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361B1 -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361B1
KR100957361B1 KR1020040084815A KR20040084815A KR100957361B1 KR 100957361 B1 KR100957361 B1 KR 100957361B1 KR 1020040084815 A KR1020040084815 A KR 1020040084815A KR 20040084815 A KR20040084815 A KR 20040084815A KR 100957361 B1 KR100957361 B1 KR 100957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opeller shaft
vehicle
propell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355A (ko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3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는, 엔진의 동력을 종감속기어로 전달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20)의 중간부분의 적어도 한 곳에는 차량 충돌시 충돌력에 의해 붕괴되도록 프로펠러 샤프트가 제1샤프트부(S1)와 제2샤프트부(S2)로 분리되어 연결되는 붕괴부(30)가 형성되되, 상기 붕괴부(30)는, 상기 제1샤프트부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 푸쉬로드(32)와, 차량충돌시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이탈되도록 상기 제2샤프트부의 내부에 삽입된 볼(34)과, 상기 볼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샤프트부에 고정된 볼지지 브라켓(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샤프트부의 단부에는 제1샤프트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회전력 전달로드(38)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부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로드를 안내하는 슬롯홈(3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돌사고 발생시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붕괴시켜 충돌력의 전달을 줄이므로써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propeller shaft for vehicle}
도1은 일반적인 후륜구동 자동차의 프로펠러 샤프트의 결합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프로펠러 샤프트의 결합 구성도,
도3은 도2의 붕괴부의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푸쉬로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프로펠러 샤프트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로펠러 샤프트 30 : 붕괴부
32 : 푸쉬로드 34 : 볼
36 : 볼지지 브라켓 38 : 회전력 전달 로드
39 : 슬롯 홈 S1 : 제1샤프트부
S2 : 제2샤프트부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엔진 후륜구동(FR) 자동차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의 동력은 변속기(2)를 거쳐 프로펠러 샤프트(3)에 의해 종감속 기어(4)로 전달된다. 뒤엔진 후륜구동(RR) 자동차의 경우에도 대형버스와 같이 엔진과 종감속 기어가 떨어져 있을 때는 프로펠러 샤프트가 사용된다.
이때, 엔진(1)과 변속기(2)는 바디(또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나, 종감속 기어(4)는 구동 휠과 함께 섀시 스프링을 거쳐 차체에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적재량의 변화에 따라 전후 상하로 움직인다. 따라서, 엔진(1)의 동력을 원활하게 구동 휠에 전달하기 위해 프로펠러 샤프트(3)의 양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설치하여 각도와 길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펠러 샤프트(3)의 길이가 긴 대형차일 경우에 추진축을 2개 또는 3개로 나누고 각 샤프트의 뒷부분을 센터 베어링으로 프레임의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에 연결되는 전방 프로펠러 샤프트(7)와 상기 종감속 기어에 연결되는 후방 프로펠러 샤프트(9)는 유니버셜 조인트(1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센터 베어링(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터 베어링(13)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그 장착부가 두 개의 볼트에 의해 프레임의 크로스 멤버에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의 전방 프로펠러 샤프트(7)나 후방 프로펠러 샤프트(9)에는 충돌사고 발생시에 붕괴되어 충돌력의 전달을 줄이는 붕괴 구조가 없으므로, 정면 충돌시에 차량감속도 증가로 인해 승객의 상해를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사고 발생시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붕괴시켜 충돌력의 전달을 줄이므로써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키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을 종감속기어로 전달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중간부분의 적어도 한 곳에는 차량 충돌시 충돌력에 의해 붕괴되도록 프로펠러 샤프트가 제1샤프트부와 제2샤프트부로 분리되어 연결되는 붕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붕괴부는 상기 제1샤프트부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 푸쉬로드와, 차량충돌시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이탈되도록 상기 제2샤프트부의 내부에 삽입된 볼과, 상기 볼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샤프트부에 고정된 볼지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샤프트부의 단부에는 제1샤프트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회전력 전달로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부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로드를 안내하는 슬롯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의 동력은 변속기(2)를 거쳐 프로펠러 샤프트(20)에 의해 종감속 기어(4)로 전달된다. 엔진(1)의 동력을 원활하게 구동 휠에 전달하기 위해 프로펠러 샤프트(20)의 양단에는 유니버셜 조인트(22, 22) 를 설치하여 각도와 길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펠러 샤프트(20)의 길이가 긴 대형차일 경우에 추진축을 2개 또는 3개로 나누고 각 샤프트의 뒷부분을 센터 베어링으로 프레임의 크로스 멤버에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에 연결되는 전방 프로펠러 샤프트(24)와 상기 종감속 기어에 연결되는 후방 프로펠러 샤프트(26)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2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방 프로펠러 샤프트(24)의 뒷부분에 센터 베어링(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터 베어링(28)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그 장착부가 두 개의 볼트에 의해 프레임의 크로스 멤버에 고정된다.
상기 전, 후방프로펠러 샤프트(24, 26)의 중간부분에는 차량 충돌시 충돌력에 의해 붕괴되도록 프로펠러 샤프트(20)가 제1샤프트부(S1)와 제2샤프트부(S2)로 분리되어 연결되는 붕괴부(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 후방 프로펠러 샤프트(24, 26)에 각각 붕괴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전, 후방 프로펠러 샤프트 중의 하나에만 붕괴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각 전, 후방 프로펠러 샤프트에 여러 개의 붕괴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붕괴부(30)는 상기 제1샤프트부(S1)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 푸쉬로드(32)와, 차량충돌시 상기 푸쉬로드(32)에 의해 이탈되도록 상기 제2샤프트부(S2)의 내부에 삽입된 볼(34)과, 상기 볼(34)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샤프트(S2)에 고정된 볼지지 브라켓(3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부(S1)의 단부에는 제1샤프트(S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회전력 전달로드(38)가 돌출형성되 고, 상기 제2샤프트부(S2)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로드(38)를 안내하는 슬롯홈(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쉬로드(3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32a)와 로드부(32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머리부(32a)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부(S1)에 고정된다.
상기 볼(34)은 상기 제2샤프트부(S2)의 내부 중간에 삽입되어 상기 볼지지 브라켓(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볼지지 브라켓(36)의 지지면에는 곡면을 이룬 지지부재(3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력 전달로드(38)는 상기 푸쉬로드(32)의 주위에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의 제1샤프트부(S1)가 밀리게 되어 그 푸쉬로드(32)는 제2샤프트부(S2)의 볼(34)을 밀어내면서 제1샤프트부(S1)와 제2샤프트부(S2)는 서로 붕괴되어 충돌력의 전달이 감소하게 된다.
차량의 정상주행 중에, 상기 제1샤프트부(S1)와 제2샤프트부(S2)는 다수의 회전력 전달 로드(38)와 슬롯홈(39)에 의해 끼워져 있으므로, 회전동력전달에는 문제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에 의하면, 충돌사고 발생시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붕괴시켜 충돌력의 전달을 줄이므로써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엔진의 동력을 종감속기어로 전달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중간부분의 적어도 한 곳에는 차량 충돌시 충돌력에 의해 붕괴되도록 프로펠러 샤프트가 제1샤프트부와 제2샤프트부로 분리되어 연결되는 붕괴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붕괴부는 상기 제1샤프트부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 푸쉬로드와, 차량충돌시 상기 푸쉬로드에 의해 이탈되도록 상기 제2샤프트부의 내부에 삽입된 볼과, 상기 볼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샤프트부에 고정된 볼지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샤프트부의 단부에는 제1샤프트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회전력 전달 로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부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력 전달 로드를 안내하는 슬롯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2. 삭제
KR1020040084815A 2004-10-22 2004-10-22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KR100957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815A KR100957361B1 (ko) 2004-10-22 2004-10-22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815A KR100957361B1 (ko) 2004-10-22 2004-10-22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355A KR20060035355A (ko) 2006-04-26
KR100957361B1 true KR100957361B1 (ko) 2010-05-12

Family

ID=3714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815A KR100957361B1 (ko) 2004-10-22 2004-10-22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23B1 (ko) 2006-07-04 2007-07-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로펠러 샤프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146A (ja) * 1994-05-20 1995-11-28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プロペラシャフト
JPH09123774A (ja) * 1995-10-31 1997-05-13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プロペラシャフト構造
JPH1178563A (ja) * 1997-09-02 1999-03-23 Showa:Kk プロペラシャフトの衝撃吸収構造
KR100189710B1 (ko) 1995-12-28 1999-06-01 가와모토 노부히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146A (ja) * 1994-05-20 1995-11-28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プロペラシャフト
JPH09123774A (ja) * 1995-10-31 1997-05-13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プロペラシャフト構造
KR100189710B1 (ko) 1995-12-28 1999-06-01 가와모토 노부히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JPH1178563A (ja) * 1997-09-02 1999-03-23 Showa:Kk プロペラシャフトの衝撃吸収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355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9033B2 (ja) 衝撃吸収式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957361B1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CN1748093A (zh) 具有多个碰撞结构的改进型传动轴
JPS632725A (ja) 自動車のプロペラシヤフト構造
JP200031334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付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456411Y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진 프로펠러 샤프트
KR101393547B1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
CN210822440U (zh) 一种溃缩式汽车转向装置
CN110758547B (zh) 一种基于负泊松比结构的溃缩式汽车转向装置
KR20210130339A (ko) 자동차용 프로펠러 샤프트
JP3582322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
KR200391940Y1 (ko) 충돌에너지 흡수 기능이 있는 자동차용 프로펠라 샤프트
JP4320879B2 (ja) 車両のパワープラントフレーム構造
KR100643949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유니버셜조인트
JP3730417B2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の支持構造
JP3861312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0736723B1 (ko) 자동차의 프로펠러 샤프트
WO2024062584A1 (ja) 車両の下部構造
JP2008207623A (ja) 車両における衝突荷重吸収構造
KR20090013220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진 프로펠러 샤프트
JPH09263248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S62273125A (ja) 自動車の駆動装置
JPH034031A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用弾性継手
JPS6332046Y2 (ko)
JPS63101168A (ja)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