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431B1 -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431B1
KR100965431B1 KR1020080121557A KR20080121557A KR100965431B1 KR 100965431 B1 KR100965431 B1 KR 100965431B1 KR 1020080121557 A KR1020080121557 A KR 1020080121557A KR 20080121557 A KR20080121557 A KR 20080121557A KR 100965431 B1 KR100965431 B1 KR 10096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tor
signal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169A (ko
Inventor
우재석
Original Assignee
영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화테크(주) filed Critical 영화테크(주)
Priority to KR102008012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4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모터 리플(Motor Ripple) 변동을 이용한 윈도우 안티-핀치(Anti-Pinch) 제어 모듈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전류의 리플 변동을 감지하여 디지털 펄스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변환기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펄스신호에 따라 윈도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윈도우 모터의 전류 리플(Ripple) 변동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현하여 모터의 기계적 구조를 간략화하고 보다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Window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윈도우 모터의 회전시 리플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변환기에 관한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알고리즘.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윈도우 원격 제어 통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 주파수(RF) 원격제어 및 빗방울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부
200 : 송수신부
300 :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400 : 릴레이(Relay) 제어부
500 : 변환기
R : 저항
M : 모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모터 리플(Motor Ripple) 변동을 이용한 윈도우 안티-핀치(Anti-Pinch) 제어 모듈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등의 차량에는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파워 윈도우(Power Window)의 자동개폐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차량의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경우, 사용자가 운전중에 시야를 이동해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하며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파워 윈도우는 모터를 사용하여 차량의 창유리를 상승 및 하강시켜 창문을 개폐하므로, 사용자에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의력의 분산으로 인한 사고를 감소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파워 윈도우는 창문을 개폐시킬 때, 특히,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 닫을 때 창 유리가 이물질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인 경우에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므로, 고장이 발생 되거나 신체가 부상당하기가 쉽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의 구동회로는 창유리가 상승할 때 이물질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이면 자동으로 창문의 상승 동작을 멈추고 하강하여, 차량의 고장과 신체 부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티 핀치(Anti Pinch) 기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윈도우의 구동회로는, 마이컴, 키신호발생부, 모터구동부 및 홀센서(hall sensor)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파워 윈도우의 제어회로는, 키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키신호의 입력에 의해 마이컴이 릴레이로 이루어진 모터구동부를 '온(on)'시키게 된다. 그러면, DC 모터로 이루어진 모터는, 이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정속 구동된다. 이에 의해, 모터는 창유리를 정속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때, 홀센서는 모터의 회전 수를 카운팅 하여 창유리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자동차용 윈도우 모듈의 오토 업(Auto Up) 작동에서 안티-핀치(Anti-Pinch)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홀 집적회로(Hall IC) 소자 또는 인코더(Encoder) 소자가 장착된 모터를 사용해야 하는 제한 요건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안티-핀치(Anti-Pinch)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홀센서 및 인코더 소자 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기계적 구조 및 기능이 복잡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기능적으로 복잡한 안티-핀치(Anti-Pinch)용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차 윈도우의 안티-핀치(Anti-Pinch)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자동차 윈도우 모터의 전류 리플(Ripple) 변동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현함으로써, 모터의 기계적 구조를 간략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Network)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키(RF Key)를 사용한 원격 윈도우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본 발명은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빗방울 감지 오토 업(Auto Up)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본 발명은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일사량 및 차량내의 온도조건에 따라 윈도우의 자동 개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는, 차량의 윈도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전류의 리플 변동을 감지하여 디지털 펄스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변환기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펄스신호에 따라 윈도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파워 윈도우에서 안티 핀치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 리플 변동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식은 세이프티 모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는, 모터의 리플 변동을 이용하여 안티 핀치 기능을 구현하되 종래의 안티-핀치(Anti-Pinch)용 모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데에 있 다.
즉, 홀 집적회로(Hall IC) 소자 또는 인코더(Encoder) 소자가 장착되지 않은 일반 범용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차 윈도우의 오토 업(Auto Up, Auto Roll Up) 작동 중 물체 또는 사람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티-핀치(Anti-Pinch) 모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본 발명에서 안티-핀치(Anti-Pinch)용 모터에 사용되는 홀 집적회로(Hall IC) 소자의 대체 기술은, 모터의 리플 변동을 이용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모터의 리플 변동을 이용하여 윈도우의 위치를 제어하고, 모터의 작동 중 모터의 움직임 상태를 파악하여 안티-핀치(Anti-Pinch) 모듈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모터의 전류 리플(Ripple)을 마이컴이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파형으로 변환함으로써, 모터의 주기와 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에 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0)와, 송수신부(Transceiver;200)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Micro Control Unit;300)과, 릴레이 제어부(400)와, 변환기(500)와, 저항 R 및 모터 M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윈도우 스위치 동작이 입력되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가 조작한 메뉴얼 업/다운(Manual UP/DOWN) 신호 및 오토 업/다운(Auto UP/DOWN) 신호 등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다.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윈도우 스위치 동작 신호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에 전달된다.
그리고, 송수신부(200)는 차량 통신의 표준 중의 하나인 캔(CAN; Cntrol Area Network)과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이러한 캔(CAN)과 린(LIN) 통신은 캔/린 버스(CAN/LIN Bus)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송수신부(2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에 전달된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은, 입력부(100)를 통해 인가된 윈도우 스위치 동작 신호에 따라 릴레이 제어부(400)에 업/다운 제어신호 UP/DOWN을 출력하게 된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은 그 내부에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구비하여, 내부 동작 신호 및 데이터 등을 비휘발성으로 저장하게 된다. 즉, EEPROM은 현재의 모터 리플 주기, 이전의 모터 리플 주기 등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은, 변환기(500)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신호 G를 변환기(500)에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은 변환기(500)로부터 인가되는 펄스신호 P에 따라 모터 M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모터 M의 위치를 제어하게 되고, 윈도우의 오토 업(Auto Up) 작동시 안티 핀치(Anti-Pinch)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릴레이 제어부(40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업/다운 제어신호 UP/DOWN에 따라 파워 윈도우 모터 M에 전류를 공급하고 모터 M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모터 M이 릴레이 제어부(4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회전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하면, 모터 M 내부의 코일 변환자(Commutator)와 브러쉬(Brush)에 의해 전류의 온/오프(ON/OFF)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류의 리플(Ripple)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 M으로는 파워 윈도우 DC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항 R은 션트(Shunt) 저항에 해당하며, 윈도우 모터 M의 작동시 발생되는 모터 M의 전류 변동을 변환기(500)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변환기(500)는 저항 R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 리플 신호를 디지털 펄스로 변환하여, 펄스신호 P를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변환기(50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이득 제어신호 G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변환기(500)에서 디지털 변환된 모터의 리플 펄스신호 P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에 출력된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은, 리플 펄스신호 P의 주기와 그에 따른 속도를 판독하여 안티-핀치(Anti-Pinch) 모듈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윈도우 모터의 회전시 리플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모터 M은 그 내부에 코일 변환자(Commutator)와 브러 쉬(Brush)를 포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터 M의 리플(Ripple) 파형에서 코일 변환자(Commutator) 펄스(Pulse)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검출된 코일 변환자 펄스 신호를, 변환기(500)의 인터페이스(Interface) 회로를 거쳐 디지털 펄스신호 P로 변환한 후,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에 출력하게 된다.
즉, 모터 M의 코일 변환자(Commutator) 펄스(Pulse)에서 검출된 특정 변동 파형은, 펄스 변환기(Ripple to pulse Converter;500) 회로를 통해 디지털 펄스신호 P로 변경된다.
도 3은, 도 2의 모터 리플이 처리되어 지는 변환기(500)의 하드웨어 내부 구성도와 그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변환기(500)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및 증폭기(Amplifier;510)와,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및 이득(Gain) 제어부(520)와, 신호 변환부(Digital ONE-SHOP;530)를 포함한다.
모터 M으로부터 입력된 모터 리플(Motor Ripple) 신호는, 모터 M의 코일 변환자(Commutator) 신호 성분만 추출되어, 1차적으로 밴드 패스 필터와 증폭기(51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모터 리플 신호의 1차 필터링 동작이 수행되고, 증폭기(510)를 통해 증폭된 신호는 노이즈 필터 및 이득 제어부(520)에 출력된다.
여기서, 파형 (A)는 DC 모터 M의 리플 파형을 나타내며, 모터 M의 회전시 코일 변환자(Commutator)와 션트 저항 R에 의해 발생 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밴드 패스 필터 및 증폭기(510)를 거친 파형은, 2차적으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에 의해 노이즈 성분이 필터링되고, 이득 제어부(520)의 처리를 통해 변환된다.
여기서, 이득 제어부(52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이득 제어신호 G에 의해 제어되며, 윈도우의 전압/부하 조건에 맞추어 모터의 리플 신호에 대한 왜곡이 발생 되지 않도록 이득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노이즈 필터 및 이득 제어부(520)에서 처리된 모터 리플 코일 변환자(Commutator) 신호는 신호 변환부(530)에 출력된다. 신호 변환부(530)에 인가된 신호는, 디지털 원-샵(One-Shop) 회로를 거쳐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에서 처리될 수 있는 디지털 펄스신호 P로 변환되어,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에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에서 안티-핀치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00)은 입력부(100)로부터 안티 핀치를 체크하기 위한 동작 신호가 입력될 경우, 모터의 리플 주기가 마지막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
만약, 모터의 리플 주기가 마지막 상태일 경우, 현재 윈도우가 오토 업 동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
그리고, 현재 윈도우가 오토 업 동작 상태일 경우, 기 저장된 T-핀치 전의 이전 리플 주기를 불러오게 된다. 그리고, 현재의 리플 주기를 안티 핀치 램(RAM) 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3)
이후에, 현재의 안티 핀치 주기가 이전의 안티 핀치 주기+T(diff)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현재의 안티 핀치 주기가 기 설정된 종료 주기(T-stop)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만약, 현재의 안티 핀치 주기가 이전의 안티 핀치 주기+T(diff) 보다 커진 경우, 또는, 현재의 안티 핀치 주기가 기 설정된 종료 주기(T-stop) 미만일 경우, 안티 핀치 오토 다운(Auto Down) 동작을 인에이블 시켜 윈도우를 오토 다운 시키도록 제어한다.(단계 S5)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윈도우 원격 제어 통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 내에는 특수 목적으로 장착된 모듈이 있다. 도 5는 차량 내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윈도우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레인 센서(Rain Sensor)를 이용하여 빗방울을 감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 내에 바디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 모듈인 BCM(Body Control Module), 운전석 도어 모듈인 DDM(Driver Door Module), 조수석 도어 모듈인 PDM(Passenger Door Module) 및 후석 도어 모듈인 RDM(Rear Door Module) 등의 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모듈들이 서로 캔 버스(CAN bus) 및 린 버스(LIN Bus)와 연결되어 무선 주파수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빗방울 감지시 차량의 윈도우를 자동으로 오토 업 시키도록 원격 제어한다.
즉, 비가 내리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인 센서가 BCM과 린(LIN)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모듈이 BCM과 캔(CAN) 버스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DDM, PDM, RDM 등이 린(LIN) 버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썬 루프(Sun Roof) 윈도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차량 내에 이러한 모듈과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편의 장치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첫째, 무선 주파수 키 모듈(RF Key Module)의 잠금/해제(Lock/Unlock) 신호에 따라 윈도우 업/다운(UP/DOWN)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선 주파수 키 잠금 시의 윈도우 오토 업 동작의 경우, 안티 핀치 기능이 지원될 수 있다.
둘째, 레인 센서(Rain Sensor)의 정보를 이용하여 빗방울 감지 시의 오토 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셋째, 각 도어(Door) 윈도우의 현재 위치를 차량 내 타 모듈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윈도우의 개폐 상태가 몇 % 인지 또는 몇 단계인지의 여부와, 윈도우의 오픈/클로즈(Open/Close) 상태를 타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에서 캔(CAN; Cntrol Area Network)와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이용하게 되면, 필요한 신호를 하니스 와이어(Harness wire)로 받을 필요 없이 확장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듈 내에 캔(CAN)과 린(LIN) 통신을 지원하여 자동차 내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 주파수(RF) 원격제어 및 빗방울 감지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RF 원격 제어와 빗방울 감지에 따른 오토 업 클로스(Auto Up Close) 기능 및 일사상태와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 개폐를 지원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은 신호 메세지(Signal Message)를 송수신하게 된다.
먼저, BCM은 레인 센서 및 RF 모듈과 연결되며, 빗방울 검출, 윈도우 오토 업 상태 및 키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PDM은 후면 윈도우 업/다운 및 오토 업/다운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DDM은 윈도우 락 상태 스위치, 윈도우 업/다운, 윈도우 오토 업/다운 스위치, 보조석/후방 업다운 스위치의 입력 상태와, 운전석/보조석 윈도우 위치, 후방 윈도우 위치 등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RDM은 후방 윈도우 업/다운 및 오토 업/다운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BCM은 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무선 주파수 원격 제어 및 빗방울 감시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PDM,DDM,RDM은 상호 린(LIN) 버스와 연결되어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기존의 안티-핀치(Anti-Pinch)용 모터에서와 같이 홀 집적회로(Hall IC) 소자 또는 인코더(Encoder) 소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터의 기계적 구조를 간략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모듈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자동차 윈도우 모터의 전류 리플(Ripple) 변동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현함으로써, 모터의 기계적 구조를 간략화하고 보다 신뢰성이 향상된 윈도우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현재의 자동차 윈도우 오토 업 기능이 운전석에 주로 쓰이고 있는 것을 일반 모터를 사용하여 4개소 도어에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탑승자들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자동차 통신 네트워크(Network)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키(RF Key) 원격 윈도우, 빗방울 감지 오토 업(Auto Up) 기능 및 일사상태와 차량내 온도상태에 따른 자동 개폐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윈도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전류의 리플(Ripple) 변동을 감지하여 디지털 펄스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디지털 펄스신호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윈도우 스위치 입력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 전달하는 입력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릴레이 제어부; 및
    상기 릴레이 제어부와 상기 변환기 사이에 연결된 션트(Shunt)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상기 전류의 리플 변동 신호를 필터링 하고 증폭하는 증폭수단;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 신호에서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수단; 및
    상기 이득 제어수단의 출력을 디지털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수단은 상기 증폭수단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필터링 하는 노이즈 필터(Noise Filt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외부 통신 기기와 원격 제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통신은 캔(CAN)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통신은 린(LIN)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자동차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키(RF Key) 원격 윈도우, 빗방울 감지 오토 업(Auto Up) 기능 및 일사상태와 차량내 온도상태에 따른 자동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디지털 펄스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주기 및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윈도우의 안티-핀치(Anti-Pinch)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KR1020080121557A 2008-12-03 2008-12-03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KR10096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57A KR100965431B1 (ko) 2008-12-03 2008-12-03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57A KR100965431B1 (ko) 2008-12-03 2008-12-03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169A KR20100063169A (ko) 2010-06-11
KR100965431B1 true KR100965431B1 (ko) 2010-06-25

Family

ID=4236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557A KR100965431B1 (ko) 2008-12-03 2008-12-03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681A (ko)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아트센서 비접촉 안전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370B1 (ko) * 2014-10-31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장치
KR101774666B1 (ko) 2015-12-03 2017-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7795220B (zh) * 2016-08-31 2019-07-16 贵阳华旭科技开发有限公司 汽车车窗纹波防夹控制方法
CN106499290A (zh) * 2016-10-25 2017-03-15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车窗防夹控制系统、方法及车辆
CN107989511A (zh) * 2017-12-30 2018-05-04 昌辉汽车电气系统(安徽)有限公司 一种汽车车窗的控制系统及方法
CN112227863A (zh) * 2020-09-25 2021-01-15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低成本车窗防夹控制系统及方法
CN115538879A (zh) * 2021-06-29 2022-12-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机转速值确定方法、车窗纹波防夹方法、车辆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66A (ko) * 1998-07-22 2000-02-15 홍종만 협착 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70806B1 (ko) 2004-05-04 2006-04-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66A (ko) * 1998-07-22 2000-02-15 홍종만 협착 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70806B1 (ko) 2004-05-04 2006-04-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셔터의 제어회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681A (ko)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아트센서 비접촉 안전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169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431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장치
US10927585B2 (en) System for electronic control unit wake-up on movement of a controlled member and protection from motor back electromotive force
US1084464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oor module of a motor vehicle
US6748308B2 (en) Automated closure system and method
US8590210B2 (en) Actuation method for an electric window lifter, and actuation unit
US7268506B2 (en) Power window system
US8326498B2 (en) Vehicle anti-pinch control having variable threshold and method
US7615944B2 (en) Control system for window lifters of a motor vehicle
CN103696649A (zh) 用于电动车窗的防夹保护装置及方法
CN201736930U (zh) 一种独立车门控制器和车门控制系统
CN109050220A (zh) 一种天窗控制系统、车辆天窗和车辆
KR101155199B1 (ko) 지역 내부 연결 네트워크 통신을 사용하는 차량용 선루프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45327A1 (en)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ic window lifters of a motor vehicle
JP6072546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9068220A (ja) 車両用の開閉体の挟み込み検出方法及び開閉体の挟み込み検出装置
CN108952452B (zh) 一种遥控关窗的方法及装置
CN220220648U (zh) 汽车全景天窗和背门控制系统及汽车
US11722077B2 (en) Motor vehicle having a front door and a rear door
JP3729091B2 (ja) 車両用開閉体の閉じ忘れ防止装置
JP5044419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KR100312868B1 (ko) 자동차용 선 루프의 자동 닫힘 방법
JP3284033B2 (ja) パワーウィンドウ及びドア施解錠制御装置
KR200291071Y1 (ko) 자동차용 선 루프의 자동 닫힘 장치
JP2024065549A (ja) ウインドウ駆動装置
KR19990003522U (ko) 자동 윈도우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