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093B1 -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093B1
KR100959093B1 KR1020080043016A KR20080043016A KR100959093B1 KR 100959093 B1 KR100959093 B1 KR 100959093B1 KR 1020080043016 A KR1020080043016 A KR 1020080043016A KR 20080043016 A KR20080043016 A KR 20080043016A KR 100959093 B1 KR100959093 B1 KR 10095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mattress
hose
space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113A (ko
Inventor
김정숙
도현옥
Original Assignee
김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숙 filed Critical 김정숙
Priority to KR102008004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09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지체부자유 상태의 환자 또는 노인을 위한 자동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배설물 처리장치가 와류구조를 갖도록 제공되어 배변처리가 깨끗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자동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원에서는 매트리스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에 다이아퍼가 장착되고, 호스의 일단이 매트리스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다이아퍼에 연결되며, 타측 일단은 본체와 연결되어 다이아퍼를 통해 누워있는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퍼 내부에서 호스로 연결되어 환자의 대소변을 포함한 오물을 배출하는 곳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거나 오목하게 패인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상기 다이아퍼 내부에 형성되는 굴곡부의 하단에는 공기주머니가 구비될 수 있어,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함에 따라 굴곡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의 구조를 변경하여 호스에서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사상이 같이 개시된다.
다이아퍼, 배변처리장치, 와류, 와변기

Description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A automatic excretion cleaning apparatus having whirlpool structure}
본원 발명은 지체부자유자나 와병생활을 하는 환자 또는 노인을 위한 자동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변처리가 깨끗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배설물 배출라인에 굴곡부를 만들어서 와류구조를 갖도록 제공되는 자동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배설물 처리장치는 누워있는 상태에서 배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로서, 침대 매트리스 위에 누워있는 환자의 신체 사타구니 사이에 다이아퍼가 끼워지고, 상기 다이아퍼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세척수, 공기, 전원을 공급하며, 호스 끝단에는 흡입기능이 있어 배변처리시 배변을 호스를 이용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고 말려주는 일종의 비데장치라고 볼 수 있다.
이때 매트리스의 중앙에는 다이아퍼가 삽입되는 다이아퍼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로부터 매트리스 일측 끝단까지 다이아퍼와 본체를 연결하는 호스를 내장할 수 있는 호스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도 1에서는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기술로서 종래의 자동배설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는바, 매트리스(1), 받침대(2), 다이아퍼 팬티(3), 쿠션(4), 다이아퍼(6), 호스(5)로 구성한 자동배설물 처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이아퍼(6)는 매트리스(1) 중앙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이아퍼 공간부에 위치되고 호스(5) 역시 호스 공간부를 통해 연결되되, 다이아퍼와 호스가 그대로 거의 평형하게 놓여져 있었으며, 이에 배변처리시 흡입(suction) 기능을 이용해 호스 끝단에서 오물을 빨아들여도 배변을 포함한 오물 전체가 일시적으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 구조적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호스 끝단에서 흡입하였을 때 호스 내 일부 구간이 휘어지거나 하여 오물의 진로를 방해하여 진공상태를 만들고, 진공압에 의해 오물을 순간적으로 빨아들여야 하는데 다이아퍼와 호스가 평행함으로써 호스 위로 공기가 통하게 되어 제대로 진공상태가 형성되어 있지 못하게 되어 오물의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예를 들어, 다이아퍼에서 물을 분사함에도 배변을 다이아퍼에서 호스 쪽 깊숙한 곳까지 밀어넣어 주지 못하거나, 배변이 묽은 상태에서 물의 분사압이 너무 강하여 변을 뚫어버려 배변을 밀어내지 못하거나, 많은 양의 변이 있을 경우에는 일부만 호스 쪽 깊숙한 곳까지 밀고 들어가고 일부는 다이아퍼 내에 잔존하거나, 배변이 다이아퍼 내벽에 붙어 떨어지지 않거나, 물을 분사하지 않는 사각지대에 변이 붙어 남아 있는 상태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냄새를 유발하고 쾌적한 유지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원에서는 다이아퍼 내부의 배변 처리시 배변을 포함한 오물, 오수가 깨끗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아퍼 내부에 와류가 일어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매트리스의 구조를 변경하여 호스에서 와류구조가 일어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하 본원에서는 도 1에 제시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여, 다이아퍼 또는 호스에 굴곡을 주어 와류 구조를 갖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또한, 다이아퍼 내부에서 와류구조를 갖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와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굴곡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매트리스 중앙에 형성된 다이아퍼 공간부에 다이아퍼가 장착되고, 호스의 일단이 매트리스 내부 호스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다이아퍼에 연결되며, 타측 일단은 본체와 연결되어 다이아퍼를 통해 누워있는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상기 다이아퍼 내부에서 호스로 연결되어 환자의 대소변을 포함한 오물을 배 출하는 곳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굴곡부를 만들어 줘서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할 때 와류가 일어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다이아퍼 내부에 형성되는 굴곡부의 하단에는 공기주머니를 구비시켜,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함에 따라 굴곡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와류가 일어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매트리스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에 다이아퍼가 장착되고, 호스의 일단이 매트리스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다이아퍼에 연결되며, 타측 일단이 배설물처리 본체와 연결되어 다이아퍼를 통해 누워있는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서, 상기 매트리스에 호스가 삽입되는 위치 중 한 곳에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굴곡부를 형성하여 줌으로 호스 내에서 와류가 일어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기술사상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는 다이아퍼나 또는 호스의 일부에 굴곡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됨으로써 배변의 처리시 와류가 발생하게 하여 깨끗하고 원활하게 배변처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이아퍼 내부에서 굴곡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곡부가 있음으로 배변이 처리 안된다든지 호스가 막히는 등의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누워있는 환자가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로서, 환자가 누워있는 매트리스(10), 상기 매트리스의 중앙에 형성된 매트리스 공간부(15)에서 환자의 신체 사타구니 사이에 장착되어 대소변을 받아내고 환자의 신체를 세척하는 다이아퍼(20)와 상기 다이아퍼에 연결되어 다이아퍼에 세척수, 공기, 전원을 공급하는 관과 다이아퍼의 배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관을 갖는 호스(30), 상기 호스(30)와 연결되어 호스를 통해 다이아퍼 내부에 세척수, 공기,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호스를 통해서 배출되는 오염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본체(40)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매트리스(10)는 중앙에 다이아퍼(20)가 설치되는 다이아퍼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왼쪽으로 다이아퍼와 본체를 연결하는 호스(30)가 매트리스 내부로 매설될 수 있도록 호스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호스 공간부 상부로는 지퍼 등을 이용하여 호스가 매트리스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미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퍼(20)는 호스(30)를 통해 본체(40)와 연결되어 세척수, 공기, 전원을 공급받으며 사용자가 배설하는 오염물을 본체(40)로 보내지도록 제공되며, 다이아퍼는 환자의 신체 사타구니 사이에 밀착하여 환자가 배변시 전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배변을 감지하는 센서를 작동시키고 세척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와 다이아퍼 내부, 와변기케이싱을 세척하고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수가 묻은 환자의 신체 를 말려주며, 또한 환자가 다이아퍼 내부에 배설한 배변을 본체로 배출시킨다.
상기 호스(30)는 본체로부터 다이아퍼로 전송하기 위한 세척수공급관, 공기공급관, 전기공급관 및 다이아퍼로부터 본체로 배설물을 포함한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오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40)는 다이아퍼로 세척수, 공기, 전기 등을 공급하면서 또한 다이아퍼에서 배출하는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저류조를 포함하여 구비하고 있는바, 특히 오수관에는 진공흡입장치가 구비되어 다이아퍼와 호스 내부의 오물을 빨아들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예시한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에서는, 다이아퍼(20) 및 호스(30)에 어떠한 굴곡이 없어 환자의 배변 시 다이아퍼(20)에서 세척수를 쏘아 밀어주는 힘과 본체(40)에서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빨아들이는 힘만으로는 다이아퍼와 호스 내부의 모든 오물이 처리되지 못하고 그대로 잔류하여 남아있을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매트리스(10) 중앙부의 매트리스 공간부(15)에 다이아퍼(20)가 장착되고, 다이아퍼(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와변기케이싱(22)에서 다이아퍼 내부 호스 쪽 깊숙한 곳으로 굴곡부(23)를 형성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는바, 상기 굴곡부(23)가 형성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을 포함한 오수(50)가 다이아퍼 내부에 쌓이게 되고, 오수가 어느 정도 쌓인 후에 본체에서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빨아들이고 노즐(21)을 통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면 오수(50)의 좌측으로 진공상태가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여 오수(50)를 모두 깨끗하게 본체로 빨아들이게 되는 결과가 된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고정된 형태의 굴곡부(23)는 오수에 의해 다이아퍼 내 의 오수관이 막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배출시에는 모아두었던 오수를 일시에 본체로 내려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굴곡부(23)를 없애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다이아퍼 저부로 굴곡부(23)을 만들고 그 하단에 공기주머니(24)를 내삽시키고 상기 공기주머니(24)에 공기를 채우거나 빼냄으로써 공기주머니를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고, 상기 공기주머니를 팽창하거나 수축함에 따라 연질의 와변기케이싱이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져 굴곡부(2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실시 예시도로서, 도 4a는 배변 배출 전에는 공기주머니(24)에 공기를 채워 팽창시켜 굴곡부(23)를 높게 하여 오수(50)를 모아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b는 배변 배출 시 공기주머니(24)의 공기를 빼내어 공기주머니를 수축시킴으로써 굴곡부(23)를 낮추어 오수(50)가 쉽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배변을 감지하면 도 4a와 같이 공기주머니를 팽창시키고 물을 분사하여 배변과 오물이 와변기 케이싱 하단 일측에 쌓이도록 하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후 도 4b와 같이 공기주머니를 수축시키면서 본체(40)에서 흡입하도록 하면 호스 내부의 공기압이 오물을 빨아들이는 효과를 배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다이아퍼가 아닌 매트리스의 호스 공간부(16) 구조를 변형시켜 호스에 굴곡부를 줌으로써 와류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도 5a는 일반적인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의 매트리스와 호스의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5b는 매트리스 일부분, 즉 호스 공간부(16)에서 다이아퍼 측에 가깝도록 하여 매트리스 하단에서 호스 쪽으로 볼록하게 볼록굴곡부(11)를 줌으로써 호스(30)가 위로 올라가 와류현상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c은 도 5b과 반대로 매트리스 하단에서 호스 쪽으로 오목하게 오목굴곡부(12)를 주도록 하여 호스(30)가 아래로 내려가 와류현상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는 배설되는 배변과 오물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하여 굴곡을 좌우로 줄 수도 있다. 도 5d는 환자가 눕게 되는 경우 환자의 하반신 쪽으로 매트리스의 중앙부로 호스 공간부(16)가 형성되되, 매트리스 좌측으로 좌측골곡부(13)를 갖는 구조이고, 도 5e는 도 5d와 반대로 우측으로 우측굴곡부(14)를 준 호스 공간부(16)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매트리스 끝단에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5f은 매트리스 단부(18) 쪽으로 볼록하게 볼록굴곡부(11)를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도 5g는 매트리스 단부(18) 쪽으로 오목하게 오목굴곡부(12)를 형성한 것을 예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매트리스 호스공간부(16) 끝단으로 형성되는 단부(18)에서 호스를 위로 들어 올린 상태로 만들어 주도록 매트리스덮개(17)로 볼록부를 만들어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매트리스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호스에 굴곡을 주어 와류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원의 기술사상은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배설물 처리장치 중의 일부에서 즉 매트리스나 호스연결로에나 다이아퍼 내부의 물흐름을 갖는 위치 중 한 곳에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굴곡부를 형성하여 줌으로 다이아퍼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시켜 일시에 오염물을 배출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배설물 처리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누워있는 환자가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다이아퍼의 내부로 고정형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공기주머니가 구비되어 굴곡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매트리스에 굴곡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매트리스 끝단부에 매트리스 덮개를 씌워 호스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매트리스 11 : 굴곡부
17 : 매트리스 덮개
20 : 다이아퍼 21 : 분사노즐
22 : 와변기케이싱 23 : 굴곡부
24 : 공기주머니 30 : 호스
40 : 본체 50 : 오물

Claims (5)

  1. 삭제
  2. 매트리스(10) 중앙에 형성된 매트리스 공간부(15)에 다이아퍼(20)가 장착되고, 매트리스 공간부(15)에서 매트리스 일측 끝단까지 호스(30)가 내삽될 수 있도록 호스 공간부(16)가 형성되며, 상기 호스(30)는 매트리스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일측단은 상기 다이아퍼에 연결되고 타측 일단은 본체(40)와 연결되어 다이아퍼를 통해 누워있는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도록 제공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퍼 내부에 공기주머니(24)가 마련되고 공기주머니(24)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함에 따라 굴곡부(23)를 만들어 와류형성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3. 삭제
  4. 매트리스(10) 중앙에 형성된 매트리스 공간부(15)에 다이아퍼(20)가 장착되고, 매트리스 공간부(15)의 다이아퍼에서 본체(40)까지 매트리스의 호스 공간부(16)를 통해 호스(3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다이아퍼를 통해 누워있는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도록 제공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하반신 쪽 매트리스의 중앙부로 호스 공간부(16)가 형성되고, 호스 공간부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바닥면이 볼록굴곡부(11)나 또는 오목굴곡부(12) 구조를 만들어 와류형성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5. 매트리스(10) 중앙에 형성된 매트리스 공간부(15)에 다이아퍼(20)가 장착되고, 매트리스 공간부(15)에서 매트리스 일측 끝단까지 호스(30)가 내삽될 수 있는 호스 공간부(16)가 형성되며, 상기 호스(30)는 매트리스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일측단은 상기 다이아퍼에 연결되고 타측 일단은 본체(40)와 연결되어 다이아퍼를 통해 누워있는 환자의 대소변을 처리하도록 제공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호스 공간부(16) 끝단으로 형성되는 호스배출구(18) 하단에 매트리스덮개(17)로 볼록부를 형성하여 호스(30)를 위로 들어 올리는 구조를 만들어 와류형성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080043016A 2008-05-08 2008-05-08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095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16A KR100959093B1 (ko) 2008-05-08 2008-05-08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16A KR100959093B1 (ko) 2008-05-08 2008-05-08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13A KR20090117113A (ko) 2009-11-12
KR100959093B1 true KR100959093B1 (ko) 2010-05-20

Family

ID=4160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016A KR100959093B1 (ko) 2008-05-08 2008-05-08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15B1 (ko) 2013-01-04 2015-02-25 김용하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3701A (zh) * 2010-06-25 2011-12-28 中村稔 自动排尿排便处理装置
CN113521549B (zh) * 2021-06-15 2024-03-29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临床幼儿黄疸治疗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23A (ja) * 1989-06-09 1991-01-21 Sharp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JPH0724017A (ja) * 1993-07-08 1995-01-27 Arutekuna:Kk 吸引式採尿採便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23A (ja) * 1989-06-09 1991-01-21 Sharp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JPH0724017A (ja) * 1993-07-08 1995-01-27 Arutekuna:Kk 吸引式採尿採便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15B1 (ko) 2013-01-04 2015-02-25 김용하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13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500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709961B1 (ko) 배설물 자동세정기
JP4643523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US6128788A (en) Water closet and nursing bed device with same
JP411665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0959093B1 (ko)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10079514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0168326B1 (ko)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5043817B2 (ja) 自動排尿便処理装置
KR100905530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JP4699959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5170546B2 (ja) 排泄物自動処理装置
CN220938352U (zh) 大小便不能自理患者自动护理床
KR102536547B1 (ko) 환자용 변기장치
KR100520880B1 (ko) 자동식 변기
JP4167278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1112769B1 (ko) 자동 세정 처리장치
JP2024021021A (ja) 臀部と臀部周辺マットを洗浄する排泄の出来る介護用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