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862B1 -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 Google Patents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862B1
KR100956862B1 KR1020090072053A KR20090072053A KR100956862B1 KR 100956862 B1 KR100956862 B1 KR 100956862B1 KR 1020090072053 A KR1020090072053 A KR 1020090072053A KR 20090072053 A KR20090072053 A KR 20090072053A KR 100956862 B1 KR100956862 B1 KR 10095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fly
habitat
mooring
water
ecological rest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영
정흥락
김현돈
최승운
김형인
이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to KR102009007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는,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애반딧불이를 자연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생태복원 시스템적 조성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지유량의 확보를 위하여 전단부에 유량의 공급을 위한 저류조를 구비하며, 저류조에서 애반딧불이 서식처로 유입되는 지역에 하상으로 정화여재로 채워지며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수질정화부를 구비하고, 애반딧불이의 성충이 비행하기에 충분한 지상공간과 산란을 하는 낮은 수심을 가지는 저습지부를 구비하고, 유충이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계류부를 구비하며, 유충이 토와형성 및 탈피를 할수 있는 계류수변부를 구비하고, 성충이 산란을 위해 빛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폐림이 조성되는 수변식생대를 갖춘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로 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애반딧불이가 자연상태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서식하여 그 생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애반딧불이의 서식처를 조성할 수 있고, 아울러 애반딧불이의 서식처 복원을 통해 1급 청정 생태 환경을 보존 및 유지하는 데 유용하게 적용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반딧불이, 서식처, 자연, 환경, 복원, 조성

Description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Spontaneous restoring equipment for lightning bugs(firefly)}
본 발명은 정서곤충이며 청정지역의 지표생물로 분류되고 있는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를 자연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조성하게 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딧불이는 생태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 개발과 환경 파괴에 있어 환경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척도로써 활용되는 환경 지표곤충이며 옛날부터 인간생활과 함께 하는 정서곤충이다.
국내에서 이런 환경 지표 곤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무주 일원의 반딧불이와 그 먹이(다슬기)서식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이는 특정 종의 서식지를 보전 대상으로 함으로써 하나의 종을 보전하는데 목표를 두지 않고 전체 환경을 보전 대상으로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과 동시에 생태계 전체의 균형있는 발전을 추구하는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는 애반딧불이, 운문산반딧불이, 파파리반딧불이, 늦반딧불이 등 2아과 3속 4종의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 이중 수환경과 육지환경에 민감하고 농경환경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애반딧불이는 국내의 다른 반딧불이 종들보다 보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반딧불이와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881547호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방법』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0475522호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은 사육장치와 사육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종의 증식에 중점을 두고 있을뿐 근본적인 해결방안인 서식처 복원에 대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25958호 『친환경적인 반딧불이 복원장치』의 경우 소규모 공원이나 도시내 옥상, 정원과 같은 공간에 반딧불이가 생육할 수 있는 자연환경을 조성하여 반딧불이의 생태를 복원하는 반딧불이 복원시스템 및 이의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의 복원이 아닌 서식처의 조성을 통해 자연생태계를 복구할 수 있도록 고안한 특허이나 전체적인 반딧불이의 생태를 고려한 것이 아닌 수환경(정화연못)에 중점을 두고 발명된 기술이다.
즉 선행된 연구들은 대부분 반딧불이 개체의 증식과 수질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반딧불이의 일생에 대한 전반적인 반영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반딧불이의 자연 생태적인 특성을 잘 파악해 이를 반영함으로써 반딧불이를 자연 생태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시스템적 구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애반딧불이가 자연상태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서식하여 그 생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애반딧불이의 서식처를 조성할 수 있고, 아울러 애반딧불이의 서식처 복원을 통해 청정 생태 환경을 보존 및 유지하는 친환경 생태복원 서식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앞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지유량의 확보를 위하여 전단부에 유량의 공급을 위한 저류조를 구비하며, 저류조에서 애반딧불이 서식처로 유입되는 지역에 하상으로 정화여재로 채워지며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수질정화부를 구비하며, 애반딧불이의 성충이 산란을 하는 낮은 수심을 가지는 저습지부를 구비하며, 유충이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깊이와 폭 그리고 사행의 계류부를 구비하며, 유충이 토와형성 및 탈피를 할수 있는 계류수변부를 구비하며, 성충이 산란을 위해 빛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폐림이 조성되는 수변식생대를 갖춘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있어, 상기 저습지부의 면적은 30㎡이상, 상기 계류부는 길이 3m 이상, 상기 계류수변부는 폭이 30cm 이상, 상기 수변식생대는 폭이 2m 이상의 크기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유지유량의 확보 및 산란에 필요한 수온의 확보를 위하여 애반딧불이 서식처의 용량 30~40%에 해당하는 용량을 갖는 저류조를 전단부에 가지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수질정화부는 하상으로 정화여재에 의해 식재기반이 조성되며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되, 수질개선기능이 뛰어난 노랑꽃창포, 꽃창포, 갈대, 물억새, 미나리, 부들 중 노랑꽃창포를 반드시 포함하며 그 외 1종이상이 포함되도록 식재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식재기반은 활성탄, 제오라이트, 펄라이트, 다공질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며 정화기능이 높은 활성탄과 제오라이트 중 하나이상을 사용하며 펄라이트, 다공질세라믹은 식재기반에 공극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 하나를 반드시 포함하여 조성토록 한다.
애반딧불이의 성충이 주로 서식하는 지역인 저습지부는 10~30cm 내에서 다양하게 수심이 조성되며 산란에 적합한 충분한 온도 유지를 위해 개방수면이 50~70% 정도로 조성토록 한다.
계류부는 10~15°의 각도를 가지며 꺽이는 사행 지역이 2개소이상 분포하고, 하폭이 50~300cm내에서 다양하게 조성되고, 용존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시설(낙차공)이 1개소 이상 조성토록 한다.
계류수변부는 유충이 기어올라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토와형성 및 번데기에서 탈피하기 위한 토양층을 구비한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를 제공 한다.
수변식생대는 반딧불이의 성충이 비행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고려하여 조성되며 성충의 짝짓기에 중요한 제한요인인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층으로 구성된 차폐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각 구성 및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제공되는 각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공증식에 의해 방사된 애반딧불이가 자연상태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서식하여 그 생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애반딧불이의 서식처를 조성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
아울러 애반딧불이의 서식처 복원을 통해 청정 생태 환경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범주를 확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분 A-A'에 따른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선분 B-B'에 따른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저습지부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선분 C-C'에 따른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계류부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수변식생대에서의 식재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애반딧불이의 자연 생태복원 시스템으로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면적이 넓을수록 좋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저습지부(130)는 면적 30㎡, 계류부(140)는 길이 3m, 계류수변부(150)는 폭 30cm, 수변식생대(160)는 폭 2m로 조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하지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보다 조성된 면적이 크거나 작게 조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 이전에 먼저 애반딧불이의 생활사 및 생태적 특성 등을 살펴본다.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는 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의 곤충으로 성충의 몸길이는 평균 7∼12mm이고, 알의크기 0.6mm, 유충의 크기 13∼17mm이다. 일반적으로 6월초에서 8월 중순사이에 고도가 낮은 곳으로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애반딧불이의 주요 서식환경으로는 물이 고여 있고 영양분이 풍부하며 적당한 수온의 재래식 다락논과 같은 지역이 있다. 또한 용출수나 침출수가 나는 경사지의 습지나 못, 넓은 내의 가운데나 주변에 형성된 모래톱 식생대에서 주로 서식 하고 있다. 육식성인 유충의 먹이원으로는 논우렁이, 물달팽이, 다슬기 등이 있으며 주요 천적으로는 가재, 잠자리의 유충, 뱀잠자리의 유충, 물방개, 피라미, 동사리, 붕어, 잉어, 메기, 오리 등이 있다.
애반딧불이의 주요 생활사는 물가의 이끼에 50-100립 정도의 알을 낳는 산란기와 물살이 약한 곳에서 시작하여 성장하면서 점차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유충시기를 거치며, 성숙한 종령 유충이 땅으로 올라와 번데기를 형성하는 토와형성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성충이 된다.
이러한 반딧불이의 생활사를 고려하여 각 단계별 서식환경을 고려해 보면,
애반딧불이 산란은 주로 이끼가 발생되는 지역에 하므로 산란의 유도를 위하여 이끼 형성지역 조성을 조성해 주어야한다. 따라서 이끼 발생가능 조건을 형성하여 주기 위하여 이끼가 형성되기 유리하도록 수분을 유지하여 주며 수목의 식재를 통하여 그늘을 형성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하상으로 통나무를 배치함으로써 이끼의 발생을 원활하도록 하여야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10)는, 본 서식장치(10)에 공급하기 위한 유량을 수용하는 상태로 본 서식장치(1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저류조(110)와; 저류조(110)로부터 유입되는 용수를 정화하기 위해 저류조(110)의 후단에 위치되되, 하상으로 정화여재가 채워지고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어 형성되는 수질정화부(120)와; 수질정화부(120)의 후단에 연결되고 서식장치(10)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며, 10~30cm 이하의 깊이를 가져 전체적으로 표면이 완만한 습지로 형성되는 저습지부(130)와; 저습지부(130)의 용수가 유출되도록 저습지부(130)의 일측을 개방하여 실개천 모양의 개울 형태로 형성시키는 계류부(140)와; 계류부(140)의 양측으로 애반딧불이의 유충이 기어 올라갈 수 있도록 일정폭을 10~20도 내외의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토양층을 형성하는 계류수변부(150)와; 애반딧불이 성충의 식생과 산란을 위한 이끼류의 유도와 차광을 위해 상기 각 구성부의 외측 일정폭으로 관목성 수종에 의한 차폐림이 조성되는 수변식생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류조 설치
수질과 유지유량의 확보를 위하여 전단부에 용수 공급을 위한 저류조(110)를 구비하여 DO 5(mg/L) 내외, pH 7~8, 수온 20~25℃로 유지 한다.
특히 애반딧불이 산란 후 부화에 적합한 온도는 20~25℃, 습도는 60~90%이므로 충분한 습도 유지 및 유지유량의 확보를 위하여 서식처의 전단부에 저류조(110)를 설치한다. 전단부에 설치된 저류조(110)는 유량에 포함된 유기물(SS)를 침전시켜 1차적인 수질개선효과를 가져오며 일정시간을 정체하여 유하시키기 때문에 수온의 상승효과가 있다.
수질정화부 설치
저류조(110)에서 애반딧불이 서식처로 유량이 공급되는 중간지역에 수질정화부(120)을 설치하여 수질정화를 유도할 것인바, 수질정화부(120)의 경우 하상으로는 정화여재에 의해 식재기반이 조성되며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어 있어 복합적(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수질개선효과를 유도한다. 애반딧불이의 경우 서식환경이 DO 5(mg/L)정도로 매우 양호한 수질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저류조(110)에서 부유물질(SS)의 침전을 유도한 후 반드시 수질정화부(120)을 통과시킴으로써 애반딧불이가 서식하기 가능한 수질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하상으로 정화여재에 의해 식재기반이 조성되며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되, 수질개선기능이 뛰어난 노랑꽃창포, 꽃창포, 갈대, 물억새, 미나리, 부들 중 노랑꽃창포를 반드시 포함하며 그 외 1종이상이 포함되도록 식재한다. 식재기반은 활성탄, 제오라이트, 펄라이트, 다공질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며 정화기능이 높은 활성탄과 제오라이트 중 하나이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펄라이트, 다공질 세라믹은 기반에 공극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두가지 중 어느하나를 반드시 포함하여 조성 토록 한다.
저습지부
저습지부(130)는 성충이 주로 서식하며 산란하는 지역으로 초기의 유충의 생육지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도 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저습지부(130)는 10~30cm 내에서 다양하게 수심이 조성되며 산란에 적합한 충분한 온도 유지를 위해 개방수면이 50~70% 정도로 조성토록 한다. 또한 성충의 충분한 비행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으로 조성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최소 30㎡이상으로 조성하며 횡적인 형태보다는 원형의 형태로 조성토록 한다. 낮은 수심은 산란에 적합한 온도의 제공뿐만 아니라 먹이원인 물달팽이, 논우렁이의 서식이 가능토록 할 것이다.
하상의 경우 물달팽이와 논우렁의 서식하기에 유리하도록 방수지반의 상부로 양토를 이용하여 표층을 조성하되 모래를 10~20% 포함하며, 자갈을 5~10%정도 포함하여 조성토록 한다.
계류부
유충의 주요 서식지역인 계류부(140)의 경우 저습지부(130)와 연계하여 설치토록 하며 유충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계류부(140)의 계류와 같은 서식환경을 필요로 하게 된다. 유충의 경우 총 4회 탈피를 하는데 충분한 먹이원의 공급과 산소의 공급이 중요하므로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계류부(140)의 경사는 10~40°정도로 조성하고 하폭이 50~300cm내에서 다양하게 조성되며 최소한 1개 이상의 폭기시설(낙차공)을 조성하여 산소를 공급하여 준다. 부가적으로 계류부(140)의 구불구불한 사행 형태로 하되 각도 10~15° 정도로 꺽이는 부분이 최소 2개소 이상 분포하도록 조성함으로써 유속의 변화를 주어 다양한 생육환경을 제공토록 한다. 또한 넓은 곳과 좁은 곳이 분포되도록 하되 넓은 곳은 성충이 비행하는 공간으로 활용, 좁은 곳은 유속의 변화를 두어 용존산소량을 높여주며, 수심이 깊은 곳과 얕은 곳을 다양하게 조성하되 저습지부(130)와 마찬가지로 최대 30cm, 바람직하게 10cm 내외로 조성한다.
애반딧불이 유충의 충분한 서식공간을 확보하며, 서식지로서의 기능에 필요한 폭기시설, 경사지역, 다양한 하폭지역, 다양한 수심지역 등을 조성하기 위하여 계류의 조성길이는 최소 3m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길이는 길어질수록 다양한 생육환경 조성에 바람직하다.
계류부(140)는 애반딧불이의 먹이원인 다슬기가 부착하여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상의 경우 저습지 지역에 비하여 자갈 및 큰돌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반다짐한 상부로 자갈을 10%이상 포함하며 장축의 길이가 최소 30cm 이상인 평평한 형태의 호박돌이 5%이상 포함되도록 조성한다.
계류수변부
계류수변부(150)는 유충이 성충이 되기 위한 토와형성을 위해 필요한 지역으로 유충이 기어 올라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토와형성 및 번데기에서 탈피하기 위한 토양층의 조성이 중요하다. 토와형성은 수변부의 토양에서 이루어지며 적절한 보수성과 공기의 유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토양층은 모래 40~50%, 자갈 10~20, 양토 40~50%로 조성한다. 또한 유충이 기어올라 갈 수 있도록 경사도를 10~20°정도로 조성하되 바람직하게는 10°내외가 좋으며, 폭이 최소 30cm 이상의 폭을 확보토록 하여 큰돌, 통나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변환경을 조성한다.
수변식생대 조성
수변식생대(160)는 그늘 조성을 통한 이끼류의 유도와 차광을 위한 차폐림 조성지역으로 도 5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교목(161), 아교목(162), 관목(163)의 다층식재에 의해 수림을 조성하는 지역이다. 식재식물은 애반딧불이 애벌레의 주요 먹이원인 권폐류의 번식을 위하여 낙엽과 나무열매가 있는 식물을 식재할 것이며 주요종으로 참나무류를 식재(졸참나무)하며, 수반종으로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당단풍, 신나무, 함박꽃나무, 고추나무, 갯버들, 꼬리조팝나무, 병꽃나무 등을 식재한다. 수반종중 물푸레나무, 당단풍, 신나무, 층층나무, 함박꽃나무 등은 아교목성 수종들로 최소한 2종이상이 포함되게 식재하며 고추나무, 갯버들, 꼬리조팝나무, 병꽃나무, 쉬땅나무 등은 관목성 수종들로 최소한 2종이상이 포함되게 식재토록 함으로써 다층림을 조성토록 한다.
이러한 다층림의 조성은 다양한 생육환경의 조성과 더불어 밀집된 식생구조를 가지고 있어 차폐효과가 일반적인 교목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식재형태 차폐율(%) 비고
1 교목 70
2 아교목 60
3 관목 30
4 교목+아교목 80
5 교목+관목 85
6 아교목+관목 70
7 교목+아교목+관목 95
따라서 수목의 식재시 교목(161), 아교목(162), 관목(163) 중 교목(161)을 식재하고 아교목(162)과 관목(163)중 반드시 하나 이상을 함께 식재하는 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교목(161), 아교목(162), 관목(163)을 함께 식재함으로써 다층림을 조성토록 한다.
조성되는 수변림의 하단부로 반딧불이 산란에 필요한 이끼 형성지역 조성을 조성해 주어야한다. 따라서 이끼 발생가능 조건을 형성하여 주기 위하여 이끼가 형성되기 유리하도록 수분을 유지하여 주며 수목의 식재를 통하여 그늘을 형성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하상으로 최소한 직경 10cm 이상의 통나무를 배치함으로써 이끼의 발생을 원활하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생육기반 조성을 위하여 직경 50cm 이상의 큰돌을 일부 설치토록 한다. 실시예에서 그늘지역에서 60일 정도 측정한 결과 하상으로 통나무를 배치한 경우 거석을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5배이상의 이끼발생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구분 재질 이끼발생량 비고
1 거석 표면적 10~20% 그늘지역, 60일 경과
2 통나무 표면적 50~60% 그늘지역, 60일 경과
지금까지의 본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 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도 1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저습지부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1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계류부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도 1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수변식생대에서의 식재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110 : 저류조 120 : 수질정화부
130 : 저습지부 140 : 계류부
150 : 계류수변부 160 : 수변식생대

Claims (14)

  1. 애반딧불이를 자연적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서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식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유량을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서식장치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로부터 유입되는 용수를 정화하기 위해 상기 저류조의 후단에 위치되되, 하상으로 정화여재가 채워지고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어 형성되는 수질정화부와;
    상기 수질정화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서식장치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며, 10~30cm 이하의 깊이를 가져 전체적으로 표면이 완만한 습지로 형성되는 저습지부와;
    상기 저습지부의 용수가 유출되도록 상기 저습지부의 일측을 개방하여 실개천 모양의 개울 형태로 형성시키는 계류부와;
    상기 계류부의 양측으로 상기 애반딧불이의 유충이 기어 올라갈 수 있도록 일정폭을 10~20도 내외의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토양층을 형성하는 계류수변부와;
    상기 애반딧불이 성충의 식생과 산란을 위한 이끼류의 유도와 차광을 위해 상기 각 구성부의 외측 일정폭으로 관목성 수종에 의한 차폐림이 조성되는 수변식생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습지부는 면적이 30㎡이상, 상기 계류부는 길이 3m 이상, 상기 계류수변부는 폭이 30cm 이상, 상기 수변식생대는 폭이 2m 이상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는
    유지유량의 확보 및 산란에 필요한 수온의 확보를 위하여 애반딧불이 서식처의 용량 30~40%에 해당하는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부는
    그 하상이 점토방수층 상부로 정화여재에 의해 식재기반이 조성되며 상부로 정수식물이 식재되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부는
    상부로 노랑꽃창포, 꽃창포, 갈대, 물억새, 미나리, 부들 중 노랑꽃창포를 반드시 포함하며 그 외 1종 이상이 포함되도록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기반은
    상기 정화여재로 활성탄, 제오라이트, 펄라이트, 다공질 세라믹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활성탄과 제오라이트 중 하나와 식재기반에 공극을 확보하기 위한 상기 펄라이트, 다공질세라믹 중 어느 하나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습지부는
    10~30cm 내에서 수심이 조성되며 개방수면이 50~7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습지부는
    방수지반의 상부로 모래를 10~20%, 자갈을 5~10% 포함시키는 상태로 양토를 이용하여 표층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는
    경사가 10~40°, 하폭이 50~300cm의 범위이되, 유로가 10~15°의 각도로 꺽이는 지역이 2개소이상 분포하며, 용존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시설(낙차공)이 1개소 이상 설치되는 계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계류부는
    지반다짐한 상부로 자갈 10%이상 포함하며 장축의 길이가 최소 30cm 이상인 평평한 형태의 호박돌이 10%이상 포함되도록 그 하상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수변부는
    유충이 기어올라갈 수 있도록 경사도를 10~20°범위로 하며 토와형성 및 번데기에서의 탈피를 위해 토양층은 모래 40~50%, 자갈 10~20%, 양토 40~50%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변식생대는
    차폐림 조성시 교목을 식재하고 아교목과 관목중 반드시 하나 이상이 함께 식재되어 조성되는 다층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림은
    주요종으로 참나무류인 졸참나무를 식재하며, 수반종으로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당단풍, 신나무, 함박꽃나무, 고추나무, 갯버들, 꼬리조팝나무, 병꽃나무가 포함되도록 식재하되, 상기 수반종 중 아교목성 수종들인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당단풍, 신나무, 함박꽃나무 중에서 최소 2종이상이, 관목성 수종들인 고추나무, 갯버들, 꼬리조팝나무, 병꽃나무, 쉬땅나무 중에서 최소 2종이상이, 각각 포함되도록 식재함으로써 다층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변식생대는
    그 하상으로 이끼의 발생을 위하여 최소한 직경 10cm 이상의 통나무를 배치하고, 다양한 생육기반 조성을 위하여 직경 50cm 이상의 큰 돌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KR1020090072053A 2009-08-05 2009-08-05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KR10095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053A KR100956862B1 (ko) 2009-08-05 2009-08-05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053A KR100956862B1 (ko) 2009-08-05 2009-08-05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862B1 true KR100956862B1 (ko) 2010-05-11

Family

ID=4228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053A KR100956862B1 (ko) 2009-08-05 2009-08-05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111A (ko) * 2015-08-28 2017-03-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CN113207533A (zh) * 2021-05-13 2021-08-06 北京北华清创环境工程有限公司 适于人工复育水生萤火虫的人工湿地系统及其构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839B2 (ja) * 2002-01-11 2006-04-19 株式会社トヨシステムプラント 蛍の飼育装置
JP3889634B2 (ja) * 2002-02-05 2007-03-07 良充 浜島 蛍の育成方法並びに蛍育成用用土及び装置
JP3902476B2 (ja) * 2002-01-23 2007-04-04 東京都板橋区 ホタルの累代飼育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37548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반딧불이 및 생물종 번식을 유도하기 위한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839B2 (ja) * 2002-01-11 2006-04-19 株式会社トヨシステムプラント 蛍の飼育装置
JP3902476B2 (ja) * 2002-01-23 2007-04-04 東京都板橋区 ホタルの累代飼育システム及び方法
JP3889634B2 (ja) * 2002-02-05 2007-03-07 良充 浜島 蛍の育成方法並びに蛍育成用用土及び装置
KR20090037548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반딧불이 및 생물종 번식을 유도하기 위한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111A (ko) * 2015-08-28 2017-03-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KR101938162B1 (ko) * 2015-08-28 2019-01-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CN113207533A (zh) * 2021-05-13 2021-08-06 北京北华清创环境工程有限公司 适于人工复育水生萤火虫的人工湿地系统及其构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Floating treatment wetland nutrient removal through vegetation harvest and observations from a field study
Welsch Riparian forest buffers: function and design for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water resources
KR101492975B1 (ko) 남생이 인공 증식시설
JP2007209969A (ja) 水中設置型植物栽培容器体
Ducrotoy et al. Temperate estuaries: their ecology under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CN112042599A (zh) 一种萤火虫栖息地系统及栖息地的营建方法
Omondi et al. Lakes Baringo and Naivasha: endorheic freshwater lakes of the Rift Valley (Kenya)
CN101142905A (zh) 一种生态观赏鱼缸
KR100956862B1 (ko) 애반딧불이의 자연적 생태복원 서식장치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CN102132693A (zh) 花坞除蚊器
JP3902476B2 (ja) ホタルの累代飼育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080649A (ja) ホタル等の周年飼育装置
KR100938668B1 (ko)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101138492B1 (ko) 생태하천의 어류 및 수서동물 서식지 조성을 위한 생태 구조체
KR20040070980A (ko) 생물다양성 복원에 적합한 인공 생태늪
KR101938162B1 (ko)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KR20050040049A (ko) 곤충서식 환경 조성형 인공연못구조
KR100608931B1 (ko) 친환경적인 반딧불이 복원장치
KR101712440B1 (ko) 유해조류 방제를 위한 개구리밥과식물 배양용 수상구조물
KR101713396B1 (ko) 갯지렁이 양식 방법
KR102527201B1 (ko) 아쿠아포닉스의 재배조건을 활용한 염생식물 재배방법
CN107600343A (zh) 一种抗水流生态浮岛基底及其构成的生态浮岛
Masser Water gardens
JP3119989U (ja) 環境保全型複合増殖林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