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642B1 -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642B1
KR100957642B1 KR1020080051649A KR20080051649A KR100957642B1 KR 100957642 B1 KR100957642 B1 KR 100957642B1 KR 1020080051649 A KR1020080051649 A KR 1020080051649A KR 20080051649 A KR20080051649 A KR 20080051649A KR 100957642 B1 KR100957642 B1 KR 100957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iller
cover
liquid injection
inje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503A (ko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Priority to KR102008005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64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29C44/143Means for positioning the lining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29C44/16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shaped by the expansion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23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충전제를 주입시켜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와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가 안착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 주입된 충전제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금형 몸체;와 상기 금형 몸체의 함몰부에 안착되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로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상기 개방부 내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액 주입 가이드; 및 상기 금형 몸체의 후면과 상기 액 주입 가이드의 외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함몰부에 안착된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에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충전제가 주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충전제를 주입하여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으로 이송되는 액 주입 가이드와 헤드레스트 커버가 안착되는 함몰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의 상기 함몰부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개방부 내에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통해 충전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개방부에 삽입된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서 충전제가 발포성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레스트, 충전제, 함몰부, 금형, 액 주입 가이드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METALLIC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RUING HEAD 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충전제를 주입시켜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 rest), 팔을 지
지하는 암레스트(arm rest)와 옆구리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lumber support)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커버,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채워지는 폼(form)과 헤드레스트를 시트의 상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스테이(stay)로 이루어진다.
헤드레스트 커버, 폼과 스테이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의 제조방법은 크게 나누어 표피분리형 제조방법과 표피일체형 제조방법으로 나누어진다.
표피분리형 제조방법은 일정 형상으로 제작된 폼 성형용 금형에 스테이를 조립한 후 충전제를 주입하여 폼을 성형하고, 성형된 폼의 표면에 헤드레스트 커버를 씌워서 제품을 완성하는 것이며, 표피일체형 제조방법은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스테이를 조립한 후 헤드레스트 커버를 성형용 금형에 고정한 후 주입노즐을 이용하여 폼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 중 표피분리형 제조방법은 폼이 비교적 고온에서 성형되고, 성형시간이 매우 길어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고온에서 성형되어 변형이 발생되므로 마무리 공정에 복잡한 단점이 있어 표피일체형 제조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표피일체형 성형방법은, 헤드레스트 커버에 충전제 주입구를 형성하고 주입구를 벌려 충전제를 주입하는 경우 일일이 손으로 주입구를 벌려야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헤드레스트 커버의 외부로 충전제가 산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 실용신안 제20-2006-0009363호는 헤드레스트 커버 내부에 별도의 충전제 주입용 깔때기를 삽입한 후 충전제를 주입함으로써 자동화를 통한 대량생산 및 헤드레스트 커버의 외부로 충전제가 산포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충전제 주입용 깔때기를 사용하는 경우 깔때기 주위에 충전제가 고착되어 충전제의 일부가 버려지게 되며, 충전제 주입용 깔때기를 별도로 생산하여야 하며, 충전제 주입후 충전제 주입용 깔대기를 잘라버리는 공정이 추가되는바 비용 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 성형시 충전제의 소모량을 줄이고, 충전제 주입시 필요한 부자재를 줄여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와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가 안착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 주입된 충전제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금형 몸체;와 상기 금형 몸체의 함몰부에 안착되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로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상기 개방부 내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액 주입 가이드; 및 상기 금형 몸체의 후면과 상기 액 주입 가이드의 외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함몰부에 안착된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에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액 주입 가이드는 충전제 주입시 충전제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함몰부는 상기 금형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금형 몸체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시키고, 상기 금형 몸체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를 고정시키는 걸고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송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금형 몸체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함몰부를 개폐시키는 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충전제가 주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충전제를 주입하여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으로 이송되는 액 주입 가이드와 헤드레스트 커버가 안착되는 함몰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의 상기 함몰부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개방부 내에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통해 충전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개방부에 삽입된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서 충전제가 발포성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은 금형 몸체에 헤드레스트 커버를 안착시킨 뒤,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와 연동하는 액 주입 가이드를 통해 충전제를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로 주입함으로써, 충전제 주입시 헤드레스트 커버의 외부로 분사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충전제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 주입 가이드에 충전제가 닿지 않으므로 액 주입 가이드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충전제 주입용 깔때기와 같은 소모품이 발생하지 않아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 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금형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금형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금형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head rest) 제조금형(1)은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개방부(32)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30)와, 헤드레스트 커버(30)가 안착되어 성형되는 헤드레스트 커버의 외곽면의 형상으로 함몰부(20)가 형성된 금형 몸체(10)와, 금형 몸체(10)의 함몰부(20)에 안 착되어 헤드레스트 커버(30)의 내부로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액 주입 가이드(40)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커버(30)는 헤드레스트의 외피 부분으로 충전제가 내부로 발포되어 헤드레스트를 이룬다. 헤드레스트 커버의 상부(시트에 헤드레스트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시트방향)에는 충전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32)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32) 측에는 헤드레스트 스테이(34)가 결합된다.
헤드레스트 커버(30)에 충전되는 충전제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 후 발포되어 헤드레스트 커버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이 사용된다.
이러한 금형 몸체(10)에는 헤드레스트 커버(30)가 안착되어 충전제가 발포된 후, 충전제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의 압력에 의해 헤드레스트 커버(3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헤드레스트 커버(30)에 충전된 충전제를 수용하는 완성된 헤드레스트의 외곽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부(20)가 형성된다.
액 주입 가이드(40)는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개방부(32)에 삽입되어 충전제를 주입시키는 경우 충전제가 헤드레스트 커버(30)의 표피로 산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액 주입 가이드(40)의 형상은 원통형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충전제 주입시 충전제가 액 주입 가이드의 내주면에 닿지 않도록 충분한 내경을 가지고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직경이 약 5㎝ 정도가 되도록 액 주입 가이드(40)를 형성하였다.
금형 몸체(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헤드레스트 커버(30)가 안착되어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주입되는 충전제가 수용되는 함몰부(20)는 금형 몸체(10)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금형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되고, 금형 몸체(10)의 측면 상부에는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개방부(32)를 금형 몸체(10)에 고정시키는 걸고리(12)가 결합된다.
또한, 금형 몸체(10)의 상면에는 금형 상판(14)이 결합되고, 이 금형 상판(14)의 상면 양측에는 헤드레스트 커버(30)에 고정된 헤드레스트 스테이(34)를 결합시켜 헤드레스트 커버(30)를 고정시키는 스테이 클램프(18a)와 헤드레스트 스테이 삽입홈(18b)이 형성된 스테이 고정부(18)가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클램프(18a)는 헤드레스트 스테이(34)의 외주면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34)의 외주면을 탄성 지지하며, 헤드레스트 스테이 삽입홈(18b)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를 지지한다.
또한, 금형 몸체(10)의 양 측부에는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개방부를 고정시키는 걸고리(1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금형 몸체(10)의 함몰부(20)에 안착된 헤드레스트 커버(30)는 헤드레스트 스테이(34)의 단부가 헤드레스트 스테이 삽입홈(18b)에 삽입되고, 헤드레스 트 스테이(34)의 일단이 헤드레스트 스테이 클램프(18a)에 결합되며,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개방부(32)가 금형 몸체(10)의 측부에 형성된 걸고리(12)에 의해 고정되어, 금형 몸체(10)의 함몰부(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금형 몸체의 후면과 액 주입 가이드의 외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함몰부에 안착된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에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시키는 이송수단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이송수단으로는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전기모터, 유압 또는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나 레일과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의 일종인 공압 실린더(42, 44)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금형 몸체(10)의 후면에는 제1공압실린더(42)가 결합되고 제1공압실린더의 로드(42a)의 일측에는 제2공압실린더(44)가 결합되며, 제2공압실린더의 로드(44a)에는 액 주입 가이드(40)의 외주면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제1공압실린더(42)와 제2공압실린더(44)의 작동을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작동도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압실린더(42)의 로드(42a)와 제2공압실린더(44)의 로드(44a)가 제1공압 실린더(42)와 제2공압실린더(44)의 내부에 안치된 상태에서 제1공압실린더(42)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제1공압실린더(42)의 로드(42a)가 제1공압실린더(42)의 외부로 인장된다. 따라서 제2공압실린더(44) 및 제2공압실린더(44)의 로드(44a) 에 결합된 액 주입 가이드(40)는 금형 몸체(1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 상태에서 제2공압실린더(44)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제2공압실린더(44)의 로드(44a)가 인장되고, 제1공압실린더(42)의 로드가 수축되어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개방부(32)에 액 주입 가이드(40)가 삽입된다.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개방부(40)에 액 주입 가이드가 삽입된 후 이 액 주입 가이드(40)의 중심부로 충전제가 분사되어 헤드레스트 커버(30)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때, 충전제는 별도의 사출장치에 형성된 분사노즐(도면 미도시)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직경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 액 주입 가이드(40)는 충전제 주입시 액 주입 가이드(40)의 내주면에 충전제가 닿지 않게 되어 헤드레스트 커버(30)의 내부로 주입되지 않아 소모되는 충전제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충전제가 헤드레스트 커버(30) 내에 고르게 주입되면 액 주입 가이드(40)의 삽입과정과 역순으로 제1공압실린더(42) 및 제2공압실린더(44)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금형 몸체(10)의 전면 하부에는 함몰부(20)에 의해 개방된 금형 몸체의 전면과 상면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덮개(5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덮개는 금형 몸체(10)의 전명과 상면을 폐쇄시켜 충전제의 충전이 완료된 헤드레스트 커버(3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헤드레스트 커버(30) 내에 충전된 충전제는 발열반응과 함께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어 헤드레스트 커버(30)의 외부로 압력을 가하므로 이러한 압력에 의하여 헤드레스트 커버(30)가 변형된 채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50)가 사용된다.
덮개(50)는 함몰부(20)에 의하여 금형 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시키는 하부 덮개(52)와 금형 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키는 상부 덮개(5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덮개(54)와 하부 덮개(52), 하부 덮개(52)와 금형 몸체(10) 사이에는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힌지(52a, 54a)가 결합된다.
이때, 하부 덮개(52)와 상부 덮개(54)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52b, 54b)가 형성된다. 이 함몰부는 충전제가 주입된 헤드레스트 커버의 완성품의 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커버(30) 내에 주입된 충전제의 압력으로 인한 헤드레스트 커버(30)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덮개(54)에는 고정훅(54c)이 힌지결합되고, 금형 상판(14)에는 고정훅(54c)이 고정되는 고정돌기(16)가 형성되어, 하부 덮개(52)와 상부 덮개(54)가 금형 몸체(1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시킨 후 고정훅(54c)을 고정돌기(16)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의 함몰부에 헤드레스트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와, 개방 부 내에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와, 액 주입 가이드를 통해 충전제를 주입하는 단계와, 액 주입 가이드를 개방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서 충전제가 발포성형되는 단계를 거쳐 헤드레스트를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헤드레스트 커버 고정단계(100)
헤드레스트 제조금형(1)의 함몰부(20)에 개방부(32) 및 헤드레스트 스테이(34)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30)를 고정한다.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고정은 헤드레스트 스테이(34)를 헤드레스트 스테이 클램프(18a) 및 헤드레스트 스테이 삽입홈(18b)에 안착 고정시키고, 금형 몸체(10)의 측면에 결합된 걸고리(12)를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32)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나. 액 주입 가이드 삽입단계(110)
걸고리(12)로 고정된 헤드레스트 커버(30)의 개방부(32)에 금형 몸체(10)에 결합된 제1공압 실린더(42) 및 제2공압 실린더(44)를 이용하여 액 주입 가이드(40)를 삽입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의 제1공압 실린더(42) 및 제2공압 실린더(44)의 작동방법은 앞에서 설명된바 생략한다.
다. 충전제 주입단계(120)
개방부(32)에 삽입된 액 주입 가이드(40)를 통하여 충전제가 노즐을 통하여 주입된다. 이때, 액 주입 가이드(40)는 주입되는 충전제가 닿지 않도록 충분한 직경을 이루며 형성된바 충전제는 헤드레스트 커버(30)의 내부로 바로 주입된다.
라. 액 주입 가이드 분리단계(130)
헤드레스트 커버(30)의 내부로 충전제가 충분하게 주입이 된 경우, 액 주입 가이드 삽입단계(110)와 역순으로 제1공압 실린더(42) 및 제2공압 실린더(44)가 작동을 하여 액 주입 가이드(40)를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32)에서 분리시킨다.
마. 충전제의 발포 성형단계(140)
액 주입 가이드(40)가 분리되면, 헤드레스트 커버(30)의 내부에 주입된 충전제가 충분하게 발포 성형이 되도록 헤드레스트 커버(30)가 고정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1)을 유지한다. 이때, 충전제가 발포되면서 압력이 발생하여 헤드레스트 커버(3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바, 금형 몸체(10)에 결합된 덮개(50)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 커버(30)를 감싼다.
이러한 단계를 거친 후 헤드레스트 커버(30) 내의 충전제가 성형되면 금형 몸체에서 헤드레스트 커버를 분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금형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금형의 사용상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금형의 작동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헤드레스트 제조금형 10; 금형 몸체
12; 걸고리 14; 금형 상판
16; 고정돌기 18; 스테이 고정부
18a; 헤드레스트 스테이 클램프 18b; 헤드레스트 스테이 삽입홈
20; 함몰부 30; 헤드레스트 커버
32; 개방부 34; 헤드레스트 스테이
40; 액 주입 가이드 42; 제1공압 실린더
44; 제2공압실린더 50; 덮개
52; 하부 덮개 54; 상부 덮개

Claims (7)

  1.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가 안착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 주입된 충전제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금형 몸체;
    상기 금형 몸체의 함몰부에 안착되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로 충전제가 주입되도록 상기 개방부 내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액 주입 가이드; 및
    상기 금형 몸체의 후면과 상기 액 주입 가이드의 외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함몰부에 안착된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에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시키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 주입 가이드는 충전제 주입시 충전제와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금형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금형 몸체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시키고, 상기 금형 몸체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개방부를 고정시키는 걸고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몸체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함몰부를 개폐시키는 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조금형.
  7. 충전제가 주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 충전제를 주
    입하여 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으로 이송되는 액 주입 가이드와 헤드레스트 커버가 안착되는 함몰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의 상기 함몰부에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개방부 내에 액 주입 가이드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통해 충전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개방부에 삽입된 상기 액 주입 가이드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의 내부에서 충전제가 발포성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제조방법.
KR1020080051649A 2008-06-02 2008-06-02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57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649A KR100957642B1 (ko) 2008-06-02 2008-06-02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649A KR100957642B1 (ko) 2008-06-02 2008-06-02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503A KR20090125503A (ko) 2009-12-07
KR100957642B1 true KR100957642B1 (ko) 2010-05-13

Family

ID=4168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649A KR100957642B1 (ko) 2008-06-02 2008-06-02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0529A1 (en) 2008-12-18 2010-06-24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CN104162959A (zh) * 2013-05-17 2014-11-26 海尔集团公司 一体成型具有保温内芯的保温部件的反应注射成型模具
CN106808635A (zh) * 2017-03-10 2017-06-09 福州联泓交通器材有限公司 一体式枕头发泡生产工艺及其生产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3Y1 (ko) * 2000-05-24 2000-10-16 주식회사한일씨엔에프 헤드레스트 성형용 금형구조
KR200218632Y1 (ko) * 2000-10-18 2001-04-02 주식회사한일씨엔에프 헤드레스트 성형 제조용 금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3Y1 (ko) * 2000-05-24 2000-10-16 주식회사한일씨엔에프 헤드레스트 성형용 금형구조
KR200218632Y1 (ko) * 2000-10-18 2001-04-02 주식회사한일씨엔에프 헤드레스트 성형 제조용 금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503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8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rash pad
KR100957642B1 (ko) 헤드레스트 제조금형과 헤드레스트 제조금형을 이용하여헤드레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CN103862608A (zh) 用于制造缓冲垫的成形装置及方法
CN107297853A (zh) 用于制造泡沫体的模具和方法以及泡沫材料体
JP4007548B2 (ja) 発泡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
KR102165285B1 (ko)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인서트 사출 공법
JP2014121793A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の製造方法並びに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JPH02167711A (ja) 表皮材一体発泡体の発泡成形型
JP5381997B2 (ja) 表皮付発泡成形部材の製造装置、表皮付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表皮付発泡成形部材
KR101795582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KR100636600B1 (ko) 발포성형품과 이의 제조방법
JP5525927B2 (ja)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CN218256319U (zh) 一种座椅头枕连动机构模具
JP2009095982A (ja) 発泡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101744856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방법
JP4585437B2 (ja) 表皮一体発泡品の製造方法
JP3910188B2 (ja) ヘッドレストの表皮一体発泡成形型構造
CN215663748U (zh) 一种摩托车一体发泡靠垫
KR10058601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CN215242382U (zh) 一种用于汽车头枕生产的发泡模具
JP4078587B2 (ja) 可倒式ヘッドレストとその製造方法
KR10068956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JP2009066941A (ja) 発泡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4453794B2 (ja) 合成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5901456B2 (ja) 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発泡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