지(163)와 긴밀하게 체결되는 배출부 몸체(131)와, 유입부(16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확산 배출하는 확산부(135) 및 수역에 설치되는 교반장치(100)의 균형 및 이물질의 배출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제2부유부(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부 몸체(131)는 관체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 구동부(110)를 이격하여 체결시키기 위한 제2브래킷(147)이 구비되고, 내주면 일 영역에는 임펠러(116)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133)가 마련된다.
제2브래킷(147)은 배출부 몸체(131)와 체결수단을 통해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구동부(110)의 제1브래킷(119)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제1브래킷(119)과 함께 구동부(110)를 소정 이격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부재(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3)을 지지하여, 회전축(113)이 편심되거나, 또는 회전축(113)과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116)가 편심에 의해 회전축(113)과 함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확산부(135)는 배출부 몸체(131)의 상부로 확장된 형태 즉, 접시형태로서, 수역 저층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확산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확산부(135)는 수역 상층으로 배출되는 이물의 확산을 안내하는 확산돌기(137)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확산돌기(137)는 나선형태로 마련되어 이물질의 확산을 유도함은 물론, 수역 상층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의 확산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부유부(139)는 배출부 몸체(131)의 외주면 타측에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고, 수역 내에서 교반장치(100)의 부력을 조절하여, 장치의 전체적 균형과, 확산부(13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부유부(139)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체(141)를 통해 배출부 몸체(131)에 일체형으로 밀착 설치된다. 이는 교반조(미도시)와 같이 협소한 영역에서도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콤팩트한 부피를 통해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2부유부(139)가 배출부 몸체(131)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될 경우, 부피로 인해 운반 시, 제2부유부(139)를 분리하여 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는 장치를 수역으로 설치 시, 분리된 제2부유부(139)를 다시 조립한 후,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부유부(139)를 분리하지 않을 경우, 제2부유부(139)의 부피를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운반수단을 이용해야만 하는데, 이는 운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설치시에도 부피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부유부(139)를 배출부 몸체(131)에 일체형으로 밀착 설치함으로써, 장치에 대한 제작은 물론,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콤팩트하게 제작된 것이다. 이때, 제2부유부(139)는 배출부 몸체(131)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한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부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2부유부(139)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43)과, 이를 개폐하는 주입구 캡(145)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력 조절을 통해 확산부(135)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역 저층에 침전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부유하여 순환시키는 상승수류 작용을 통해 양호한 교반작업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확산부(135)가 수면 위로 올라올 경우, 수역 저층의 이물질은 수면위로 부유시킬 수 있으나, 상승수류에 의한 순환은 이루어질 수 없으며, 확산부(135)가 수면 중층에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수역 저층과 중층에서만 교반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확산부(135)를 수면 아래로 침지시키되, 수면과 근접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수역 저층과 상층으로 충분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부유부(139)의 부력을 조절해야하며, 확산부(135)의 부력 조절은 수처리 작업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부유부(139)는 배출부 몸체(131)와 분리 가능한 일체의 구조로 이루어져, 종래에 제한된 설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본 발명은 수처리장은 물론,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와 같은 야외에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설치할 수 있는 큰 구조적 특징이 있다.
한편, 제2부유부(139)로 주입된 유체를 퇴수하거나, 또는 유체의 량을 줄일 필요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퇴수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퇴수구는 제2부유부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거나, 또는 저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부유부(13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의 형상이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설치환경 내지는 장치의 전체적 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장치의 균형이 어느 일 방향으로 편중될 경우, 즉,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도시하지 않았으나, 어느 한쪽으로 더 설치된 기포기 등),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유부(139)를 적어도 한 쌍으로 설치하고, 각 제2부유부(139)에 유체를 주체를 주입하되, 각각 무게 중심에 맞도록 주입함으로써, 장치의 전체적인 균형 및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장치의 무게 중심이 양호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제2부유부(139)를 적용하여 장치의 부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부유부(13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연통관(15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데, 이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유체 연통관(1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제2부유부(139)를 연결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2부유부(139)에 유체를 주입하더라도, 다른 하나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관인 것이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제2부유부(139)에서 주입구 캡(145)을 분리한 후, 주입구(143)에 유체를 투입하면, 연통구(153)로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는 유체 연통관(151)을 통해 다른 제2부유부(139)로 유체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제2부유부(139)는 서로 수평이 유지되고, 유지된 수평을 통해 교반장치(100)와 확산부(135)의 높이를 균형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구동부(11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3)을 통해 모터(1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러(116)와, 적어도 모터(111)가 설치된 구동부(110)가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부유부(117)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동부(110)는 제2브래킷(147)과 결합하되, 확산부(135)와 이격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1브래킷(1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펠러(1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30)의 내주 영역 설치되어, 일방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역 저층의 이물질이 유입구를 통해 수역 상층의 확산부(135)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임펠러(116)의 설치영역은 도시된 영역에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이는 유입구(165)를 통한 흡입력과, 확산부(135)를 통한 배출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영역(예를 들어, 유입부, 배출부 및 그 사이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부유부(117)는 구동부(110)가 수역으로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이다.
이러한 제1부유부(117)는 제1브래킷(119)을 통해 모터(111) 하부로 설치되되, 제1지지체(121)를 통해 모터(111)로부터 소정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면과의 거리를 더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적어도 모터(111)가 침지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만약 제2부유부(139)가 훼손될 경우가 발생하여 장치 전체가 수역으로 침지되더라도, 제1부유부(117)를 통해 적어도 모터(111)가 침지되거나,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모터(111)는 제1브래킷(119)을 통해 지지된 패널(12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널(123)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터(111) 구동을 위한 전원 및 이를 컨트롤 하기 위한 제어부 등이 설치되고, 교반장치(100)를 설치 시, 또는 추후 유지보수를 해야할 경우,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영역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전원은 솔라셀 또는 AC 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교반장치(100)가 설치되는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100)는 유입부(16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은 확산부(135)를 통해 수역 상층으로 확산 배출됨과 동시에, 상승수류 작용을 통해 수역 저층에서 수역 상층으로 이물질을 상/하 순환하여 이물질의 부유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오염상태에 따라 첨가되는 약품과의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탁월한 수질 정화 작업을 이루어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 본 발명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하천, 저수지, 강이나 바다 등과 같은 야외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교반장치 110 : 구동부
111 : 모터 113 : 회전축
115 : 임펠러 117 : 제1 부유부
119 : 제1브래킷 121 : 제1지지체
123 : 구동부 패널 130 : 배출부
131 : 배출부 몸체 133 : 가이드 부재
135 : 확산부 137 : 확산돌기
139 : 제2부유부 141 : 제2지지체
143 : 주입구 145 : 주입구 캡
147 : 제2브래킷 149 : 제1플렌지
151 : 유체 연통관 153 : 연통구
160 : 유입부 161 : 유입부 몸체
163 : 제2플렌지 165 : 유입구
167 : 주름부 169 : 지지체

Claims (12)

  1.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라와, 상기 모터가 침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부유부가 마련된 구동부;
    수역 내에 수직하게 침지된 관체로서, 상기 임펠라의 회전을 통해 수역 저층에 침전된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구동부와 유입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 상층으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되는 영역과, 수위변화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2부유부가 마련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유부는, 상기 배출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관체 형상의 유입부 몸체; 및
    상기 유입부 몸체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하부로 확장된 형태로서, 수역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거나, 유입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와 플랜지를 통해 긴밀하게 체결되고,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부유부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배출부 몸체;
    상기 유입부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역의 상층으로 확산 배출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 몸체는,
    관체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 상기 구동부를 이격하여 체결시키기 위한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외주면 타측에 상기 제2부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 몸체는,
    관체 내주면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임펠라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유부는,
    배출부 몸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링 형태이거나, 상기 외주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채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유부는,
    상기 배출부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2부유부가 존재하며,
    상기 각 제2부유부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캡; 및
    상기 각 제2부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다른 하나로 유입되도록 상기 각 제2부유부를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부로 확장된 형태로서, 이물질이 확산되는 일면에 확산을 유도하는 확산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라는,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을 통해 침지된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중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교반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장치의 유지보수 및 작업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처리용 교반장치.
KR20110013753A 2011-02-16 2011-02-16 수처리용 교반장치 KR10103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3753A KR101036176B1 (ko) 2011-02-16 2011-02-16 수처리용 교반장치
PCT/KR2012/001168 WO2012111987A2 (ko) 2011-02-16 2012-02-16 수처리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3753A KR101036176B1 (ko) 2011-02-16 2011-02-16 수처리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176B1 true KR101036176B1 (ko) 2011-05-23

Family

ID=4436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13753A KR101036176B1 (ko) 2011-02-16 2011-02-16 수처리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6176B1 (ko)
WO (1) WO201211198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95B1 (ko) 2012-09-21 2012-11-05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상수도원에서의 드래프트 튜브를 이용한 물 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방법
WO2015020271A1 (ko) * 2013-08-06 2015-02-12 (주)더존코리아 복합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108550B1 (ko) 2019-11-15 2020-05-08 (주)대신환경기술 수처리용 교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653B1 (ko) * 2021-01-13 2023-05-02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천연 5종 컴플렉스 항균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245B1 (ko) 1999-09-07 2002-04-24 안재순 밀도류 생성방법 및 그 장치
KR100965784B1 (ko) 2009-09-15 2010-06-29 한국기계연구원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047B2 (ja) * 1992-09-14 2003-03-10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水域の浄化装置
JP2003236581A (ja) * 2002-02-14 2003-08-26 Hitachi Kiden Kogyo Ltd 曝気攪拌装置
KR200398372Y1 (ko) * 2005-08-03 2005-10-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형 수처리 장치
AU2007238808B2 (en) * 2006-04-10 2011-04-14 Ixom Operations Pty Ltd Methods of killing and inhibiting the growth of ammonia-oxidising bacteria in tanks or containers of 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245B1 (ko) 1999-09-07 2002-04-24 안재순 밀도류 생성방법 및 그 장치
KR100965784B1 (ko) 2009-09-15 2010-06-29 한국기계연구원 태양광을 이용한 녹조방지 물 순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95B1 (ko) 2012-09-21 2012-11-05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상수도원에서의 드래프트 튜브를 이용한 물 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방법
WO2015020271A1 (ko) * 2013-08-06 2015-02-12 (주)더존코리아 복합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108550B1 (ko) 2019-11-15 2020-05-08 (주)대신환경기술 수처리용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1987A3 (ko) 2012-12-20
WO2012111987A2 (ko)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176B1 (ko) 수처리용 교반장치
KR100512089B1 (ko)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JP4248141B2 (ja) 水上に浮遊する汚物の分離方法及び装置
CN207973579U (zh) 一种污水曝气池
KR101891241B1 (ko) 부유식 폭기장치
KR101024842B1 (ko) 수중 교반펌프
JP4875778B1 (ja) 曝気攪拌装置
JP2013139008A (ja) 攪拌装置
KR10145008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중교반기
JP4875777B1 (ja) 曝気攪拌装置
KR101191562B1 (ko) 배오존이 적은 고효율 오존 용해장치
KR20190020384A (ko) 회전축 샌드 다중복합 여과기
US7967498B2 (en) Submersibly operable high volume and low pressure liquid transfer equipment
JP2010172811A (ja) 攪拌装置
KR200449925Y1 (ko) 좌대식 분리형 수조여과장치
JP4374885B2 (ja) 膜分離装置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JP2005264585A (ja) マンホール装置
CN108640268A (zh) 一种曝气滗水设备
KR100795592B1 (ko) 하수처리장에서의 자원절감형 처리수 이송펌프시스템
KR101846821B1 (ko) 회전식 산기장치
KR101811866B1 (ko) 교반 기능을 갖는 하부모터형 수중펌프
JP4850443B2 (ja) 臭気性イオウ化合物除去装置
JP3656096B2 (ja) 水中ポンプ用の予旋回槽
CN105413549B (zh) 一种泥水脉冲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