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528B1 -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528B1
KR100963528B1 KR1020080008128A KR20080008128A KR100963528B1 KR 100963528 B1 KR100963528 B1 KR 100963528B1 KR 1020080008128 A KR1020080008128 A KR 1020080008128A KR 20080008128 A KR20080008128 A KR 20080008128A KR 100963528 B1 KR100963528 B1 KR 10096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ire
fire extinguishing
solenoid
monitor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942A (ko
Inventor
박종원
노고섭
김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08000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5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동솔레노이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기동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한 기동약제의 분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소화용기의 소화약제 방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3 센서와; 상기 선택밸브의 밸브개폐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P형수신기 및 제 1 내지 제 4 센서와 CAN 방식으로 통신하고, 화재감지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소화시스템의 작동경로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작동경로정보를 외부통신망으로 연결된 모니터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외부에서 소화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서, 화재발생시 P형수신기에서 출력된 솔레노이드기동출력신호에 의해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소화액이 화재발생장소로 분사될때 상기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의 순차 작동상태를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로서 모니터링 제어기가 저장하므로 관리자가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한, 평상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로서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의 오작동여부를 체킹할 수 있어서, 소화약제 오방출 사고를 방지하고, 소화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P형수신기,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 모니터링제어기,

Description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시스템이 정상 또는 비정상 작동에 대한 작동경로를 확인 및 규명할 수 있고, 소화약제 및 기동용 가스 누기 확인이 가능하여 소화약제 오방출로 인한 손실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시스템 작동불능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벤트 발생사항에 대한 모니터링 및 메모리 확인이 가능하며, 감지기의 감지횟수 및 시스템 점검 횟수를 확인하여 감지기 교체시기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한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론 가스(haron gas)는 소화 설비에 사용되는 약제로써 전산실, 변전실 등의 무인화 건물 또는 무인화 공간에 구비된 소방 설비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고압 분사되어 화재를 소화하게 되고, 이러한 시스템을 자동 소화시스템이라 한다.
이러한 소화 시스템은 건물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소화시스템을 작동시키며 수동조작함을 구비하고 있는 P형수신기와, 상기 P형수신기의 기동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기동약제(하론가스)를 분출시키는 기동솔레노이드와, 소화액의 공급경로를 선택하는 선택밸브와, 기동약제에 의해 내장된 소화액을 분출하는 소화용기로 대별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소화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기동솔레노이드, 선택밸브 및 소화용기의 정상 또는 비정상(고장상태)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서, 고장시 화재감지에 의해 소화약제가 분출되어야 할 때 소화약제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를 진화할 수 없게되고, 또한, 소화약제 및 기동용 가스의 누설이 발생하게되어 소화약제 오방출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소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어서 일일이 작업자가 현장에 투입되어 기동솔레노이드, 선택밸브 및 소화용기의 고장여부를 확인해야만 하므로 자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기동 솔레노이드의 일측에 장착되는 작동수단의 가이드 볼트의 점검은 스톱퍼 핀을 삽입한 후 작동시험을 수행하게 되고 점검이 끝난 후에는 상기 스톱퍼 핀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스톱퍼 핀을 제거하지 않고 작업을 마치게 될 경우에는 화재 발생시 가이드 볼트가 솔레노이드 핀을 작동시키지 못하고 스톱퍼 핀만을 타격함으로써 화재 진압을 어렵게 만드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소화용기의 용기밸브에 장착되는 플런저의 접촉점 사이로 소화액이 누설될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인해 화재 발생시 소화액 및 소화액을 분출하는 압력의 부족으로 인한 소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P형수신기에서 출력된 솔레노이드기동출력신호에 의해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소화액이 화재발생장소로 분사될때 상기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의 순차 작동상태를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로서 모니터링 제어기가 저장하므로 관리자가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한, 평상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로서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의 오작동여부를 체킹할 수 있어서, 소화약제 오방출 사고를 방지하고, 소화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물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소화시스템을 작동시키며 수동조작함을 구비하고 있는 P형수신기와, 상기 P형수신기의 기동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기동약제를 분출시키는 기동솔레노이드와, 소화액의 공급경로를 선택하는 선택밸브와, 기동약제에 의해 내장된 소화액을 분출하는 소화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동솔레노이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기동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한 기동약제의 분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소화용기의 소화약제 방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3 센서와;
상기 선택밸브의 밸브개폐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P형수신기 및 제 1 내지 제 4 센서와 CAN 방식으로 통신하고, 화재감지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소화시스템의 작동경로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작동경로정보를 외부통신망으로 연결된 모니터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외부에서 소화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P형수신기에서 출력된 솔레노이드기동출력신호에 의해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소화액이 화재발생장소로 분사될때 상기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의 순차 작동상태를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로서 모니터링 제어기가 저장하므로 관리자가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한, 평상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로서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의 오작동여부를 체킹할 수 있어서, 소화시스템이 정상 또는 비정상 작동에 대한 작동경로를 확인 및 규명할 수 있고, 소화약제 및 기동용 가스 누기 확인이 가능하여 소화약제 오방출로 인한 손실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시스템 작동불능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벤트 발생사항에 대한 모니터링 및 메모리 확인이 가능하며, 감지기의 감지횟수 및 시스템 점검 횟수를 확인하여 감지기 교체시기를 예상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과 도 2 는 본 발명의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공지의 자동소화시스템(1)은
건물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기(2)와, 상기 감지기(2)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소화시스템을 작동시키며 수동조작함(3a)을 구비하고 있는 P형수신기(3)와, 상기 P형수신기(3)의 기동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기동약제를 분출시키는 기동솔레노이드(4)와, 소화액의 공급경로를 선택하는 선택밸브(6)와, 기동약제에 의해 내장된 소화액을 분출하는 소화용기(5)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자동소화시스템(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감지기(2)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거나 아니면 화재를 발견한 사용자가 수동조작함(3a)에 구비된 화재경보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P형수신기(3)에서 솔레노이드기동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기동신호에 의해 기동솔레노이드(4)가 작동하여 기동약 제(하론가스)를 분출시키면서 선택밸브(6)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동약제에 의해 소화용기(5)가 개방되면서 소화용기(5)에 담겨있는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분출되므로서 개방된 선택밸브(6)를 통해 화재발생지역으로 소화약제가 공급되어 화재가 진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같은 소화시스템(1)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이를위하여, 상기 기동솔레노이드(4)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전송하는 제 1 센서(11)와;
상기 기동솔레노이드(7)의 작동에 의한 기동약제의 분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전송하는 제 2 센서(12)와;
상기 소화용기(5)의 소화약제 방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전송하는 제 3 센서(13)와;
상기 선택밸브(6)의 밸브개폐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전송하는 제 4 센서(14)와;
상기 P형수신기(3) 및 제 1 내지 제 4 센서(11~14)와 CAN 방식으로 통신하고, 화재감지시 제 1 내지 제 4 센서(11~14)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소화시스템의 작동경로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작동경로정보를 외부통신망으로 연결된 모니터(8)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외부에서 소화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제어기(7);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선택밸브(6)의 출구측에 연결된 배관에는 소화약제의 배출시 압 력변화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공급하는 압력스위치(9)를 설치하여 소화약제의 정상적인 분출여부를 모니터링제어기(7)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링제어기(7)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P형수신기(3) 및 제 1 내지 제 4 센서(11~14)와 CAN 방식으로 통신하여 데이타를 수집하는 통신부(71)와;
상기 통신부(71)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을 모니터(8)로 출력하거나 또는 모니터링제어기(7)에 설치된 표시부(73)를 통해 출력하는 CPU(72)와;
상기 CPU(72)의 제어에 따라 작동경로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73);로 구성하고,
상기 표시부(72)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명령입력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표시부(72) 출력화면에는 도 16 및 도 17에서와 같이 입/출력상태확인(k1), 이벤트 상태확인(k2), 이벤트 일지(k3), 통신상태확인(k4), 중계기테스트(k5), 시간/시스템설정(k6)을 위한 복수개의 작동모드 선택키이가 구비되고, 또한 화면의 중앙부에는 작동모드 선택키이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타를 출력하는 정보표시영역이 구비되고, 화면의 상단에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안매메세지를 출력하는 안내메세지표시영역이 구비되며, 화면 하단에는 메뉴(MENU), 업(UP), 다운(DOWN), 셋(SET) 등과 같은 다수의 기능키이가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2)에 구비된 다수의 작동모드 선택키이를 조작하여 CPU(72)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데이타, 예를들면, 기동솔레노이드, 소화용기, 선택밸브의 작동상태 또는 작동경로정보와 같은 저장데이타를 확인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제어기(7)는 평상시 제 1 내지 제 4 센서(11~14)의 출력신호를 토대로하여 기동솔레노이드(4)의 스톱퍼핀 유무상태, 소화용기(5)의 약제누기여부상태를 감지하여 저장하므로서, 해당 부품의 고장여부를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내 발생된 화재가 감지기(2)에 의해 감지되어 감지기(2)에서 송출된 화재감지신호가 P형수신기(3)에 수신되거나 또는 화재를 발견한 사용자가 수동조작함(3a)에 구비된 기동용 버튼이 눌려져 기동신호가 송출되면, P형수신기(3)는 기동솔레노이드(4)를 구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기동신호를 기동솔레노이드(4)로 출력하면서 솔레노이드기동신호와 감지기의 감지신호(또는 수동 기동신호)를 모니터링제어기(7)로 공급한다.
이때, 모니터링제어기(7)의 CPU(72)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각각의 센서(11~14)로 부터 정보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한편, 기동솔레노이드(4)는 P형수신기(3)에서 출력된 기동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기동약제(하론가스)를 분출시키면서 선택밸브(6)를 개방시키고, 상기 기동약제의 분출에 의해 소화용기(5)에서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분출되어 배관을 통해 화염으로 공급되어 화재가 진압되게 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기동솔레노이드(4), 소화용기(5) 및 선택밸브(6)가 순차적으로 동작할때, 제 1 센서(11)는 기동솔레노이드(4)가 정상적으로 동작했는지를 감지한 작동신호를 모니터링 제어기(7)로 송출하고, 제 2 센서(12)는 기동솔레노이드(4)의 작동에 의해 기동약제가 정상적으로 방출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송출하며, 상기 제 3 센서(13)는 소화용기(5)에서 소화약제가 정상적으로 방출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송출하고, 상기 제 4 센서(14)는 선택밸브(6)가 정상적으로 개폐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7)로 송출하며, 선택밸브(6)의 출구측 배관에 설치된 압력스위치(9)는 소화약제가 배관을 통해 분출될때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소화약제의 정상분출여부를 모니터링제어기(7)로 전송한다.
이에따라, 모니터링제어기(7)의 CPU(72)는 화재발생에 의해 소화시스템이 작동할때 그 작동경로정보를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취합하여 저장하게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동상태정보들은 모니터(8)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발생된 화재가 어떠한 작동경로에 의해 진압되었는지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 의 플로우챠트는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에 의한 동작을 보인 것으로서,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동작시에는 사용자가 수동조작함(3a)의 기동용 버튼을 일정시간, 예를들면, 약 3초 이상 눌렀을때 P형수신기(3)가 화재로 인식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소화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니터링 제어기(7)는 평상시 기동솔레노이드(4), 소화용기(5) 및 선택밸브(6)의 정상여부를 감지하여 기록 및 경보하게 된다.
즉, 화재가 감지되지 않은 평상시 제 1 센서(11)로 부터 기동솔레노이드(4)의 작동신호가 송출되면 이는 기동솔레노이드(4)를 점검한 후 스톱퍼핀을 뽑지않고 방치한 상태이므로 이를 관리자에게 경보하고,
또한, 평상시 제 2 센서(12)로 부터 가스방출신호가 감지되면 이는 기동약제가 누기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를 관리자에게 경보하며,
또한, 평상시 제 3 센서(13)에 의해 소화약제 방출신호가 감지되면 이는 소화약제의 누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를 관리자에게 경보하는 것이며, 모니터링 제어기(7)의 CPU(72)는 평상시 각각의 센서(11~14)로 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로서 해당 부품의 고장여부를 기록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제어기(7)는 감지기(2)의 감지작동횟수를 저장하여 감지기의 교체시기를 관리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고 있는 제 1 센서(11)와 제 3 센서(13)는 그 설치상태에 구조적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 제 1 센서(11)와 제 3 센서(13)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센서>
도 5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 1 센서(11)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센서(11)의 감지대상이 되는 기동솔레노이드(4)는 선택밸브(6)를 작동시키기 위한 커터 날(422)이 일측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핀(420)과 상기 솔레노이드 핀(420)의 타측에 장착되고 화재시 솔레노이드 핀(420)을 타격하는 가이드 볼트 가 구비되는 작동수단(430)과, 상기 가이드 볼트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 1 센서(11)와, 상기 가이드 볼트의 점검 시 사용되는 스톱퍼 핀(450)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기동솔레노이드(4)의 일측에 장착되고 선택밸브(6)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핀(4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커터 날(42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핀(420)은 기동솔레노이드(4)의 상부에 장착되고 좌측 끝단에 커터 날(42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터 날(422)이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핀(420)의 반대쪽에는 상기 가이드 볼트의 타격 점검시 스톱퍼 핀(450)의 고정장착을 위한 장착공(424)이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핀(420)에 형성되는 커터 날(422)의 반대쪽에 장착되는 작동수단(430)은 내부에 작동공간(432)이 관통형성되는 몸체(431)와, 상기 작동공간(432)을 따라 이동하여 솔레노이드 핀(420)을 타격하고 외측 끝단에는 접점(434)이 형성되는 가이드 볼트(433)와, 상기 몸체(431)의 내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으로 단턱(436)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부시(435)와, 상기 접점(434)과 부시(435)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437)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작동수단(430)은 작동공간(432)에 장착되는 가이드 볼트(433)가 접점(434)과 부시(435)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437)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가이드 볼트(433)가 신속하게 이동하여 솔레노이드 핀(420)에 타격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볼트(433)의 끝단에 형성되는 접점(434)은 제 1 센서(11)의 센서부와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외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작동수단(430)에 장착되는 가이드 볼트(433)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 1 센서(11)는 작동수단(4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홈(438)에 고정되는 센서부(442)와 상기 센서부(442)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제어기(7)에 전달할 수 있는 단자(444)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센서(11)는 센서부(442)를 통해서 상기 작동수단(430)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센서(11)는 가이드 돌기(433)의 위치를 접점(434)의 접촉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점(434)에 접촉하는 센서부(442)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442)를 통해서 가이드 돌기(433)의 위치를 파악하여 모니터링제어기(7)에 전달하는 단자(444)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가이드 볼트(433)의 점검 시 사용되는 스톱퍼 핀(450)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고정부(452)와 헤드부(454)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즉, 상기 스톱퍼 핀(450)의 고정부(452)가 솔레노이드 핀(420)의 장착공(424)에 끼워지면서 고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 1 센서(11)의 감지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측 끝단에 커터 날(422)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스톱퍼 핀(450)의 고정장착을 위한 장착공(424)이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핀(420)을 기동솔레노이드(4)의 상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424)이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핀(420)으로 내부에 작동공간(432)이 관통형성되는 몸체(431)와, 상기 작동공간(432)을 따라 이동하여 솔레노이드 핀(420)을 타격하고 외측 끝단에는 접점(434)이 형성되는 가이드 볼트(433)와, 상기 몸체(431)의 내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으로 단턱(436)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부시(435)와, 상기 접점(434)과 부시(435)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437)으로 구성되는 작동수단(43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수단(430)의 장착홈(438)에 가이드 볼트(433)의 위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442)가 장착되고 외부에는 상기 센서부(442)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제어기(7)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단자(444)가 형성되는 제 1 센서(11)를 장착하면 기동솔레노이드(4)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볼트(433)의 접점(434)과 제 1 센서(11)의 센서부(442)는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톱퍼 핀(450)의 미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수단(430)에 장착되는 가이드 볼트(433)의 타격을 점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핀(420)의 장착공(424)으로 스톱퍼 핀(450)의 고정부(452)을 끼운 후 상기 가이드 볼트(433)의 타격 여부를 점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점검이 끝난 기동솔레노이드(4)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볼트(433)의 타격 점검이 끝난 후 상기 스톱퍼 핀(450)을 장착공(424)에서 제거한 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핀(420)에 장착되는 스톱퍼 핀(450)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접점(434)과 제 1 센서(11)의 센서부(442)가 미접촉하므로 스톱퍼 핀(450)의 미제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를 통해서 작업자가 항시 제 1 센서(11)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서 스톱퍼 핀(450)의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스톱퍼 핀(450)의 장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3센서>
도 10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 3 센서(13)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3 센서(13)의 감지대상이 되는 소화용기(5)는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용기(522)와, 상기 용기(522)의 일측에 결합장착되고 화재시 소화액을 전달하는 용기밸브(5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용기(520)는 자동식 소화기에 한 개만 장착될 수 있지만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수로 구성된다.
소화약제가 내부에 저장되는 용기(522)는 내부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저장공간(52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5222)에 저장되어 있는 소화약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절개부(5224)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개부(5224)가 상부에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522)에 형성되는 절개부(5224)와 결합되는 용기밸브(524)는 내부 에 상기 저장공간(5222)과 연통되는 연결통로(5242)가 관통형성되고 도중에는 연결통로(5242)를 화재시에만 개방하기 위한 플런저(524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통로(5242)는 수직, 수평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플런저(5244)는 수직, 수평연결통로가 만나는 부분에 장착되어 소화액 및 압력의 누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소화용기(520)의 용기밸브(524)와 슬립 너트(550)를 통해서 고정결합되는 가스 랙 몸체(530)는 상기 연결통로(5242)와 동일선상에 장착되는 이동통로(532)와 상기 이동통로(532)의 내부에 장착되고 누설되는 소화액 및 압력을 차단하는 센서 플런저(534)와 화재발생시 이동통로(532)를 통해서 전달되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배출통로(536)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스 랙 몸체(530)는 평상시 센서 플런저(534)가 이동통로(532)에 장착되어 누설되는 소화액 및 압력을 차단하다가 화재발생시에는 배출되는 소화액 및 압력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통로(536)를 개방하고 그에 따라 소화약제가 배출통로(536)를 따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립 너트(550)와 맞닿는 가스 랙 몸체(530)의 외주면으로 밀폐링(55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플런저(534)의 외측 끝단은 제 3 센서(13)의 센서부와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외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스 랙 몸체(530)에 장착되는 센서 플런저(534)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 3 센서(13)는 가스 랙 몸체(5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홈(538)에 고정되는 센서 부(542)와 상기 센서부(542)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제어기(7)에 전달할 수 있는 단자(544)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센서(540)는 센서부(542)를 통해서 상기 가스 랙 몸체(530)에 고정하되, 상기 센서부(542)의 위치는 센서 플런저(534)의 이동에 따른 배출통로(536)가 개방되는 부분에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센서(13)는 센서 플런저(534)의 위치를 접촉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 플런저(534)와 접촉하는 센서부(542)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42)를 통해서 센서 플런저(534)의 위치를 파악하여 모니터링제어기(7)에 전달하는 단자(544)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제 3 센서(13)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저장공간(522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저장공간(5222)에 저장되어 있는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절개부(5224)가 형성되는 용기(522)를 다수개수로 구비한 후 상기 용기(522)에 형성되는 절개부(5224)에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5222)과 연통되는 연결통로(5242)가 관통형성되고 도중에는 연결통로(5242)를 화재시에만 개방하기 위한 플런저(5244)가 구비되는 용기밸브(524)를 각각 장착하여 소화용기(5)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용기(5)의 용기밸브(524)에 각각 상기 연결통로(5242)와 동일선상에 장착되는 이동통로(532)와 상기 이동통로(532)의 내부에 장착되고 누설되 는 소화액 및 압력을 차단하는 센서 플런저(534)와 화재발생시 이동통로(532)를 통해서 전달되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배출통로(536)로 형성되는 가스 랙 몸체(530)를 슬립 너트(550)를 통해서 고정결합한다.
이때, 상기 슬립 너트(550)와 맞닿는 가스 랙 몸체(530)의 외주면으로 밀폐링(552)이 장착되고 상기 센서 플런저(534)의 외측 끝단은 상기 제 3 센서(13)의 센서부(542)와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외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스 랙 몸체(5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홈(538)에 센서 플런저(53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부(542)와 상기 센서부(542)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제어기(7)에 전달할 수 있는 단자(544)로 구성되는 제 3 센서(13)를 장착하면 제 3 센서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542)의 위치는 센서 플런저(534)의 이동에 따른 배출통로(536)가 개방되는 부분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화용기(5)에 장착되어 있는 소화액 및 압력이 누설하게 되면, 상기 용기(522)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소화액은 용기밸브(522)의 연결통로(5242)와 플런저(5244)를 거쳐 상기 이동통로(532)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 플런저(534)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누설되는 소화액 및 압력이 증가하게 될 경우 센서 플런저(534)는 더욱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배출통로(536)가 개방하게 되면 센서 플런저(534)와 접촉하는 제 3 센서(13)의 센서부(542)를 통해서 배출통로(536)의 확인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단자(544)를 거쳐 모니터링제어기(7)에 전달함으로써 작 업자가 소화용기(5)의 소화액 및 압력이 누설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를 보인 블럭도.
도 3 과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플로우챠트.
도 5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 1 센서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 3 센서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 과 도 1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표시부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화시스템, 2: 감지기,
3: P형수신기, 4: 기동솔레노이드,
5: 소화용기, 6: 선택밸브,
7: 모니터링제어기, 8: 모니터,
9: 압력스위치, 11~14: 센서,
71: 통신부, 72: CPU,
73: 표시부,

Claims (6)

  1. 건물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소화시스템을 작동시키며 수동조작함을 구비하고 있는 P형수신기와, 상기 P형수신기의 기동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기동약제를 분출시키는 기동솔레노이드와, 소화액의 공급경로를 선택하는 선택밸브와, 기동약제에 의해 내장된 소화액을 분출하는 소화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동솔레노이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고, 화재 발생시 솔레노이드 핀을 타격하기 위한 가이드 볼트의 위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를 작동수단 몸체의 일단에 형성하고, 외부에는 센서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단자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 1 센서와;
    상기 기동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한 기동약제의 분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소화용기의 소화약제 방출여부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고, 가스 랙 몸체의 일측으로 소화액의 분출로 인한 센서 플런저의 이동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센서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단자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 3 센서와;
    상기 선택밸브의 밸브개폐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모니터링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P형수신기 및 제 1 내지 제 4 센서와 CAN 방식으로 통신하고, 화재감지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소화시스템의 작동경로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작동경로정보를 외부통신망으로 연결된 모니터로 제공하여 관리자가 외부에서 소화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출력신호를 토대로 하여 기동솔레노이드의 스톱퍼핀 유무상태, 소화용기의 약제누기여부상태를 감지하여 저장하는 모니터링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기는
    P형수신기 및 제 1 내지 제 4 센서와 CAN 방식으로 통신하여 데이타를 수집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을 모니터로 출력하거나 또는 모니터링제어기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CPU와;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작동경로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제어기는 평상시 제 1 내지 제 4 센서의 출력신호를 토대로하여 기동솔레노이드의 스톱퍼핀 유무상태, 소화용기의 약제누기여부상태를 감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명령입력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표시부 출력화면에는 입/출력상태확인, 이벤트 상태확인, 이벤트 일지, 통신상태확인, 중계기테스트, 시간/시스템설정을 위한 복수개의 작동모드 선택키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화재 발생시 솔레노이드 핀을 타격하기 위한 가이드 볼트의 위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를 작동수단 몸체의 일단에 형성하고, 외부에는 센서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단자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센서는
    가스 랙 몸체의 일측으로 소화액의 분출로 인한 센서 플런저의 이동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센서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제어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단자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KR1020080008128A 2008-01-25 2008-01-25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KR10096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28A KR100963528B1 (ko) 2008-01-25 2008-01-25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28A KR100963528B1 (ko) 2008-01-25 2008-01-25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42A KR20090081942A (ko) 2009-07-29
KR100963528B1 true KR100963528B1 (ko) 2010-06-15

Family

ID=4129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128A KR100963528B1 (ko) 2008-01-25 2008-01-25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9456A1 (en) * 2020-09-04 2022-03-10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supervisory for valve
KR20230087263A (ko) 2021-12-09 2023-06-16 한국전력공사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550B1 (ko) 2010-11-17 2012-09-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연 설비 구축을 위한 누설 면적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465949B1 (ko) * 2013-06-03 2014-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소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화재소화시스템
KR20170003377A (ko)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투비리더스 원격으로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925911B1 (ko) * 2017-06-20 2019-02-26 (주)에스앤지코리아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102040431B1 (ko) * 2019-03-04 2019-11-27 최근주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2103513B1 (ko) * 2019-07-04 2020-04-22 (주)한빛기술단 안전성이 향상된 화재확산 방지 소방장치
CN111375168A (zh) * 2020-04-16 2020-07-07 物域通(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监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937A (ko) * 1999-05-25 1999-08-05 이경숙 자동소화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058460A (ja) 2003-08-12 2005-03-10 Yamato Protec Co 消火設備の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KR20050109837A (ko) * 2004-05-17 2005-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937A (ko) * 1999-05-25 1999-08-05 이경숙 자동소화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058460A (ja) 2003-08-12 2005-03-10 Yamato Protec Co 消火設備の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KR20050109837A (ko) * 2004-05-17 2005-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9456A1 (en) * 2020-09-04 2022-03-10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supervisory for valve
KR20230087263A (ko) 2021-12-09 2023-06-16 한국전력공사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42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528B1 (ko)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US10398915B2 (en) Extinguish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liquid synthetic extinguishing agent and water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200447334Y1 (ko) 소화설비용 기동용기밸브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체크센서
KR200447333Y1 (ko) 소화설비용 소화약제 누기 체크장치
KR20160001170U (ko) 접점식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설비용 기동 용기함
KR102635977B1 (ko) 다중 방호구역을 위한 자동 소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5770583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N216053244U (zh) 燃气轮机发电机组的火灾防护系统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2132620B1 (ko) 석탄사일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159957B1 (ko) 주방용 자동 방재 시스템
JP7219446B2 (ja) 消火設備の制御システム
KR101916599B1 (ko) 수동분사체를 갖는 소 공간 화재진압장치
JP6150585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制御装置
JP6150584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50109837A (ko) 소화 시스템
AU2010268345A1 (en) Holder for fire extinguisher
JP2012130374A (ja) 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
JP3679452B2 (ja) 消火設備
CN216755275U (zh) 一种智能气体灭火系统
KR100399600B1 (ko) 자동 화재방지장치
KR101347500B1 (ko) 불활성가스계 소화 설비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20190076481A (ko) 화재진압 기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