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412B1 -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 Google Patents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412B1
KR100959412B1 KR1020090126392A KR20090126392A KR100959412B1 KR 100959412 B1 KR100959412 B1 KR 100959412B1 KR 1020090126392 A KR1020090126392 A KR 1020090126392A KR 20090126392 A KR20090126392 A KR 20090126392A KR 100959412 B1 KR100959412 B1 KR 10095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drying
drying chamb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상
Original Assignee
조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상 filed Critical 조덕상
Priority to KR102009012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에 관한 것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열을 이용하여 농수축산물을 저온으로 저장하는 한편, 외부에 버려지는 응축열을 이용하여 고온 건조가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는, 농수축산물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선반이 구비되며 댐퍼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된 밀폐형 저온 건조실(10)과; 상기 저온 건조실 내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건조가 필요한 제품이 수납되는 다단의 선반이 구비되고 유입구(21)와 배출구(22)가 구비된 밀폐형 고온 건조실(20)과; 상기 저온 건조실에 저온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저온 건조실 내에 저장된 농수축산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한편, 상기 고온 건조실에 상기 저온 건조실에 공급되는 저온의 건조 공기보다 높은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고온 건조실에 수납된 제품을 건조 및 발효시키는 히트펌프 시스템(30)을 포함하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1), 상기 고온 건조실에 장착되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되는 고온의 냉매를 상기 고온 건조실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고온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1열교환기(32),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33), 상기 저온 건조실에 장착되며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감압된 냉매와 상기 저온 건조실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교환시켜 상기 저온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제2열교환기(34)를 포함한다.
건조, 저장, 히트펌프, 응축열

Description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DRYING WAREHOUSE COMBINED WITH LOW TEMPERATURE STORAGE AND HIGH TEMPERATURE DRYING ROOM}
본 발명은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의 농축산업용 저온창고와 어촌의 생선의 보관용으로 사용중인 냉동, 냉장창고와 각종 산업용 저온창고들에서 대기 중에 분출되는 응축폐열을 회수하여 공기를 이용한 건조가 가능하고 학교, 병원, 회사, 요양원, 대형식당 등 단체 급식소가 있는 곳에서 사용 중인 저온저장고의 폐열을 활용하여 농수축산물은 물론 각종 식자재(용기, 수저, 젓가락, 도마 등)를 건조 및 살균 보관할 수 있는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농어촌에서는 농수축산물을 건조 및 저온으로 저장시키고자 할 때 별도의 저장비가 상당히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농수축산물의 냉동 및 저온저장시스템은 현재 농어촌에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집단으로 대형화하여 고비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신선도 유지가 필요한 농수축산물 출 하조절을 위하여 각 농어촌에서는 소형 저온저장시스템이 건조시스템 못지않게 필요한 실정인 바, 현재 국내 농산물 건조기는 열풍건조기로 석유에너지를 이용한 고온의 열풍을 이용하므로 농수축산물의 품질손상의 위험이 크며, 과도한 석유에너지가 소요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건조 전용 시스템이기 때문에 활용도가 낮고 건조장치 구입비용에 비하여 비효율적인 소요가 많을 뿐만 아니라 저온 저장시 별도의 저장 전용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농수축산물을 건조할 때, 건조 과정에서의 고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저온제습건조로 에너지 소모량을 적게 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나 건조 전용만으로는 단기간만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고비용, 저효율시스템이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뿐만 아니라 저온저장을 겸하도록 하여 활용기간을 연장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저비용, 고효율시스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종래 이와 같은 실정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벼를 중심으로 곡물류와 고추, 약초, 표고버섯 등 고소득 농산물의 수확 후 고품질 유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공정이 건조공정이며, 신선도 유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공정은 저온 저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벼의 생산과 생산후 처리에 쓰여지는 총에너지의 45 ~ 55%가 건조 공정에 소요되며, 고추는 85%, 표고버섯은 약 90%의 에너지가 건조공정에 소요된다. 따라서 농업생산과 처리공정 중에서 건조공정이 가장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과정이므로 건조공정에서의 에너지 절약이 중요한 과제이다. 건조공정에 소요되는 화석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저온의 자연에너지를 고온화하여 농산물 건조에 이용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절실하다.
또한 농산물 건조기는 극히 제한된 기간 동안에만 사용하게 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건조기 겸 저온저장고로도 활용할 수 있는 복합시스템을 개발하여, 신선도 유지를 필요로 하는 농산물을 저온저장고에 저장함으로써 시스템 활용 기간도 늘리고 동시에 출하시기를 조절하므로 농산물 가격의 등락을 완화하여 농업소득을 높일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 보급되어 있는 건조기는 1995년 기준으로 곡물건조기가 28,408대이고, 기타 농산물 건조기가 117,875대이며, 이들 건조기에 소요되는 연간 연료소비량은 곡물건조기에 88,775 드럼으로 등유 면세유 가격으로 98억원이며, 기타 곡물건조기에 589,375 드럼으로 등유 면세유 가격으로 648억여원으로 전체 건조비용은 746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이 에 수산물 보관창고 및 식당 등 ,각종 산업용 냉동 냉장용 창고를 포함하면 그 가치는 숫자로 헤아릴수 없는 엄청난 에어지 자원이 대기로 방출되어 지구 온난화 등 환경에 악영향만 미칠뿐 아무런 도움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농어촌의 건조 및 저온저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개발이 요구되는바, 즉 화석에너지를 이용한 고온열풍건조로 인한 농산물 품질손상 위험과 과다한 에너지 소모를 해결하기 위한 저온제습건조 기술개발과, 건조만을 하는 건조전용시스템이기 때문에 연중 짧은 기간만을 활용하게 되어 고비용, 저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중 긴 기간 활용 가능한 다목적 이용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정에 맞춰 히트펌프 사이클을 이용한 건조 장치가 제안된 바 있 다.
종래 기술에 의한 히트펌프 사이클을 이용한 건조 장치는 증발열을 이용한 저온 건조 또는 응축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로서, 증발열을 이용한 저온 건조 장치의 경우 고온의 응축열을 대기 중으로 폐기함으로써 대기를 오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 장치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의 농축산업용 저온창고와 어촌의 생선의 보관용으로 사용중인 냉동, 냉장창고와 각종 산업용 저온창고들에서 대기 중에 분출되는 응축폐열을 회수하여 공기를 이용한 건조가 가능하고 학교, 병원, 회사, 요양원, 대형식당 등 단체 급식소가 있는 곳에서 사용 중인 저온저장고의 폐열을 활용하여 농수축산물은 물론 각종 식자재(용기, 수저, 젓가락, 도마 등)를 건조 및 살균 보관할 수 있는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는, 농수축산물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선반이 구비되며 댐퍼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밀폐형 저온 건조실과; 상기 저온 건조실 내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건조가 필요한 제품이 수납되는 다단의 선반이 구비되고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밀폐형 고온 건조실과; 상기 저온 건조실에 저온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저온 건조실 내에 저장된 농수축산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한편, 상기 고온 건조실에 상기 저온 건조실에 공급되는 저온의 건조 공기보다 높은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고온 건조실에 수납된 제품을 건조 및 발효시키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고온 건조실에 장착되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되는 고온의 냉매를 상기 고온 건조실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고온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 상기 저온 건조실에 장착되며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감압된 냉매와 상기 저온 건조실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교환시켜 상기 저온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제2열교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에 의하면, 증발열을 이용하여 농수축산물을 저온으로 건조 및 보관하여 신선한 농수축산물을 공급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응축열을 이용하여 고온 건조하여, 저온과 고온 조건에 맞는 농수축산물을 동시에 건조 및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응축열의 폐기에 따른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증발열과 응축열 모두를 이용하므로 건조 창고로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학교, 병원, 회사, 요양원, 대형식당 등 단체 급식소가 있는 곳에서 사용 중인 저온저장고의 폐열을 활용하여 농수축산물은 물론 각종 식자재(용기, 수저, 젓가락, 도마 등)를 건조 및 살균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건조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100)는, 저온 저장실(10), 고온 건조실(20), 히트펌프 시스템(30)으로 구성된다.
저온 저장실(10)은 저온 예를 들어 15℃ 상태로 저장되는 고구마, 감자 등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며, 단열재(단열판, 벽돌 등)에 의해 밀폐구조로 형성되며, 단,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된다.
유입구(11)와 배출구(12)는 각각 수동/자동으로 구동하는 댐퍼(11a,12a)에 의해 개폐된다.
저온 저장실(1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온 저장을 위한 농수축산물이 수납되는 선반이 다단으로 장착된다.
고온 건조실(20)은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21)와 배출구(22)가 각각 구비된 밀폐형 구조이다.
유입구(21)와 배출구(22)는 각각 수동/자동으로 구동하는 댐퍼(21a,22a)에 의해 개폐된다.
고온 건조실(20) 내부에는 건조 제품이 수납되는 선반(미도시)이 다단으로 구비된다. 상기 건조 제품은 농수축산물은 물론, 학교, 병원, 회사, 요양원, 대형식당 등 단체 급식소가 있는 곳의 식자재(용기, 수저, 젓가락, 도마 등) 등이 가능하다. 즉, 고온 건조실(20)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크기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 시스템(30)의 제1열교환기(32)가 직접 설치되지 않고 덕트를 통해 고온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온 건조실(20)은 제품을 건조하는 건조실 이외에 사람이 거주하는 실내일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제1열교환기(32)에 의해 난방될 수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30)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1), 고온 건조실(20)에 장착되며 압축기(10)에 의해 압송되는 고온의 냉매를 고온 건조실(20)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고온 건조실(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1열교환기(32), 제1열교환기(32)를 통과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33), 저온 건조실(10)에 장착되며 팽창밸브(33)에 의해 감압된 냉매와 저온 건조실(10)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교환시켜 저온 건조실(10)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제2열교환기(34)로 구성된다.
제1열교환기(32)는 응축기이며, 제2열교환기(34)는 증발기이다.
즉, 제1열교환기(32)를 따라 흐르는 고온의 냉매는 고온 건조실(20)에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열을 빼앗겨 고온 건조실(2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제2열교환기(34)를 따라 흐르는 저온의 냉매는 저온 저장실(10)에 유 입되는 실외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저온 저장실(10)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결국, 하나의 히트펌프 시스템(30)을 통해 서로 다른 공간인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을 서로 다른 온도 조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을 서로 바꿀 수 있도록 즉, 제1,2열교환기(32,34)의 기능이 서로 뒤바뀌도록 사방밸브(미도시)가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사방밸브는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제1열교환기(32) 또는 제2열교환기(34)에 압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에 각각 온도에 맞는 농수축산물을 수납한 후, 히트펌프 시스템(30)을 가동한다. 물론,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의 유입구(11,21)와 배출구(12,22)를 개방한다.
압축기(31)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제1열교환기(응축기)(32)에 압송하며, 고온의 냉매는 제1열교환기(32)를 흐르는 중에 유입구(21)를 통해 고온 건조실(20)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자신은 응축된다.
제1열교환기(32)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공기는 고온 건조실(20) 내부를 순환하면서 제품을 고온 건조한 후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제1열교환기(32)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밸브(33)를 거치면서 감압된 후 제2열 교환기(34)에 공급된다.
냉매가 제2열교환기(3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외부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자신은 증발한다.
이와 같이 제2열교환기(34)를 통과하면서 저온으로 변화된 공기는 저온 저장실(10)을 순환하면서 저온으로 제품을 건조한 후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예 2>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는, 고온 건조실(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저온 저장실(10)을 사용하는 중에 고온 건조실(20)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제3열교환기(35)가 갖추어진다.
저온 저장실(10)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동안 제2열교환기(34)는 증발기이며, 제3열교환기(35)는 응축기이고, 제1열교환기(32)는 냉매가 순환하지 않는다.
압축기(31)의 토출측은 제1,3열교환기(32,35)의 입구로 분기되고, 팽창밸브(33)의 입구측은 제1,3열교환기(32,35)의 토출측으로 분리되며, 밸브수단은 제1열교환기(32) 또는 제3열교환기(35)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밸브수단은 압축기(31)의 토출측과 제1,3열교환기(32,35)의 입구측을 각각 연결하는 배관(P1,P2)을 각각 개폐하는 제1,2밸브(V1,V2), 팽창밸브(33)의 입 구측과 제1,3열교환기(32,35)의 토출측을 각각 연결하는 배관(P3,P4)에 각각 장착되어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2체크밸브(V3,V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밸브(V1,V2)는 미도시된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 건조실(20)에 장착된 제2열교환기(32)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고온 건조실(20)을 저온 저장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을 연통하는 통로(13)가 형성된다.
통로(13)는 도어(14)에 의해 개폐된다.
본 실시예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사방밸브가 갖추어질 수 있다. 단, 팽창밸브(33)를 통과한 냉매가 제1 또는 제3열교환기(32,35)에 공급되도록 제1,2체크밸브(V3,V4)는 양방향 제어밸브로 대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처럼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을 각각의 용도에 맞춰 사용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제1밸브(V1)를 개방하는 한편 제2밸브(V2)를 폐쇄한다.
압축기(31)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제1밸브(V1)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32)에 압송된 후 제1체크밸브(V3)를 거쳐 팽창밸브(33)에 공급된다. 이때, 냉매는 제2체크밸브(V4)에 의해 제3열교환기(35)측으로는 역류하지 않는다.
이때, 제1,2열교환기(32,34)의 작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한편, 고온 건조실(20)을 고온 건조용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는 제1밸브(V1)를 폐쇄하고 제2밸브(V2)를 개방한다.
압축기(31)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제2밸브(V1)를 통과하여 제3열교환기(35)에 압송된 후 제2체크밸브(V4)를 거쳐 팽창밸브(33)에 공급된다. 이때, 냉매는 제1체크밸브(V3)에 의해 제2열교환기(32)측으로는 역류하지 않는다.
즉, 냉매는 압축기(31) - 제3열교환기(35)(응축기) - 팽창밸브(33) - 제2열교환기(34)(증발기)를 연속 순환하며, 이 과정에서 제2열교환기(34)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춰 저온 저장실(10)을 저온으로 유지하고, 제3열교환기(35)를 흐르는 냉매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한다.
제2열교환기(32)는 냉매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고온 건조실(20)은 고온이 아니라 상온 내지 실외 온도가 유사한 온도 조건일 것이며, 따라서, 고온 건조실(20)은 이러한 온도 조건에 맞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열교환기(3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온 건조실(20)도 저온 저장실(10)과 동일한 온도 조건으로 유지하여 저온 저장실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어(14)를 이용하여 통로(13)를 개방하면, 제2열교환기(34)를 통과하면서 저온으로 낮아진 공기는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을 순환하여 저온 저장실(10)과 고온 건조실(20)을 동일한 온도 조건인 저온으로 유지한다.
이때 고온 건조실(20)의 유입구(21)는 댐퍼(21a)에 의해 폐쇄된다.
<실시예 3>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10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변형 예로서 제1열교환기(32)의 응축열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압축기(31)와 제1열교환기(32)의 사이에 개재되며 압축기(31)에 의해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1차로 응축한 후 제1열교환기(32)에 압송하는 제4열교환기(36)가 포함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31)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제4열교환기(36)를 흐르는 중에 제4열교환기(36)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며, 제4열교환기(36)에서 토출된 냉매(압축기(31)에서 토출되어 제4열교환기(36)에 공급되기 전의 냉매보다 온도가 낮은 냉매)는 제1열교환기(32)를 흐르는 중에 고온 건조실(20)에 유입되는 공기에 열을 빼앗겨 고온 건조실(20)을 고온으로 유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4열교환기(36)를 통해 냉매의 온도를 낮춘 후 제1열교환기(32)에 공급하여 제1열교환기(32)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공기의 온도를 실시예 1보다 낮출 수 있으므로 고온 건조실(20)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저온 저장실, 20 : 고온 건조실
30 : 히트펌프 시스템, 31 : 압축기
32 : 제1열교환기, 33 : 팽창밸브
34 : 제2열교환기, 35 : 제3열교환기
36 : 제4열교환기,

Claims (5)

  1. 농수축산물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선반이 구비되며 댐퍼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된 밀폐형 저온 건조실(10)와;
    상기 저온 건조실 내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건조가 필요한 제품이 수납되는 다단의 선반이 구비되고 유입구(21)와 배출구(22)가 구비된 밀폐형 고온 건조실(20)과;
    상기 저온 건조실에 저온의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저온 건조실 내에 저장된 농수축산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한편, 상기 고온 건조실에 상기 저온 건조실에 공급되는 저온의 건조 공기보다 높은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고온 건조실에 수납된 제품을 건조 및 발효시키는 히트펌프 시스템(30)을 포함하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1), 상기 고온 건조실에 장착되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되는 고온의 냉매를 상기 고온 건조실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고온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1열교환기(32),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33), 상기 저온 건조실에 장착되며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감압된 냉매와 상기 저온 건조실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교환시켜 상기 저온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제2열교환기(34),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되는 고온의 냉매를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킨 후 상기 팽창밸브에 공급하는 제3열교환기(35), 상기 압축기를 상기 제1 또는 제3열교환기와 냉매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1 또는 제3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만 사용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온 건조실과 상기 고온 건조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저온 건조실과 상기 고온 건조실을 서로 연통하는 통로(13) 및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도어(1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1열교환기 또는 제2열교환기, 제2열교환기 또는 제3열교환기로 압송하여 상기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는 사방밸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5. 삭제
KR1020090126392A 2009-12-17 2009-12-17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KR10095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92A KR100959412B1 (ko) 2009-12-17 2009-12-17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92A KR100959412B1 (ko) 2009-12-17 2009-12-17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412B1 true KR100959412B1 (ko) 2010-05-24

Family

ID=4228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392A KR100959412B1 (ko) 2009-12-17 2009-12-17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381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WO2023099055A1 (de) * 2021-11-30 2023-06-08 Audi Ag Temperierbehälter mit zwei temperaturzonen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temperierbehäl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77Y1 (ko) 2000-06-27 2000-12-15 왕항종 오븐 및 냉장설비를 구비한 식품의 건조장치
KR100415684B1 (ko) * 2001-09-24 2004-01-24 쥴히터(주) 히트 펌프식 건조기겸 냉장창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77Y1 (ko) 2000-06-27 2000-12-15 왕항종 오븐 및 냉장설비를 구비한 식품의 건조장치
KR100415684B1 (ko) * 2001-09-24 2004-01-24 쥴히터(주) 히트 펌프식 건조기겸 냉장창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381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521569B1 (ko) 2017-12-26 2023-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WO2023099055A1 (de) * 2021-11-30 2023-06-08 Audi Ag Temperierbehälter mit zwei temperaturzonen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temperierbehä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a et al. Heat pump drying: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trends
CN103440006B (zh) 一种鲜活食品配送终端保鲜系统及其工作方法
CN103612828B (zh) 鲜活食品配送终端保鲜装置
KR101650788B1 (ko)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US115556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electrical equipment
CN104819591A (zh) 一种带冷藏功能的农特产品热泵烘干装置
KR100959412B1 (ko) 저온 저장실과 폐열을 이용한 고온 건조실 일체형 건조 창고
CN104848589A (zh) 一种可互换的农特产品热泵烘干及冷藏装置
CN114208505A (zh) 一种调节粮食仓储环境的多用途储粮机
CN205843214U (zh) 一种家用冻干机
CN211782344U (zh) 一种动态冷热平衡调节的多级耦合闭式烘干热泵系统
CN204963285U (zh) 一种双进气双排气压缩机节能制冷系统
CN106766383A (zh) 一种多功能空气源热泵系统
CN209787920U (zh) 一种整体式节能粮仓专用降温设备
CN208012138U (zh) 一种生产生活集成供能热泵载冷系统
Singh et al. Refrigeration waste heat utilization for drying applications: a review
CN102538410A (zh) 太阳能热泵联供粮食干燥系统
CN209512367U (zh) 真空休眠保质制冷系统
CN107183153A (zh) 一种太阳能烘干及气调保鲜一体库
CN210076505U (zh) 基于热泵技术的节能型绿蒜制取及低温储藏复合系统
CN207185819U (zh) 一种太阳能烘干及气调保鲜一体库
CN206930011U (zh) 一种多功能空气源热泵系统
EP0172875B1 (en) Closed intermittent drying process
CN101504242A (zh) 农产品保鲜中试温度梯度冷库
CN205747893U (zh) 一种双工况热泵型干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