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740B1 -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 Google Patents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740B1
KR100958740B1 KR1020030038999A KR20030038999A KR100958740B1 KR 100958740 B1 KR100958740 B1 KR 100958740B1 KR 1020030038999 A KR1020030038999 A KR 1020030038999A KR 20030038999 A KR20030038999 A KR 20030038999A KR 100958740 B1 KR100958740 B1 KR 10095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sprocket
tilting
fixed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423A (ko
Inventor
김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3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4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동장치의 브래킷을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므로써, 보조 틸팅 암의 사용없이도 래들을 경동시킬 수 있는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는, 용강 래들을 지면에 내려 놓을 때 직접 접촉되어 랙 기어를 상승시키고, 크레인으로 래들을 들어 올릴 때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하여 랙 기어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동부와, 상기 랙 기어의 작동시 각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브래킷을 작동시키는 기어부 및, 스프로킷(Sprocket)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체인이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 브래킷이 슬라이딩되는 브래킷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의하여, 크레인의 보조 후크 이용이 용이해져 다음 공정의 작업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가 있고, 래들 경동시 충격에 의한 경동고리 암의 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보조 후크의 신속한 지원 작업으로 생산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용강 래들, 슬라이딩 브래킷, 경동, 스프로킷, 체인, 베벨기어, 가이드 레일, 스프링 하우징, 랙기어, 피니언

Description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Automatic Sliding-Tilting Apparatus for Ladle}
도 1은 종래의 래들 경동장치에 의하여 래들의 경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업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래들 경동장치 중 경동고리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래들 경동장치 중 보조 틸팅 암의 경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의하여 래들의 경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업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들 11 : 경동고리 암
12 : 보조 틸팅 암 15 : 크레인 보조 후크
21 : 슬라이딩 브래킷 22 : 고정체인
24 : 제3 스프로킷 25 : 제2 스프로킷
26 : 제1 스프로킷 27 : 제2 베벨기어
28 : 제1 베벨기어 29 : 피니언 기어
32 : 랙 기어 33 : 로더
34 : 터치바 35 : 가이드 레일
36 : 스트로크 37 : 스프링 하우징
38 : 스프링 40 : 고정 브래킷
본 발명은 용강의 래들(Ladle)을 경동시키기 위한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에 부착된 경동장치의 브래킷을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연속주조공정에서 주조가 완료된 래들 내의 슬래그 및 잔탕을 정련처리 대기 중인 용강 래들에 합탕하거나 슬래그 포트로 배재 처리할 때, 보조 틸팅 암을 사용하지 않고 크레인 보조 후크를 사용하여 경동하므로써, 래 들의 경동과 복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조 후크의 지원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래들 경동장치는, 수강 TLC(Torpedo Ladle Car)에 래들(10)을 안착하여 이송 중, 상기 래들(10)에서 돌출되는 경동고리 암(11) 부분이 다른 설비들에 간섭되므로, 상기 경동고리 암(11) 부분을 일자형으로 제작하여 수직으로 세운 후 상기 래들(10) 측으로 밀착시키고, 크레인 보조 후크(15)에 보조 틸팅 암(12)을 추가하여 래들의 후킹(Hooking) 작업을 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써, 배재 작업시 상기 보조 틸팅 암(12)으로 래들(10)의 경동고리 암(11)을 후킹하여 배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보조 틸팅 암(12)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배재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크레인 보조 후크(15)와 보조 틸팅 암(12)의 플레이트(Plate) 사이에 갭(Gap)이 발생하여 상기 보조 틸팅 암(12)이 사이드로 뒤틀리면서 래들 경동고리 암(11)으로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경동고리 암을 후킹하기 위해서 주행 중인 크레인을 급격히 정지시켜 상기 보조 틸팅 암(12)에 흔들림(유동)을 발생시킨 후 강제로 진입시켜 배재 작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경동고리 암(11)에 후킹되는 보조 틸팅 암(12)의 후크 크기가 작아 배재 작업시 작은 충격에도 상기 경동고리 암(11)에서 쉽게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재 작업을 마치고 래들(10)의 정립(正立)을 위한 복귀시 경동고리 암에 부착된 라운드 바(Round Bar)(11a)가 래들(10)에 형성된 브래킷(10a)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아 경동고리 암(11)이 하부로 탈락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의 위 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크레인의 주 작업 외에 보조 후크(15)을 사용한 부대작업의 지원시에는 보조 틸팅 암(12)에 샤클(Shackle)이나 와이어 로프를 줄걸이 할 수 없으므로 상기한 보조 후크(15)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보조 틸팅 암(12)을 지상에 안착시킨 후 해체하고 이어서 상기 크레인 보조 후크(15)를 사용하여 다른 부대작업을 지원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어서 상기 보조 후크의 지원 작업이 끝나면 다시 작업자의 신호에 의하여 보조 틸팅 암(12)을 재 후킹(Hooking)한 후 주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용강의 래들을 운송하는 작업이 주업무인 크레인으로 상기와 같은 보조 후크 지원 작업을 실시하면서 주업무에 임하기에는 용강을 계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는 연속주조공정의 특성상 업무 부하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고, 고열의 용강을 취급하는 설비의 특성상 신중하게 운전을 하여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촉박한 시간에 의해 작업을 서두름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용강의 유출 사고에 대한 위험이 항시 존재하고 있었으며, 보조 후크의 지원 작업이 늦어져 다음 공정으로 용강을 원할히 공급하지 못하므로써 주조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강 래들이 수강 TLC 및 지면에 안착되면 슬라이딩 브래킷(Sliding Bracket)을 래들 측으로 이동시켜 경동고리 암을 수직으로 정립시키므로써, 래들의 이동 중 다른 설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크레인으로 래들의 권상시 슬라이딩 브래킷이 래들 외측으로 이동하여 경동고리 암이 래들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보조 틸팅 암의 사용없이 크레인 보조 후크만으로 래들을 경동시켜 배재할 수 있도록 하는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는, 래들 측면의 데크에 고정되는 스프링 하우징과, 스프링 하우징의 상단에 체결되는 상부 커버와, 스프링 스토퍼를 구비하여 스프링과 함께 스프링 하우징의 내부로 안착되며 상부 커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트로크와, 지지대에 의하여 스프링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로더와 터치바가 일체로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랙 기어 및, 로더 및 스트로크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래들을 지면에 내려 놓을 때 직접 접촉되어 랙 기어를 상승시키고, 크레인으로 래들을 들어 올릴 때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하여 랙 기어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동부와;
랙 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동일축 상에 고정되는 제1 베벨기어와, 제1 베벨기어에 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와, 제2 베벨기어의 동일축 상에 고정되는 제1 스프로킷과, 제1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의 동일축 상에 고정되는 제3 스프로킷 및, 제1 스프로킷의 축과 제2 스프로킷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랙 기어의 작동시 각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브래킷을 작동시키는 기어부 및;
경동고리 암의 라운드 바 안착면과 제3 스프로킷과 결합되는 고정체인을 구비하고 연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브래킷 및, 한쌍의 슬라이딩 브래킷에 형성된 안착구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동시에 일측이 래들에 고정된 한쌍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스프로킷(Sprocket)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체인이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 브래킷이 슬라이딩되는 브래킷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는, 래들(10)을 지면에 내려 놓을 때 직접 접촉되어 랙 기어(32)를 상승시키고, 크레인으로 상기 래들을 들어 올릴 때 스프링(38)의 팽창력에 의하여 상기 랙 기어(32)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동부와;
상기 랙 기어(32)의 작동시 각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브래킷(21)을 작동시키는 기어부 및;
스프로킷(Sprocket)(24)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체인(22)이 맞물려 래들에 부착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지지블록(23)의 외관을 타고 슬라이딩되는 브래킷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대한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작동부는, 래들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된 데크(17)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을 가진 스프링 하우징(37)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하우징(37)의 내측에는 상단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하단에 스프링 스토퍼를 구비하여 스프링(38)과 함께 승하강되는 스트로크(36)가 상기 스프링(38)과 함께 상기 스프링 하우징(37)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7)의 상단에는 상부 커버(39)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39)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트로크(36)의 상단부가 상기 커버(39)의 관통구를 통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37)의 일측으로는 지지대(18)에 의하여 래들의 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35)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35)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랙 기어(32)가 설치된다. 상기 랙 기어(32)의 하부에는 래들의 안착시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랙 기어(32)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능을 가진 터치바(34)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랙 기어(32)의 상부에는 상기 랙 기어(32)의 상승시 물리적인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로더(33)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더(33)의 상단에는 상기 스트로크(36) 상단의 나사산과 동일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로더(33)의 상단 및 상기 스트로크(36)의 상단은 고정 브래킷(40)에 체결된 후 각각의 와셔(41a, 42a)와 볼트(41b, 42b)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40)에 의한 고정에 의하여 상기 랙 기어(32)의 상승시 상기 스트로크(36)도 동반하여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랙 기어(32)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9)를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기어(29)의 동일축 상에는 제1 베벨기어(28)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28)에는 제2 베벨기어(27)가 직각으로 맞물려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베벨기어(28, 27)는 덮개(31)를 구비한 케이스(30) 내부에 위치하여 보호된다.
상기 제2 베벨기어(27)의 동일축 상에는 제1 스프로킷(26)이 고정된 후 상기 제2 베벨기어(27)의 축 말단은 플레이트(Plate)(44)의 일측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플레이트(44)의 타측에는 제2 스프로킷(25) 및 제3 스프로킷(24)이 각각 고정된 축의 말단이 고정되어 지지진다. 즉, 상기 제2 및 제3 스프로킷(25, 24)은 한 몸체로서 동일축 상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프로킷(26)과 제2 스프로킷(25)은 체인(43)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브래킷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2개의 블록(23)을 포함하되, 상기 2개의 블록(23)은 경동고리 암이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래들에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블록(23)은 슬라이딩 브래킷(21)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안착구에 각각 결합되어 안착된다.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21)의 상면에는 경동고리 암의 라운드 바(11a)(도 2에 도시)가 안착되는 안착면(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21)의 안착구 외측면에는 각각 고정체인(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체인(22)은 상기 제3 스프로킷(24)과 맞물려져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브래킷(21)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연결 부재(45)에 의하여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도 4 및 하기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의하여 래들의 경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업 상태도로서, 도면(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들(10)이 지면에 안착되어 있을 경우, 터치바(34)가 지면에 접촉되어 랙 기어(32)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랙 기어(32)의 상승에 의하여 스프링 하우징(37) 내의 스트로크(36)도 동반하여 상승하여 스프링(38)을 압축시키게 되고, 상기 랙 기어(32)의 상승으로 피니언 기어(2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9)와 동일축 상에 고정된 제1 베벨기어(28)와 맞물린 제2 베벨기어(27)가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베벨기어(27)의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베벨기어(27)와 동일축 상에 고정된 제1 스프로킷(26)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26)과 체인(43)에 의하여 연결된 제2 스프로킷(25)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 스프로킷(25)과 동일축 상에 고정된 제3 스프로킷(24)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스프로킷(24)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브래킷(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스프로킷(24)과 맞물려 있던 고정체인(22)이 래들(1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21)이 상기 래들(10) 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경동고리 암(11)을 래들(1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동작에 대한 기재는 래들이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가 슬라이딩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래들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렸을 때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들(10)이 크레인에 의하여 지면으로 부터 들어 올려져 상기 래들(1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는, 터치바(34)가 먼저 지면으로 부터 이격되고, 상기 터치바(34)가 이격되면 스프링 하우징(37) 내에서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38)이 팽창함에 따라, 스프링 하우징(37) 내에서 스프링(38)을 압축시키고 있던 스트로크(36)에 물리적인 힘(스프링의 팽창력)이 전달되므로, 위로 상승되어 있던 랙 기어(32)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랙 기어(32)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랙 기어(32)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2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래들이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가 슬라이딩되는 동작과 반대로, 상기 피니언 기어(29)와 동일축 상에 고정된 제1 베벨기어(28)와 맞물린 제2 베벨기어(27)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제3 스프로킷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 스프로킷(24)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브래킷(21)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체인(22)이 래들(10)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브래킷(21)이 상기 래들(10)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경동고리 암(11)을 래들(10) 반대방향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크레인의 보조 후크(15)로 상기 경동고리 암(11)을 후킹할 수 있는 상태(도 7에 도 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는, 용강의 래들이 지면에 안착되면 슬라이딩 브래킷이 상기 래들 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경동고리 암을 상기 래들 측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수강 TLC에 의한 용강 래들의 이송시 경동고리 암이 돌출되지 않아 다른 설비에 간섭 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안전한 이송이 가능해 지고, 크레인으로 용강 래들을 들어 올릴 때 슬라이딩 브래킷이 래들의 외측으로 자동 슬라이딩되어 크레인의 보조 후크 이용이 용이해짐에 따라 용강의 합탕 및 슬래그 배재시간이 단축되어 다음 공정의 작업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가 있으며, 특히 래들 경동시 충격에 의한 경동고리 암의 탈락을 방지하고 래들 경동 후 복귀시에도 경동고리 암에 부착된 라운드 바가 브래킷에 안전하게 안착되므로 하부 탈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래들 운송 중 발생되는 보조 후크의 지원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연속주조공정에 따른 원활한 지원으로 생산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Claims (2)

  1. 래들(10) 측면의 데크(17)에 고정되는 스프링 하우징(37)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37)의 상단에 체결되는 상부 커버(39)와, 스프링 스토퍼를 구비하여 스프링(38)과 함께 상기 스프링 하우징(37)의 내부로 안착되며 상기 상부 커버(39)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트로크(36)와, 지지대(18)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하우징(37)의 일측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35)과,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로더(33)와 터치바(34)가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5)에 결합되는 랙 기어(32) 및, 상기 로더(33) 및 스트로크(36)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40)으로 이루어진 작동부와;
    상기 랙 기어(32)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9)와, 상기 피니언 기어(29)의 동일축 상에 고정되는 제1 베벨기어(28)와, 상기 제1 베벨기어(28)에 결합되는 제2 베벨기어(27)와, 상기 제2 베벨기어(27)의 동일축 상에 고정되는 제1 스프로킷(26)과, 상기 제1 스프로킷(26)과 체인(43)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 스프로킷(25)과, 상기 제2 스프로킷(25)의 동일축 상에 고정되는 제3 스프로킷(24) 및, 상기 제1 스프로킷(26)의 축과 제2 스프로킷(25)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플레이트(44)로 이루어진 기어부 및;
    경동고리 암(11)의 라운드 바(11a) 안착면(21a)과 상기 제3 스프로킷(24)과 결합되는 고정체인(22)을 구비하고 연결부재(45)에 의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브래킷(21) 및,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브래킷(21)에 형성된 안착구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동시에 일측이 래들(10)에 고정된 한쌍의 블록(23)으로 이루어진 브래킷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벨기어(28, 27)는 덮개(31)를 구비한 케이스(30) 내부에 설치되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KR1020030038999A 2003-06-17 2003-06-17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KR100958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99A KR100958740B1 (ko) 2003-06-17 2003-06-17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99A KR100958740B1 (ko) 2003-06-17 2003-06-17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23A KR20040108423A (ko) 2004-12-24
KR100958740B1 true KR100958740B1 (ko) 2010-05-19

Family

ID=3738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999A KR100958740B1 (ko) 2003-06-17 2003-06-17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25B1 (ko) * 2014-07-29 2015-11-12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장치
KR101612758B1 (ko) * 2014-12-17 2016-04-18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의 경동장치
KR20170040641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장치
KR102210206B1 (ko) * 2019-08-05 2021-02-01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88B1 (ko) 2007-03-28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래들 경동고리의 위치조정장치
CN101791695B (zh) * 2010-04-23 2012-07-04 杭州冠重铸机有限公司 一种钢包倒包机构及倒包方法
CN108889935B (zh) * 2018-09-20 2023-07-04 哈斯科(唐山)冶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钢渣罐吊装倾翻装置
CN114406250B (zh) * 2021-12-18 2023-09-29 无锡市蠡湖铸业有限公司 一种浇筑包挂取系统用柔和防护式接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58U (ko) * 1998-04-06 1999-11-05 이구택 수강래들 필러구의 중량추 투입장치
KR200177677Y1 (ko) 1999-11-05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로용 슬라그 체크볼의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58U (ko) * 1998-04-06 1999-11-05 이구택 수강래들 필러구의 중량추 투입장치
KR200177677Y1 (ko) 1999-11-05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로용 슬라그 체크볼의 투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25B1 (ko) * 2014-07-29 2015-11-12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장치
KR101612758B1 (ko) * 2014-12-17 2016-04-18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의 경동장치
KR20170040641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장치
KR102210206B1 (ko) * 2019-08-05 2021-02-01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23A (ko)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740B1 (ko)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US4030568A (en) High visibility mast for lift trucks
US20170210432A1 (en) Public works vehicle provided with counterweight lifting system
US6254157B1 (en) Load clamping and lifting apparatus
AU20102286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inuous casting nozzle, sliding nozzle system and continuous casting nozzle
US3913756A (en) Ladle skimmer
EP0252273A2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ized materials into and from isothermal delivery wagons or containers
JPH05202529A (ja) ショベルローダの可傾シリンダ
US4280628A (en) Anti-two block system
JP3113837U (ja) スラグ分離除去装置
EP3031770B1 (en) Gravity actuated crane stop
JP6709107B2 (ja) 油圧シリンダの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連続アンローダ
US3780878A (en) Boom assembly for lift and tow truck
SI26015A (sl) Mobilno teleskopsko hidravlično dvigalo
RU23494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ертыван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ковшей
RU2041022C1 (ru) Механизм для установки и съема крышки на литейном ковше разливочного стенда мнлз
CN220612292U (zh) 一种板坯中间罐倾翻设备
KR200201613Y1 (ko)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KR0140411Y1 (ko) 선박용 소형 크레인
KR20240074203A (ko) 레이들 각도 조절 장치
SU1059138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08167B1 (ko) 전로의 다트공급장치
KR100879355B1 (ko) 통 크레인용 슬라브 파지매수 확인장치
KR200218126Y1 (ko) 천정기중기용 비상리미트스위치의 자동 복구 장치
KR100758448B1 (ko) 연속주조설비의 래들주입구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