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343B1 - 코골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343B1
KR100958343B1 KR1020090100490A KR20090100490A KR100958343B1 KR 100958343 B1 KR100958343 B1 KR 100958343B1 KR 1020090100490 A KR1020090100490 A KR 1020090100490A KR 20090100490 A KR20090100490 A KR 20090100490A KR 100958343 B1 KR100958343 B1 KR 10095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noring
support surface
prevention device
triangular pyram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102009010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9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 A61F5/3776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body to beds, wheel-chairs or the like by means of a blanket 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한 코골이 방지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코골이 방지장치는, 등받이면;과, 상기 등받이면의 양측모서리에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우받침면 및 좌받침면;과, 상기 등받이면과 우받침면과 좌받침면이 이루는 삼각형 단부면에 형성된 밑면;을 구비한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는 두 부 방향의 단면적이 허리부 방향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수면자가 등에 부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는 경우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는 최적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면 중의 자세 변환을 용이하게 한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코골이 방지장치, 등받이, 착용수단, 등받이주머니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NORE}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나아가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의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하는 불편함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나 입안에 삽입하는 장치, 수면자의 자세를 조절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장치 등이 개발되었다.
이 중 수면자의 자세를 조절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3350호의 '전신 수면자세 보조장치'(종래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42744호의 '무호흡 방지 및 코골이 경감 장치'(종래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54062호의 '코골이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 방법'(종래기술 3) 등에 공지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베개, 두부와 어깨 부위를 받쳐주는 경사받침대와 등의 양쪽 면을 각각 받쳐주는 제 1 및 제 1 장쿠션 등을 구비하여 수면시 수면자의 자세를 횡 방향으로 누운 자세가 되도록 유지하고 상반신을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폐활량을 높여 산소공급이 원활하도록 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한다.
상기 종래기술 2는 에어 패드와 코골이를 감지하여 에어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되어, 수면자가 코를 고는 경우 수면자의 자세를 변경하여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한다.
상기 종래기술 3은 인체착용수단과 등의 양쪽을 지지하는 에어패드와 음향검지 수단 등을 구비하여, 수면자가 코를 고는 경우 음향검지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에어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수면자의 자세를 변경하여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한다.
그러나 고려대 안산병원 수면호흡장애센터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면자의 수면자세를 횡 방향으로 하거나, 상반신이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유지하는 것만으로는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개선시키지 못하고,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상기 수면호흡장애센터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면자의 수면자세가 목 뒤는 약 6cm, 어깨는 2cm 이상 올려준 상태로, 측면으로 누운 각도를 30도로 유지 하는 경우 코골이는 80%까지 수면무호흡증은 50%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이러한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 방지를 위한 정확한 장세를 취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수면자의 수면자세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경감시키거나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의 경우 에어패드 또는 에어챔버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가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의 경우에는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 개선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구성 요소가 많아서 사용이 불편함 문제점 또한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면자의 수면자세를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경감시키는 최적의 수면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현저히 개선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 방지 이외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는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 또한 경감시키는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장치는, 등받이면;과, 상기 등받이면의 양측모서리에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우받침면 및 좌받침면;과, 상기 등받이면과 우받침면과 좌받침면이 이루는 삼각형 단부면에 형성된 밑면;을 구비한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는 두 부 방향의 단면적이 허리부 방향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는 전체가 삼각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는 윗면을 더 포함하는 삼각뿔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의 윗면과 밑면은 상기 삼각뿔대의 밑면의 중심과 상기 삼각뿔대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는 꼭지점을 잇는 높이와 수직이 아닌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등받이면과 상기 우받침면 및 상기 좌받침면 사이의 끼인각은 20 ~ 40도일 수 있다.
상기 등받이면의 상기 밑면과 만나는 밑변은 30c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밑면에는 충진물을 주입하기 위한 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물은 물, 온수,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물질 또는 공기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또한 상기 등받이를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는 상기 등받이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또한 상기 등받이를 수용하는 등받이주머니가 배면에 형성되는 착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수면자가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경감시키는 30도의 각도로 횡 방향으로 누운 최적의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면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현저가 감소시킨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또한 구성이 간소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또한 상기 등받이의 꼭지점을 하체 방향에 위치되도록 수면자의 수면 자세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수면자의 수면자세 변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착용상태에서의 수면의 불편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또한 구성이 간소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코골이 방지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장치(100)는 삼각뿔 형태의 등받이(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101)는 등받이면(110)과 우받침면(120)과 좌받침면(130) 및 밑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받침면(120)과 좌받침면(130)은 상기 등받이면(110)의 밑변(111)과 꼭지점(102)을 연결하는 양측 모서리에 연결되어 연장된 후 상부 모서리를 형성하면서 결합하고, 상기 등받이면(110)과 우받침면(120)과 좌받침면(130)의 밑변(111)이 형성하는 이등변 상각형 단면에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밑면(140)이 내부를 밀폐하도록 결합하여 등받이(10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등받이면(110)은 밑면(140)이 결합되는 밑변의 길이가 30c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면(110)의 높이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신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값을 가진다. 상기 우받침면(120) 및 좌받침면(130)은 등받이 면(110)과 20 ~ 40도의 끼인각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끼인각은 30도를 이루는 경우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의 감소 효과가 가장 크다.
또한 상기 등받이(101)는 쿠션 및 지지 기능 또는 핫팩 기능을 위하여 내부에 물, 온수, 원적외선 방사물질, 방진, 항균제 또는 공기 등의 충진물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면자의 취침 시 수면자의 등이나 바닥에 접촉되지 않는 밑면(140)에는 물, 온수, 원적외선 방사물질, 방진, 항균제 또는 공기 등의 충진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충진물이 뜨거운 온수인 경우 상기 등받이(101)는 핫팩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충진물이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경우에는 수면자의 신체에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피부에 유효한 자극을 가하게 된다.
상기 마개부(141)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별도의 에어펌프(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등받이(101)는 고무 또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방수포 등의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보관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면(110), 우받침면(120), 좌받침면(130) 및 밑면(140)의 연결부위는 곡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등받이(101)는 내부에 주입되는 충진물의 양을 조절하여 그 밑면(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볼트 등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높이 조절을 위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100)는 수면자의 수면 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면자에게 등받이(10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등받이면(110)과 우받침면(120) 및 좌받침면(130)의 연결부 근처의 영역(이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벨트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부(150)는 우받침면(120)과 등받이면(110)의 연결부위에 결합하는 우벨트부(150a)와 좌받침면(130)과 등받이면(110)의 연결부위에 결합하는 좌벨트부(1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우벨트부(150a)에는 결합공(152)이 형성되고, 좌벨트부(150b)의 단부에는 버클(151)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벨트부(150)는 필요에 따라 등받이(101)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벨트부(150)는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등받이(101)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받이(101)의 상부와 하부에 복수 개로 연결되어 수면자의 앞가슴에서 x자 형으로 결합되는 구조, 양 어깨 각각에 걸치어지는 멜빵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벨트부(150)를 구비한 코골이 방지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수면자(10)는 등받이(101)의 밑면(140)이 머리로 향하고 꼭지점(102)이 하반신을 향하면서 등받이면(110)이 등에 부착되도록 벨트부(150)를 이용하여 등받이(101)를 등에 착용한다.
이 후 수면을 취하는 수면자(1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눕는 경우에는 우받침면(120) 또는 좌받침면(130)이 바닥에 밀착되고 등받이면(110)이 수면자를 지지하게 되어 수면자가 상체가 약간 상부에 위치되는 키 방향의 경사와, 횡 방향으로는 끼인각(20 ~ 40도)의 각도를 이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면자가 수면자세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돌아눕는 경우 꼭지점이 위치된 부위가 낮은 턱을 형성하게 되므로 수면 중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의 자세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은 등받이주머니(201)가 형성된 잠옷(200)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등받이(101)와 등받이주머니(20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구성의 코골이 방지장치(100)는 상기 등받이(101)를 수용하는 등받이주머니(201)가 형성된 잠옷(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옷(200)은 조끼 등의 등받이주머니(201)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착용수단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등받이(101)는 벨트부(150)와 분리된 상태로 사용된 상태에서 밑면이 머리 쪽을 향하도록 상기 등받이주머니(201)에 수용된다.
등받이(101)가 등받이주머니(201)에 수용된 잠옷(200)을 착용한 상태로 수면자(10)가 수면을 취하는 경우 등받이주머니(201)에 의해 등받이(101)가 수면 중인 수면자(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에도 도 4와 같이, 수면자(1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눕는 경우에는 우받침면(120) 또는 좌받침면(130)이 바닥에 밀착되면서 수면자를 지지하게 되어 수면자가 끼인각(20 ~ 40도)의 각도를 이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면자가 수면자세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돌아눕는 경우 꼭지점(102)이 위치된 부위가 낮은 턱을 형성하게 되므로 수면 중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의 자세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삼각 기둥 형성의 등받이(101a)를 가지는 코골이 방지장치(101a)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코골이 방지장치(100)의 구성 중 상기 등받이(101)는 도 5와 같이 윗면(160)과 밑면(140)을 가지는 삼각기둥 형상의 등받이(101a)로 구성된다. 상기 도 5의 구성의 코골이 방지장치(100a) 또한 도 2 및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위면(160)과 밑면(140)은 상부 꼭지점이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베개(101)를 받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자세를 변경하는 것을 용이한다. 또한 윗면(160)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101a)가 수면자(10)자가 횡방향으로 눕는 경우 어깨부 및 허리부의 경사를 30도에 더욱 근접하게 유지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방지를 위한 수면 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코골이 방지장치(100)의 사시도,
도 2는 벨트부(150)를 구비한 코골이 방지장치(100)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등받이주머니(201)가 형성된 잠옷의 배면도,
도 4는 등받이(101)와 등받이주머니(201)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삼각 기둥 형성의 등받이(101a)를 가지는 코골이 방지장치(101a)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100a: 코골이 방지장치 101, 101a: 등받이
102: 꼭지점 110: 등받이면
120: 우받침면 130: 좌받침면
140: 밑면 141: 마개부
150: 벨트부 160: 윗면
200: 잠옷 201: 등받이주머니

Claims (11)

  1. 등받이면;과,
    상기 등받이면의 양측모서리에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우받침면 및 좌받침면;과,
    상기 등받이면과 우받침면과 좌받침면이 이루는 삼각형 단부면에 형성된 밑면;을 구비한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는 두 부 방향의 단면적이 허리부 방향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전체가 삼각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윗면을 더 포함하는 삼각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윗면과 밑면은 상기 삼각뿔대의 밑면의 중심과 상기 삼각뿔대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는 꼭지점을 잇는 높이와 수직이 아닌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면과 상기 우받침면 및 상기 좌받침면 사이의 끼인각은 20 ~ 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면의 상기 밑면과 만나는 밑변은 30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에는 충진물을 주입하기 위한 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은 물, 온수,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물질 또는 공기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를 사용자의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등받이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를 수용하는 등받 이주머니가 배면에 형성되는 착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KR1020090100490A 2009-10-22 2009-10-22 코골이 방지장치 KR10095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90A KR100958343B1 (ko) 2009-10-22 2009-10-22 코골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90A KR100958343B1 (ko) 2009-10-22 2009-10-22 코골이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343B1 true KR100958343B1 (ko) 2010-05-17

Family

ID=4228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490A KR100958343B1 (ko) 2009-10-22 2009-10-22 코골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3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90B1 (ko) 2015-06-25 2016-10-04 백옥경 자체 조율 방식을 이용한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3217B1 (ko) 2018-01-24 2018-07-30 주식회사 나비드 침대프레임 결합수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7444B1 (en) 1998-02-18 2002-03-19 Jonathan A. Parker Motion limiting device
WO2002052993A1 (fr) 2000-12-28 2002-07-11 Chikako Kamma Structure d'attache d'oreiller pour le dos
JP2002223897A (ja) 2001-01-02 2002-08-13 Shiyuuko Sugama 背枕におけるクッション装着装置
JP2006094980A (ja) 2004-09-01 2006-04-13 Saishi Kamimura 寝装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7444B1 (en) 1998-02-18 2002-03-19 Jonathan A. Parker Motion limiting device
WO2002052993A1 (fr) 2000-12-28 2002-07-11 Chikako Kamma Structure d'attache d'oreiller pour le dos
JP2002223897A (ja) 2001-01-02 2002-08-13 Shiyuuko Sugama 背枕におけるクッション装着装置
JP2006094980A (ja) 2004-09-01 2006-04-13 Saishi Kamimura 寝装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90B1 (ko) 2015-06-25 2016-10-04 백옥경 자체 조율 방식을 이용한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3217B1 (ko) 2018-01-24 2018-07-30 주식회사 나비드 침대프레임 결합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013B2 (en) Therapeutic positioning device
CN103327855B (zh) 用于减轻打鼾和睡眠呼吸暂停的枕头和床垫
JP6855670B2 (ja)
US4349925A (en) Physiological pillow
US7712169B2 (en) Infant pillow device
US20100037397A1 (en) Bed
JP5770423B2 (ja) 呼吸タイトレーション用枕
US9357864B2 (en) Spinal alignment pillow
US20100078033A1 (en) Therapeutic cushioning device
KR101286092B1 (ko)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0958343B1 (ko) 코골이 방지장치
KR101260501B1 (ko) 수면자세 보조장치
JP5968246B2 (ja) 腹臥位用敷き寝具セット
US11259657B1 (en) Anti-snoring pillow and pillowcase system
US20160015182A1 (en) Spinal Alignment Pillow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JP2019098102A (ja) 腹臥位用寝具セット
WO2016133544A1 (en) Spinal alignment pillow
JP3069343B1 (ja) 無呼吸状態防止具
WO2018039903A1 (zh) 一种防打鼾的侧卧背枕
CN215015569U (zh) 一种新生儿侧卧垫
KR100747745B1 (ko) 코골이 방지베개
CN218246658U (zh) 一种分区枕芯和枕头
CN207613998U (zh) 术后卧床腰部支撑垫
JPH11244317A (ja) いびき抑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