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840B1 - 폐스티로폼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폐스티로폼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840B1
KR100963840B1 KR1020090083537A KR20090083537A KR100963840B1 KR 100963840 B1 KR100963840 B1 KR 100963840B1 KR 1020090083537 A KR1020090083537 A KR 1020090083537A KR 20090083537 A KR20090083537 A KR 20090083537A KR 100963840 B1 KR100963840 B1 KR 10096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ste
styrofoam
compression device
sty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희
Original Assignee
최두희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희, 김종현 filed Critical 최두희
Priority to KR102009008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29B17/0052Hollow articles, e.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2Balls or rollers in a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자재나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폐스티로품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때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측에 폐스티로품이 수용되어 용융이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열기를 공급하는 히터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용융된 폐스티로품을 수거하는 수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히터, 열기

Description

폐스티로폼 압축장치{Outcast styrofoam com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자재나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폐스티로품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때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은 폴리스틸렌 발포재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밀도가 극히 작아 부피에 비하여 경량이며, 복원성, 완충성, 단열성, 가공성 등이 양호하여 완제품의 완충 포장재나 건축 단열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은 큰 부피로 인하여 수집 및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립시 부패되지 않으므로 사용 후 폐기 및 재활용 처리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 왔으며, 그 하나의 방법으로 스티로폼을 수용하여 파쇄시키는 파쇄날이 내장된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파쇄된 스티로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장치가 내장된 스티로폼 압축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스티로폼 압축장치는 호퍼에 투입되는 스티로폼이 완벽하게 파쇄되지 못하여 파쇄된 스티로폼을 히터장치에 투입시킬 경우에 투입구가 차단되어 효율적으로 스티로폼을 용융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내측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투입되는 폐스티로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됨으로써, 히터부로부터 공급되는 열기에 의해 폐스티로품이 용융될 때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의 내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폐스티로품을 용융시키는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폐스티로품의 용융작업시에 높은 열기에 의해 폐스티로품에 화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열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이 상, 하부에 이중으로 구비됨으로써, 많은 양의 폐스티로품이 투입되더라도 상, 하부에서 열기를 동시에 분사하게 되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스티로품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체의 내측부에 걸름망이 구비됨으로써, 용융된 폐스티로품의 일정 입자만이 통과하도록 하여 고품질의 압축스티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체의 용융실 상단부에 파쇄부가 구비됨으로써, 1차 파쇄부에서 파쇄된 폐스티로품을 용융실에서 용융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폐스티로품의 용융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용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측에 폐스티로품이 수용되어 용융이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열기를 공급하는 히터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용융된 폐스티로품을 수거하는 수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용융실이 형성되되,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는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는 걸림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단부 내주 원주 방향으로 역류방지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의 내주면 상단에는 분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는 본체의 내주면에 분쇄날이 형성된 한 쌍의 분쇄로울러가 구비되되, 한 쌍의 분쇄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분쇄로울러의 축에 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풀리에 벨트로 연결되는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히터봉이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본체부의 용융실로 열기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된 열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관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되되, 상, 하부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와 몸체의 내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1,2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거부는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부로부터 용융된 폐스티로품이 수용되는 수거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투입되는 폐스티로품이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됨으로써, 히터부로부터 공급되는 열기에 의해 폐스티로품을 용융될 때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의 내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폐스티로품을 용융시키는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폐스티로품의 용융작업시에 높은 열기에 의해 폐스티로품에 화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 다.
또한, 열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이 상, 하부에 이중으로 구비됨으로써, 많은 양의 폐스티로품이 투입되더라도 상, 하부에서 열기를 동시에 분사하게 되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스티로품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의 내측부에 걸름망이 구비됨으로써, 용융된 폐스티로품의 일정 입자만이 통과하도록 하여 고품질의 압축스티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체의 용융실 상단부에 파쇄부가 구비됨으로써, 1차 파쇄부에서 파쇄된 폐스티로품을 용융실에서 용융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폐스티로품의 용융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용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부 상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다 수개의 지지프레임(1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측에 폐스티로품이 수용되는 본체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10)는 베이스(110)의 지지프레임(112)에 고정되어 내측에 용융실(214)이 형성되되, 상부에 투입구(216)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218)가 형성된 본체(2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212)의 용융실(214) 온도가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220)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212)의 상부, 즉 투입구(216)가 형성된 상단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구(218)가 형성된 하부는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18)에는 용융된 폐스티로품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22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212)의 내주면, 즉 융용실(214)의 상단부에는 폐스티로품을 용융시키는 열기 및 용융된 폐스티로품이 상부로 역류하는 역류방지판(22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2)의 용융실(214) 하단부, 즉 경사지게 형성된 내주면에는 설정된 입자크기 이하의 입자로 용융된 폐스티로품이 통과되도록 하여 입자가 큰 폐스티로품을 걸러주는 걸름망(22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걸름망(226)에 의해 용융실(214)에서 용융되지 않은 폐스티로 품은 걸러지고, 용융이 이루어진 폐스티로품만 통과하여 배출구(218)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의 용융실(214)로 열기를 공급하여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히터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부(31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히터봉(314)이 장착된 몸체(3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312)에는 몸체(312)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312)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31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몸체(312)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어 몸체(312)의 내측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팬(318)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312)의 타측에 고정되어 내측에 가열된 열기를 본체(212)의 용융실(214)로 공급하는 공급관(3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320)은 본체(212)의 투입구(216)를 통하도록 배관되어 역류방지판(224)의 하부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320)의 끝단부에 장착되어 걸름망(226)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되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분사구(324)가 형성된 분사관(32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관(322)은 상, 하부로 이격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이 한 쌍의 분사관(322)은 연결관(328)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320)을 통해 몸체(312)에서 발생된 열기를 공급받아 반 사관(322)의 분사구(324)를 통해 용융실(214)로 분사함으로써, 용융실(214)에 수용된 폐스티로품은 이 열기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12)의 용융실(214)로 공급된 폐스티로품이 히터부(310)로부터 공급된 열기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진 폐스티로품이 수용되는 수거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거부(41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되, 본체(212)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구(218)로 배출되는 용융된 폐스티로품이 수용되는 수거부재(4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10) 및 히터부(310)의 동작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5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100)는 먼저, 상기 히터부(310)의 히터봉(314)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열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 열기는 팬(318)의 작동에 의해 공급관(320)을 통해 본체(212)의 용융실(214)에 위치된 분사관(322)으로 공급되어 분사구(324)를 통해 용융실(214)로 열기가 분사되게 된다.
이 생태에서 수거된 폐스티로품을 본체(212)의 용융실(214)로 투입구(216)를 통해 투입시키게 되면 분사관(322)의 분사구(324)를 통해 분사되는 열기에 의해 폐스티로품이 용융이 이루어지게 되고, 용융이 이루어진 폐스티로품은 본체(212)의 용융실(214) 하부에 구비된 걸름망(226)을 통과하여 배출구(218)로 배출되어 수거부재(412)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융실(214)에서 열기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지 않은 입자가 큰 폐스티로품은 걸름망(226)에 걸러지고, 용용이 이루어져 입자가 작은 폐스티로품만 통과하여 수거부재(412)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융실(214)의 상부에 구비된 역류방지판(224)에 의해 용융실(214)에서 폐스티로품을 용융시키는 열기 본체(212)의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10)의 본체(212) 및 히터부(310)의 몸체(312)에 각각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제1,2감지센서(220)(316)에 의해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용융실(214) 및 히터부(310)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 제1제1,2감지센서(220)(316)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10)로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이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510)에서는 히터부(3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히터부(310)를 작동시켜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폐스티로품을 용융시킬 때 과열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스티로품을 수거하여 폐스티로 품 압축장치(100)를 이용하여 용융시켜 부피를 작게 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용이하게 페스티로품을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100)는 상기 본체부(210)의 본체(212) 투입구(216)에 용융실(214)로 투입된 폐스티로품이 용융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입되는 폐스티로품을 분쇄시키는 분쇄부(6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610)는 본체(212)의 상단 내주면에 분쇄날(613)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분쇄로울러(612a)(612b)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분쇄로울러(612a)(612b) 중 어느 하나의 분쇄로울로(612a)의 축이 본체(2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이 돌출된 분쇄로울러(612a)의 축에 풀리(61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212)의 외측부에는 벨트(618)에 의해 풀리(614)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쇄로울러(612a)(612b)를 작동시키는 모터(6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분쇄로울러(612a)(612b)의 상부에는 투입구(216)로 투입되는 폐스티로품을 가이드하여 한 쌍의 분쇄로울러(612a)(612b)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판(62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본체(212)의 용융실(214)로 투입되는 폐스티로품은 한 쌍의 분쇄로울러(612a)(612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분쇄로울러(612a)(612b)의 분쇄날(613)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용융실(214)로 투입되게 되어 더욱 빠르고 용이하게 폐스티로품의 용융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자재나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폐스티로품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때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부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품 압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압축장치 110 : 베이스
112 : 지지프레임 210 : 본체부
212 : 본체 214 : 용융실
216 : 투입구 218 : 배출구
220, 316 : 제1,2감지센서 222 : 밸브
224 : 역류방지판 226 : 걸름망
310 : 히터부 312 : 몸체
314 : 히터봉 318 : 팬
320 : 공급관 322 : 분사관
324 : 분사구 410 : 수거부
412 : 수거부재 510 : 제어부
610 : 분쇄부 612a, 612b : 분쇄로울러
613 : 분쇄날 614 : 풀리
616 : 모터 618 : 벨트
620 : 가이드판

Claims (12)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측에 폐스티로품이 수용되어 용융이 이루어지되, 상단부 내주 원주 방향으로 역류방지판이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 열기를 공급하되,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어 내측에 다수개의 히터봉이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몸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이 구비되며, 몸체에 고정되어 본체부의 용융실로 열기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공급관으로 공급된 열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이 구비된 히터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용융된 폐스티로품을 수거하는 수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용융실이 형성되되,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는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4. 제 2 항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는 걸림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 로품 압축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 상단에는 분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본체의 내주면에 분쇄날이 형성된 한 쌍의 분쇄로울러가 구비되되, 한 쌍의 분쇄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분쇄로울러의 축에 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풀리에 벨트로 연결되는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되되, 상, 하부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몸체의 내측 온도를 감지하는 제1,2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부로부터 용융된 폐스티로품이 수용되는 수거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품 압축장치.
KR1020090083537A 2009-09-04 2009-09-04 폐스티로폼 압축장치 KR10096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537A KR100963840B1 (ko) 2009-09-04 2009-09-04 폐스티로폼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537A KR100963840B1 (ko) 2009-09-04 2009-09-04 폐스티로폼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840B1 true KR100963840B1 (ko) 2010-06-21

Family

ID=4237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537A KR100963840B1 (ko) 2009-09-04 2009-09-04 폐스티로폼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8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35Y1 (ko) * 1993-04-27 1996-04-11 김상현 폐스티로폴 재생장치
JPH09234735A (ja) * 1996-02-29 1997-09-09 Toshiba Corp 樹脂成形体の減容方法
KR20000004865A (ko) 1998-06-23 2000-01-25 켄쪼 타카하시 스티로폼의 가스화 및 액체화 장치_
KR100897233B1 (ko) * 2007-11-14 2009-05-14 최인호 폐 발포 합성수지 분쇄압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35Y1 (ko) * 1993-04-27 1996-04-11 김상현 폐스티로폴 재생장치
JPH09234735A (ja) * 1996-02-29 1997-09-09 Toshiba Corp 樹脂成形体の減容方法
KR20000004865A (ko) 1998-06-23 2000-01-25 켄쪼 타카하시 스티로폼의 가스화 및 액체화 장치_
KR100897233B1 (ko) * 2007-11-14 2009-05-14 최인호 폐 발포 합성수지 분쇄압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92689U (zh) 一种林业生产用高效木料粉碎机
CN205364278U (zh) 一种用于塑料加工的高效造粒机
KR20180093512A (ko)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CN206106156U (zh) 一种自动化塑料造粒机
CN105599312A (zh) Gpps扩散板生产线
US9662808B2 (en) System for pelletizing solid refuse fuel
KR20120032575A (ko) 연료 펠릿, 연료 펠릿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08995082B (zh) 一种聚氯乙烯树脂回收用的高效造粒机
CN205735662U (zh) 一种带有清洗干燥装置的塑料回收造粒机
KR101406699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211566615U (zh) 一种废旧塑料粉碎烘干装置
KR100963840B1 (ko) 폐스티로폼 압축장치
KR20110049191A (ko) 음식물의 중량과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음식물 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방법
CN208543689U (zh) 一种塑料制品生产用模具加料装置
EP08149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sifying a thermoplastic polymer
CN105436189B (zh) 生活垃圾无害化生产线
EP3129214B1 (en) Method for compacting thermoplastic materials intended for recycling, compactor apparatus and related assembly
CN107364105B (zh) 一种橡胶挤出一体化成型挤出机
CN213198385U (zh) 一种塑料颗粒加热熔融装置
CN204914327U (zh) 一种塑料回收造粒机
CN206614713U (zh) 一种薄膜废料循环利用装置
CN106493876B (zh) 一种大型塑料件的回收利用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203792701U (zh) 加热吸塑机废热回收利用装置和加热吸塑生产线
KR20190027520A (ko) 친환경 스티로폼 처리장치
KR20200032582A (ko) 폐 퍼라이트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