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963B1 -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963B1
KR100960963B1 KR1020100007104A KR20100007104A KR100960963B1 KR 100960963 B1 KR100960963 B1 KR 100960963B1 KR 1020100007104 A KR1020100007104 A KR 1020100007104A KR 20100007104 A KR20100007104 A KR 20100007104A KR 100960963 B1 KR100960963 B1 KR 10096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nveying
vessel
limit detectio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0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nap-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 원료를 수용 베슬까지 손상 없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체/입체 원료가 저장된 피딩 베슬로부터 수용 베슬까지 이송하도록 연결된 다양한 형태의 이송관로에서 분체/입체 원료가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분체/입체의 손상이 없으며, 원료의 이송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여 원활한 공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은, 분체 또는 입체 형태의 이송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분체 또는 입체 원료가 저장되는 피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원료를 제공받는 수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수용 베슬로 상기 원료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로; 상기 이송관로에서의 원료 유동을 싸이클론 유동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 상기 피딩 베슬에 연결되어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공기압에 의해 원료가 상기 이송관로로 이송되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 발생유닛; 및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가 상한치 이하로 내려가면 제1 상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 상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2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한검출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베슬의 제1 상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1 상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상기 수용베슬의 제2 하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2 하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상기 이송관로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POWDER & BULK PNEUMATIC DENSE &DILUTE PHASE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음식료품 제조산업, 제약 산업 등의 산업현장에서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 원료를 이송관로를 통해 수용부까지 이송시키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분체/입체 원료가 저장된 공급 용기로부터 수용 용기까지 이송하도록 연결된 다양한 형태의 이송관로에서 분체/입체 원료가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손상되지 않으며, 분체/입체 원료의 이송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여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료품 제조산업 및 제약, 화학, 전자부품 등 산업 전반에 있어서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 시스템의 용도의 일 예로서 식품제조설비의 밀가루, 전분, 소금, 설탕, 분말 스프 등의 이송과 제약 산업에서의 생약 분말, 알약 캡슐 등의 이송에 사용된다.
이러한 분체/입체 원료 이송시스템에서 이송의 종류로는 기계적 이송으로서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플로 컨베이어(flow conveyor), 버킷 엘리베이터(bucket elevator) 등이 있다.
이러한 기계적 이송은 동력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장거리 이송이 어려우며,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고, 낙하물 및 분진이 비산되며, 유지 관리의 어려움이 있어 현재 공기압으로 이송시키는 공기압 이송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 이송장치는 기본적으로 분체가 저장되는 공급 용기; 및 상기 공급 용기의 일측에 연통되는 이송관을 통해 분체가 이송될 수용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분체가 저장되는 공급 용기 일측에는 그 공급 용기로부터 이송관를 통해 분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기압 이송장치는 컴프레서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가 공급 용기에 공급되어 이송관을 통해 그 공급 용기로부터 소정의 이송 장소인 수용 용기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공기압 이송장치는 원거리 이송이 가능하고, 낙하물이나 분진 비산이 없으며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공기압 분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설치 공간 및 설계 환경에 따라 공급 용기로부터 저장 용기까지 이어지는 이송관로 상에는 수평이송관로뿐만 아니라 수직이송관로 및 곡선이송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압 이송장치는 라면 스프와 같이 여러 원료가 섞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분체/입체 원료가 공급 용기로부터 이송부으로 이송되는 이송관로 중에 수직이송관로를 통과하는 경우에서, 혼합물로 된 원료의 비중 차이로 인하여 혼합물 원료의 층분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료가 수직이송관로를 타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이송공기압의 변동으로 인해 원료가 낙하하게 될 경우, 낙하로 인한 손상뿐만 아니라, 낙하 원료와 상승원료 간 충돌이 발생하여 원료가 파손이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며, 원료 흐름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체/입체 원료가 이송 환경에서 곡선이송관로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곡선부가 존재할 경우, 곡선부에서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직선 경로 상에서 고속 이송되는 분체/입체 원료가 이송 경로가 달라지는 곡선이송관로에 부딪히게 되어 원료의 깨짐 현상은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공급 용기로부터 수용 용기까지의 거리가 장거리일 경우, 상기한 문제점들은 더욱 가중되고 분체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공기압 이송장치에서 분체/입체 원료의 이송은 이송 초기, 중기, 말기에 모두 동일한 공기압 하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원료가 공급 용기에만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송되는 이송 초기와 이송 완료 시점에서 공급 용기로부터 나머지 원료가 이송되는 이송 말기에는 동일한 공기압이 제공되는 상태더라도 원료 이송유량이 상대적으로 작아 이송 속도가 증가하여 원료의 층분리 및 손상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공보평성8-9426호는분말고체반송방법에관한것으로,분말고체를정량적으로반송하는방법을개시하고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평성5-286570호는초미세분말을정량적으로배치(batch)수송하고,자동계량하는기술을개시하고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2007-75814호는저장용기의자동식재충전이분말을공급하는장치의작동을중단하는일없이가능한분말공급시스템을개시하고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2009-8265호는유체혼합물과단일유체를포함하는기체,증기,액체,다상유체등의저장및계량분배용시스템을개시하고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10-932378호는액체순환식약품공급장치를개시하고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여러 원료가 섞여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분체/입체 원료가 이송관로 중 수직이송관로나 곡선곡선관로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원료의 층분리나 원료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히 이송할 수 있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 용기로부터 수용 용기까지의 이송 과정에서 분체/입체 원료의 이송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여 장거리의 이송인 경우에도 안정적이고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은, 분체 또는 입체 형태의 이송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분체 또는 입체 원료가 저장되는 피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원료를 제공받는 수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수용 베슬로 상기 원료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로; 상기 이송관로에서의 원료 유동을 싸이클론 유동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 상기 피딩 베슬에 연결되어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공기압에 의해 원료가 상기 이송관로로 이송되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 발생유닛; 및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가 상한치 이하로 내려가면 제1 상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 상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2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한검출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베슬의 제1 상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1 상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상기 수용베슬의 제2 하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2 하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상기 이송관로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가 하한치 이하로 내려가면 제1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하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의 상한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2 상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 상한검출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베슬의 제1 하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1 하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상기 수용베슬의 제2 상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2 상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상기 이송관로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베슬은 배기구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자동배기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관로와 연결된 자동압력밸브의 개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상기 자동배기밸브의 개방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송관로 내 이송 원료의 이송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이송관로 내 원료의 이송량이 증가하는 이송 초기에는 상기 자동배기밸브를 점진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이송관로 내 원료의 이송량이 일정한 이송 중기에는 상기 자동배기밸브의 개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이송관로 내 원료의 이송이 감소하는 이송 말기에는 상기 자동배기밸브를 점진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원료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관로, 상기 원료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직이송관로 및 상기 원료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하는 곡관이송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은 상기 각 이송관로의 외벽으로부터 내벽으로 상기 원료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 관통공; 및 상기 나선형 관통공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으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이송관로는 와선 형태의 이송관로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관로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직이송관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원료의 이송과정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은 식품제조업 또는 제약업 등 산업현장에서 분체 또는 입체 형태의 이송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분체 또는 입체 원료를 투입하는 공급베슬(115), 공급베슬(115)의 출구부에 설치된 공급밸브(185), 공급밸브(185)의 개폐에 따라 분체 또는 입체 원료를 공급받는 피딩베슬(110), 피딩베슬(110)로부터 분체 또는 입체 원료를 제공받는 수용베슬(120), 피딩베슬(110)로부터 수용베슬(120)로 원료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로(130), 이송관로(130)에서의 원료 유동을 싸이클론유동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이송관로(130)에 설치되는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170), 피딩베슬(110)에 연결되어 그 피딩베슬(110)로부터 공기압에 의해 원료가 이송관로(130)로 이송되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 발생유닛(air tank), 및 공기압 발생유닛(air tank)으로부터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170)에 제공되는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피딩베슬(110)과 수용베슬(120)은 각각 피딩베슬(110)과 수용베슬(120)에 존재하는 분체/입체 원료의 원료량을 검출하는 상한검출센서(111, 121)와 하한검출센서(112, 122)를 포함한다. 피딩베슬(110)의 상한검출센서(111) 및 하한검출센서(112)는 원료가 상한치 및 하한치 이하로 내려가면 상한치 검출신호 및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수용베슬(120)의 상한검출센서(121) 및 하한검출센서(122)는 원료가 상한치 및 하한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한치 검출신호 및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유닛(미도시)은 입력되는 상한치 검출신호와 하한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압 발생유닛(air tank)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딩베슬(110)에서의 분체/입체 원료가 초기 이송 단계인, 상한검출센서(111)가 상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에서는 그 이송량이 적기 때문에 이송관로(130)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한검출센서(111)와 하한검출센서(112) 사이 구간에서는 이송관로 내에서 원료가 일정량 이송되고 있기 때문에 공기압을 소정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하한검출센서(112)가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구간에서는 이송량이 다시 감소하기 때문에 이송관로(130) 내에서의 공기압을 다시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딩베슬(110)의 상한검출센서(111) 및 하한검출센서(112)의 검출신호와, 수용베슬(120)의 상한검출센서(121) 및 하한검출센서(122)의 검출신호를 연동하여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피딩베슬(110)의 상한검출센서(111)로부터 상한치 검출신호(U111)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수용베슬(120)의 하한검출센서(122)로부터 하한치 검출신호(L122)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이송관로(130)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리고, 수용베슬(120)의 하한검출센서(122)로부터 하한치 검출신호(L122)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피딩베슬(110)의 하한검출센서(112)로부터 하한치 검출신호(L112)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이송관로(130) 내 공기압을 소정 레벨로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피딩베슬(110)의 하한검출센서(112)로부터 하한치 검출신호(L112)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수용베슬(120)의 상한검출센서(121)로부터 상한치 검출신호(U121)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이송관로(130)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여기서, 도면부호 165는 이송관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인사이트 글라스(Insight Glass)이며, 도면부호 160(PT)은 압력검출센서이고, 도면부호 181는 수동밸브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관로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송관로(130)는 설치 환경 및 설치 구간의 설계에 따라 이송 원료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관로(131), 이송원료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직이송관로(132) 및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시켜 이송하는 곡관이송관로(133)를 포함한다.
수평이송관로(131), 수직이송관로(132) 및 곡선이송관로(133) 각각에는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170)이 설치되는데,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170)은 각 이송관로(131, 132, 133)의 외벽(75)으로부터 내벽(76)으로 원료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 관통공(171); 및 나선형 관통공(171)에 연결되어 공기압 발생유닛으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는 노즐(172)을 포함한다.
이송관로에 형성되는 관통공(171)은 분체 진행방향으로 120도의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이클론 형태의 공기흐름이 발생된다.
이송관로(130)는 그 이송관로(130)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센서(160) 및 이송관로(13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원료공급밸브(175)를 구비하고, 압력검출센서(160)가 출력하는 압력검출신호는 제어유닛(미도시)으로 송출된다. 도 1에서는 개략적으로 소정 개수의 압력검출센서(160)를 나타내고 있지만, 소정 간격마다 또는 특정 구간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검출센서(160)는 이송관로(130) 상에 설치되고, 그 이송관로(130)의 압력을 검출하여 압력검출신호를 제어유닛(미도시)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입력되는 압력검출신호에 따라 제어유닛(미도시)은 원료공급밸브(175)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이송관로(130)에서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압력밸브(180)는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170)을 구성하는 노즐(172)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어유닛(미도시)은 압력검출센서(160)로부터 출력되는 압력검출신호에 따라 자동압력밸브(18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이송관로(130)에서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베슬(120)의 배기구측에는 그 수용베슬(120)의 배기구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자동배기밸브(187)가 구비되고, 압력검출센서(160)에서 검출된 신호는 제어유닛으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수용베슬(120)의 배기구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자동배기밸브(187)가 구비되는 경우, 자동압력밸브(180)의 개방 상태를 전 과정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자동배기밸브(187)의 개방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이송관로 내 이송 원료의 이송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미도시)은 압력검출센서(160)의 검출신호를 제공받아 이송관로(130) 내 이송 원료가 적은 이송 초기에는 수용베슬(120)의 자동배기밸브(187)를 점진적으로 개방시키고, 이송관로(130) 내 이송 원료가 많은 이송 중기에는 수용베슬(120)의 자동배기밸브(187)의 개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송관로(130) 내 이송 원료가 적은 이송 말기에는 자동배기밸브(187)를 점진적으로 폐쇄시킨다. 이때의 제어는 수용베슬(120)과 제조용 호퍼(125) 사이의 공급밸브(185)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용베슬(120)의 자동배기구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어 원료가 빨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체/입체 공기 이송용 수직이송관로를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송관로는 와선형 이송관로(135)로 형성되고, 와선형 이송관로(135)에 싸이클론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노즐(172)이 공기압 발생유닛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이송관로(135)는 피딩베슬(110)로부터 수용베슬(120)로 원료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이송 환경 및 설계 환경에 따라 이송원료를 상하로 이송시켜야 할 경우에 구비된다.
즉, 도 5의 와선형 이송관로(135) 내에서 혼합 원료가 이송되면, 도 3의 수직이송관로와 달리 원료가 낙하할 염려가 없어 혼합 원료의 낙하로 인한 혼합 원료의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혼합 원료의 파손 혹은 스크래치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원료의 공기 이송과정을 나타낸 플로 차트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원료의 이송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체/입체 원료의 이송은 분체/입체 원료를 공급 유닛에 투입 저장하고(S610), 저장된 분체/입체 원료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이송관로로 송출하며(S620), 이송관로에서 송출되는 분체/입체 원료를 이송관로의 외벽에서 내벽으로 형성된 나선형의 관통공을 통해 와류 흐름을 형성하도록 투입하여 싸이클론 유동방식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수용 유닛까지 이송시키고(S630), 공급 유닛으로부터 수용 유닛까지의 원료 이동량에 기초하여 이송관로에서의 공기 유량을 제어한다(S6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은 음식료품 제조산업 또는 제약산업 등의 분체/입체 이송설비에서 이용할 수 있다.
110: 피딩 베슬 111, 121: 상한검출센서
112, 122: 하한검출센서 115: 공급 베슬
120: 수용 베슬 125: 제조용 호퍼
130: 와선형 이송관로 160: 압력검출센서
165: insight glass 170: 싸이클론 노즐
175: 유량 제어 밸브 180: 자동 압력 밸브
181: 수동 압력 밸브 185: 공급 밸브
187: 자동 배기 밸브

Claims (11)

  1. 삭제
  2. 분체 또는 입체 형태의 이송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분체 또는 입체 원료가 저장되는 피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원료를 제공받는 수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수용 베슬로 상기 원료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로;
    상기 이송관로에서의 원료 유동을 싸이클론 유동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
    상기 피딩 베슬에 연결되어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공기압에 의해 원료가 상기 이송관로로 이송되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 발생유닛; 및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가 상한치 이하로 내려가면 제1 상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 상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2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한검출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베슬의 제1 상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1 상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상기 수용베슬의 제2 하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2 하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상기 이송관로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3. 분체 또는 입체 형태의 이송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분체 또는 입체 원료가 저장되는 피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원료를 제공받는 수용 베슬;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상기 수용 베슬로 상기 원료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이송관로;
    상기 이송관로에서의 원료 유동을 싸이클론 유동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
    상기 피딩 베슬에 연결되어 상기 피딩 베슬로부터 공기압에 의해 원료가 상기 이송관로로 이송되도록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공기압 발생유닛; 및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가 하한치 이하로 내려가면 제1 하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하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베슬은 상기 원료의 수위의 상한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2 상한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 상한검출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베슬의 제1 하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1 하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부터 상기 수용베슬의 제2 상한검출센서로부터 상기 제2 상한치 검출신호가 출력되는 순간까지 상기 이송관로 내 공기압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베슬은 배기구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자동배기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관로와 연결된 자동압력밸브의 개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상기 자동배기밸브의 개방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송관로 내 이송 원료의 이송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이송관로 내 원료의 이송량이 증가하는 이송 초기에는 상기 자동배기밸브를 점진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이송관로 내 원료의 이송량이 일정한 이송 중기에는 상기 자동배기밸브의 개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이송관로 내 원료의 이송이 감소하는 이송 말기에는 상기 자동배기밸브를 점진적으로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원료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관로, 상기 원료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직이송관로 및 상기 원료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하는 곡관이송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유동 형성유닛은 상기 각 이송관로의 외벽으로부터 내벽으로 상기 원료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 관통공; 및 상기 나선형 관통공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으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는 노즐을 포함하는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관로는 와선 형태의 이송관로로 형성되는 분체/입체 공기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07104A 2010-01-26 2010-01-26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KR10096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04A KR100960963B1 (ko) 2010-01-26 2010-01-26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04A KR100960963B1 (ko) 2010-01-26 2010-01-26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963B1 true KR100960963B1 (ko) 2010-06-03

Family

ID=4236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104A KR100960963B1 (ko) 2010-01-26 2010-01-26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308B1 (ko) 2017-11-22 2019-09-0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분체 이송시스템의 이송분체 살균처리장치 및 이송분체 살균처리방법
US20200255233A1 (en) * 2017-09-29 2020-08-13 Mitsubishi Chemical Engineering Corporation Pipe for transport of granular matter and granular matter transport method
KR20210078018A (ko)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분말식품 복합 비열살균처리 설비
KR20220057775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한국마린텍 육상운송이 가능한 대용량 분체 이송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7667A1 (en) * 2005-11-16 2007-05-24 Clean Cat Technologies Limited Vacuum conveying veloci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culate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7667A1 (en) * 2005-11-16 2007-05-24 Clean Cat Technologies Limited Vacuum conveying veloci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culate materi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55233A1 (en) * 2017-09-29 2020-08-13 Mitsubishi Chemical Engineering Corporation Pipe for transport of granular matter and granular matter transport method
US10947064B2 (en) 2017-09-29 2021-03-16 Mitsubishi Chemical Engineering Corporation Pipe for transporting powd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powder
EP3689797A4 (en) * 2017-09-29 2021-06-23 Mitsubishi Chemical Engineering Corporation PIPE FOR TRANSPORTING GRANULAR MATERIAL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GRANULAR MATERIAL
KR101983308B1 (ko) 2017-11-22 2019-09-0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분체 이송시스템의 이송분체 살균처리장치 및 이송분체 살균처리방법
KR20210078018A (ko)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분말식품 복합 비열살균처리 설비
KR20220057775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한국마린텍 육상운송이 가능한 대용량 분체 이송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228B2 (en) Vacuum conveying veloci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culate material
JP5370951B2 (ja) 流れの悪いバルク材の空気輸送方法および装置
KR100960963B1 (ko) 분체/입체 공기 이송시스템
JP2013112483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ベルトコンベヤ設備
US9617086B2 (en) Process and tubular device for the controlled feeding of incoherent solid materials in differentiated pressure systems
US20090148244A1 (en) Pneumatic conveying velocity control device, apparatus and method
CN102183287A (zh) 基于失重原理的粉状物料连续计量控制方法及其装置
JP2016504970A5 (ko)
CN206107720U (zh) 一种称重计数包装机
CN214827269U (zh) 一种连续式正压粉体输送设备
US10690536B2 (en) Multihead weigher and weighing method
RU2694716C1 (ru)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пневмоимпульс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и зер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JP2014181843A (ja) 粉体状の廃棄物供給装置、及び粉体状の廃棄物の供給方法
CN210001188U (zh) 一种气力输送系统
CN113148661A (zh) 一种连续式正压粉体输送设备
EP3285132B2 (en) Method and dispensing apparatus for dispensing a powder and/or granular material
UA83491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безперервної подачі порошкоподібного твердого матеріалу в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ий трубопровід
CN113650819A (zh) 用于输送物料的装置
CN214269070U (zh) 一种粉料输送装置
CN215905435U (zh) 立式连续输送装置
JP2011116361A (ja) バラ物運搬船においてバラ物貨物を搬送し、支持する装置
CN108190522A (zh) 一种防扬尘的超细粉动态计量投料系统
US10981735B2 (en) Pneumatic conveyance method for methionine
RU2733486C1 (ru) Способ объём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7737556U (zh) 一种装盒机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