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492B1 -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492B1
KR100963492B1 KR1020080029236A KR20080029236A KR100963492B1 KR 100963492 B1 KR100963492 B1 KR 100963492B1 KR 1020080029236 A KR1020080029236 A KR 1020080029236A KR 20080029236 A KR20080029236 A KR 20080029236A KR 100963492 B1 KR100963492 B1 KR 10096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mat
golf
putting practi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557A (ko
Inventor
조용성
Original Assignee
조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성 filed Critical 조용성
Priority to KR102008002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4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실존하는 골프장의 각 홀에 대한 사전지식을 통한 훈련과 각 홀의 퍼팅 위치를 퍼팅자가 지정하여 실제 경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훈련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부,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골프 연습자가 임의 선정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변형하여, 골프 연습자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서 퍼팅하고 있다고 인식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퍼팅 연습의 효과,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 대한 적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EXTENSIBLE GOLF PUTTING PRACTICING SYSTEM FOR REAL GREEN SIMULATION}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존하는 그린의 데이터를 보관하여 퍼팅자의 지정에 따라 선택된 그린의 지형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현장감을 느낄 수 있고, 퍼팅 연습에 따른 현장 적응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서는 페어웨이에서의 타격뿐만 아니라, 그린에서의 퍼팅 역시 중요하다. 따라서, 골프의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린에서의 퍼팅 연습을 꾸준히 실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평탄하게 이루어지고, 상부 표면에 인조 잔디가 형성되어 있는 퍼팅 연습용 매트를 사용하여 그린에서의 퍼팅 연습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실제 골프장의 그린은 지형이 상당히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탄하게 형성된 종래의 퍼팅 연습용 매트를 사용해서 는 골프 연습자가 퍼팅 연습을 사실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여 연습 효과가 부족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퍼팅 연습용 매트를 사용한 퍼팅연습으로 실제 골프장의 그린에 적응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골프 연습자가 퍼팅 연습을 쉽게 싫증내어 연습을 포기하거나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골프장의 그린에 해당하는 매트의 경사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는 퍼팅 연습용 장치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13101호(2006년04월05일 공개)에서는 프레임의 하부 중심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다리부가 높이조절 수단으로 상호 체결되는 경사 조절 가능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사 조절 가능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단지 어느 한 방향으로만 경사를 조절할 수 있을 뿐이며, 지형이 상당히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실제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서 실시한 퍼팅 연습을 실제 골프장의 그린에 적응하는 것이 곤란하며, 이에 따라 연습자가 퍼팅 연습을 쉽게 싫증낸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9375호(2005년12월08일 공개)에서는 주베이스판과 보조베이스판을 힌지로 연결하여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골프 퍼팅 연습기 역시 어느 한 방향으로만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이며, 지형이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실제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는 변형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88289호(2005년05월11일 공개)에서는 각 높이 조절 수단의 승강 높이를 검출하는 위치검출기와, 상기 위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 액츄에이터에 의해 형성된 퍼팅플레이트 표면의 굴곡을 등고선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하는 연산장치와, 상기 연산장치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퍼팅플레이트 표면의 굴곡을 등고선으로 표시하는 모니터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이 제어부를 통해 개별적인 높이 조절 수단으로 승강 신호를 입력하도록 된 조작패널을 더 포함하는 퍼팅 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퍼팅 연습장치는 지형이 상당히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실제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변형될 수 있지만, 이를 위해 다수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퍼팅 연습장치는 일정한 크기의 베이스프레임 내부에 퍼팅플레이트와 액츄에이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크기가 벗어나는 골프장의 그린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 분해 및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골프 퍼팅 연습 장치는 경사도를 어느 한 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거나, 실제 골프장의 일부 그린 형태로 변형될 수 있지만 다양한 그린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존하는 골프장의 각 홀에 대한 사전지식의 습득을 통한 훈련과 각 홀의 퍼팅 위치를 퍼팅자가 지정하여 실제 경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훈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매트블록으로 이루어진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제어부에 연결시켜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된 일정 부분의 그린을 포함하는 전체 그린의 화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 매트 및 상기 탄성 매트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 매트를 부분적으로 승강시켜 굴곡진 퍼팅면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매트블록, 상기 매트블록의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부; 상기 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그린과 동일한 그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액츄에이터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데이터부의 데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높낮이 조절 정보를 전송받아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및 상기 탄성 매트로 표현되는 퍼팅면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중 특정한 그린을 선택하거나 랜덤한 형태의 그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개별적인 액츄에이터로 승강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골프 연습자가 임의 선정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변형하여, 골프 연습자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서 퍼팅하고 있다고 인식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퍼팅 연습의 효과,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 대한 적응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 연습자가 연습하고자 하는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을 화상을 통해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어 퍼팅 연습 시 연습하고자 하는 골프 코스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족한 코스를 선택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퍼팅 연습의 효과를 배가시킬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매트블록을 매트블록의 조립체에 추가로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골프 연습자가 선정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의 크기와 상관없이 상기 그린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변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사용되는 액츄에이터가 감소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도면에서 원칙적으로 각 도면에 사용된 같은 도면부호는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매트블록(100), 데이터부(200), 제어부(300), 디스플레이부(400), 및 입력 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매트블록(100)은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 매트(110) 및 상기 탄성 매트(110)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 매트(110)를 부분적으로 승강시켜 굴곡진 퍼팅면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액츄에이터(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매트블록(100)이 여러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매트블록(100)이 충분히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변형시켜 한번에 퍼팅자가 상기 그린을 경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매트블록(100)이 부족하여 매트블록의 조립체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크기를 커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연습하고자 하는 상기 그린의 각 부분과 동일한 형태로 순차적으로 변형시켜, 퍼팅자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전체를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부(200)는 상기 제어부(300)에 연결되고,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 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3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에는 기존의 모든 골프장의 각 그린에 대한 전자지도 및 상기 그린의 화상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데이터부(200) 및 매트블록(100)의 액츄에이터(120)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부(20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부(200)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과 동일한 그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액츄에이터(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입력 수단(500)을 통하여 골프 연습자의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데이터에 따라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구성하는 매트블록(100)을 변형시킨다. 이때, 제어부(300)로는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데이터부(200)의 데이터와 액츄에이터(120)의 높낮이 조절 정보를 전송받아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과 탄성 매트(110)로 표현되는 퍼팅면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제어부(300)를 통하여 데이터부로부터 전송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 대한 정보와 골프 연습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린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변형된 매트블록 조립체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00)에 전송된 데이터는 데이터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가 전송받은 다음 이를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 데이터이다.
상기 입력 수단(500)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중 특정한 그린을 선택하거나 랜덤한 형태의 그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어부(300)와 연 결되어 상기 제어부(300)를 통하여 개별적인 액츄에이터(120)로 승강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입력 수단(500)으로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방식의 액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랜덤한 형태의 그린이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중 불규칙적으로 선택된 그린이거나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을 임의적으로 조합 및 변형하여 새롭게 생성된 그린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매트블록(1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트블록(100)은 골프 연습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매트블록의 조립체가 형성됨으로써,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중에서 골프 연습자가 임의로 지정한 특정 골프장의 특정 그린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변형된다. 상기 매트블록(100)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지만, 골프 연습자가 지정한 골프장의 특정한 그린 형태로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사각형의 패널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100)은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 매트(110) 및 상기 탄성 매트(110)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 매트(110)를 부분적으로 승강시켜 굴곡진 퍼팅면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액츄에이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매트(110)는 탄성 및 기계적 성질이 유수한 탄성섬유 재질로 형성된 매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정적으로는 스판덱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탄성 매트(110)의 상단에는 인조 잔디(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20)는 탄성 매트(110)를 부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유압형 액츄에이터, 공기압형 액츄에이터, 전자력 모터, 신소재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신소재를 이용한 액츄에이터에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과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매트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매트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100)은 블록 본체(130), 액츄에이터(120), 및 탄성 매트(11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본체(130)는 상하 방향을 관통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으로 정렬되는 가이드관(122)이 구비되고, 임의의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의 외주면 일측에 체결돌기(124)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돌기(124)가 구비된 측벽에 대향되는 측벽에 체결홈(126)이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20)는 상기 가이드관(122)에 삽입되고 가이드관(122)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이 반구(半球)형으로 성형되는 지지봉(140) 및 상기 블록 본체(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각 지지봉(140)을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시켜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매트(110)는 상기 지지봉(140)의 상부에 부착되고 탄성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126)과 체결돌기(124)가 형성되고, 특정한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의 체결돌기(124)가 다른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의 체결홈(12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특정한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 에 다른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가 연결되어 매트블록의 조립체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와, 다른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가 연결되고, 상기와 같은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의 연결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매트블록(100)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골프 연습자가 임의로 지정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매트블록의 조립체는 상기 매트블록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124)와 체결홈(126)이 결합되어 서로 연결설치됨으로써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에 형성된 체결홈(126)과 체결돌기(124)에는 상기 매트블록(100)의 높이 조절 수단(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선(미도시), 및 상기 높이 조절 수단(15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용 통신선(미도시)이 포함된다. 따라서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의 체결돌기(124)가 다른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의 체결홈(126)에 접속되면, 상기 각 매트블록(100)의 체결홈(126)과 체결돌기(124)의 전원 공급선, 제어용 통신선이 상호간 접속 연결됨으로써, 제어부(300)가 매트블록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인식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각 매트블록(100)의 높이 조절 수단(150)에 전원 공급 및 제어부(30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매트블록(100)의 각 지지봉(140)은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그 높이가 조절되는바, 상기 지지봉(140)의 밀도에 따라 상기 매트블록(100) 상부의 탄성 매트(110)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과 동일한 지형 형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매트블록(100)에서 상기 지지봉(140)의 밀도가 증가될수록, 즉 매트블록(100)의 블록 본체(130)의 단위 면적당 형성되는 지지봉(140)의 수가 증가되고 상기 지지봉(140) 사이의 간격이 단축될수록, 상기 매트블록(100)의 탄성 매트(110)는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지형 형태로 정밀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트블록(100) 상부의 탄성 매트(110)를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지형 형태로 변형시키는 상기 지지봉(140)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22)은 블록 본체(130)의 내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122)은 상기 지지봉(140)을 수용하여 상??하로 가이드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블록 본체(130)의 가이드관(122)에 가이드 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상기 지지봉(140)은 매트블록(100)의 상부 표면에서 퍼팅 연습을 실시하는 골프 연습자의 체중, 퍼팅 시에 가해지는 외력 등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매트블록의 가이드관(122)과 상기 가이드관(122)에 가이드되는 지지봉(140)이 상호간에 나사산으로 체결되며, 상기 지지봉(140)이 회전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그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140)의 상단에 각이 진 모서리 부분이 형성되면, 상기 지지봉(140)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 매트(110)가 상기 모서리 부분 때문에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지형 형태로 제대로 변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골프 연습자가 퍼팅 연습을 위하여 상기 탄성 매트(110)를 보행하는데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반구형으로 성형되는 지지봉(140)이 사용된다. 그 상단이 반구(半球)형으로 성형된 복수개의 지지봉(140)이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지지봉(140)에 지지되는 상기 매트블록(100)의 탄성 매트(110)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의 지형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골프 연습자가 퍼팅 연습을 위하여 상기 탄성 매트(110)를 용이하게 보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봉(140)의 하단에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15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높이 조절 수단(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지봉(140)의 높낮이 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매트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블록(100)은 상하 방향을 관통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는 가이드관(122)이 구비되고, 임의의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의 외주면 일측에 체결돌기(124)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돌기(124)가 구비된 측벽에 대향되는 측벽에 체결홈(126)이 구비되는 블록 본체(130)와, 상기 가이드관(122)에 삽입되고 가이드관(122)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이 반구(半球)형으로 성형되는 지지봉(140) 및 상기 블록 본체(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각 지지봉(140)을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시켜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150)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120)와,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수단(150)을 지지봉(140)의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160), 및 상기 지지봉(140)의 상부에 부착되고 탄성섬유 재질로 형성된 탄성 매트(1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본체(130)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 조절 수단(150)은 각각의 지지봉(140) 하단에 구비되지 아니하며, 블록 본체(130)의 좌측 또는 우측 일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1열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 수단(150)의 하단에는 제어부(300)와 연결된 이동 수단(160)이 구비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14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이동 수단(160)에 의하여 일정한 구간을 왕복하면서 상기 구간 상부의 구비된 상기 지지봉(140) 하단의 체결구(142)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체결된 지지봉(140)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승시키거나, 또는 상기 체결된 지지봉(140)을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하강시켜서 상기 지지봉(14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이동 수단(160)은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수단(150)을 지지봉(140)의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레일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또는 레일이 구동되도록 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가 회전되도록 하는 모터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제어부(300)는 골프 연습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로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블록 본체(130) 하부의 높이 조절 수단(150)에 의해 어느 한 지지봉(14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높이 조절 수단(150)이 상기 높이 조절된 지지봉(140)과의 체결을 해제한 후에, 상기 높이 조절된 지지봉(140)과 인접한 다른 지지봉(140)의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인접한 다른 지지봉(140) 하단의 체결구(142)를 체결하여 지지봉(14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높이 조절 수단(150)에 의한 각 지지봉(140)의 체결, 높이 조절, 및 체결 해제의 과정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상기 지지봉(140)들에 부착 지지되는 매트블록(100)의 탄성 매트(110)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의 지형 형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봉(140)과 상기 가이드관(122)이 나사산으로 체결되어 가이드되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 수단(150)과 상기 지지봉(14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더라도, 퍼팅 연습을 실시하는 골프 연습자의 체중 및 퍼팅 시에 가해지는 외력 등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지지봉(140)과 상기 가이드관(122)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122)과 상기 지지봉(140)이 상호간에 나사산으로 체결되어 가이드 되면, 상기 지지봉(140)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변형된 탄성 매트(110)를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과 동일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봉 및 블록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에는 단위 면적당 지지봉(140)의 수가 감소되어 상기 지지봉(140)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매트블록(100) 상부의 탄성 매트(110)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의 지형 형태로 정밀하게 변형되며, 상기 탄성 매트(110)를 골프 연습자가 용이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지지봉(140) 상단과 다른 지지봉(140)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재(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70)는 임의의 제 1 지지봉(140)과 상기 제 1 지지봉(140)에 인접한 임의의 제 2 지지봉(21') 사이에 구비되지만, 탄성부재(170)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는 일측만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탄성부재(170)는 탄성력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데이터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부(200)는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에는 기존의 모든 골프장의 각 그린에 대한 전자지도 및 상기 그린의 화상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신설되거나 건설 중인 골프장에는 고유한 지형으로 이루어지는 각 그린이 추가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각 그린을 시뮬레이션한 전자지도 및 상기 그린의 화상 등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부(200)는 인터넷 또는 휴대용 기억매체에 연결되어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데이터부(200)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그린과 동일한 그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액츄에이터(12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매트블록(100)과 연계되어 각 액츄에이터(120)의 지지봉(140)을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높이 조절 수단(150)을 제어하여 탄성 매트(110)를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지형 형태로 변형시킨다.
또한, 제어부(300)는 골프 연습자가 연습하고자 하는 골프장의 그린을 선택적으로 지정하면 데이터부(200)로부터 상기 골프장의 그린에 대한 정보를 제어한 다음, 추출된 정보에 따라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매트블록(100)의 액츄 에이터(120)를 제어하여 각 지지봉(140)을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함으로써, 상기 매트블록 조립체를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의 지형 형태로 변형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00)는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를 이용하는 골프 연습자가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제어부(300)를 이용하는 골프 연습자와 경기를 할 수 있고, 퍼팅 연습 및 경기에 따른 기록을 저장 및 분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400)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지형 형태로 변형된 매트블록의 조립체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그린의 홀컵에 해당되는 지점의 매트블록(100)의 지지봉(140)이 최대한 하강되어 홀컵이 형성된다. 이에, 골프 연습자는 상기 홀컵을 목표로 설정하여 퍼팅 연습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본원 발명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에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매트블록 조립체에서 그린의 홀컵에 해당되는 지점의 위치를 지시하는 레이저 포인터(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레이저 포인터(180)가, 지주(182)에 의해 지지되어 매트블록 조립체의 상부 중앙부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18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매트블록(100)에서 그린의 홀컵에 해당되는 지점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그린의 홀컵에 해당되는 지점의 위치를 명확하게 식별한다. 이때, 상기 매트블록(110)과 레이저 포인터(180)에는 각각 제어부(300)에 연결된 센서를 부착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에 골프공이 접촉할 경우 골프공의 속도, 레이저광과 골프공의 접촉 정도 등을 고려하여 골프공의 홀인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상기 목적으로 사용되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그린의 홀컵에 해당되는 지점의 매트블록(100)의 지지봉(140)이 최대한 하강하여 홀컵 형태를 형성하거나, 상기 홀컵에 해당되는 지점으로 레이저 포인터(180)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골프 연습자에게 상기 홀컵의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홀컵의 형태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서는 지지봉(140)을 이용한 홀컵과 레이저 포인터(180)의 레이저광을 이용한 홀컵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데이터와 액츄에이터(120)의 높낮이 조절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그린과 액츄에이터(120)로 표현되는 퍼팅면의 화상을 화면(4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제어부(300)에 연계되어,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데이터부(200)에 저장된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화상을 전송받아서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과 매트블록의 조립체로 변형된 그린에 대한 시뮬레이션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은 입력 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수단(500)는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중 특정한 그린을 선택하거나 랜덤한 형태의 그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를 통하여 개별적인 액츄에이터(120)로 승강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5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버튼을 통한 스크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골프 연습자는 연습하고자 하는 골프장의 그린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부(400)의 입력 수단(500)을 조작하여 제어부(300)에 상기 선택된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상기 그린 형태로 변형시키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전송된 그린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410)을 보면서 퍼팅 연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매트블록(110)이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을 커버할 정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매트블록의 조립체는 상기 골프 연습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그린 중 특정 그린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매트블록의 조립체의 변형을 반복하여 전체 그린을 연습할 수 있다.
즉, 골프 연습자는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전자지도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 스플레이부(400)를 통해 그린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고, 입력 수단(500)을 통해 연습하고자 하는 그린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매트블록의 조립체를 전체 그린 중 일부 그린의 형태로 변형시켜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골프 연습자는 입력 수단(500)을 조작하여 제어부(300)를 활성화시킨 다음, 디스플레이부(400)로 디스플레이되는 골프장 중 연습하고자 하는 홀 또는 랜덤 코스를 입력 수단(500)을 조작하여 선택한다.
그 다음, 골프 연습자는 선택된 홀의 특정위치를 퍼팅의 시작 위치로 지정하거나 무작위 지점을 선택하여 제어부(300)와 연결된 입력 수단(500)의 통해 입력한다.
그 다음, 골프 연습자의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300)는 매트블록 조립체를 구성하는 매트블록(100)을 변형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매트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매트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매트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지지봉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봉 및 블록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레이저 포인터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의 디스플레부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매트블록 110 : 탄성 매트
112 : 인조 잔디 120 : 액츄에이터
122 : 가이드관 124 : 체결돌기
126 : 체결홈 130 : 블록 본체
140 : 지지봉 142 : 체결구
150 : 높이 조절 수단 160 : 이동 수단
170 : 탄성부재 180 : 레이저 포인터
182 : 지주 200 : 데이터부
300 : 제어부 400 : 디스플레이부
410 : 화면 500 : 입력 수단

Claims (8)

  1.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 매트 및 상기 탄성 매트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 매트를 부분적으로 승강시켜 굴곡진 퍼팅면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매트블록, 상기 매트블록의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부;
    상기 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그린과 동일한 그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액츄에이터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데이터부의 데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높낮이 조절 정보를 전송받아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및 상기 탄성 매트로 표현되는 퍼팅면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중 특정한 그린을 선택하거나 랜덤한 형태의 그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개별적인 액츄에이터로 승강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매트블록에서 그린의 홀컵에 해당되는 지점의 위치를 지시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블록은,
    상하 방향을 관통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는 가이드관 이 구비되고, 임의의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의 외주면 일측에 체결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돌기가 구비된 측벽에 대향되는 측벽에 체결홈이 구비되는 블록 본체;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관을 따라 이동되며 그 상단이 반구(半球)형으로 성형되는 지지봉 및 상기 블록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각 지지봉을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시켜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으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부착되고 탄성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블록의 가이드관과 지지봉이 나사산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다른 지지봉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블록의 높이 조절 수단이 1개 또는 1열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의 하단에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이동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블록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결합되어 서로 연결설치됨으로써 실존하는 골프장의 그린 형태로 이루어지는 매트블록 조립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부가 인터넷 또는 휴대용 기억매체에 연결되어 실존하는 골프장 그린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8. 삭제
KR1020080029236A 2008-03-28 2008-03-28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KR10096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236A KR100963492B1 (ko) 2008-03-28 2008-03-28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236A KR100963492B1 (ko) 2008-03-28 2008-03-28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557A KR20090103557A (ko) 2009-10-01
KR100963492B1 true KR100963492B1 (ko) 2010-06-17

Family

ID=4153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236A KR100963492B1 (ko) 2008-03-28 2008-03-28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43B1 (ko) * 2009-11-26 2012-05-15 주우석 퍼팅 거리 조절이 가능한 스크린골프 장치
KR101253920B1 (ko) * 2011-05-03 2013-04-16 박혜경 3차원 노면모사장치
KR101306926B1 (ko) * 2013-08-12 2013-09-10 (주)조은정밀 리얼 퍼팅 환경이 구현된 퍼팅그린장치
KR102289227B1 (ko) * 2019-11-15 2021-08-12 김창연 골프연습을 위한 경사지 매트
KR102485990B1 (ko) * 2020-10-27 2023-01-06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마트 아트월 장치
KR102557916B1 (ko) * 2021-09-01 2023-07-21 최현진 스마트 퍼팅보드 및 이를 이용한 퍼팅게임 시스템
KR20230079997A (ko) * 2021-11-29 2023-06-07 이창섭 지형생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퍼팅 지형생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49Y1 (ko) * 2002-09-05 2003-02-07 윤석준 움직이는 골프 연습장
KR20030094138A (ko) * 2003-10-08 2003-12-11 김경호 골프 퍼팅 연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5923A (ko) * 2002-08-14 2004-02-21 이근용 퍼팅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923A (ko) * 2002-08-14 2004-02-21 이근용 퍼팅 연습장치
KR200303049Y1 (ko) * 2002-09-05 2003-02-07 윤석준 움직이는 골프 연습장
KR20030094138A (ko) * 2003-10-08 2003-12-11 김경호 골프 퍼팅 연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557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492B1 (ko)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US8287398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golf swing analyzing/training mat system with ball striking-related feedback
JP5549030B2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パッティングシステム
US20070298895A1 (en) Golf swing analyzing/training mat system with ball striking-related feedback
KR20110096047A (ko) 걸음걸이 훈련용 수단
KR101141048B1 (ko)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21681B1 (ko) 골프 디포트 체크장치
KR100986512B1 (ko)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12010B1 (ko) 다이나믹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20150133962A (ko) 스크린이 설치된 실내 골프 연습 장치
KR100912013B1 (ko)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2443616B1 (ko) 퍼팅 연습 시스템
KR101159676B1 (ko) 골프 연습용 매트장치
KR101492766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01189626B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및 퍼팅 연습방법
KR20090085320A (ko) 골프 시뮬레이터
KR20180098924A (ko)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812820A (zh) 运动检测训练系统和设备
KR101019858B1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335488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CN113577736B (zh) 一种多功能体育篮球训练装置
KR102418531B1 (ko) 스크린이 설치된 골프 게임장치
KR20220122252A (ko) 퍼팅 연습 장치
KR101467510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조립체
KR100972963B1 (ko) 그린 라이 표현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