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124B1 -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124B1
KR100964124B1 KR20080076591A KR20080076591A KR100964124B1 KR 100964124 B1 KR100964124 B1 KR 100964124B1 KR 20080076591 A KR20080076591 A KR 20080076591A KR 20080076591 A KR20080076591 A KR 20080076591A KR 100964124 B1 KR100964124 B1 KR 10096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cket
address
personal computer
web brow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935A (ko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7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1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12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주소록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단말 내부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단말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명령에 따라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IP 주소를 할당받는 네트워킹 처리부;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미리 지정된 주소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무선망으로 전송하거나 가로채는 패킷 처리부; 및 상기 패킷 처리부에서 가로챈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웹 서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76591
휴대폰, 이동통신단말, PC, 싱크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무선 인터넷

Description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OF MOBILE USING WEB BROWSER}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이동 단말의 데이터(주소록, 사진 등)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일반 유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단말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 이동 단말은 카메라,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복합 통신 단말로 발전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정보 처리의 성능 또한 발달하면서 전화기로서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휴대용 정보처리 기기로서의 역할도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처리 기능의 예로는 전화번호부 기능, 주소록 기능, 일정관리 기능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각종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서 이동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의 편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동 단말이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이 동 단말의 키 버튼을 이용한 데이터 편집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를 연결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이동 단말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툴(tool)이 제공되고 있다. 개인용 컴퓨터에 이동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싱크(Sync)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그 싱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조작하면 그 조작 정보가 이동 단말에 반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의 키 버튼이 아닌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의 각종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싱크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의 제조사마다 규격 및 운영 도구가 서로 상이하여 이동 단말의 종류마다 싱크 프로그램을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이 노트북 등의 무선 인터넷을 위한 모뎀으로 사용되고 있어, 노트북 등에 이동 단말이 모뎀으로서 연결될 경우, 이동 단말의 시리얼 포트는 인터넷 접속을 위해 점유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의 데이터 조작을 위한 환경 설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인용 컴퓨터의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내부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의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원격 관리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단말 내부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단말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명령에 따라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IP 주소를 할당받는 네트워킹 처리부;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미리 지정된 주소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무선망으로 전송하거나 가로채는 패 킷 처리부; 및 상기 패킷 처리부에서 가로챈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웹 서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내부 데이터 관리 방법은, 이동 단말이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명령에 따라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IP 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미리 지정된 주소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무선망으로 전송하거나 가로채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가로챈 패킷에 응답하여 단말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한 이동 단말 데이터의 원격 관리를 지원하는 원격 관리 지원 장치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무선망으로부터 확인하는 IP 주소 확인부; 및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확인부에서 확인된 이동 단말의 IP 주소로 치환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원격 관리 지원 서버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한 이동 단말 데이터의 원격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무선망으로부터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의 IP 주소로 치환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이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더라도 개인용 컴퓨터의 유선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 내부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 싱크 프로그램이 필요치 않으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단말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20)은 제 1 통신부(121), 제 2 통신부(123), 메모리(124), 네트워킹 처리부(125), 패킷 처리부(127) 및 웹 서버모듈(129)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120)은 개인용 컴퓨터(110), 예컨대 노트북에 USB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110)의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모뎀으로 동작한다.
이동 단말(120)의 제 1 통신부(121)는 USB 케이블 등으로 개인용 컴퓨터(110)에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110)와 통신한다. 제 1 통신부(121)는 개인용 컴퓨터(110)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제어 명령(control command)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처리된 정보를 개인용 컴퓨터(110)로 전달한다. 또한 제 1 통신부(121)는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1)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패킷 처리부(127)로 전달하고, 또한 패킷 처리부(127)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0)로 전달한다.
제 2 통신부(123)는 무선망(130), 예컨대 이동통신망, 와이브로(Wibro)망 등과 통신한다.
메모리(124)는 이동 단말(120)의 각종 데이터, 예컨대 주소록,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한다.
네트워킹 처리부(125)는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망(130)에 접속하여 개인용 컴퓨터(110)의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킹 처리부(125)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제 2 통신부(123)를 통해 무선망(130)의 패킷 노드(PDSN, SGSN 등)와 통신하여 개인용 컴퓨터(110)의 IP 주소를 할당받아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110)로 전달한다. PDSN(Packet Data Service Node)과의 통신에서는 PPP(Point to Point) 협상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고,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과의 통신에서는 PDP Context 설정 과정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패킷 처리부(127)는 제 1 통신부(121)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제 2 통신부(123)를 통해 무선망(130)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웹 서버모듈(129)로 전송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127)는 제 2 통신부(123)를 통해 수신된 패킷을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1)로 전송하고, 웹 서버모듈(129)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1)로 전송한다.
패킷 처리부(127)는 제 1 통신부(121)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패킷을 제 2 통신부(123) 또는 웹 서버모듈(129)로 전송한다. 패킷 처리부(127)는 제 1 통신부(121)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이동 단말(120) 자체의 IP 주소, 즉 웹 서버모듈(129)의 목적지인 경우, 상기 수신된 패킷을 웹 서버모듈(129)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2 통신부(123)를 통해 무선망(130)으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120) 자체의 IP 주소는 공인된 IP 주소가 아닌 웹 서버모듈(129)을 지칭하는 주소이면 어떤 형식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 말(120) 자체의 IP 주소는 이동 단말(120)에 디폴트로 설정된다.
웹 서버모듈(129)은, 상기 패킷 처리부(127)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따라, 메모리(124)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처리부(127)로 전송한다. 패킷 처리부(127)는 웹 서버모듈(129)로부터 수신된 웹 페이지 패킷을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1)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1)를 통해 이동 단말(1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절차를 통해 이동 단말(1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1)에 표시되는 이동 단말(120)의 데이터를 편집하고, 웹 서버모듈(129)은 상기 브라우저(111)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20)은 USB 케이블 등으로 개인용 컴퓨터(110)에 연결된다(S201). 이동 단말(120)이 개인용 컴퓨터(110)에 연결되면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이동 단말(120)을 모뎀으로 인식한다.
이동 단말(120)이 연결된 후,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110)에서 네트워크 접속 입력을 하고, 그 네트워크 접속 입력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110)는 이동 단말(120)로 네트워크 접속 명령을 전달한다(S203).
네트워크 접속 명령을 수신한 이동 단말(120)의 네트워킹 처리부(125)는 제 2 통신부(123)를 통해 무선망(130)의 패킷 노드와 통신하여 개인용 컴퓨터(110)의 IP 주소를 할당받아 개인용 컴퓨터(110)로 전달한다(S205). 이와 같이 IP 주소를 할당받은 개인용 컴퓨터(110)는 그 할당받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루트(route) 정보, 즉 게이트웨이 정보, 서브넷 마스크 등의 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110)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 주소창에 URL 정보를 입력하고 접속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110)는 상기 URL 정보를 목적지 주소로 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이동 단말(120)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120)의 패킷 처리부(127)는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한다(S207).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한 이동 단말(120)의 패킷 처리부(127)는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이동 단말(12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이동 단말(120) 자체의 IP 주소, 즉 웹 서버모듈(129)의 IP 주소와 같은지 확인한다(S209).
목적지 주소와 웹 서버모듈(129)의 IP 주소가 다른 경우,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은 무선망(130)의 특정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 패킷인 것으로 판단하여, 패킷 처리부(127)는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제 2 통신부(123)를 통해 무선망(130)으로 전송한다(S213).
반면, 목적지 주소와 웹 서버모듈(129)의 IP 주소가 같은 경우, 이동 단말(120)의 패킷 처리부(127)는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웹 서버모듈(129)로 전달하고, 웹 서버모듈(129)은 메모리(124)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패킷을 생성하여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110)로 전 송한다(S211). 개인용 컴퓨터(110)의 브라우저(111)는 수신된 웹 페이지 패킷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웹 페이지 화면에 보여지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편집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120)의 웹 서버모듈(129)로 전송한다. 이때도 역시 사용자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는 웹 서버모듈(129)의 IP 주소가 설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110)에서 전용 싱크 프로그램이 아닌 일반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이동 단말(1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 정보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집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그리고 이동 단말(120)이 인터넷 모뎀으로 사용되더라도 이동 단말(120)의 각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 단말(310), 상기 이동 단말(310)과 무선망(320)으로 연결된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 상기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와 유선망(350)으로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37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370)의 브라우저(371)를 이용하여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를 통해 이동 단말(310)에 접근하여 브라우저(371) 상에서 이동 단말(310)의 각종 데이터를 관리한다.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370)의 브라우저(371) 주소창에 이동 단말(310)로의 접근을 위한 접근 주소를 입력한다. 상기 접근 주소 는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의 URL 및 이동 단말(310)의 식별번호가 포함된다.
개인용 컴퓨터(370)는 상기 접근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유선망(350)으로 전송하고, 유선망(350)은 상기 접속 요청 패킷에 포함된 접근 주소에 따라 패킷을 라우팅하여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로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전달한다.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개인용 컴퓨터(370)와 이동 단말(310) 간의 통신을 중개한다.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개인용 컴퓨터(370)로부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접근 주소에 포함된 이동 단말(310)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속 요청을 이동 단말(310)로 리다이렉트(redirect)한다. 즉, 사용자의 접속을 이동 단말(310)로 전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단말 상태 확인부(331), 자동 접속 메시지 발송부(333), 단말 IP 주소 확인부(335) 및 리다리엑팅부(337)를 포함한다.
단말 상태 확인부(331)는 개인용 컴퓨터(37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 패킷의 접근 주소에 포함된 이동 단말(310)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무선망(320)에서 이동 단말(310)의 무선 인터넷 접속 상태를 확인한다. 이동 단말(310)의 무선 인터넷 접속 상태는 무선망(320)의 패킷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 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자동 접속 메시지 발송부(333)는, 상기 단말 상태 확인부(331)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310)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가 아닌 경우, 이동 단말(310)을 강제 로 무선 인터넷에 접속시키기 위한 자동 접속 메시지를 작성하여 무선망(320)을 통해 이동 단말(310)로 전송한다. 자동 접속 메시지는 SMS 메시지로서, 무선 인터넷 자동 접속 지시 파라미터 및 접속 URL을 포함한다. 접속 URL은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의 임의의 IP 주소가 될 수 있다.
단말 IP 주소 확인부(335)는, 개인용 컴퓨터(37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 패킷의 접근 주소에 포함된 이동 단말(310)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무선망(320)에서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확인한다.
리다이렉팅부(337)는, 상기 단말 IP 주소 확인부(335)에서 확인된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37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 패킷을 이동 단말(310)로 리다이렉트(redirect)한다. 즉,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로 변경하여 무선망(320)을 통해 이동 단말(310)로 전송한다. 접속 요청 패킷의 리다이렉트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370)와 이동 단말(310)은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접속된다. 단말 IP 획득 및 처리부(335)는 리다이렉트하는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포트 번호를 이동 단말(310)의 싱크를 위한 특정 포트로 설정한다.
이동 단말(310)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리다이렉트된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하면, 단말 내부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개인용 컴퓨터(37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310)은, 무선 브라우저(311), 네트워킹 처리부(312), 통신부(313), 패킷 처리부(314), 웹 서버모듈(315), 메모리(316), 메시지 처리부(317)를 포함한다.
무선 브라우저(311)는, 무선 인터넷을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무선 브라우저(311)는 사용자의 시작 명령에 따라 구동되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메시지 처리부(317)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에 따라 자동 구동되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
네트워킹 처리부(312)는, 무선 브라우저(31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또는 메시지 처리부(317)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망(320)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네트워킹 처리부(312)는 통신부(313)를 통해 무선망(320)의 패킷 노드(PDSN, SGSN 등)와 통신하여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PDSN(Packet Data Service Node)과의 통신에서는 PPP(Point to Point) 협상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고,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과의 통신에서는 PDP Context 설정 과정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네트워킹 처리부(312)는, 무선망(320)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으며 특정 포트를 웹 서버모듈(315)로 바인딩 처리하고, 그 특정 포트 정보를 패킷 처리부(314)로 전달한다. 따라서 해당 포트 정보를 갖는 패킷이 수신되면 브라우저(311)가 아닌 웹 서버모듈(315)로 전달된다.
패킷 처리부(314)는 브라우저(311) 또는 웹 서버모듈(315)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여 통신부(313)를 통해 무선망(320)으로 전송하고, 또한 통신부(313)를 통해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여 브라우저(311) 또는 웹 서버모듈(315)로 전송한다.
패킷 처리부(314)는 통신부(313)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포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패킷을 브라우저(311) 또는 웹 서버모듈(315)로 전송한다. 패킷 처리부(314)는 통신부(313)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포트 정보가 웹 서버모듈(315)을 지시 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패킷을 웹 서버모듈(315)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브라우저(311)로 전송한다.
웹 서버모듈(315)은, 상기 패킷 처리부(314)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따라, 메모리(316)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처리부(314)로 전송하거나, 또는 메모리(316)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편집 관리한다. 웹 서버모듈(315)은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370)의 브라우저(371)를 이용하여 메모리(316)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편집 관리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메시지 처리부(317)는, 통신부(313)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메모리(316)에 저장하고, 메모리(316)에 저장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단말 화면에 표시하며, 각종 메시지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메시지 처리부(317)는, 수신 메시지에 인터넷 자동 접속 파라미터가 포함된 경우, 네트워킹 처리부(312)에게 무선망(320)으로의 접속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370)의 브라우저(371)를 통해 이동 단말(310)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31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그리고 전용 싱크 프로그램 및 연결 케이블이 없더라도 이동 단말(120)의 각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관리 대상의 이동 단말(310)은 무선 브라우 저(311)를 구동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 이동 단말(310)의 네트워킹 처리부(312)는 무선 브라우저(31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망(320)에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401), 무선망(320)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는다(S403). IP 주소를 할당받은 이동 단말(310)은, 특정 포트를 웹 서버모듈(315)로 바인딩 처리한다(S405).
이와 같이 이동 단말(310)이 무선망(320)에 접속하여 IP 주소를 할당받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370)에서 유선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310)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한다. 개인용 컴퓨터(370)는 상기 접근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유선망(350)을 통해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로 전송한다(S407).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개인용 컴퓨터(370)로부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접근 주소에 포함된 이동 단말(310)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무선망(320)에서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확인한다(S409).
이어서,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그 확인된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속 요청을 이동 단말(310)로 리다이렉트(redirect)한다(S411). 즉,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 및 이동 단말(310)의 웹 서버모듈(315)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도록 변경하여 무선망(320)을 통해 이동 단말(310)로 전달한다.
리다이렉트된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한 이동 단말(310)은 상기 접속 요청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웹 서버모듈(315)로 라 우팅 처리하고, 이동 단말(310)의 웹 서버모듈(315)은 메모리(316)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 및 데이터 편집 툴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무선망(320) 및 유선망(350)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370)로 전송한다(S413).
따라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370)의 브라우저(371)를 통해 이동 단말(310)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31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로, 이동 단말(310)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370)에서 유선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 단말(310)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한다. 개인용 컴퓨터(370)는 상기 접근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유선망(350)을 통해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로 전송한다(S501).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개인용 컴퓨터(370)로부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접근 주소에 포함된 이동 단말(310)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무선망(320)에서 이동 단말(310)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인지 확인한다. 무선 인터넷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이동 단말(310)로 인터넷 자동 접속 메시지를 발송한다(S503). 인터넷 자동 접속 메시지는 자동 접속 지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로부터 발송된 인터넷 자동 접속 메시지는 무선 망(320)을 통해 이동 단말(310)로 전송되고(S505), 이동 단말(310)은 인터넷 자동 접속 메시지에 포함된 자동 접속 지시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망(320)으로 인터넷 접속 시도한다(S507).
이동 단말(310)은 인터넷 접속 시도 과정에서 무선망(320)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고(S509), 특정 포트를 웹 서버모듈(315)로 바인딩 처리한다(S511). 즉 상기 특정 포트를 포함하는 패킷이 웹 서버모듈(315)로 전달될 수 있도록 웹 서버모듈(315)에 대한 포트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310)이 IP 주소를 획득하고 나면,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를 무선망(320)에서 확인한다(S513).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상기 확인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속 요청을 이동 단말(310)로 리다이렉트(redirect)한다(S515). 즉, 원격 관리 지원 서버(330)는 개인용 컴퓨터(37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이동 단말(310)의 IP 주소 및 이동 단말(310)의 웹 서버모듈(315)의 포트 번호를 포함하도록 변경하여 무선망(320)을 통해 이동 단말(310)로 전달한다.
리다이렉트된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한 이동 단말(310)은 상기 접속 요청 패킷에 포함된 포트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웹 서버모듈(315)로 라우팅 처리하고, 이동 단말(310)의 웹 서버모듈(315)은 메모리(316)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 및 데이터 편집 툴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무선망(320) 및 유선망(350)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370)로 전송한다(S517).
따라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370)의 브라우저(371)를 통해 이동 단 말(310)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31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370 : 개인용 컴퓨터 120, 310 : 이동 단말
130, 320 : 무선망 129, 315 : 웹 서버모듈
330 : 원격 관리 지원 서버

Claims (11)

  1.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단말 내부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단말로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명령에 따라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IP 주소를 할당받는 네트워킹 처리부;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미리 지정된 주소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무선망으로 전송하거나 가로채는 패킷 처리부; 및
    상기 패킷 처리부에서 가로챈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웹 서버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을 위한 편집 툴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하고, 상기 편집 툴에 따른 편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내부 데이터 관리 방법으로서,
    (a) 이동 단말이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명령에 따라 무선망으로부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IP 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미리 지정된 주소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무선망으로 전송하거나 가로채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가로챈 패킷에 응답하여 단말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내부 데이터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f)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수신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기초하여 해당 패킷을 가로채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에서 가로챈 패킷에 응답하여 단말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내부 데이터 관 리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무선 인터넷 모뎀으로 인식되어 상기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내부 데이터 관리 방법.
  6.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한 이동 단말 데이터의 원격 관리를 지원하는 원격 관리 지원 장치로서,
    상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무선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인터넷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단말 상태 확인부;
    상기 이동 단말이 인터넷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인터넷 자동 접속 지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발송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무선망으로부터 확인하는 IP 주소 확인부; 및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IP 주소 확인부에서 확인된 이동 단말의 IP 주소로 치환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지원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처리부는,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웹 서버모듈의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지원 장치.
  9.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원격 관리 지원 서버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한 이동 단말 데이터의 원격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무선망에서 상기 이동 단말의 인터넷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이 인터넷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 인터넷 자동 접속 지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여 인터넷에 접속시키는 단계;
    (d)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IP 주소를 무선망으로부터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의 IP 주소로 치환하여 상기 무선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데이터의 원격 관리 지원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 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상기 이동 단말에 탑재된 웹 서버모듈의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데이터의 원격 관리 지원 방법.
KR20080076591A 2008-08-05 2008-08-05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KR100964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6591A KR100964124B1 (ko) 2008-08-05 2008-08-05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6591A KR100964124B1 (ko) 2008-08-05 2008-08-05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935A KR20100016935A (ko) 2010-02-16
KR100964124B1 true KR100964124B1 (ko) 2010-06-16

Family

ID=4208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6591A KR100964124B1 (ko) 2008-08-05 2008-08-05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1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269A (ko) * 2000-06-22 2002-01-05 홍경 아이피 어드레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관리방법
KR20020019285A (ko) * 2000-09-05 2002-03-12 홍경 정적 아이피 어드레스 및 원클릭 접속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50122519A (ko) * 2004-06-24 2005-12-29 피어컴 주식회사 개인이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를접근하여 이용,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39618A (ko)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269A (ko) * 2000-06-22 2002-01-05 홍경 아이피 어드레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관리방법
KR20020019285A (ko) * 2000-09-05 2002-03-12 홍경 정적 아이피 어드레스 및 원클릭 접속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50122519A (ko) * 2004-06-24 2005-12-29 피어컴 주식회사 개인이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를접근하여 이용,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39618A (ko) *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935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0592B2 (ja) データ共有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95762B1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05285047A (ja)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サーバ及びメッセージ配信プログラム
EP2611073A1 (en) Transmission management apparatus,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00291913A1 (en) Remote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phones
JP2005184304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20290A (ko)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인쇄 컨텐츠 및 인쇄 작업을 등록하는 방법
KR20150094468A (ko)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JP4567228B2 (ja) 認証装置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034686A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
JP4527367B2 (ja) 端末装置
KR100964124B1 (ko)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방법 및 장치
JP2006209462A (ja) 端末装置
JP2006165886A (ja) 情報取得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ユーザー端末および通信装置
US10638015B2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facsimile machine
JP4356428B2 (ja)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ファイル表示方法
JP2003131989A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63093A (ja) 機器接続システムおよび印刷処理システム
JP6318553B2 (ja) 管理装置、伝送端末、伝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伝送方法
KR101810623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9100249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139507A (ja) 電子メールを用いたデータ自動返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自動返信方法
JP2006146734A (ja) ドキュメント処理システム
JP2003281024A (ja) 情報転送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015401A (ja) 画像送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