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78B1 -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78B1
KR100956678B1 KR1020080123590A KR20080123590A KR100956678B1 KR 100956678 B1 KR100956678 B1 KR 100956678B1 KR 1020080123590 A KR1020080123590 A KR 1020080123590A KR 20080123590 A KR20080123590 A KR 20080123590A KR 100956678 B1 KR100956678 B1 KR 10095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dule
root
length
root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수
Original Assignee
문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수 filed Critical 문창수
Priority to KR102008012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1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of a 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는 배터리와 통전되는 한 쌍의 측정 커넥터 및 접지 커넥터와, 상기 측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접속전극를 결합하여 치아를 천공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파일에 접속전극을 통전되게 연결한 측정모듈과, 상기 접지 커넥트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어스전극을 결합하여 입술이나 잇몸에 접지되는 어스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아 표면으로 부터 침투되어 치근단으로 접근하면서 가변되는 전원 저항값을 수치로 환산하는 전압검출모듈과, 상기 전압검출모듈에서 환산된 신호에 의해 치근단으로 접근하는 파일의 첨단의 접근 거리에 따라 점등되어 시각 시인성을 만족하도록 하는 접근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근단까지 근접되어 치아 내부 천공작업이 마무리되면 전압검출모듈로 부터 치근단의 총 길이가 수치로 환산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길이표시모듈로 이루어진다.
치아. 근관, 치근단, 신경, 치료, 측정, 길이

Description

휴대용 근관측정장치{PORTABLE MEASURING INSTRUMENT FOR ENDODONTIC LENGTH}
본 발명은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것을 측정하는 각 구성요소를 하나로 통합하여 독립적 기능 수행을 하는 기기로 모듈화시킴과 동시에 측정된 수치를 음성, 빛, 길이 단위로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 속에는 치수라고 하는 조직이 있으며 이 치수는 신경과 혈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치아에 영양분, 수분 등을 공급하고 감각을 느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치수가 충치 등으로 인하여 감염되어 염증 상태에 빠진 것을 치수염이라고 하고, 치아뿌리 부분의 치근단골조직에도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시행하는 치료를 근관치료(신경치료)이다. 즉, 근관치료는 감염된 치수조직을 특수한 기구를 사용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근관을 소독하여 무균상태로 만든 다음 생체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치수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을 채워주는 시술법이다.
여기서, 근관을 치료하기 위해 선행되는 근관의 길이 측정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근관의 길이 측정을 위해서 사용되는 전자 근관장 측정장치는 인체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것을 측정하는 장치로 1962년 일본의 Sunada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었다(Sunada I: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r the root canal, J DentRes 41: 375, 1962). 그 원리는 사람의 입술과 치근단치주인대를 연결하는 도선을 만들고 여기에 40㎂의 전류를 흘리면, 파일(file)이나 리머(reamer)와 같은 절삭공구가 근관에 들어가면서 저항이 6㏀에 이르는 순간이 치근단이라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초기의 측정장치는 오류가 많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파수 의존형 측정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여러 근관내 상태를 기계가 측정하여 오차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이승종·김덕원·남기창: 주파수의존형 전자근관장측정기의 개발과 정확도에 관한 연구; 전압차 자동 보정형. 대한치과보존학회지1997; 22: 809-819).
이와 같은 방법을 채용하여 근관장을 측정하는 대부분의 근관장 측정장치는 단말기형태로 제공되어 치과 진료실에 설치된 유니트 체어(unit chair)의 테이블 또는 별도의 테이블에 얹어두고, 근관장 측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진료를 진행함에 있어, 전극(probe)까지의 리드선에 의한 불편이 가중되며, 또한 진료의는 치료를 함에 있어서 환자의 환부를 보면서 근관장 측정장치의 표시부(LCD)를 확인 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59070호(1998.08.08.) 『근관길이 측정기능을 구비한 치과치료장치』에서는 근관길이 측정기능을 구비한 치료장치의 핸드피스를 코드리스(cordless)식으로 구성하여 프로브(probe)까지의 리드선에 의한 불편을 줄여 조작성과 사용성을 향상시켰으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단말기상에 구성되어 외부로 이를 표시하도록 하나, 근관장의 정확한 측정결과를 확인하는데 있어 그 수치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반적인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술 도중 여러번 수치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것을 측정하는 각 구성요소를 통합하여 하나의 기기로 모듈화함으로써, 독립적인 기능 수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근관측정장치를 통해 치근단의 길이와 치아를 천공하여 치근단에 도달하는 거리에 대한 과정 결과값을 발광을 통한 표시 및 소리에 의한 알림 기능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를 천공하는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거 리에 따라 그 과정을 다양한 색상 모드와 경보음으로 치근단 까지의 도달 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치근단의 총 길이를 길이 단위로 산출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용 치근단 측정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저 전력 소모를 꾀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교체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치아를 천공하는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것을 측정하는 근관측정장치의 독립적인 기능 수행을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 향상에 따른 기기의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는 배터리와 통전되는 한 쌍의 측정 커넥터 및 접지 커넥터와, 상기 측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접속전극를 결합하여 치아를 천공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파일에 접속전극을 통전되게 연결한 측정모듈과, 상기 접지 커넥트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어스전극을 결합하여 입술이나 잇몸에 접지되는 어스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아 표면으로 부터 침투되어 치근단으로 접근하면서 가변되는 전원 저항값을 수치로 환산하는 전압검출모듈과, 기 전압검출모듈에서 환산된 신호에 의해 치근단으로 접근하는 파일의 첨단의 접근 거리에 따라 점등되어 시각 시인성을 만족하도록 하는 접근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근단까지 근접되어 치아 내부 천공작업이 마무리되면 전압검출모듈로 부터 치근단의 총 길이가 수치로 환산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길이표시모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원 공급상태를 컨트롤 하는 전원조작모듈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근모듈은 복수개의 LED램프가 일렬로 배치되어 파일의 첨단이 치근단에 접근될수록 LED램프가 단계적으로 발광하되, 상기 치근단과 파일의 근접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색상이 가변되는 모드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길이표시모듈은 mm 단위의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눈금 중앙으로 LED 표시창을 가로질러 마련하여 치근단의 측정 길이에 맞추어 LED가 해당 눈금만큼 점등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근모듈과 길이측정모듈 및 전원조작모듈이 동작될 때마다 음성으로 경보하는 것을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접근모듈, 길이표시모듈을 내장하는 케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 양측에 형성시킨 한 쌍의 돌출부에 단부에는 측정커넥터와 접지커넥터를 형성시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전면에는 상기 접근모듈의 복수개 LED램프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케이스 후면에는 길이표시모듈의 눈금이 형성되도록 구성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돌출부의 사이 공간 상면에 개구공을 형성시켜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공에는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커버는, 개구공을 밀폐시켜 케이스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는 마감부가 마련되고, 상기 마감부 하부에 배터리를 수납하도록 일부가 절개된 환형의 단턱이 형성되어 개구공에 커버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단자와 배터리의 단자가 접지되는 동시에 상기 마감부 하부 양측에 형성시킨 걸림편이 탄력적으로 개구공 내부 단부에 걸림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클립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립은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후면에는 돋보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인체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것을 측정하는 각 구성요소를 통합, 하나의 기기로 모듈화시킴으로써, 향상된 휴대성에 의해 치과시술시 자유로운 시술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한 치과시술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근관측정장치를 통해 치근단의 길이 와 치아를 천공하여 치근단에 도달하는 거리 측정의 결과값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치근단 길이 측정에 대하여 기타 치과장치와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 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조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근관측정장치를 통해 치근단의 길이와 치아를 천공하여 치근단에 도달하는 거리에 대한 과정 결과값을 발광을 통한 표시 및 소리에 의한 알림 기능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시술자가 발광 상태와 소리를 통해서도 측정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 치과치료의 시술에 집중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치아를 천공하는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거리에 따라 그 과정을 다양한 색상 모드로 나타내어 최초 치아 표면을 천공할 때 치근단과의 거리가 카운트되는 시점부터 블루색상모드로 발광하고, 치아의 천공장치가 치근단에 근접될 수록 그린색상모드를 거쳐 레드색상모드로 점진적으로 발광색을 변환시켜 불빛의 색상으로도 거리측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근접거리가 가까워질 수록 경보음의 크기를 가변시켜 측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치근단의 총 길이를 길이 단위(mm)로 산출하여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치근단의 길이측정이 가능하여 오류없는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전용 치근단 측정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저 전력 소모를 꾀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교체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배터리 교체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길이표시모듈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에 장착되는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와 통전되는 한 쌍의 측정 커넥터 111및 접지 커넥터 112와, 상기 측정 커넥터 111및 접지 커넥터 112에 접속되어 치료대상에 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측정모듈 120과, 치료대상 피부에 전원의 접지를 위한 어 스모듈 130과, 상기 파일 123이 치아 표면으로 부터 침투되어 치근단으로 접근하면서 가변되는 전원 저항값을 수치 153로 환산하는 전압검출모듈 140과, 상기 전압검출모듈 140의 측정값을 외부로 발광표시하는 접근모듈 150과, 상기 접압검출모듈의 측정값으로 길이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길이표시모듈 160과 상기 배터리 113의 전원 공급상태를 컨트롤 하는 전원조작모듈 170로 구성된다.
먼저,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측정모듈 120은 측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 121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 122에 접속전극 124를 결합하여 치아를 천공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파일 123에 접속전극 124을 통전되게 연결된다.
여기서, 파일 123은 접속전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파일 123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치아의 표면에서 내부로 회전되면서 리이드이동하여 치료대상 치아의 내부를 천공하며, 배터리 113의 전압을 접속전극 124으로 부터 제공받는다.
그리고, 어스모듈 130은 상기 접지 커넥트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 131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 122에 어스전극 132을 결합하여 입술이나 잇몸에 접지된다.
상기 배터리 113를 통하여 통전되는 전류의 양은 약 5㎂ 내외로 최소화시켜 환자의 불쾌감을 줄였으며, 상기 측정모듈 120과 어스모듈 130을 통해 하나가 아닌 두 가지 다른 주파수를 활용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두 개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 면 동시에 두 개의 다른 저항을 얻게 되는데 낮은 주파수에서는 높은 저항을, 높은 주파수에서는 낮은 저항을 얻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주파수로 인한 저항값의 차이는 파일 123이 치근단 가까이(2 내지 3mm 지점)에 근접하면 점점 커져서 치근단에서 극대화 된다.
이때, 전압검출모듈 140은 수시로 저항값 차이를 계산하여 표시하고, 두 주파수 간의 저항이 미리 지정된 치근단공의 값에 이를 때 측정기는 치근단공임을 알려준다.
상기 전압검출모듈 140을 통한 외부 표시는 접근모듈 150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압검출모듈 140에서 환산된 신호 값에 의해 치근단으로 접근하는 파일 123의 첨단의 접근 거리에 따라 점등되어 시각 시인성을 만족하도록 한다.
시각 시인성을 만족하기 위한 수단인 상기 접근모듈 150은 복수개의 LED램프가 일렬로 배치되어 파일 123의 첨단이 치근단에 접근될수록 LED램프가 단계적으로 발광하되, 상기 치근단과 파일 123의 근접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색상이 가변되는 ㅗ드로 변화되어 표시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접근모듈 150의 LED램프 근방에 파일 123의 첨단과 치근단 사이 거리가 수치 153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LED 램프 151의 발광 단계는 크게 3단계로 발휘된다.
즉, 복수개의 램프 측방에 표시된 수치를 기준으로 2.00~0.75 까지는 녹색 조명이 발휘되고, 0.50~0.25까지는 오랜지색 조명이 발휘되며, 0.25~-0.00까지는 빨간색 조명이 발휘된다.
이렇게 파일의 침투 깊이가 더 진행될 수록 그 하부에 배치된 LED 램프 151는 그린색상의 발광을 거쳐 레드색상으로 발광하여 파일 123의 첨단이 치근단에 근접되고 있는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특히, 상기 접근모듈 150의 LED램프 양근방에는 파일 123의 첨단과 치근단 사이 거리가 수치 153로 표시되어 있어. 해당 발광 색상에 표시된 수치 153를 통하여 치근단의 접근 거리를 인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근모듈 150과 길이측정모듈 120 및 전원조작모듈 170이 동작될 때마다 스피커 152를 통해 음성으로 경보로도 인지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음성정보는 비프음으로 발생되며, 수치 153가 1.00 시점부터 비프음의 템포가 빨라지기 시작하면서 수치 153가 0.50에 도달하면 비프음 간격이 긴급하게 진행되고, 수치 153가 아이펙스(APEX)를 넘는 시점부터 비프음은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파일의 첨단이 치근단에 닿지 않도록 위험 음성 정보를 외부로 발생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시술자가 발광 상태와 소리를 통해서도 측정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 치과치료의 시술에 집중을 꾀할 수 있도록 있다.
상기 길이표시모듈 160은 상기 파일 123이 치근단까지 근접되어 치아 내부 천공작업이 마무리되면 전압검출모듈 140로 부터 치근단의 총 길이가 수치 153로 환산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길이표시모듈 160은 mm 단위의 눈금 163이 형성되고, 상기 눈금 163 중 앙으로 LED 표시창 161을 가로질러 마련하여 치근단의 측정 길이에 맞추어 LED가 해당 눈금 163만큼 점등되도록 한다.
이는, 치근단의 총 길이를 길이 단위(mm)로 산출하여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치근단의 길이측정이 가능하여 오류없는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측정 커넥터, 접지커넥터, 측정모듈 120, 어스모듈 130, 전압검출모듈 140, 접근모듈 150. 길이표시모듈 160 및 전원조작모듈 170은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110에 탑재되어, 하나로 통합된 기기로 모듈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시킨 한 쌍의 돌출부 115에 단부에는 측정커넥터와 접지커넥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 110 전면에는 상기 접근모듈 150의 복수개 LED램프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케이스 110 후면에는 길이표시모듈 160의 눈금 16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는 휴대성을 향상시켜 치과시술시 자유로운 시술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한 치과시술을 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근관측정장치를 통해 치근단의 길이와 치아를 천공하여 치근단에 도달하는 거리 측정의 결과값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치근단 길이 측정에 대하여 기타 치과장치와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 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조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케이스 110는 돌출부 115의 사이 공간 상면에 개구공 116을 형성시켜 케이스 110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개구공 116에는 커버 117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 113를 교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117는 개구공 116을 밀폐시켜 케이스 110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는 마감부 117a가 마련되고, 상기 마감부 117a 하부에 배터리 113를 수납하도록 일부가 절개된 환형의 단턱 117b이 형성되어 개구공 116에 커버 117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 110 내부에 마련된 단자 114와 배터리 113의 단자 114가 접지되는 동시에 상기 마감부 117a 하부 양측에 형성시킨 걸림편 117c이 탄력적으로 개구공 116 내부 단부에 걸림되도록 구성한다.
이는, 배터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써, 마감부 117a를 통하여 개구공 116에서 커버 117를 외부로 취출한 다음 단턱 117b에 장착된 배터리 113를 교체한다.
이후, 단턱 117b에 재 장착된 배터리 113를 개구공 116으로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케이스 110 내부에 마련된 단자 114와 배터리 113가 접지되어 각 모듈로 통전시키는 동시에 걸림편 117c이 개구공 116 단부에 걸림되어 커버 117가 개구공 1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킨다.
이로써, 전용 치근단 측정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저 전력 소모를 꾀할 수 있으며, 배터리 113의 교체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110의 후면에는 클립 18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근관측정장치의 휴대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 180은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후면에는 돋보기 181를 일체로 형성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길이표시모듈 160의 눈금 163을 확대시켜 용이하게 육안을 눈금 163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배터리 교체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의 길이표시모듈을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에 장착되는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근관장 측정장치 110 : 케이스
111 : 측정 커넥터 112 : 접지 커넥터
113 : 배터리 114 : 단자
115 : 돌출부 116 : 개구공
117 : 커버 117a : 마감부
117b : 단턱 117c : 걸림편
120 : 측정모듈 121 : 접속커넥터
122 : 전선 123 : 파일
124 : 접속전극 130 : 어스모듈
131 : 접속커넥터 132 : 어스전극
140 : 전압검출모듈 150 : 접근모듈
151 : LED 램프 152 : 스피커
153 : 수치 160 : 길이표시모듈
161 : LED 표시창 163 : 눈금
170 : 전원조작모듈 180 : 클립
181 : 돋보기

Claims (10)

  1. 배터리와 통전되는 한 쌍의 측정 커넥터 및 접지 커넥터와,
    상기 측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접속전극를 결합하여 치아를 천공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파일에 접속전극을 통전되게 연결한 측정모듈과,
    상기 접지 커넥트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어스전극을 결합하여 입술이나 잇몸에 접지되는 어스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아 표면으로 부터 침투되어 치근단으로 접근하면서 가변되는 전원 저항값을 수치로 환산하는 전압검출모듈과,
    상기 전압검출모듈에서 환산된 신호에 의해 치근단으로 접근하는 파일의 첨단의 접근 거리에 따라 점등되어 시각 시인성을 만족하도록 하는 접근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근단까지 근접되어 치아 내부 천공작업이 마무리되면 전압검출모듈로 부터 치근단의 총 길이가 수치로 환산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길이표시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접근모듈, 길이표시모듈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마련하되,
    상기 케이스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상기 돌출부 단부에 상기 측정커넥터와 접속커넥터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길이표시모듈의 mm 단위를 갖는 눈금을 형성하되, 상기 눈금 중앙으로 LED 표시창을 가로질러 마련하여 치근단의 측정 길이에 맞추어 LED가 해당 눈금만큼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는 돌출부의 사이 공간 상면에는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공을 형성시켜 배터리를 장착한 커버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배터리 교체를 교체를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커버는 개구공에 결합시 케이스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는 마감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 하부에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일부가 절개된 환형의 단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개구공을 통해 커버를 케이스 내부로 결합시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단자와 배터리의 단자가 접지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마감부 하부 양측에 형성시킨 걸림편이 탄력적으로 개구공 내부 단부에 걸림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클립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후면에는 돋보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
KR1020080123590A 2008-12-05 2008-12-05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KR10095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590A KR100956678B1 (ko) 2008-12-05 2008-12-05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590A KR100956678B1 (ko) 2008-12-05 2008-12-05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678B1 true KR100956678B1 (ko) 2010-05-10

Family

ID=4228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590A KR100956678B1 (ko) 2008-12-05 2008-12-05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6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9625A (zh) * 2018-08-22 2019-01-15 施程峰 一种根管长度测量方法及根管长度测量仪
WO2019040477A1 (en) * 2017-08-21 2019-02-28 Dentsply Sirona Inc. APICAL ROOT CANAL MARK
KR20230060203A (ko) * 2021-10-27 2023-05-04 (주)메타시스템즈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356A (ja) * 1991-09-30 1993-08-03 Morita Mfg Co Ltd 歯科用根管診療装置
JP3113109B2 (ja) * 1992-12-15 2000-11-27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根管長測定器
JP3253874B2 (ja) * 1996-11-28 2002-02-04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根管長測定及び根尖孔位置検出装置
JP3509938B2 (ja) * 1994-07-06 2004-03-22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光根管治療装置および根管治療用プロー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356A (ja) * 1991-09-30 1993-08-03 Morita Mfg Co Ltd 歯科用根管診療装置
JP3113109B2 (ja) * 1992-12-15 2000-11-27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根管長測定器
JP3509938B2 (ja) * 1994-07-06 2004-03-22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光根管治療装置および根管治療用プローブ
JP3253874B2 (ja) * 1996-11-28 2002-02-04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根管長測定及び根尖孔位置検出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0477A1 (en) * 2017-08-21 2019-02-28 Dentsply Sirona Inc. APICAL ROOT CANAL MARK
US11160646B2 (en) 2017-08-21 2021-11-02 Dentsply Sirona Inc. Root canal apex locator
CN109199625A (zh) * 2018-08-22 2019-01-15 施程峰 一种根管长度测量方法及根管长度测量仪
CN109199625B (zh) * 2018-08-22 2021-03-19 施程峰 一种根管长度测量方法及根管长度测量仪
KR20230060203A (ko) * 2021-10-27 2023-05-04 (주)메타시스템즈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WO2023074977A1 (ko) * 2021-10-27 2023-05-04 (주)메타시스템즈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KR102631436B1 (ko) 2021-10-27 2024-01-3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1705A1 (en) Device for destruction of tumor tissue
JP5010587B2 (ja) 組織治療装置
JP4041165B2 (ja) 高周波電流を使用して歯を失活させる装置
US20150230902A1 (en) Endodontic file for assessing root canal depth
US10646316B2 (en) Apex locator
KR100959404B1 (ko) 치아 근관충전용 근관치료기 및 그의 발열팁
US11160646B2 (en) Root canal apex locator
KR20110021720A (ko) 치근관에서 근단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6678B1 (ko)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ES2651919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lesiones de caries dentales precoces no cavitadas
JP6614926B6 (ja) スペーサを備えるプラズマ外科手術装置
KR20200088079A (ko) 치과용 근관 길이 측정기
WO2005115271A1 (en) Measuring instrument system for endodontic len
US20060154199A1 (en) Wireless root canal apex locator
WO2020215631A1 (zh) 一种挂钩式牙根尖定位仪
CA2552975C (en) Wireless root canal apex locator
KR101471884B1 (ko) 휴대용 핸드피스 레이저 치료 장치
JP2005193012A (ja) 歯科診療装置
DK1986565T3 (en) Wireless root canal tip locator
KR100497530B1 (ko) 근관장 측정장치
US20180168479A1 (en) Device for measuring differences in conductivity
CN103815978B (zh) 龋坏牙本质探测仪
RU20717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KR20130126349A (ko) Pc기반의 치과 치료장비에 빌트인 된 근관측정과 확대할 수 있는 통합장치
KR102631436B1 (ko)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