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436B1 -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436B1
KR102631436B1 KR1020210144669A KR20210144669A KR102631436B1 KR 102631436 B1 KR102631436 B1 KR 102631436B1 KR 1020210144669 A KR1020210144669 A KR 1020210144669A KR 20210144669 A KR20210144669 A KR 20210144669A KR 102631436 B1 KR102631436 B1 KR 10263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root canal
light source
fi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203A (ko
Inventor
류현석
백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주)메타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주)메타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210144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436B1/ko
Priority to PCT/KR2021/015635 priority patent/WO2023074977A1/ko
Publication of KR2023006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1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of a 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자가 LED 광원의 색 변화를 이용하여 근관 길이의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는, 근관 내의 치수 제거와 근관 확장을 위한 근관 치료용 파일이 구비된 일측을 포함한 일부가 LED 광원의 LED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재로 이루어지는 앵글; 피시술자의 입술에 거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립 훅; 상기 앵글의 타측에 구비된 제1 단자가 삽입될 제1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파일과 통전되며, 상기 립 훅의 제2 단자가 삽입될 제2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립 훅과 통전되는 상기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LED 광을 조사하는 상기 LED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배터리와 상기 LED 광원, 상기 파일 및 립 훅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 및 상기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파일이 치아표면에서부터 치근단으로 접근함에 따라 가변되는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획득하는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서 조사되는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Handpiece with root canal length measurement function}
본 발명은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LED 광원의 색 변화를 이용하여 근관 길이의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치아 속에는 치수라고 하는 조직이 있으며, 이 치수는 신경과 혈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치아에 영양분, 수분 등을 공급하고 감각을 느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치수가 충치 등으로 인하여 감염되어 염증 상태에 빠진 것을 치수염이라고 하고, 치아뿌리 부분의 치근단골조직에도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시행하는 치료를 근관치료(또는 신경치료)라 한다. 즉, 근관치료는 감염된 치수조직을 절삭구 등의 특수한 기구를 사용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근관을 소독하여 무균상태로 만든 다음 생체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치수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을 채워주는 시술법이다.
또한, 근관치료는 근관의 근첨협착부까지 수행하지만, 이 근첨협착부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 근첨협착 위치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근관 길이 측정기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근관 길이 측정기는 일반적으로 인체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장치가 치근단조직에 도달하는 것을 통해 근관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람의 입술과 치근단 치주인대를 연결하는 도선을 만들고 여기에 일정세기의 전류를 흘리면, 파일(File)이나 리머(Reamer)와 같은 절삭공구가 근관에 들어가면서 저항이 일정값에 이르는 순간이 치근단이라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종래의 근관 길이 측정기는 단말기 형태로 제공되어 치과 진료실에 설치된 유닛 체어(Unit chair)의 테이블 또는 별도의 테이블에 놓여진 상태에서 근관의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근관 길이 측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근관 길이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확인하는 별도의 과정이 요구되므로 번거롭고 시술 시간이 길어지며, 시술자의 시각이 환자의 환부 관찰과 근관 길이 측정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해야하므로 안정적인 시술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5349436호 일본공개특허 제2002-1102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바디부에 LED 광원을 구성하고, 바디부에 결합될 앵글에 LED 광원의 LED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재를 삽입시켜 시술자가 앵글을 통해 근관 길이의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글 및 바디부에 LED 광원이 삽입된 LED 모듈을 장착하고, 이퀄라이저 타입 또는 전체 색상 변화 타입으로 발생된 LED 광원의 색 변화를 통해 시술자가 근관 길이의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는, 근관 내의 치수 제거와 근관 확장을 위한 근관 치료용 파일이 구비된 일측을 포함한 일부가 LED 광원의 LED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재로 이루어지는 앵글; 피시술자의 입술에 거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립 훅; 상기 앵글의 타측에 구비된 제1 단자가 삽입될 제1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파일과 통전되며, 상기 립 훅의 제2 단자가 삽입될 제2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립 훅과 통전되는 상기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LED 광을 조사하는 상기 LED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배터리와 상기 LED 광원, 상기 파일 및 립 훅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 및 상기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파일이 치아표면에서부터 치근단으로 접근함에 따라 가변되는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획득하는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서 조사되는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는, 근관 내의 치수 제거와 근관 확장을 위한 근관 치료용 파일이 일측에 구비되되는 앵글; 피시술자의 입술에 거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립 훅; LED 광원이 구비된 LED 모듈; 및 상기 앵글의 타측에 구비된 제1 단자가 삽입될 제1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파일과 통전되며, 상기 립 훅의 제2 단자가 삽입될 제2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립 훅과 통전되고, 상기 LED 모듈의 제3 단자가 삽입될 제3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LED 모듈과 통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배터리와 상기 LED 광원, 상기 파일 및 립 훅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 및 상기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파일이 치아표면에서부터 치근단으로 접근함에 따라 가변되는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획득하는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서 조사되는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술자가 근관 치료 과정에서 LED 광의 색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근관 길이의 측정 결과를 알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긴장감과 피로도를 낮추면서 시술의 안정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관 길이의 측정 결과를 LED 광의 단계적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어 근관 치료를 위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LED 광원을 구비한 LED 모듈을 통해 시술자가 근관 치료 과정에서 엄지, 검지 및 중지로 앵글을 파지하게 되는 일반적인 핸드피스의 파지방법을 통해서 LED 광원을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확산재에 의한 LED 광의 확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서 설계 변경된 확산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에 구비된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통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설계 변경된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10)(이하에서는 '핸드피스(10)'라 한다.)는 근관 치료 시 시술자가 시각적으로 근관 길이의 측정이 가능하여 짧은 시간에 안정적으로 시술이 가능한 장치이며, 이를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핸드피스(10)는 앵글(100), 립 훅,(200), 바디부(300) 및 LED 광원(410)이 구비된다.
상기 앵글(100)은 근관 내의 치수 제거와 근관 확장을 위한 근관 치료용 파일(110)이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파일(110)은 수동 파일과 전동 파일로 나누어지며, 시술자의 손으로 근관을 확대해서 삭제하는 수동 파일에는 K-File, H-file, Broach, Ni-Ti(니켈-티타늄 합금) 등으로 나누어지며, 일 실시예의 핸드피스(10)와 앵글(100)의 내부에 구비된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전동 파일은 대부분 Ni-Ti 소재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110)은 전동 파일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으며, 이에 상기 앵글(100)에는 상기 파일(11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엔진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글(100)은 상기 파일(110) 뿐만 아니라, 상기 LED 광원(410)의 LED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확산재(120)는 LED 광원(410)의 LED 광을 확산(또는 투과)시키는 것이라면 재질을 한정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앵글(100)에 구비되기 위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확산재에 의한 LED 광의 확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재(120)는 상기 앵글의 일부(100a)와 접하는 상기 앵글의 타부(100b)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앵글의 타부(100b)와 이격되어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LED 광원(410)에서 조사되는 LED 광의 조사경로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 LED 광원(410)에서 조사되는 LED 광은 상기 확산재(120)의 삽입홈을 통해 상기 앵글의 타부(100b) 상에서 확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술자는 근관 치료 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각을 이동하지 않고 근관 치료 중에 시야에 들어오는 상기 앵글의 타부(100b) 쪽에 시선을 두어 상기 앵글(100)을 통해 근관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확산재(12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설계자에 의해 설계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확산재(120)의 설계 변경 예시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 및 2에서 설계 변경된 확산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로부터 설계 변경된 확산재(120a)는 상기 앵글(100)의 타측을 통해 상기 앵글(100)에 삽입되도록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앵글(100)에 삽입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파일(110)이 구비된 상기 앵글(100)의 일측을 포함한 상기 앵글의 일부(100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글(100)은 일부(100a)가 투명 플라스틱 또는 밀키 플라스틱인 커버(101)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확산재(120a)가 상기 앵글(100)에 삽입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앵글의 일부(100a)를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립 훅(200)은 근관 치료 시 피시술자의 입술 또는 잇몸에 거치(또는 접지)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30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립 훅(200)은 어스전극의 역할을 수행하여 일 실시예의 핸드피스(10)를 통해 근관 길이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바디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1 스위치(320) 및 제2 스위치(33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을 통해 동작되어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10)가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300)에는 통신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10)에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모듈 및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10)에는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 뿐만 아니라, 근관 치료 과정에서 상기 파일(110)의 회전수(RPM)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320)는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을 ON/OFF(온/오프)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시술자에 의해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을 ON/OFF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330)는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LED 광원(410), 파일(110) 및 립 훅(200)이 통전되는 상기 바디부(300)의 배터리를 ON/OFF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부(3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시술자에 의해 상기 바디부(300)의 배터리를 ON/OFF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부(300)는 상기 제1, 2 스위치(320, 3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2 스위치(320, 330)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만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과 배터리를 ON/OFF시킬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300)의 배터리는 상기 LED 광원(410), 파일(110) 및 립 훅(200)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이를 위해 상기 바디부(300)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LED 광원(410), 파일(110) 및 립 훅(200) 각각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가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바디부(300)의 배터리는 전력을 소모한 후 충전이 필요하므로, 상기 바디부(300)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허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허브는 위치를 한정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립 훅(200)이 구비된 상기 바디부(30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바디부(300)는 상기 앵글(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1 단자가 삽입될 제1 단자 연결부(341)를 구비한 돌출부재(340)가 마련된다.
상기 제1 단자 연결부(341)는 상기 앵글(100)의 제1 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제1 단자와 커넥터가 통전되도록 하여 상기 파일(110)이 접속전극의 역할을 수행토록 한다.
상기 돌출부재(340)는 상기 앵글(100)의 타부(100b)에 끼움결합 가능한 형태로 상기 바디부(300)의 일단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바디부(300)가 상기 앵글의 타부(100b)에 삽입될 때, 상기 앵글(100)과 상기 바디부(300)가 연결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바디부(300)는 상기 제1 단자 연결부(341) 뿐만 아니라, 상기 립 훅(200)의 일측에 구비된 제2 단자가 삽입될 제2 단자 연결부가 타단에 구비된다.
상기 제2 단자 연결부는 상기 립 훅(200)의 제2 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제2 단자와 커넥터가 통전되도록 하여 상기 립 훅(200)이 어스전극의 역할을 수행토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일(110)이 접속전극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립 훅(200)이 어스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때, 상기 파일(110)은 치아표면에서부터 치근단으로 접근함에 따라 가변되는 임피던스 값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은 상기 파일(110)이 측정한 임피던스 값을 통해 획득하는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서 조사되는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한다.
상기 LED 광원(410)은 상기 바디부(300)의 일단에서 LED 광을 조사하며,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이 획득하는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LED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 광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D 광원(410)이 조사하는 LED 광은 다양한 형태의 확산재(120)를 통해 확산되어 시술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시술자는 근관 치료 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각을 이동하지 않고 근관 치료 중에 시야에 들어오는 상기 앵글(100)을 통해 근관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LED 광원(410)이 상기 바디부(300)의 일단이 아닌 별도의 부재인 LED 모듈(400)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0)는 상기 일 실시예의 핸드피스(10)와 중복되게 상기 앵글(100), 립 훅(200) 및 바디부(300)를 구비하므로, 상기 앵글(100), 립 훅(200) 및 바디부(300)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에 구비된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통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400)은 상기 LED 광원(410)이 동작되도록 커넥터를 통해 상기 바디부(300)의 배터리와 통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LED 광원(410)을 구비하기 위해 본체(405)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405)에는 상기 LED 광원(410) 뿐만 아니라, 상기 LED 광원(410)을 동작시킬 동작 스위치(420), 상기 앵글(100)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밴드부(430) 및 상기 LED 광원(410)을 상기 바디부(300)의 배터리와 통전시키기 위한 제3 단자(440)가 구비된다.
상기 동작 스위치(420)는 시술자에 의해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LED 광원(410)을 동작시키는 상기 제2 스위치(33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동작 스위치(420)는 상기 제2 스위치(330)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스위치(330)의 문제점이라 함은 시술자가 근관 치료 과정에서 엄지, 검지 및 중지를 통해 상기 앵글(100)을 파지하게 되는 일반적인 핸드피스(10)의 파지방법을 통해 상기 바디부(300)의 제2 스위치(330)에 신호를 입력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와 달리, 상기 동작 스위치(420)는 근관 치료 과정에서 시술자가 상기 앵글(100)을 파지하는동안 시술자의 검지 등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밴드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단자(440)가 상기 바디부(300)에 구비된 제3 단자 연결부에 삽입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405)가 상기 앵글(100)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앵글(100)의 외주면 상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LED 모듈(40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3 단자(440)와 커넥터 간의 통전 구조가 견고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LED 모듈(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LED 광원(410)이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이 획득하는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른 색의 LED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만 동작되며, 조사할 LED 광의 색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이퀄라이저(equalizer)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LED 광원(410)은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적색(Red), 노랑색(Yellow) 및 청색(Blue)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가진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LED 모듈(400)은 상기 복수의 LED 광원(410)이 적색, 노랑색 및 청색으로 영역이 나누어진 이퀄라이저(equalizer)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LED 모듈(400)은 상기 복수의 LED 광원(410)이 이퀄라이저 타입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는데, 상기 LED 모듈(400)의 설계 변경 예시는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에서 설계 변경된 LED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400)은 복수의 LED 광원(410)이 상기 본체(405)에 구비된 패널(415)에 삽입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패널(415)은 상기 복수의 LED 광원(410)이 삽입되되, 상기 바디부(300)의 제어모듈이 획득하는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른 색의 LED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만 동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근관 치료 과정동안 치근단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LED 광원(410)이 조사하는 LED 광의 색 종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LED 광원(410)은 근관 치료 과정에서 상기 파일(110)의 끝단이 근관(Canal)에 진입할 때 청색의 LED 광을 조사하며, 상기 파일(110)의 끝단이 치근단공(Apical Foramen)에 도달할 때 노랑색의 LED 광을 조사하고, 상기 파일(110)의 끝단이 치근단공을 넘어갈 때(또는 관통할 때) 적색의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핸드피스(10)를 이용한 근관 치료 과정은 상기 LED 광원(410)에서 청색의 LED 광이 조사된 후, 노랑색의 LED 광을 조사될 때까지 상기 파일(110)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핸드피스, 100: 앵글,
100a: 앵글의 일부, 100b: 앵글의 타부,
101: 커버, 110: 파일,
120, 120a: 확산재, 200: 립 훅,
300: 바디부, 310: 디스플레이 장치,
320: 제1 스위치, 330: 제2 스위치,
340: 돌출부재, 341: 제1 단자 연결부,
343: 제3 단자 연결부, 400: LED 모듈,
405: 본체, 410: LED 광원,
415: 패널, 420: 동작 스위치,
430: 밴드부, 440: 제3 단자.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근관 내의 치수 제거와 근관 확장을 위한 근관 치료용 파일이 일측에 구비되되는 앵글;
    피시술자의 입술에 거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립 훅;
    LED 광원이 구비된 LED 모듈; 및
    상기 앵글의 타측에 구비된 제1 단자가 삽입될 제1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파일과 통전되며, 상기 립 훅의 제2 단자가 삽입될 제2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립 훅과 통전되고, 상기 LED 모듈의 제3 단자가 삽입될 제3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LED 모듈과 통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배터리와 상기 LED 광원, 상기 파일 및 립 훅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 및
    상기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파일이 치아표면에서부터 치근단으로 접근함에 따라 가변되는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획득하는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서 조사되는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LED 광원이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LED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 광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LED 광원이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른 색의 LED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만 동작되며, 조사할 LED 광의 색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이퀄라이저(equalizer)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LED 광원을 동작시킬 동작 스위치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제3 단자가 상기 제3 단자 연결부에 삽입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가 상기 앵글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앵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9. 삭제
  10. 삭제
  11.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근관 내의 치수 제거와 근관 확장을 위한 근관 치료용 파일이 일측에 구비되되는 앵글;
    피시술자의 입술에 거치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립 훅;
    LED 광원이 구비된 LED 모듈; 및
    상기 앵글의 타측에 구비된 제1 단자가 삽입될 제1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파일과 통전되며, 상기 립 훅의 제2 단자가 삽입될 제2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립 훅과 통전되고, 상기 LED 모듈의 제3 단자가 삽입될 제3 단자 연결부를 통해 상기 LED 모듈과 통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배터리와 상기 LED 광원, 상기 파일 및 립 훅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 및
    상기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파일이 치아표면에서부터 치근단으로 접근함에 따라 가변되는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획득하는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서 조사되는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LED 광원이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라 LED 광의 색이 변화되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LED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 광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LED 광원이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른 색의 LED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만 동작되며, 상기 복수의 LED 광원이 삽입된 패널을 통해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에 따른 색의 LED 광을 조사하고,
    상기 LED 광원을 동작시킬 동작 스위치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제3 단자가 상기 제3 단자 연결부에 삽입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가 상기 앵글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앵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12. 삭제
  13. 제 8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동작되어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치근단의 위치정보 및 길이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배터리를 ON/OFF시키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KR1020210144669A 2021-10-27 2021-10-27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KR10263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669A KR102631436B1 (ko) 2021-10-27 2021-10-27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PCT/KR2021/015635 WO2023074977A1 (ko) 2021-10-27 2021-11-02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669A KR102631436B1 (ko) 2021-10-27 2021-10-27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203A KR20230060203A (ko) 2023-05-04
KR102631436B1 true KR102631436B1 (ko) 2024-01-31

Family

ID=8615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669A KR102631436B1 (ko) 2021-10-27 2021-10-27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1436B1 (ko)
WO (1) WO202307497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78B1 (ko) 2008-12-05 2010-05-10 문창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JP2020531118A (ja) * 2017-08-21 2020-11-05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根管長測定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9436U (ko) 1976-09-30 1978-04-26
KR0159070B1 (ko) * 1994-06-09 1998-12-15 모리타 류이치로 근관길이 측정기능을 구비한 치과치료장치
DE29621808U1 (de) * 1996-12-16 1997-02-06 Behr Karl Dr Anzeigevorrichtung für ein Endometrie-Gerät
JP2002011025A (ja) 2000-06-27 2002-01-15 Osada Res Inst Ltd 根管長測定システム
KR102146179B1 (ko) * 2019-01-14 2020-08-19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근관 길이 측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78B1 (ko) 2008-12-05 2010-05-10 문창수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JP2020531118A (ja) * 2017-08-21 2020-11-05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根管長測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977A1 (ko) 2023-05-04
KR20230060203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82B1 (ko) 의료 및 치과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광학적 및화학적 수단을 채용한 미백장치
US20050282102A1 (en) Kit for use by dental professionals
US7320595B2 (en) Bleaching device using electro-optical and chemical means, namely in the medical and dental field
US8385617B2 (en) Imaging device for dental treatment, and instrument unit for dental treatment with imaging device
JP2011502596A (ja) 電気手術器具のための表示装置、及び電気手術器具を接続するためのアダプタ
CA24848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ly detecting blood and controlling a generator during electrosurgery
US11766177B2 (en) Dental probe
JP2020517370A (ja) コンソールベースの外科システムのマッピングを示すシステム及び方法
EP3058862A1 (en) Medical device
KR102631436B1 (ko) 근관 길이 측정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CN105147409A (zh) 一种激光口腔治疗用光纤设备
JP2020531118A (ja) 根管長測定器
KR102146179B1 (ko) 치과용 근관 길이 측정기
JP4822698B2 (ja) 歯科治療装置
US20190133710A1 (en) An electrosurgical illuminating instrument
KR101471884B1 (ko) 휴대용 핸드피스 레이저 치료 장치
KR20130094127A (ko) 구강용 레이저 조사기
KR100956678B1 (ko) 휴대용 근관측정장치
JP7212646B2 (ja) 歯科治療装置用の電気コードおよび対極付き電気コード
JP2004024618A (ja) 蛍光観察内視鏡用処置具
KR200450627Y1 (ko) 수술기용 조명 기구
Möbius et al. Evaluation of tooth color change after a bleaching process with different lasers
CN216755220U (zh) 用于弱视、近视治疗仪的高精度激光发生器
JPH0910227A (ja) 歯科用超音波治療具
KR20240028630A (ko) 4파장 레이저 광을 이용한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