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492B1 - 지방분해주사장치 - Google Patents

지방분해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492B1
KR100965492B1 KR1020090053595A KR20090053595A KR100965492B1 KR 100965492 B1 KR100965492 B1 KR 100965492B1 KR 1020090053595 A KR1020090053595 A KR 1020090053595A KR 20090053595 A KR20090053595 A KR 20090053595A KR 100965492 B1 KR100965492 B1 KR 100965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jection
unit
obesit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범
Original Assignee
(주)대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정밀 filed Critical (주)대성정밀
Priority to KR102009005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8Lip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이력관리 및 비만도 개선정도를 측정 가능한 지방분해주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지방분해주사장치는, 소정의 지방분해용 기체를 저장하는 기체저장탱크와; 상기 기체를 사용자의 시술부위에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기체분사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와; 메모리와; 상기 기체저장탱크와 상기 분사부 사이에 배치된 밸브와;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상기 밸브의 개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술부위의 비만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방분해주사장치{GAS INJECTION APPARATUS FOR LIPOLYSIS}
본 발명은 지방분해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력관리 및 비만도 개선정도를 측정 가능한 지방분해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만치료의 한 방법으로 몸속의 지방부위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미소량 분사하는 지방분해주사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지방분해주사장치는 단지 기체를 분사하는 데만 그치고 이력관리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여러 차례에 걸친 지방분해주사 시술에 따른 비만도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지방분해주사 시술에 따른 비만도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는, 비만도 측정을 위한 고가의 비만도 측정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지방분해주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자체적으로 시술부위의 비만도 변화를 측정 가능한 지방분해주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방분해주사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지방분해용 기체를 저장하는 기체저장탱크와; 상기 기체를 사용자의 시술부위에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기체분사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와; 메모리와; 상기 기체저장탱크와 상기 분사부 사이에 배치된 밸브와;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상기 밸브의 개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술부위의 비만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주사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분해주사장치는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는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상기 모터의 평균회전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방분해주사장치는 시술받는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시술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ID 별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현재 측정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술부위의 상대비만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분해주사장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상기 시술부위의 비만도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방분해주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ID 및 시술부위를 입력하는 단계;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시술부위에 소정의 지방분해용 기체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분사된 기체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상기 밸브를 구동하는 모터의 평균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기체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상기 모터의 평균회전수를 기초로 비만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비만도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주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방분해주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술받은 사용자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둘째, 고가의 비만도 측정장치 없이도 자체적으로 비만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에게 지방분해시술에 따른 비만도 변화를 언제든지 제공해줄 수 있는 바, 사용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방분해주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방분해주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지방분해용 기체를 저장하는 기체저장탱크(110)와; 상기 저장된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부(120)와; 상기 기체저장탱크(110)와 상기 분사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분사될 상기 기체량을 조절 가능한 밸브(130)와; 상기 밸브(130)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터(150)와;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되는 기체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140)와; 상기 유량센서(140)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지방분해용 기체는 이산화탄소, 산소 및 수소 중 적어도 하나의 기체를 포함한다. 물론, 이외에도 지방분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모든 기체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저장탱크(110)는 상술한 종류의 기체를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기체저장탱크(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할 조작패널(170)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기체저장탱크(110) 중 사용하고자 하는 기체의 종류가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120)는 지방분해가 필요한 시술부위, 예를 들어 허벅지, 종아리, 둔부 등의 부위에 상기 기체저장탱크(110)에 저장된 기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분사부(120)는 주사바늘(미도시)을 구비한 주사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130)는 상기 기체저장탱크(110)와 상기 분사부(120)를 연결하는 기체배관(미도시) 상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150)는 상기 밸브(130)의 개도(開度)를 조절하여 상기 분사부(120)를 통해 분사될 기체량을 조절한다.
상기 모터(150)는 스텝핑 모터 및 DC 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140)는 상기 기체배관(미도시)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 기체량을 검출한다.
상기 유량센서(140)는 소정의 샘플링 시간간격마다 측정한 유량을 상기 제어부(160)로 통지한다. 여기서, 측정유량의 단위는 cc/min일 수 있다. 물론, 그 단위는 유량으로 환산할 수 있는 것(㎤/min, ㎥/h, ℓ/min)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고 , 그 자체가 유량의 부피단위 일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유량센서(140)의 검출결과와 기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1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치는 설정분사량(cc)과 설정분사시간(mi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치는 후술할 입력부(170)를 통해서 설정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가령, 1시간에 5cc의 이산화탄소를 분사하도록 설정한 경우, 설정분사량은 5cc이고, 설정분사시간은 1시간(60min)이 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치를 통해 0.083cc/min (=5cc/60min)을 목표유속으로 계산하고, 상기 계산치와 상기 유량센서(140)의 검출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유량센서(140)로부터 측정된 유속이 상기 목표유속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밸브(130)의 개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만약, 상기 유량센서(140)로부터 측정된 유속이 상기 목표유속보다 큰 경우, 상기 밸브(130)의 개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목표유속 대비 상기 밸브(130)의 개도를 테이블로서 메모리(미도시) 등에 저장해 놓고, 상기 계산된 목표유속에 따라서 사기 밸브(130)의 개도값을 알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샘플링 시간마다, 상기 유량센서(140)에서 측정한 유량(cc/min)과 상기 샘플링 시간(min)을 곱한 샘플링 시간동안의 유량(cc)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된 유량을 분사개시시점부터 현재의 샘플링 시점까지 적분한다. 이에 따라, 현재 샘플링 시점까지 상기 분사부(120)를 통해 분사된 총 분사량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정된 상기 총분사량과 상기 설정분사량을비교하여, 상기 총분사량이 상기 설정분사량보다 같거나 큰 경우 상기 밸브(130)를 닫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130)를 닫는 데까지 미세하게나마 추가적으로 상기 기체가 더 분 사될 수 있으나 그 값은 상대적으로 미세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지방분해주사장치(100)는 메모리(190)와; 지방분해 시술을 받을 사용자의 ID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70)는 상기 분사부(120)를 통해 분사하고자 하는 기체의 종류, 상기 기체의 분사량 및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키(미도시)는 사용자 이름 또는 사용자에 할당된 ID 또는 시술받을 인체부위의 명칭(가령, 허벅지, 둔부, 종아리, 옆구리, 얼굴 및 복부 등)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입력키(미도시)는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될 인체의 인체부위별로 마련된 시술부위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술부위키(미도시)는 허벅지키, 둔부키, 종아리키, 옆구리키, 얼굴키 및 복부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술부위키(미도시)에 대응하여 분사되어야 할 기체의 종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이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허벅지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190)로부터 상기 허벅지에 주입되어야 할 기체의 종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로딩하여 로딩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ID, 상기 시술부위에 분사된 상기 기체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상기 모터(150)의 평균회전수에 관한 시술정보를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150)의 평균회전수는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소정시간의 샘플링시간(가령, 0.1초)으로 측정된 상기 모터(150)의 회전수를 평균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과도응답과정 중에서 측정된 상기 모터(150)의 회전수는 상기 모터(150)의 평균회전수 산출에서 제외되고 정상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모터(150)의 회전수만이 평균회전수 산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50)가 스텝핑모터인 경우에는 스텝을 카운트 함으로써 그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50)가 BLDC모터 인 경우, 인코더를 통해 회전수 산출이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 테이블의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별로 시술일자, 시술부위, 시술시간, 기체분사량 및 분사시간동안의 모터평균회전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ID"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반드시 사용자 이름일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 별로 할당된 소정의 식별번호일 수도 있다.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한 그 정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시술부위"는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기체가 분사되는 부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허벅지, 둔부, 얼굴, 종아리 등의 인체부위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시술시간"은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상기 기체가 분사된 총 시간에 관한 정보이다.
"기체분사량"은 상기 시술시간동안 분사된 총 기체량(cc)에 관한 정보이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시술시간" 및 상기 "기체분사량"정보는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의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분사시간동안의 모터평균회전수"는 상기 시술시간동안의 상기 밸브(130)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모터(150)의 평균회전수에 관한 정보이다. 이는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기체분사시간동안의 상기 밸브(130)의 개도에 관한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밸브(130)의 개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상기 "분사시간동안의 모터평균회전수"는 다른 정보로 대체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모터(150)의 평균회전수를 통해 상기 밸브(130)의 개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외에 상기 밸브(130)의 개도를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상대비만도" 정보는 1회 시술인 경우는 100%가 되며, 2회 이상의 시술부터는 1회시의 비만도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상대비만도 산출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 원리에 근거를 둔다.
시술부위의 근육밀도가 높을수록, 즉, 지방밀도가 낮을수록 상기 기체가 잘 분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지방밀도가 높을수록 상기 기체가 잘 분사되고 근육밀도가 높을수록 상기 기체가 잘 분사되지 않는다. 이는 근육의 경우 조직이 지방보다 치밀하여 상기 분사부(120)의 관점에서 일종의 부하(負荷, load)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도 2의 데이터 테이블을 예로 들어 사용자 ID가 "홍길동"인 사람의 상대비만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1차 시술일자는 "2008년 5월 13일"이고, 시술부위는 "허벅지"이다.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cc/hr)은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기체분사량(cc)"을 "시술시간(hr)"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즉,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cc/hr)은 10cc/hr이다. 또한, 상기 1차 시술 시의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기체분사시간동안의 모터평균회전수(rev)는 35.2로 저장되어 있다.
도 2의 데이터 테이블에 따르면, 형식상 2차 시술일자는 "2008년 5월 25일"이나, 시술부위가 "둔부"로서 상술한 1차 시술의 시술부위와 달라서 비교대상이 되지 않는다.
동일 시술부위"허벅지"에 대한 2차 시술일자는 "2008년 5월 29일"이고, 그 때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cc/hr)은 10cc/hr이다. 그리고, 이때, 기체분사시간동안의 모터평균회전수(rev)는 37.3이다.
여기서, 상대비만도는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된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cc/hr) 및 모터평균회전수(rev)와, 2차 시술 시에 산출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cc/hr) 및 모터평균회전수(rev)를 기초로 산출된다.
2차 시술 시의 상대비만도는 1차 시술시의 비만도를 100으로 가정했을 때 상대적인 값이다.
상술한 예와 같이, 2차 시술 시의 단위시단당 기체분사량(cc/hr)과 1차 시술시의 그것이 서로 동일한 경우, 모터평균회전수(rev)값만 비교하면 상대비만도가 산출될 수 있다.
즉, 1차 및 2차 시술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이 동일한 경우, 2차시술 시 의 상대비만도(%)는 다음의 식(1)으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2차 대신에 N차(N은 2이상의 자연수)로 확장될 수 있다.
식(1):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1
여기서, Y는 N차(N은 2이상의 자연수) 시술 시의 모터평균회전수이고, X는 1차 시술시의 모터평균회전수이다.
이상의 식(1)에 도 2의 데이터테이블의 2008년 5월 29일자의 2차 시술 시의 "허벅지" 시술부위의 상대비만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2
여기서, 2차시술 시의 상대비만도(%)는 100미만인 경우에는 비만도가 감소(지방 감소)한 것을 의미하고, 100인 경우에는 시술전후의 변화가 없음을 의미하며, 100을 초과한 경우에는 오히려 비만도가 증가(지방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데이터테이블에 의한 "허벅지" 시술부위의 3차시술 시(2008년 6월 4일)의 상대비만도(%)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3차시술 시에는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이 8cc/hr로서 1차 시술 시의 그것과는 다르다.
여기서,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모터평균회전수를 각각 A 및 X라고 하고, N차 시술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모터평균회전수를 각각 B 및 Y라고 할 경우, 다음과 같은 식(2) 및 식(3)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2):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3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4
여기서, 단위시간당분사량과 모터평균회전수가 서로 비례관계에 있다고 가정하면, "Z"는 1차 시술 조건 하에서 단위시간당 분사량이 B인 경우, 추정되는 모터평균회전수이다.
즉, 식(2)는 다음과 같이 풀어서 정리할 수 있다.
식(3):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5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과 N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이 서로 다른 경우, N차 시술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조건 하에서 추정되는 1차 시술 시의 모터평균회전수("Z")값을 추정한다.
상기 추정된 모터평균회전수("Z")값을 상기 식(1)의 "X" 대신에 대입하면 다음의 식(4)와 같이, 단위시간당 분사량이 다른 차수에서의 상대비만도를 산출 할 수 있다.
식(4):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6
여기서, A 및 X는 각각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모터평균회전수이고, B 및 Y는 각각 N차 시술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 및 모터평균회전수이다. 여기서, A와 B가 같은 경우, 즉, 1차 및 N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분사량이 같은 경우에는 상기 식(4)는 식(1)과 같아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식(4)를 이용하여, 3차(2008년 6월 4일자) "허벅지"시술부위의 상대비만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7
이상에서 설명한 상대비만도 산출은,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을 로딩함으로써 산출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60)는 산출된 상대비만도를 각각의 시술차수의 상대비만도로서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데이터 테이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2차 및 3차시술시의 "허벅지" 시술부위의 상대비만도가 "상대비만도(%)"항목으로서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지방분해주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80)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인쇄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CRT, LCD 및 PD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부는 전자사진방식, 잉크젯 방식 및 열전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출력부(180)가 상기 산출된 상기 시술부위의 상대비만도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차수 별로 산출된 상대비만도를 상기 출력부(180)에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출력부(180)에 표시되는 형식은 일례에 불과하고 텍스트만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이상에서는, 1차 시술 시의 시술부위의 비만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2차 시술 이후 부터의 해당 부위의 비만도를 상대적으로 계산한 상대비만도 산출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절대비만도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절대비만도는 상술한 상대비만도처럼 1차 시술 시의 비만도를 기초로 2차 시술 시의 비만도를 상대평가 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체중인 사람의 비만도를 기초로 절대평가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상대비만도와 차이가 있다.
절대비만도 산출을 위해 상기 메모리(190)에 도 4와 같은 비교대상이 되는 절대비만도 산출용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제품 출시 시에 절대비만도 산출용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190)에 탑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시 상기 메모리(190)에 업로드 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대비만도 산출용 데이터는 시술부위 별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cc/hr) 및 정상체중(비만도 100%로 가정)인 사람이 상기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cc/hr)으로 시술받은 경우의 평균모터회전수(rev)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은 절대비만도 산출용 데이터와, 앞에서 일례로 든 도 2의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절대비만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ID"홍길동"인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허벅지"의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분사시간동안의 모터평균회전수는 각각 10cc/hr 및 35.2rev 이다.
이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 4의 산출용 데이터에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과 동일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 지 판단한다.
1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이 10cc/hr인데, 도 4에 10cc/hr에 대한 정상체중의 평균모터회전수(rev)가 30으로 존재한다.
N차 시술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에 대응하는 정상체중의 평균모터회전수(rev)가 도 4의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절대비만도(%)는 다음의 식(5)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5: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8
여기서, C는 N차(N은 1이상의 자연수) 시술 시의 모터평균회전수이고, F는 도 4의 산출용 데이터로부터 읽은 평균모터회전수이다.
따라서, 도 2의 1차 시술(2008년 5월 13일자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10cc/hr 인 때의 모터평균회전수는 35.2rev이고, 도 4의 산출용 데이터에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10cc/hr인 경우의 평균모터회전수 30rev이므로 1차시술 시의 "허벅지"부위의 절대비만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6457053-pat00009
즉, "홍길동"의 허벅지 부위의 1차 시술 시의 절대비만도(%)는 82.7%로서 정상체중인 사람의 허벅지 부위보다 대략 17%정도 비만도가 작은, 즉, 지방이 작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2에서 "허벅지"부위의 2차 시술(2008년 5월 29일자) 결과에 따른, 2차시술 시의 절대비만도(%)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식(5)에 의해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6457053-pat00010
한편, 허벅지 부위의 3차 시술 (2008년 6월 4일자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8cc/hr)에 대응하는 정상체중의 모터평균회전수(rev)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음의 식(6)과 같이 인접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그에 대응 하는 정상체중의 모터평균회전수 정보를 이용하여 선형회귀법으로 존재하지 않는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에 대응하는 정상체중의 모터평균회전수(rev)의 추정값(F1)을 계산한다.
식(6):
Figure 112009036457053-pat00011
여기서, E는 N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이고, F1은 E 분사량인 경우의 정상체중의 모터평균회전수의 추정치이다.
여기서, n은 1이상의 자연수로서, E[1] 내지 E[7]은 각각 도 4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값이다. 즉, E[1]은 3, E[2]는 5, …, E[7]은 30이다.
F[1] 내지 F[7]은 각각 E[1] 내지 E[7]에 대응하는 도 4의 정상체중의 모터평균회전수이다.
식(6)에서 E가 E[n-1]과 같은 경우, F1은 F[n]과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3차 시술 시의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은 8cc/hr이므로, 인접한 E[2](5cc/hr) 및 E[3](10cc/hr) 및 그에 대응하는 F[2] 및 F[3] 데이터를 이용하여 8cc/hr에 해당하는 정상체중의 모터평균회전수의 추정치(F1)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9036457053-pat00012
상기 추정치(F1)를 상기 식(5)의 F 대신에 대입하고, C에 3차시술시의 모터평균회전수 31.2를 대입하면 다음의, 3차 시술 시의 절대비만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6457053-pat00013
상기 제어부(160)는 이상에서 각각의 시술 차수별로 산출된 절대비만도(%)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데이터 테이블에 "절대비만도(%)" 항목으로서 각 차수별로 상기 메모리(19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산출된 절대비만도도 상술한 상대비만도처럼 상기 출력부(180)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방분해주사장치(1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20a); 유량센서(140a); 및 분배기(180)를 포함한다. 그 외에는 제1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이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의 분사부(120) 및 유량센서(140)가 1개인 것과 비교하여 제2실시예는 그것들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20a)는 제1분사부(123)와; 제2분사부(125)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분사부(120a)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유량센서(140a)는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를 통해 분사되는 총분사량을 검출하는 제1유량센서(143)와;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분사되는 분사량을 검출하는 제2유량센서(145)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유량센서(143)와 상기 제2유량센서(145)는 각각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의 분사량을 직접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일례로서, 제2분사부(125)의 분사량을 검출하도록 제2유량센서(145)가 배치된다.
상기 제1밸브(131)는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235)로 공급될 유량 전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밸브(133)는 상기 제2분사부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유량센서(143) 및 상기 제2유량센서(145)에서 각각 측정한 유량을 기초로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를 통해 각각 분사되는 제1분사량 및 제2분사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량센서(143)에서 측정한 총 유량에서 상기 제2유량센서에서 검출한 유량을 빼면 상기 제1분사부(123)를 통해 분사되는 제1분사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180)는 상기 기체저장탱크(110)로부터 유출된 기체를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로 분배되는 분배비율 은 가변될 수도 있고 고정된 값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에 의해 분사되는 분사량은 상기 분배기(180)의 분배비율에 비례한다.
가령,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제2분사부(125)의 분사량이 동일한 설정시간동안 동일한 경우, 상기 분배기(180)의 분배비율은 50 대 50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유량센서(140a)의 검출결과와 기설정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150)를 제어한다.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를 통해 각각 분사하고자 하는 설정분사량을 5cc이고, 설정분사시간이 둘 다 1시간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제1유량센서(143)의 평균유량이 10cc/60min (= (2 X 5cc) / 60min)이 되도록 상기 밸브(130)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량센서(145)의 유량은 상기 제1유량센서(143)의 반인 5cc/60min이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밸브(130)로 제1분사부(123) 및 제2분사부(125)에 동시에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해 동일한 시간동안 분사되는 것을 전제로 분사량이 상기 분배기(180)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부(125)로 각각 서로 다른 기체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기체저장탱크(110)로부터 기체가 공급되고, 각각의 기체공급라인에 각각의 밸브(130)를 배치하고 각각의 밸브(130)를 구동하는 복수의 모터(15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1분사부(123) 및 상기 제2분사 부(125)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배기(180)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실시예의 지방분해주사장치(100a)는 출력부(180)의 일형태로서 디스플레이부(183)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출력부(180)로서 디스플레이부(183)만을 포함하고, 나머지 인쇄부는 자체 내장하지 않고 네트워크 망에 접속된 프린터(200)에 네트워크 접속부(193)를 통해 접속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3)는 CRT, LCD 패널 및 PD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의 지방분해주사장치(100a)는 네트워크 접속부(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93)는 상기 지방분해주사장치(100a)가 네트워크 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9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70)로부터 비만도 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93)로 하여금 소정의 인쇄데이터를 외부의 프린터(200)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93)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인쇄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산출된 비만도의 도 3과 같은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인쇄데이터는 도 2 및 도 5와 같은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70)로부터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93)로 하여금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93)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메일 전송인 경우 상기 외부서버(300)는 이메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문자메시지 전송인 경우 상기 외부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 발송용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방분해주사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지방분해주사장치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지방분해주사장치의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출력결과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지방분해주사장치의 제어부가 절대비만도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절대비만도 산출용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와 동일한 시술조건하에서 도 4의 산출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절대비만도가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방분해주사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지방분해주사장치
110: 기체저장탱크 120: 분사부
130: 밸브 140: 유량센서
150: 모터 160: 제어부
170: 입력부 180: 출력부
183: 디스플레이부 190: 메모리
193: 네트워크 접속부 200: 프린터
300: 외부서버

Claims (6)

  1. 지방분해주사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지방분해용 기체를 저장하는 기체저장탱크와;
    상기 기체를 사용자의 시술부위에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된 기체분사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와;
    메모리와;
    상기 기체저장탱크와 상기 분사부 사이에 배치된 밸브와;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상기 밸브의 개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술부위의 비만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는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상기 모터의 평균회전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체의 분사시간동안 상기 모터의 평균회전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평균회전수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비만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터의 평균회전수가 상기 소정 기준치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상기 비만도가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주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시술받는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시술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ID 별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주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현재 측정된 단위시간당 기체분사량 및 상기 밸브의 개도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술부위의 상대비만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주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상기 시술부위의 비만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주사장치.
  6. 삭제
KR1020090053595A 2009-06-16 2009-06-16 지방분해주사장치 KR100965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95A KR100965492B1 (ko) 2009-06-16 2009-06-16 지방분해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95A KR100965492B1 (ko) 2009-06-16 2009-06-16 지방분해주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492B1 true KR100965492B1 (ko) 2010-06-24

Family

ID=4237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95A KR100965492B1 (ko) 2009-06-16 2009-06-16 지방분해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4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65B1 (ko) 2006-06-07 2007-03-09 주식회사 메디스에스엘 카복시 테라피 장치
KR100772961B1 (ko) 2006-08-07 2007-11-02 (주)엠큐어 메조테라피/카복시테라피 시술용 복합기
KR100814495B1 (ko) 2007-01-11 2008-03-18 (주)엠큐어 카복시테라피 시술용 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65B1 (ko) 2006-06-07 2007-03-09 주식회사 메디스에스엘 카복시 테라피 장치
KR100772961B1 (ko) 2006-08-07 2007-11-02 (주)엠큐어 메조테라피/카복시테라피 시술용 복합기
KR100814495B1 (ko) 2007-01-11 2008-03-18 (주)엠큐어 카복시테라피 시술용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8891B2 (ja) 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EP1983251B1 (en) Wireless medical gases management system
US8881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level of ventilatory assist to a patient
EP3087963A1 (en) Self-compensating bed scale system for removable components
US8506523B2 (en) Fluid injection system
KR101569564B1 (ko) 대형 디젤 엔진을 위한 윤활오일용 투여 시스템 및 대형 디젤 엔진 실린더에 실린더 윤활오일을 투여하는 방법
CN111225705B (zh) 麻醉剂浓度反馈控制系统
US10619795B2 (en) Monitoring apparatus for pressure vessels
KR100965492B1 (ko) 지방분해주사장치
JP2002527313A (ja) 流動生成物でのコンテナの充填を制御する方法及び前記方法を実施する充填装置
KR100875668B1 (ko) 약품 재투입 장치
KR200462662Y1 (ko) 시술부위에 주입하는 기체의 분사량 자동제어장치
US20130104899A1 (en) Respirator and adjustment method for same
JPH11211534A (ja) ガス残量管理装置
KR101162628B1 (ko) 포터블 지방분해주사장치
JP6412394B2 (ja) 液化燃料ガス消費設備での液化燃料ガス残量管理方法
US11656641B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container volume variations
CN110680197A (zh) 储液容器、控制装置、蒸汽发生系统、烹饪设备和检测方法
JP7349929B2 (ja) オイル管理システム
JPH06210270A (ja) 水処理機器の異常判定装置
WO202206068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d providing remaining capacity of gas supply in gas machine for anesthesia and analgesia
JP2001240187A (ja) 液状物質の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193769A (ja) 給油装置
KR20110084604A (ko) 약제분무장치
JP2012207895A (ja) 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