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206B1 -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206B1
KR102210206B1 KR1020190095094A KR20190095094A KR102210206B1 KR 102210206 B1 KR102210206 B1 KR 102210206B1 KR 1020190095094 A KR1020190095094 A KR 1020190095094A KR 20190095094 A KR20190095094 A KR 20190095094A KR 102210206 B1 KR102210206 B1 KR 10221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oving
gear
contain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9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걸이 및 상기 걸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이와 결합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관부에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으로서 걸이를 용기쪽으로 당긴상태에서 용기를 이동시키므로 걸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본 발명은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물을 운반하는 운반 장치에 구비되는 걸이와 주변 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조업은 용선 예비처리, 전로 정련, 2차 정련 및 연속주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에 전로 정련 공정은 전로에 용선을 공급하고 산소를 취입하여 용선 내 탄소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전로 정련 공정을 할 때 전로에는 고철이 장입되고, 이후 용선이 공급된다. 제선공정을 거쳐 나온 용선은 래들에 수용된 상태로 천장 크레인에 의해 권상되어 전로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전로의 상부에 위치한 래들은 천장 크레인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보조 크레인의 동작에 의해 래들이 기울어지면서(즉, 경동되면서) 수용된 용선을 전로로 장입시키게 된다.
한편, 천장 크레인으로 래들을 이동시킬 때, 래들에 구비되는 보권걸이가 주변 구조물 및 장애물에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보권걸이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래들의 보권걸이가 용기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보권걸이가 래들에서 이탈될 경우, 래들에 수용된 용선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유출된 용선은 작업장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권걸이가 래들에서 이탈될 경우,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 없어 전로 정련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KR 20-1998-0028762 U
본 발명은 운반 장치에 구비된 걸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반 장치에 구비된 걸이와 주변 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장입 장치는,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걸이; 및 상기 걸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이와 결합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관부에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이동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관부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걸이에 걸림 체결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보관부에 설치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상기 보관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관부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제1 하우징; 상기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기와 결합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구동기; 및 상기 제1 구동기와 상기 걸림부에 각각 연결되는 전달기;를 포함한다.
상기 전달기는, 상기 제1 구동기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기어; 및 일측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타측이 상기 걸림부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보관부로 삽입된 상기 걸림부의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혹은 상기 걸림부의 유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보조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구동부는, 상기 보관부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제2 하우징;
상기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기와 결합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구동기; 일측이 상기 구동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제2 구동기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스토퍼의 상측에 형성되는 보조전달기;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달기는, 상기 제2 구동기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3 기어; 및 상기 스토퍼의 타측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3 기어에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구동부는, 신장 수축 가능하고 상기 스토퍼의 타측과 상기 스토퍼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보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관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상측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부재와 하측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재의 하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2 바디부재의 내부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몸체와, 상기 걸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걸림부몸체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바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몸체를 하향 경사진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바디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걸림부몸체의 하면과 상기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는 경동걸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 방법은, 운반 용기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운반 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걸이를 상기 운반 용기 쪽으로 당기는 과정; 상기 걸이가 당겨진 상태로 상기 운반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걸이를 펼치는 과정; 및 상기 운반 용기를 경동시켜 상기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를 상기 운반 용기 쪽으로 당기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상기 운반 용기의 내부이면서 상기 용융물과 접촉하지 않는 독립된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를 상기 독립된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상향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걸이를 상기 운반 용기를 향하도록 회전시켜 상하방향으로 세우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를 펼치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상기 독립된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독립된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하향 경사지게 슬라이동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걸이를 회전시켜 경사지게 눕히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가 당겨진 상태로 상기 운반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걸이에 당기는 힘을 계속 가하는 과정 또는 당겨진 걸이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걸이를 용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 용기의 벽체에 근접시키므로, 걸이가 운반 장치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주변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기에서 걸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내부에 용융물이 수용되는 공간과 독립된 공간인 내부공간으로 이동부를 이동시켜 삽입 이탈 가능하게 형성하므로, 걸이를 더 효과적으로 용기의 벽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에, 걸이가 운반 장치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주변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운반 장치를 경동시켜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등의 공정을 진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 및 운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1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이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보조구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2 작동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2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제철소의 제선 또는 제강공정에 사용되는 처리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즉, 용기는 내부에 용선 또는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일 수 있고, 운반기는 래들을 운반할 수 있는 천장 크레인일 수 있다. 하지만, 용기 및 운반기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걸이는 래들에 구비되는 경동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걸이의 적용 범위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 중, '전방'과 '후방'은 구성 요소가 적용되는 설비 예컨대 용기에 대한 방향을 지칭하며, 용기에서 걸이가 설치되는 방향이 '후방'일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이 '전방'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 및 운반기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운반기(10)를 설명한다.
운반기(10)는 운반 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시킨 운반 장치(100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방향은 운반기(10)에 의해 운반 장치(1000)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면상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 혹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운반기(10)는 작업장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기(10)는 천장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적용되는 통상적인 기중기일 수 있다. 또한, 운반기(10)는 주권후크(11) 및 보권후크(12)를 구비할 수 있다.
주권후크(11)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용기(1100)의 한 쌍의 주권걸이(1130)에 각각 걸릴 수 있다. 이에, 운반기(10)가 이동할 때, 용기(1100)가 운반기(10)에 걸려 지지된 상태로 이송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보권후크(12)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반 장치(1000)에 구비되는 걸이(1300)에 걸릴 수 있다. 보권후크(12)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반 장치(100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즉, 보권후크(12)가 운반 장치(1000)를 기울어지게 들어올려, 운반 장치(10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주권후크(11) 및 보권후크(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1000)를 설명한다.
운반 장치(1000)는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1120)을 가지는 용기(1100), 용기(1100)의 벽체(1110)에서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관부(1200), 보관부(1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용기(1100)에 설치되는 걸이(1300), 걸이(1300)와 결합되어 걸이(13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100)는 제철소에서 용선이나 용강 등의 용융물을 저장 및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용기(1100)는 용융물을 수용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100)는 용기(1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벽체(1110), 용융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벽체(1110)로 둘러싸여 형성된 수용공간(1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1100)는 운반기(10)를 통해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1100)의 벽체(1110)에는 한 쌍의 주권걸이(11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주권걸이(1130)는 벽체(1110)에서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이하 교차방향이라 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이송방향에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주권걸이(1130)는 운반기(10)의 주권후크(11)와 결합될 수 있다. 용기(1100)는 주권걸이(1130)가 주권후크(11)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운반기(10)에 지지되어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용기(110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보관부(1200)는 용기(1100)의 벽체(1110)에서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관부(1200)는 수용공간(1120)과 분리되는 내부공간(1220)을 갖을 수 있다. 이에, 보관부(1200)의 내부공간(1220)에 이동부(140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보관부(1200)는 일측이 개방되는 챔버(1210) 및 챔버(1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커버(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210)는 내부공간(1220)을 형성하도록 벽체(1110)에서 수용공간(1120)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챔버(1210)는 용기(1100)의 벽체(1110)에서 연장되고,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1210)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챔버(1210)의 일측은 챔버(1210)의 후방일 수 있으며, 이에 챔버(1210)의 후방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1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부재(1211)와, 제1 바디부재(1211)의 하측에서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바디부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챔버(1210)는 내부에 용기(1100)의 수용공간(1120)과 고립된 내부공간(12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챔버(1210)는 용기(1100)의 수용공간(1220)과 연통되지 않는 독립된 공간인 내부공간(1220)을 구비할 수 있다. 하기에서 내부공간(1220)을 설명함에 있어서, 내부공간(1220) 중 챔버(1210)의 상측에 위치한 부분을 제1 공간(1221)이라 명명하고, 내부공간(1220) 중 챔버(1210)의 하부에 위치한 부분을 제2 공간(1222)이라 명명한다. 즉, 내부공간(1220) 중 제1 바디부재(1211) 내부의 공간이 제1 공간(1221)일 수 있고, 제2 바디부재(1212) 내부의 공간이 제2 공간(1222)일 수 있다.
제1 바디부재(1211)는 챔버(1210)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고, 제1 공간(1221)을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재(1211) 내부의 제1 공간(1221)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42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재(12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부재(1212)는 제1 바디부재(1211)의 하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챔버(1210)의 하측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부재(1212)는 제2 공간(1222)을 형성하도록 제1 바디부재(1211)의 하측에서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바디부재(1212)에 후술하는 걸림부몸체(141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몸체(1411)가 제2 바디부재(1212)의 내외측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바디부재(1212)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30°내지 60°의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재(1212)의 형성 각도가 30°에 가까울수록, 경사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제2 바디부재(1212) 내측 방향으로 걸림부몸체(1411)를 더 적은 힘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2 바디부재(1212)의 형성 각도가 60°에 가까울수록, 경사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걸림부몸체(1411)를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2 바디부재(121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바디부재(1212)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45°의 각도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바디부재(1212)는 제2 공간(1222)이 제1 바디부재(1211)의 제1 공간(1221)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후방 측이 개방된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챔버(1210)는 교차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J'자 형태로, 벽체(1110)에서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재(1211) 및 제2 바디부재(121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챔버(1210)의 제1 바디부재(1211) 및 제2 바디부재(12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커버(1230)는 챔버(1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230)는 챔버(1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30)는 챔버(1210)에서 제1 바디부재(1211)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제1 커버부재(1231)와, 제2 바디부재(1212)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제2 커버부재(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재(1231)는 커버(1230)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재(1211)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커버부재(1231)는 제1 바디부재(1211)의 개방된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재(12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교차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휘어진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재(1231)는 하측에 이송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420)의 제1 기어(1423a)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을 관통할 수 있고, 상기 홀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이 후술하는 제1 구동부(14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부재(1232)는 커버(1230)의 하측 부분을 형성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디부재(1212)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부재(1232)는 제2 바디부재(1212)의 개방된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부재(1232)는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교차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교차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휘어진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재(1232)는 후술하는 걸림부(1410)의 걸림부몸체(14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송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1230)는 이송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철'(凸)'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부재(1231) 및 제2 커버부재(123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커버(1230)의 제1 커버부재(1231) 및 제2 커버부재(12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걸이(1300)는 운반기(10)의 보권후크(12)와 결합 가능하며, 보권후크(12)에 의해 경동될 수 있다. 여기서, 걸이(1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래들에 설치되는 경동걸이일 수 있다. 걸이(1300)는 용기(110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걸이(1300)는 용기(1100)의 후방에서 용기(1100)의 상하방향(이하 상하방향이라 함)의 하측에 형성되며, 벽체(1110)에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이하 원주방향이라 함)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용기(110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일 수 있고, 이송방향 및 교차방향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원주방향은 교차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방향일 수 있다. 걸이(1300)는 벽체(1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벽체(1110)와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및 링크체결의 방식으로 용기(1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걸이(1300)는 일단이 벽체(1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교차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1310)와,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131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로드(1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1310)는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고, 연결로드(1320)는 연결플레이트(1310)의 사이에서 연결플레이트(1310)의 타단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플레이트(1310)는 후술하는 걸림부(1410)의 체결바(1412)와 결합될 수 있고, 연결로드(1320)는 보권후크(1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1310)에는 교차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핀(13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1311)은 후술하는 걸림부(1410)의 체결바(1412)에 결속될 수 있다. 이에, 걸이(1300)가 고정핀(1311)을 통해 걸림부(1410)와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걸이(130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부(1400)는 걸이(1300)와 결합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내부공간(122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보관부(1200)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부(1400)는 걸이(13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220)으로 삽입되며 걸이(1300)를 상하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1400)는 이동 가능하게 보관부(1200)에 설치되는 걸림부(1410) 및 걸림부(1410)를 보관부(1200)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410)는 내부공간(1220)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몸체(1411), 걸이(1300)에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체결바(1412), 걸림부몸체(1411)를 지지할 수 있는 실린더(1413) 및 걸림부몸체(1411)의 하면과 제2 바디부재(1212) 사이에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1414)를 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몸체(1411)는 제2 바디부재(1212)의 제2 공간(12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몸체(1411)는 교차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폭과, 상기 폭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폭보다 작은 길이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폭 및 상기 두께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몸체(1411)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에서 하측으로 단턱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걸림부몸체(1411)의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부분을 상부몸체라 명명하고, 걸림부몸체(1411)의 상부몸체에서 하측으로 탄턱이 형성된 부분을 하부몸체라 명명한다.
또한, 걸림부몸체(1411)는 구동부(1420)와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몸체(1411)의 상부몸체에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치는 상부몸체의 상면에서 상부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몸체(1411)의 기어치와 제2 기어(1423b)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몸체(1411)의 기어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걸림부몸체(1411) 및 기어치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체결바(1412)는 복수개 마련되고 걸림부몸체(1411)에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체결바(1412)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걸림부몸체(1411)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체결바(1412)는 막대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바(1412)의 상면에 체결돌기(141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412a)는 상측으로 절곡되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412a)에는 걸이(1300)의 고정핀(1311)이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바(1412)는 걸림부몸체(1411)와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걸림부몸체(1411)와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체결바(14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실린더(1413)는 걸림부몸체(1411)를 하향 경사진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즉, 실린더(1413)는 걸림부몸체(1411)가 보관부(1200)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동할 때, 제2 커버(1230) 혹은 제2 바디부재(1212)와 충돌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1413)는 제2 공간(1222)에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실린더(1413)가 제2 커버부재(1232)에서 설치되고, 걸림부몸체(1411)의 하부몸체를 접촉 지지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실린더는 유압실린더 및 에어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실린더(1413)의 설치 위치 및 실린더(1413)와 걸림부몸체(1411)의 접촉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414)는 제2 바디부재(121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몸체(1411)가 내부공간(1220)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바디부재(1212)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걸림부몸체(1411)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러(1414)는 걸림부몸체(1411)의 하부몸체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부몸체 하면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몸체 하면과 접하는 제2 바디부재(1212)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복수의 롤러(1414)가 걸림부몸체(1411)에 삽입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복수의 롤러(1414)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1420)는 걸림부몸체(1411)를 보관부(1200)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구동부(1420)의 일부가 제1 바디부재(1211)의 제1 공간(1221) 설치되고, 일부가 제1 커버(123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구동부(142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1420)는 제1 하우징(1421), 운반기(10)의 보권후크(12)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구동기(1422) 및 전달기(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421)은 보관부(1200)와 마주보는 일면 및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하우징(14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1 구동기(1422)가 제1 하우징(1421)에 삽입될 수 있고,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제1 하우징(1421)에 배치된 제1 구동기(1422)와 후술하는 전달기(1423)의 제1 기어(1423a)가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하우징(14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422)는 중공의 제1 하우징(142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기(1422)는 보권후크(12)와 걸림 체결될 수 있다. 제1 구동기(1422)는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의 상측에서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기(1422)를 교차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1 구동기(1422)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부분을 상부영역이라 명명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부분을 하부영역이라 명명한다.
제1 구동기(1422)의 하부영역은 제1 하우징(14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구동기(1422)의 하부영역에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역역에서 보관부(1200)를 마주보는 일면에 기어치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치는 제1 기어(1423a)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구동기(14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기어(1423a)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기(1422)의 기어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어치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422)의 상부영역은 운반기(10)의 보권후크(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구동기(1422)의 상부영역의 하면에는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 보권후크(12)가 걸림 체결될 수 있고, 이에 보권후크(12)가 상승 이동하면 제1 구동기(1422)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4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달기(1423)는 제1 구동기(1422)의 기어치와 걸림부몸체(1411)의 기어치에 각각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달기(1423)는 제1 구동기(1422)의 기어치와 치합될 수 있는 제1 기어(1423a) 및 제1 기어(1423a)와 걸림부몸체(1411)의 기어치에 각각 치합될 수 있는 제2 기어(14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1423a)는 제1 바디부재(1211)의 제1 공간(122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기어(142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재(1231)에 형성된 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관통할 수 있고, 상기 홀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이 제1 구동기(1422)의 기어치와 치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423a)는 래칫기어 혹은 피니언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1423a)의 중심에는 제1 회전축(1423c)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423c)은 원통형 막대로 형성되고, 제1 바디부재(1211)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바디부재(1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423a)는 제1 회전축(1423c)을 통해 제1 바디부재(121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1423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기어(1423b)는 제1 기어(1423a)와 걸림부몸체(1411)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기어(1423b)는 제1 바디부재(1211)의 제1 공간(1221) 내에서 제1 기어(1423a)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제1 기어(1423a)와 치합되고 타측이 걸림부몸체(1411)의 기어치와 치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423b)는 피니언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1423b)의 중심에는 제2 회전축(1423d)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423d)는 원통형 막대로 형성되고, 제1 바디부재(1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기어(1423b)는 제2 회전축(1423d)을 통해 제1 바디부재(121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1423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1 작동 상태도이다. 도 4(a)는 체결바와 걸이의 고정핀이 결합된 도면이고, 도 4(b)는 걸이가 용기쪽으로 당겨지는 도면이고, 도 4(c)는 걸이가 펼쳐지는 도면이고, 도 4(d)는 용기를 경동시키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운반 장치(1000)의 제1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1300)는 체결바(14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걸이(1300)의 고정핀(1311)이 체결바(1412)의 체결돌기(1412a)에 결속되어 걸이(1300)가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기(1422)는 제1 하우징(1421)에 삽입될 수 있고, 걸림부몸체(1411)는 일부가 제2 바디부재(1212)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제2 바디부재(12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413)는 걸림부몸체(1411)의 하부몸체와 접촉되며 걸림부몸체(141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보권후크(12)는 제1 구동기(1422)에 형성된 홈에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권후크(12)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구동기(1422)도 보권후크(12)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 구동기(1422)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있는 제1 기어(1423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기어(1423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1423a)와 치합되어 있는 제2 기어(1423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기어(1423b)의 타측과 치합되어 있는 기어치도 맞물려 이동할 수 있고, 이에, 걸림부몸체(1411)가 제2 공간(122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롤러(14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걸림부몸체(1411)와 제2 바디부재(121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걸림부몸체(1411)가 제2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부몸체(1411)의 이동에 연동하여 걸이(1300)도 회전하며 상하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이후 운반기(10)의 주권후크(11)를 용기(1100)의 주권걸이(1130)와 결합시킬 수 있고, 운반 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 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보권후크(12)는 제1 구동기(1422)와 결합되어 제1 구동기(1422)를 상측으로 당기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용기(1100) 이동시 걸이(1300)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운반기(10)가 정지하면, 보권후크(12)를 제1 구동기(1422)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구동기(1422)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1 구동기(1422)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 기어(1423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기어(1423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1423b)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걸림부몸체(1411)를 제2 공간(122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걸이(1300)가 회전하며 펼쳐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롤러(14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하향 경사지게 이동하는 걸림부몸체(1411)를 실린더(1413)가 하향 경사진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즉, 실린더(1413)가 걸림부몸체(1411)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걸림부몸체(1411)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1 구동기(1422)와 분리된 보권후크(12)를 이동시켜 걸이(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보권후크(12)를 걸이(1300)의 연결로드(13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걸이(1300)와 결합된 보권후크(1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용기(110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1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이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보조구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에서는 제1 커버(1230)에 홀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측 홀에는 후술하는 제3 기어(1434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관통되어 후술하는 제2 구동기(1432)의 기어치와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동부(1400)는 보관부(1200)로 삽입된 걸림부(1410)의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혹은 걸림부(1410)의 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보조구동부(1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보조구동부(1430)의 일부가 제1 공간(1221)에서 구동부(1420)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부가 제1 커버(123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보조구동부(143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보조구동부(1430)는 제2 하우징(1431), 보권후크(12)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구동기(1432), 일측이 구동부(14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1433), 구동부(142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는 보조전달기(1434) 및 탄성부재(1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431)은 보관부(1200)와 마주보는 일면 및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1431)은 제1 하우징(1421)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421)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43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제2 구동기(1432)가 제2 하우징(1431)에 삽입될 수 있고,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제2 하우징(1431) 내부의 제2 구동기(1432)와 후술하는 보조전달기(1434)의 제3 기어(1434a)가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하우징(143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구동기(1432)는 중공의 제2 하우징(143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구동기(1432)는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부가 교차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구동기(1432)는 제1 구동기(1422)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2 구동기(1432)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부분을 제2 구동기(1432)의 하부영역이라 명명하고,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부분을 제2 구동기(1432)의 상부영역이라 명명한다.
제2 구동기(1432)의 하부영역은 제2 하우징(143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구동기(1432)의 하부영역에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영역에서 보관부(1200)를 마주보는 일면에 기어치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치는 제3 기어(1434a)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2 구동기(143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3 기어(1434a)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기(1432)의 기어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어치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구동기(1432)의 상부 영역은 운반기(10)의 보권후크(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구동기(1432)의 상부 영역의 하면에는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 보권후크(12)가 걸림 체결될 수 있고, 보권후크(12)가 상승 이동하면 제2 구동기(1432)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동기(14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보조전달기(1434)는 제2 구동기(1432)에 연결되고, 스토퍼(1433)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전달기(1434)는 제2 구동기(1432)의 기어치와 치합될 수 있는 제3 기어(1434a) 및 제3 기어(1434a)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1433)와 접촉할 수 있는 샤프트(143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어(1434a)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어(1434a)는 제2 구동기(1432)의 기어치와 치합될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기어(1434a)의 중심에는 제3 회전축(1434b)이 삽입될 수 있다. 제3 회전축(1434b)은 원통형 막대로 형성되고, 제1 바디부재(1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3 회전축(1434b)이 제1 공간(1221)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바디부재(12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제3 기어(1434a)는 제1 회전축(1423c)을 통해 제1 바디부재(121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434c)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막대일 수 있다. 샤프트(1434c)는 제3 기어(1434a)의 교차방향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샤프트(1434c)는 제3 기어(1434a)에서 기어치가 형성된 외주면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일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샤프트(1434c)는 제3 기어(1434a)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회전할 때 스토퍼(1433)의 타측과 접촉 즉, 스토퍼(1433)의 타측을 밀어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1434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스토퍼(1433)는 제1 기어(1423a)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스토퍼(1433)는 제1 기어(1423a)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시계방향 회전은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433)는 일측의 단부가 하향 절곡된 래칫 폴(rachet pawl) 형상이고, 타측의 단부가 상향 절곡된 래칫 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칫 폴은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톱니로 래칫기어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하는 톱니일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433)의 일측은 제1 기어(1423a)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도면상 후술하는 스토퍼회전축(1433a)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1433)의 타측은 후술하는 샤프트(1434c)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도면상 스토퍼회전축(1433a)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1433)의 중심부에는 스토퍼회전축(1433a)이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회전축(1433a)은 제1 바디부재(12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토퍼회전축(1433a)을 통해 스토퍼(1433)가 제1 바디부재(121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433)의 일측 단부는 제1 기어(1423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 기어(1423a)의 기어치들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기어(1423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스토퍼(1433)의 일측 내측면과 기어치의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스토퍼(1433)가 기어치 외주면을 따라 소정각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소정각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토퍼(1433)의 일측이 기어치의 이끝높이 부분과 접촉한 상태에서 기어치들 사이의 홈부분과 가까워질 때 소정각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다시 기어치의 이끝높이 부분과 가까워질 때 소정각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제1 기어(1423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스토퍼(1433)의 일측이 제1 기어(1423a)의 기어치들 사이의 홈부분에 걸릴 수 있다. 즉, 기어치의 일면과 스토퍼(1433)의 일측 외측면이 접하며 걸리게 되고, 이에 스토퍼(1433)가 제1 기어(1423a)를 반시계방향에서 지지하며 제1 기어(1423a)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어(1423a)의 시계방향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433)의 타측은 샤프트(1434c)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스토퍼샤프트(1433a)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토퍼(1433)의 타측 내측면이 회전하는 샤프트(1434c)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제3 기어(1434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스윙 회전하는 샤프트(1434c)와 접촉할 수 있고, 샤프트(1434c)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커버(1230)를 향하는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지만, 스토퍼(143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부재(1435)는 스토퍼(1433)의 타측과 스토퍼(1433)의 타측과 마주보는 제1 커버(1230) 사이에 구비되며,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435)는 샤프트(1434c)에 의해 가압되며 제1 커버(1230)를 향하여, 즉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토퍼(1433)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스토퍼(1433)의 타측에 샤프트(1434c)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435)는 신장되며 스토퍼(1433)를 제1 커버(1230)와 이격되도록, 즉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435)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9a 및 도9b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2 작동 상태도이다.
도 9a(a)는 체결바와 걸이의 고정핀이 결합된 도면이고, 도 9a(b)는 걸이가 용기쪽으로 당겨지는 도면이고, 도 9a(c)는 걸이의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는 도면이고, 도 9b(d)는 걸이가 펼쳐지는 도면이고, 도 9b(e)는 용기를 경동시키는 도면이다.
도 9a(a) 내지 도 9a(c) 및 도 9b(d) 내지 도9b(e)를 참조하여, 운반 장치의 제2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작동상태와 동일한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a(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1300)는 체결바(1412)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기(1422)는 제1 하우징(142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고, 제2 구동기(1432)는 제2 하우징(1431)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1433)의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기어(1423a)의 기어치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일 수 있고 스토퍼(1433)의 타측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샤프트(1434c)는 제1 바디부재(1211)과 접촉해 있는, 즉 제1 공간(122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도 9a(b)를 참조하면, 보권후크(12)로 제1 구동기(1422)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423a) 및 제2 기어(1423b)가 회전하며 걸림부몸체(1411)를 제2 공간(122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423a)는 래칫 폴 형상의 스토퍼(1433)의 일측과 접촉하는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토퍼(1433)의 일측이 제1 기어(1423a)의 기어치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을 반복하며 제1 기어(1423a)의 기어치와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 기어(1423a)와 접촉된 상태에서 제1 기어(1423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9a(c)를 참조하면, 걸림부몸체(1411)가 제2 공간(122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보권후크(12)를 제1 구동기(1422)와 분리시킬 수 있다. 보권후크(12)와 제1 구동기(1422)가 분리되면, 제1 구동기(1422)는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에, 제1 구동기(1422)와 치합된 제1 기어(1423a)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433)의 일측이 제1 기어(1423a)의 기어치들 사이의 홈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즉, 스토퍼(1433)의 타측 외주면과 제1 기어(1423a)의 기어치가 면접촉하며 걸리게 될 수 있고, 제1 기어(1423a)를 반시계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423a)가 스토퍼(1433)에 걸려 고정되므로 제1 기어(1423a)의 시계방향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기어(1423a)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제2 기어(1423b)도 고정될 수 있고, 제2 기어(1423b)의 타측과 치합된 걸림부몸체(1411)도 고정되어 제2 공간(1222)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걸림부몸체(1411)가 제2 공간(1222)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운반기(10)에 의해 운반 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b(d)를 참조하면, 운반기(10)가 정지하면, 보권후크(12)를 제2 구동기(1432)에 형성된 홈에 걸림 체결시키고,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권후크(12)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구동기(1432)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구동기(1432)와 치합되어 있는 제3 기어(1434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샤프트(1434c)는 제3 기어(1434a)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1433)의 타측과 접촉할 수 있고, 접촉된 상태로 더 이동하여 스토퍼(143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토퍼(143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1433)의 일측에 의해 고정되었던 제1 기어(1423a)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423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1423a)의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제2 기어(1423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걸림부몸체(1411)가 제2 공간(122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걸이(1300)가 회전하며 펼쳐질 수 있다.
도 9b(e)를 참조하면, 걸이(1300)가 전개되면, 보권후크(12)를 제2 구동기(1432)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구동기(1432)가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3 기어(1434a)와 샤프트(1434c)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분리된 보권후크(12)를 걸이(1300)에 걸림 체결시키고 상측으로 이동시켜 용기(110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1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 방법은, 운반 장치(1000)로 용융물을 운반하는 방법으로, 운반 용기(1100)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S110), 이동부(1400)를 이용하여 운반 용기(1100)에 설치되어 있는 걸이(1300)를 운반 용기(1100) 쪽으로 당기는 과정(S120), 걸이(1300)가 당겨진 상태로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키는 과정(S130), 걸이(1300)를 펼치는 과정(S140) 및 운반 용기(1100)를 경동시켜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S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반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운반 용기(1100)의 수용공간(1120)에 용융물을 마련할 수 있다(S110). 또한, 이동부(1400)를 이용하여 운반 용기(1100)에 설치되어 있는 걸이(1300)를 운반 용기(1100) 쪽으로 당길 수 있다(S120). 즉, 이동부(1400)를 운반 용기(1100)의 내부이면서 용융물과 접촉하지 않은 독립된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이(1300)를 용기(1100) 쪽으로 당길 수 있다. 하기에서는 운반 용기(1100)의 내부이면서 용융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20)과 연통되지 않는 독립된 공간을 내부공간(1220)이라 명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400)를 내부공간(122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운반기(10)의 보권후크(12)를 이동부(1400)의 제1 구동기(1422)에 걸어 제1 구동기(1422)를 상측으로 당길 수 있다. 제1 구동기(142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부(1400)를 내부공간(1220)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이동부(14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부(1400)와 체결되어 있는 걸이(1300)를 운반 용기(1100)를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걸이(1300)를 회전시켜 상하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걸이(1300)가 운반 용기(1100) 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운반기(10)의 주권후크(11)를 운반 용기(1100)에 걸어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S130).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걸이(1300)에 당기는 힘을 계속 가하여 걸이(1300)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당겨진 걸이(1300)를 고정시켜 걸이(1300)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당기는 힘을 계속 가하여 걸이(1300)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제1 당김방법이라 명명하고, 당겨진 걸이(1300)를 고정시켜 걸이(1300)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제2 당김방법이라 명명한다.
즉, 제1 당김방법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권후크(12)로 제1 구동기(1422)를 당겨 걸이(1300)를 용기쪽으로 당기고, 보권후크(12)가 제1 구동기(1422)를 계속 당기는 상태에서 운반기(10)로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반면, 제2 당김방법은 도 9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권후크(12)로 제1 구동기(1422)를 당기고, 제1 구동기(1422)의 이동에 연동하여 내부공간(122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 이동부(1400)를 보조구동부(143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 걸이(1300)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즉, 운반기(10)로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키는 동안 보권후크(12)로 제1 구동기(1422)를 계속 당기지 않고, 보권후크(12)를 제1 구동기(1422)와 분리시킨 상태에서 걸이(1300)가 당겨진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기(10)가 정지하면, 걸이(1300)를 펼칠 수 있다(S140). 즉, 걸이(1300)를 회전시켜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눕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당김방법을 이용하여 걸이(1300)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1 구동기(1422)와 보권후크(12)를 분리시켜 걸이(1300)를 펼칠 수 있다. 즉, 제1 구동기(1422)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는 보권후크(12)와 제1 구동기(1422)를 분리시켜, 제1 구동기(1422)를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구동기(142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부(1400)를 내부공간(1220)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걸이(1300)가 펼쳐질 수 있다.
반면, 제2 당김방법을 이용하여 걸이(1300)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 보권후크(12)로 보조구동부(1430)의 제2 구동기(1432)를 당겨 이동부(14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이동부(1400)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지지하던 힘을 해제하여 이동부(14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이동부(1400)를 내부공간(1220)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부(1400)의 이동에 연동하여 걸이(1300)가 펼쳐질 수 있다.
걸이(1300)가 펼쳐지면 보권후크(12)를 걸이(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걸이(1300)와 결합된 보권후크(1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운반 용기(110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1100)의 수용공간에 담긴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S150).
이처럼,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키기 전에, 운반 용기(1100)에 설치된 걸이(1300)를 운반 용기(1100) 쪽으로 당겨 상하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이에, 운반 용기(1100)를 이동시킬 때, 주변 구조물과 걸이(1300)가 충돌하여 걸이(130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이(1300)의 파손이 억제 혹은 방지됨에 따라, 운반 용기(1100) 내부의 용융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걸이(1300)의 파손으로 인해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운반기 12: 보권후크
1000: 운반 장치 1100: 용기
1200: 보관부 1220: 내부공간
1300: 걸이 1400: 이동부
1410: 걸림부 1420: 구동부

Claims (17)

  1.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걸이; 및
    상기 걸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이와 결합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관부로 삽입 가능하게 상기 보관부에 설치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걸이에 걸림 체결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보관부에 설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상기 보관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관부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제1 하우징;
    상기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기와 결합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구동기; 및
    상기 제1 구동기와 상기 걸림부에 각각 연결되는 전달기;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는,
    상기 제1 구동기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기어; 및
    일측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타측이 상기 걸림부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보관부로 삽입된 상기 걸림부의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혹은 상기 걸림부의 유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보조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운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부는,
    상기 보관부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제2 하우징;
    상기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기와 결합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구동기;
    일측이 상기 구동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제2 구동기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스토퍼의 상측에 형성되는 보조전달기;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달기는,
    상기 제2 구동기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3 기어; 및
    상기 스토퍼의 타측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3 기어에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동부는, 신장 수축 가능하고 상기 스토퍼의 타측과 상기 스토퍼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보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운반 장치.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측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바디부재와 하측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재의 하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바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2 바디부재의 내부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몸체와, 상기 걸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걸림부몸체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바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몸체를 하향 경사진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바디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걸림부몸체의 하면과 상기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바디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운반 장치.
  13.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는 경동걸이를 포함하는 운반 장치.
  14. 운반 용기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운반 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걸이를 상기 운반 용기 쪽으로 당기는 과정;
    상기 걸이가 당겨진 상태로 상기 운반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걸이를 펼치는 과정; 및
    상기 운반 용기를 경동시켜 상기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를 상기 운반 용기 쪽으로 당기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상기 운반 용기의 내부이면서 상기 용융물과 접촉하지 않는 독립된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독립된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상향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걸이를 상기 운반 용기를 향하도록 회전시켜 상하방향으로 세우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걸이를 펼치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상기 독립된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독립된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이동부를 하향 경사지게 슬라이동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걸이를 회전시켜 경사지게 눕히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17.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가 당겨진 상태로 상기 운반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걸이에 당기는 힘을 계속 가하는 과정 또는 당겨진 걸이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KR1020190095094A 2019-08-05 2019-08-05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KR10221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94A KR102210206B1 (ko) 2019-08-05 2019-08-05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94A KR102210206B1 (ko) 2019-08-05 2019-08-05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206B1 true KR102210206B1 (ko) 2021-02-01

Family

ID=745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094A KR102210206B1 (ko) 2019-08-05 2019-08-05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2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762U (ko) 1996-11-25 1998-08-05 김종진 래들의 보온커버
JP2000042727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teel Corp 溶鋼鍋の鋼滓スラグの排滓方法とその装置
KR100958740B1 (ko) * 2003-06-17 2010-05-19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KR20160133745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포스코 부싱회전장치 및 이를 갖춘 래들
KR20180119217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KR101930745B1 (ko) * 2017-10-18 2018-12-19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장치
KR101955587B1 (ko) * 2017-11-14 2019-03-07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762U (ko) 1996-11-25 1998-08-05 김종진 래들의 보온커버
JP2000042727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teel Corp 溶鋼鍋の鋼滓スラグの排滓方法とその装置
KR100958740B1 (ko) * 2003-06-17 2010-05-19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자동 슬라이딩 경동장치
KR20160133745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포스코 부싱회전장치 및 이를 갖춘 래들
KR20180119217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KR101930745B1 (ko) * 2017-10-18 2018-12-19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장치
KR101955587B1 (ko) * 2017-11-14 2019-03-07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1420A1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US7172382B2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 of use
EP3048067B1 (en) Rack for freight
CN108883912A (zh) 用于集装箱的提升系统、提升梁和提升方法以及用于集装箱的拖车和用于集装箱的连接件
JP2011037443A (ja) リールを輸送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船の貨物スペース内での中甲板及び中甲板用装置
KR102210206B1 (ko)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EP1289861B1 (en) Cargo freight container
KR101796086B1 (ko) 원료 장입장치
JP2012148834A (ja) 廃棄物排出装置
JP2020063131A (ja) 車載式荷役装置
JP5107160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EP1927569A1 (en) Ship to shore container cran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crane
JP5292035B2 (ja) 揚重用吊り天秤
KR101930745B1 (ko) 래들용 장치
JP2012026257A (ja) 揚重用ガイド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
KR102210207B1 (ko)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EP2236368B1 (en) Lift truck
KR102210205B1 (ko) 지지 장치 및 지지 방법
KR102359240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102207710B1 (ko)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
KR102174719B1 (ko)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CN114348506B (zh) 活动斗卸料装置、活动斗和物料收集系统
JP7093323B2 (ja) 係留装置および係留方法
KR102615496B1 (ko)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JP4432094B1 (ja) パネル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