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172B1 -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172B1
KR100961172B1 KR20080068798A KR20080068798A KR100961172B1 KR 100961172 B1 KR100961172 B1 KR 100961172B1 KR 20080068798 A KR20080068798 A KR 20080068798A KR 20080068798 A KR20080068798 A KR 20080068798A KR 100961172 B1 KR100961172 B1 KR 10096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data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299A (ko
Inventor
김인기
Original Assignee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172B1/ko
Priority to PCT/KR2009/003685 priority patent/WO2010008153A2/ko
Publication of KR2010000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신호 중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오버레이하여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로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중계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티브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알려 사용자가 이벤트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티브이를 통해 오디오 혹은 비디오 매체로 확인하도록 해서 티브이를 통한 미디어 환경을 다채롭게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오디오/비디오 신호, 신호 합성, 티브이

Description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Audio/Video r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신호 중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오버레이하여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로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중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디어 환경은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출력 단자를 티브이의 오디오/비디오 입력 단자에 연결하여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송수신 채널을 형성하여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가 티브이(TV)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티브이는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입력 단자를 제공하여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티브이는 여러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와 표시 장치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티브이 외에도 각종 휴대용 정보 기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티브이 시청시에는 휴대용 정보 기기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져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휴대용 정보 기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매너 모드로 동작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중요한 메시지가 도착한 시점에 사용자가 메시지 도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티브이 시청 중에도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미디어 환경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티브이를 시청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티브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컴퓨터가 사용됨이 없이 티브이를 통해 확인하고 특정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에서 수신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스피커와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티브이;의 사이에서 미디어를 중계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서,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수신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오디오/비디오 신호 수신부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데이터 변환부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신호 합성부; 무선 통신부를 모니터링하는 중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변환부에 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신호 합성부에 의해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신호 합성부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로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파싱하여 어느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를 분석해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IR 블라스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 비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이미지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엠피3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엠피3데이터 재생부; 및 엠피3 데이터가 재생된 오디오를 티브이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합성하는 오디오 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벤트 발생시에 생성되는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c)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가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e)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가 변환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버레이하여 티브이로 출력하는 단계; 및 (f) 티브이가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스피커와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방법은 (b)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메뉴에 대응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 단계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파싱하여 어느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를 분석해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방법은 (b)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엠피3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 단계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엠피3 데이터를 수신하 여 재생하는 단계; 및 엠피3 데이터가 재생된 오디오를 티브이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티브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알려 사용자가 이벤트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티브이를 통해 오디오 혹은 비디오 매체로 확인하도록 해서 티브이를 통한 미디어 환경을 다채롭게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미디어 환경을 보인 예시도이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인 DVD 플레이어(101), VCR(Video cassette recorder)(102) 및 셋톱박스(103)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 신호를 오버레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 신호가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400)로 출력한다. 티브이(400)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부터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해서 디코딩 절차를 거쳐 외부로 출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전화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 생하면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알리는 데이터 신호를 오버레이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400)로 전송하여 티브이(400)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함을 인지하도록 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 신호를 오버레이하는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함을 알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오버레이 동작을 중지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전화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300)와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 사이에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발생된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 변환부는 전화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담은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전화 수신의 이벤트인 경우 데이터 변환부는 수신된 전화의 전화번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메시지 수신의 이벤트인 경우 데이터 변환부는 메시지를 전송한 전화번호와 메시지 내용을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이외에도 데이터 변환부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에서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데이터 전송부는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전송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수신된 각종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400)로 출력한다.
이하,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여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수신부(210), 무선 통신부(220), 데이터 변환부(230), 신호 합성부(240), 제어부(250) 및 오디오/비디오 신호 출력부(260)로 구성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오디오/비디오 신호 수신부(210)는 오디오/비디오 입력 단자에 연결된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는 DVD 플레이어, VCR 및 셋톱박스를 들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담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 신호에는 문자 메시지, 이미지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데이터 변환부(230)는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변환부(230)는 디지털 신호인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변환부(230)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오디오 정보인지 아니면 비디오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오디오 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비디오 정보를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합성부(240)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수신부(210)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데이터 변환부(230)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오버레이한다. 신호 합성부(240)는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제공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신호 특성에 맞게 서로 합성한다.
제어부(250)는 무선 통신부(220)를 모니터링하는 중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변환부(230)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신호 합성부(240)에 의해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 변환부(230)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신호 합성부(240)에 의해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데이터 변환부(230)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합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합성을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신호 합성부(240)에 신호 합성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해서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만이 티브이(4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오디오/비디오 신호 출력부(260)는 신호 합성부(240)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400)로 출력한다. 티브이(400)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서로 다른 소스를 갖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합성 이외에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여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가 여러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의 제어부(250)는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제어메뉴 제공부 및 제어메뉴 제공부에서 제공된 메뉴에 대응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동작을 리모트 컨트롤 신호로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의 제어부(25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파싱하여 어느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를 분석해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생성한다.
IR 블라스터부(270)는 제어부(250)에 의해 생성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IR 블라스터부(27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 리모트 컨트롤 신호는 해당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전달되어 재생 제어, 채널 제어 및 볼륨 제어가 실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합성과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원격 제어 이외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 여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220) 내에 구성된 이미지데이터 수신부(22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이미지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썸네일 표시와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의 이미지데이터 저장부(280)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221)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대용량 저장 매체인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에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문자 메시지,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구성도 앞서 설명한 이미지데이터 송수신 및 저장에 대한 구성 예와 유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합성,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원격 제어, 이미지 데이터의 저장 이외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엠피 3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가 엠피3 데이터를 재생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가 엠피3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와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 사이에 엠피3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구성이 필요하다. 이동통신 단말기(300)에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엠피3 데이터를 송신하는 엠피3데이터 송신부가 포함되고,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에서는 엠피3 데이터를 수신하는 엠피3데이터 수신부가 무선 통신부(220)에 포함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의 엠피3데이터 재생부(29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엠피3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신호 합성부(240)에 구성된 오디오 합성부(241)는 엠피3데이터 재생부(290)에 의해 재생된 오디오를 티브이(400)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합성한다. 오디오 신호의 합성 동작에 의해 티브이(40)는 엠피3 데이터의 재생 오디오를 외부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외부로부터 전화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벤트 발생시에 생성되는 데이터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 이외에도 문자 메시지, 비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에 대응한 데이터 신호를 생 성한다(S101).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전화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전화 수신에 대한 이벤트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수신된 전화의 전화번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이벤트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메시지를 전송한 전화번호와 메시지 내용을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S102).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103).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복수의 오디오/비디오 장치(100)로부터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400)로 출력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이벤트 발생으로 인지하고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S104).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담긴 데이터 종류에 따라 오디오 정보이면 오디오 신호로 비디오 정보이면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오디오/비디오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 신호가 변환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버레이하여(S105) 생성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티브이(400)로 출력한다(S106).
티브이(400)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스피커와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S107).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서로 다른 소스를 갖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동작 이외의 동작으로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예로 들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가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화면에 출력된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제어 메뉴 중에서 하나의 제어 메뉴를 선택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 메뉴에 대응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에는 제어 대상인 오디오/비디오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파싱하여 어느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를 분석해서 해당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생성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로 출력된 리모트 컨트롤 신호는 해당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전달되어 재생 제어, 채널 제어 및 볼륨 제어가 실행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이외의 동작으로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저장된 엠피3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예로 들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가 엠피3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엠피3 데이터의 재생 메뉴를 제공하고 특정 엠피3 데이터에 대한 재생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엠피3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로 송신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엠피3 데이터를 재생한다.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200)는 엠피3 데이터가 재생된 오디오를 티브이(400)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합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티브이(4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엠피3 데이터가 재생된 오디오가 외부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미디어 환경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중계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8)

  1. 삭제
  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에서 수신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스피커와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티브이;의 사이에서 미디어를 중계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서,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수신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오디오/비디오 신호 수신부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오버레이하기 위한 신호 합성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모니터링하는 중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 변환부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신호 합성부에 의해 오버레이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파싱하여 어느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를 분석해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IR 블라스터부; 및
    상기 신호 합성부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상기 티브이로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 비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미지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이미지데이터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엠피3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엠피3데이터 재생부; 및
    상기 엠피3 데이터가 재생된 오디오를 티브이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합성하는 오디오 합성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6. 삭제
  7. (a)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벤트 발생시에 생성되는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가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는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가 변환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버레이하여 티브이로 출력하는 단계; 및
    (f) 상기 티브이가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스피커와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종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메뉴에 대응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파싱하여 어느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인지를 분석해서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b)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로 엠피3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 단계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엠피3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엠피3 데이터가 재생된 오디오를 티브이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 중계 방법.
KR20080068798A 2008-07-15 2008-07-15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6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8798A KR100961172B1 (ko) 2008-07-15 2008-07-15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PCT/KR2009/003685 WO2010008153A2 (ko) 2008-07-15 2009-07-06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8798A KR100961172B1 (ko) 2008-07-15 2008-07-15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299A KR20100008299A (ko) 2010-01-25
KR100961172B1 true KR100961172B1 (ko) 2010-06-08

Family

ID=4155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8798A KR100961172B1 (ko) 2008-07-15 2008-07-15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1172B1 (ko)
WO (1) WO201000815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51B1 (ko) 2015-06-22 2016-03-15 주식회사 인터파워 정전류 출력 방식의 led 조명용 컨버터 및 이를 적용한 led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0566A1 (en) 2017-09-01 2019-03-06 Vito NV Method for producing chiral amin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286B1 (ko) * 1999-06-01 2001-12-22 구자홍 디지탈 티브이의 이동전화 문자/음성 정보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JP2001008254A (ja) * 1999-06-18 2001-01-12 Ntt Docomo Inc 地図情報出力方法及び携帯電話機
KR100407966B1 (ko) * 2001-08-24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를 이용한 휴대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51B1 (ko) 2015-06-22 2016-03-15 주식회사 인터파워 정전류 출력 방식의 led 조명용 컨버터 및 이를 적용한 led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8153A2 (ko) 2010-01-21
KR20100008299A (ko) 2010-01-25
WO2010008153A3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3880B2 (ja) リピー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29177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再生装置
CN102088586B (zh) 控制设备、控制方法和程序
JP5353713B2 (ja) タイムシフト視聴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タイムシフト視聴方法
JP5145633B2 (ja) 音響再生装置及び映像音声視聴システム
CN102170547A (zh) 通信设备、通信控制方法以及程序
US20140223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JP5070996B2 (ja) 音声制御装置及び音声制御システム
JP4795001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KR100961172B1 (ko) 오디오/비디오 중계 장치 및 방법
JP2018182390A (ja) 制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7274556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装置
JP2007235519A (ja) 映像音声同期方法及び映像音声同期システム
JP2008271353A (ja) 音響再生装置
KR20030080857A (ko) 복수의 재생장치를 갖는 복합장치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WO2012131832A1 (ja) 音声読み上げシステム、音声読み上げ装置、および音声読み上げ方法
KR100548440B1 (ko) 영상장치의 영상신호 출력방법 및 영상신호 출력장치
US20090150963A1 (en)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KR100681647B1 (ko) Pvr의 편집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97009B1 (ko) 메뉴화면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는 영상재생장치 및그 메뉴화면 생성방법
JP2011086992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1146884A (ja) 音響再生装置
KR20010076813A (ko) 디지털 위성방송의 대화형 프로그램 자동송출방법
JP2001069443A (ja) デジタル放送用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0165790A (ja) 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