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458B1 -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458B1
KR100955458B1 KR1020090132659A KR20090132659A KR100955458B1 KR 100955458 B1 KR100955458 B1 KR 100955458B1 KR 1020090132659 A KR1020090132659 A KR 1020090132659A KR 20090132659 A KR20090132659 A KR 20090132659A KR 100955458 B1 KR100955458 B1 KR 10095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rylic emulsion
slip
pai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호
Original Assignee
이윤호
화성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호, 화성이엔씨(주) filed Critical 이윤호
Priority to KR102009013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수성이 우수하여 우천시 수막현상을 해소하며, 습도에 강하여 빗물이나 눈에 의해 훼손될 염려가 없고, 도로와의 접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포장면들이 쉽게 균열되거나 마모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화 시간이 빨라 시공 후 건조 및 양생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신속한 차량 통행이 가능한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아크릴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30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중합하여 얻어진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10℃, 점도 5-20 Poises 범위를 가지는 아크릴에멀젼 40~50중량부, 충전재 30~40중량부, 발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미끄럼방지포장, 자전거도로포장, 어린이보호구역, 공원구역, 버스전용차로, 건축물의 옥상콘크리트, 철골형의 자동차주차장 등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어느 곳이든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속경화성

Description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omitted}
본 발명은 발수성이 우수하여 우천시 수막현상을 해소하며, 습도에 강하여 빗물이나 눈에 의해 훼손될 염려가 없고, 도로와의 접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포장면들이 쉽게 균열되거나 마모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화 시간이 빨라 시공 후 건조 및 양생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신속한 차량 통행이 가능한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아크릴에멀젼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끄럼방지 포장은 포장의 미끄럼 저항을 높여 자동차의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시설로서, 노면의 미끄럼 저항이 낮아진 곳,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이 불량한 곳 등에 포장 면의 미끄럼 저항을 높여주어 자동차의 제동거리를 짧게 하거나 또는 학교 통학로, 횡단보도 등과 같이 사람들이 보행하는 도로의 식별력을 높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그리고 미끄럼방지 포장은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수준의 미끄럼 저항이 확보되지 못하는 구간에 설치하여 마찰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즉 도로의 사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포장의 미끄럼 저항이 전 구간에 걸쳐서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포장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미끄럼 저항을 높이기 위해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로를 보수하며, 최근 이러한 미끄럼방지용 도료 조성물은 도로 이외에도 보행시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인 건축물의 옥상, 야외주차장, 공원 등에도 도포함에 따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이 연구 개발되어 특허 출원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국내특허출원 제2005-0070286호에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도로의 표층 상에 도포되는 미끄럼방지 조성물로, 0.1㎜∼5㎜의 입자 크기를 갖는 스피넬 구조화된 제강슬래그 10∼90 중량%, 및 0.1㎜∼1㎜의 입자 크기를 갖는 천연광석인 레드 알루미나, 석류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90 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국내특허출원 제10-2006-0116873호에는 입자의 크기를 1∼4 mm로 파쇄한 규석파편을 물로 세정한 초기 조성물 94∼97 중량%에 대하여 3∼6 중량%의 안료를 30∼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착색규석파편을 구하고, 상기 착색규석파편 99∼99.4 중량%에 대하여 반사메탈파우더 0.6∼1%를 혼합하여 반사착색규석파편을 얻 으며, 상기 반사착색규석파편 85∼94 중량%에 대하여 투명한 접착제 6∼15 중량%를 35∼55도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혼합하여 얻어지는 노면포설을 청소한 노면의 표면에 포설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2006-0124544호는 맥반석 25∼40 중량%,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 35∼50 중량% 및 무기질 결합재 10∼25 중량%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반강성 포장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특허출원 제2007-0067846호는 노면의 미끄럼저항을 높이기 위해, 바닥 수지층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2액형으로 분리 제조되는 조성물을 제안하고, 상기 주제는 변성 에폭시 수지 40∼60 중량%와, 반응성 희석제 12∼18 중량%와, 안료 8∼12 중량%와, 충진제 13∼27 중량%, 침강방지제 3∼7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경화제는 변성 방향족 특수 아민 경화제 35∼53중량%와, 변성 지방족 아민 경화제 35∼53 중량%와, 지방족 3급아민 9.5∼14.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특허출원 제2007-16171호는 50∼70 중량%의 우레탄 수지와 30∼50 중량%의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를 미끄럼 방지면에 도포하여 바탕을 형성하는 바탕형성 단계; 상기 도포된 도료를 경화시키는 1차 경화 단계;상기 1차 경화 단계에서 경화된 바탕의 상면에 우레탄 수지, 탄산칼슘, 안료 및 변성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와, 변성 아민, 경화 촉진제, 무용제형 희석제를 포함하는 경화제가 혼합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2차 경화 단계; 및 상기 2차 경화 단계에서 경화된 조성물의 상면에 골재를 살포하는 골재 살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재 시공방법을 제안하면서, 상기 골재로 화학물질, 수분 또는 액상의 물질과 반응하여 강한 응집력을 나타내는 금광보라석을 사용함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8-79234호에는 시멘트, 규사, 탄산칼슘, 아윈계 고강도 혼화재료,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에멀젼과 아크릴 에스테르 폴리머 에멀젼의 혼합된 수지 조성물과 통상의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가 3 중량% 이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781575호에는 천연 광석 10~90 중량%, 폐타이어에서 회수한 타이어코드사 10~90 중량%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427779호에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에 선택된 1종의 열경화성 수지 17~23중량%, 분산제 0.5~1중량%, 소포제 0.3~0.4중량%, 폴리실록산 0.3~0.4중량%, 안료 1.5~4.5중량%, 충진제 24~28중량%, 변성우레아 용액 1~2중량%, 실리카 샌드 35~45중량%, 경화제 7.2~8.2중량%, 경화촉진제 0.3~0.4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제 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0856420호에는 1) 비닐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형성되어 38중량%가 첨가되는 저점성 MMA수지와; 2) 독립 기포층을 가진 30~100㎛ 크기의 미세 중공체(MICRO HOLLOW SPHERE)로써, 페쇄 공기층을 형성하여 개선된 열반사 효율과 열저항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알루미나 실리카, 버블 그라스, 진주석, 흑요석의 팽창토 중 어느 하나가 6중량%로 첨가되는 차열성 중공체 안료와; 3) 차열성을 증진시키며 색상을 발현하도록 알루미늄 또는 지르코늄 중 어느 하나에 전처리 된 유색안료, 무기안료 또는 일반안료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6중량%가 첨가되는 색상안료와; 4) 바인더가 고점성을 유지하도록 탄산칼슘, 카오린, 마이카 분말, 황산바륨, 알루미나 유리섬유분말, 조규사, 세규사, 그라스비드, 흄실리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50중량%가 첨가되는 충진제;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도로 미끄럼방지용 바인더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들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공한 미끄럼방지 포장의 경우에는 대형 트럭의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포장 면들이 쉽게 균열하거나 골재의 마모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미끄럼 방지 효과가 크게 줄어들고, 시공 후 건조 및 양생시간이 길며, 2액형타입으로 시공이 불편하고, 유기용매 사용으로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수성이 우수하여 우천시 수막현상을 해소하며, 습도에 강하여 빗물이나 눈에 의해 훼손될 염려가 없고, 도로와의 접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포장면들이 쉽게 균열되거나 마모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화 시간이 빨라 시공 후 건조 및 양생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신속한 차량 통행이 가능한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 40~5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30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비온성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유화중합하여 얻어진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10℃, 점도 5-20 Poises 범위를 가지는 아크릴 에멀젼 40~50중량부, 충전재 30~40중량부, 발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크릴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을 과제 해결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수성이 우수하여 우천시 수막현상을 해소하며, 습도 에 강하여 빗물이나 눈에 의해 훼손될 염려가 없고, 도로와의 접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하중 및 충격 등에 의해 포장면들이 쉽게 균열되거나 마모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화 시간이 빨라 시공 후 건조 및 양생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 신속한 차량 통행이 가능한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을 제공하며, 기존의 미끄럼방지포장, 자전거도로포장, 어린이보호구역, 공원구역, 버스전용차로, 건축물의 옥상콘크리트, 철골형의 자동차주차장 등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어느 곳이든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 40~5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30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비온성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유화중합하여 얻어진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10℃, 점도 5-20 Poises 범위를 가지는 아크릴 에멀젼 40~50중량부, 충전재 30~40중량부, 발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조성물 내의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노머로서, 도로의 표면에 불순물이 존재하더라도 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사용하는 것이 점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리전이온도(Tg)가 -25℃ 이하인 것들을 사용하며, 이러한 예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옥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조성물중 10~2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목적으로 하는 소수성 및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상기 범위 밖으로 사용하면, 소수성 및 접착성이 취약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내수성이 및 내후성도 취약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수지는 햇빛 등의 날씨 및 기후에 견디는 성질인 내후성이 우수하여 외부 환경 변화(날씨 및 기후 변화)에 의한 부식 등을 억제함과 동시에 포장체로 침투하여 일체화 시켜줌으로써 부착강도 및 인성을 개선하고, 안료 등에 의한 착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C4 유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터트-부틸 알코올(Tert-Butyl Alcohol; TBA)을 기체상태에서 산화시켜 메타아크릴산을 제조한 후, 메탄올로 에스테르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이 우수하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고분자 물질은 분자량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갖지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경질 타입이면서 유연성도 갖고 있으며, 저온에서 라디칼 중합하면 고분자 사슬구조가 연속된 규칙성을 나타내는 신디오탁틱(Syndiotactic) 구조의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는 높은 열팽창 계수를 갖지만,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안정성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는 CH2=C(CH3)CO2CH3의 화학식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는 조성물중 20~3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경화시 강한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물성을 나타내고, 특히 약품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축강도가 높고 습도에 민감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며, 시공후 이 1시간 이내에 차량 통행이 가능한 속경성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 단량체는 딱딱한 단량체로 도막경도를 향상시키고, 광택을 부여하며 가격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들의 함량은 10~20중량부 사 용하며, 20중량부 이상 사용하게 되면 도막의 내후성이 저하되어 황변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투입되는 충전재는 미끄럼방지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화산석 분말:세라믹 분말:규사의 조성중량비가 1:1:1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산석은 화산재의 일종으로 고온의 화산열에 의하여 점토가 타서 생겨난 것으로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화산석은 상온에서 음이온을 발생하며, 상온(40℃ 이하)에서 92%이상의 적외선을 방사하는 이상적인 천연물질로 알려져 있다. 화산석은 다공질로서, 흡수성, 통기성이 다른 암석보다 우수하며, 화산석의 내화도는 1120℃ 내지 1210℃이고, 흡수율은 17.7% 내지 32.5%, 마모율은 47.25% 내지 67.22%라고 알려져 있다. 화산석의 내화도, 흡수율 및 마모율은 일반 자갈이나 모래보다 높다.
화산석은 주로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철로 이루어지며, 황토, 옥, 맥반석, 및 게르마늄석 등에는 없는 이산화티타늄를 포함한다. 이산화티타늄은 화산석에 3 내지 7%가 존재하며, 광촉매작용을 수행하는데,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작용에 의해 활성산소가 생성되며, 이러한 활성산소는 대기오염물질, 수질오염물질, 및 악취물 등을 산화분해한다.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작용에 따라, 화산석은 항균, 살균, 탈취 및 유기물분해 기능 등을 반영구적으로 가진다.
또한, 화산석은 습도가 높으면 수분을 흡수하며, 습도가 낮으면 수분을 배출하여 인위적인 장치 없이도 자연적으로 습도조절을 할 수 있고, 화산석이 수족관에 투입되면, 수족관에는 이끼가 생기기 않으며, 상처난 물고기의 상처 치유 능력도 향상되고, 식물의 화분에 투입되면, 일반적인 식물의 생존기간보다 오래 생존하며, 화산석을 냉장고에 넣어 놓으면, 냉장고의 악취가 제거되는 탈취 기능이 존재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상기 화산석은 잔골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보다 비표면적 및 공극율이 훨씬 큰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부착단면이 큰 특징을 갖는 화산석을 사용하면 부착력이 커져 차량 타이어의 마찰에 의한 탈락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화산석은 충전재중 중량분율로 1/3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량분율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에는 도료조성물의 시공성이 나쁘거나 마찰력이 저하된다.
또한, 세라믹 분말은 도료조성물의 건조속도, 도막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멘트, 제강슬래그, 황토, 맥반석, 그라스비드,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오린, 마이카, 토르말린, 제올라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충전재중 중량분율로 1/3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의 사용함량이 많으 면 상기 물성은 우수하나 바닥 소재면과의 부착성, 건조도막의 내마모성과 내수성이 떨어진다.
상기 규사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하는 충전재로서 입도가 0.2-0.8㎜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충전재중 중량분율로 1/3 사용하며, 상기 사용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건조 도막두께에서 규사가 표면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보행시나 차량통행시 쾌적성(보행감 및 승차감)이 떨어지고 도막내에 잘 고착되지 않아 외부의 가벼운 충격에 의해 쉽게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사용량 보다 작을 경우에는 표면에 요철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요구되는 미끄럼저항값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상기 충전재중의 화산석 및 규사는 입도가 0.2~0.8mm 정도의 크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라믹분말은 입도가 10~20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입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미끄럼 방지기능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표면돌출이 과도하여 운동자의 부상을 쉽게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수제는 도막의 발수성을 보다 향상시켜 우천시 미끄럼방지 도막에 수막으로 덮이는 수막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리콘파우더, 실리카입자, 금속산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1~10중량부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은 안료, 침강방지제, 충격 강도 조절제(impact strength modifier), 안정제, 노화방지제(age-protecting agent), 항산화제, 오존화 방지제, 광 보호제(light protection agent),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인·보도, 차도, 자전거도로, 어린이보호구역, 공원구역, 버스전용차로, 건축물의 옥상콘크리트, 철골형의 자동차주차장 표면에 상기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미끄럼방지층을 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아크릴 에멀젼의 제조
배합기내에 탈이온수 500g, 2-EHA 200g, MMA 300g, 스티렌 200g, 비이온성 유화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ylene sorbitan monooleate) 10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반응 용기내를 질소 치환하고, 질소 분위기하에, 75℃로 승온시키고, 반응용기내에 탈이온수 500g, 중합개시제인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0.5g 및 중합촉진제인 메타이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sulfate) 0.5g 투입, 교반하면서 75℃로 승온시켰다.
다음에, 중합온도 75℃에서 배합기내의 단량체 혼합물과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1g 및 메타이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sulfate) 0.5g을 반응기내에 drop 적하하면서 6시간 동안 중합시킨 후, 2시간 숙성을 유지하고, 질소주입을 차단한 후, 50℃로 냉각하였다.
다음, 암모니아수(25%) 2g으로 pH 7-8로 조정하여 유리전이온도 0℃, 점도 10 Poises, 불휘발분 45%인 아크릴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2.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한 아크릴에멀젼 50중량부, 입도 0.8mm의 화산석 분말 10중량부, 입도 0.1mm의 제강슬래그 분말 10중량부, 규사(표준사) 10중량부, 실리카 10중량부, 이산화티탄 10중량부를 혼합하여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미끄럼방지층의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을 KS F 2375(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방법)에 의거 공시체를 제작하여 미끄럼 저항성을 측정한 결과 미끄럼 저항성(BPN) 90이상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또한 조성물을 도로의 노면에 도포한 후 시공 후의 건조시간을 측정한 결과 30분 이내에 건조되어 시공성이 우수 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6개월 후 도포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물 40~5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10~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30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비온성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 존재하에 유화중합하여 얻어지는 유리전이온도 -10℃ 내지 +10℃, 점도 5-20 Poises 범위를 가지는 아크릴 에멀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에멀젼 40~50중량부와,
    화산석 분말:세라믹 분말:규사의 조성중량비가 1:1:1로 혼합된 충전재 30~40중량부와,
    수막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리콘파우더, 실리카입자, 금속산화물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발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산석분말 및 규사는 입도가 0.2~0.8mm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세라믹 분말은 제강슬래그, 황토, 맥반석, 그라스비드,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오린, 마이카, 토르말린, 제올라이트 중에서 1종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인·보도, 차도, 자전거도로, 어린이보호구역, 공원구역, 버스전용차로, 건축물의 옥상콘크리트, 자동차주차장 표면에 제1항에 따른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20090132659A 2009-12-29 2009-12-29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KR10095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59A KR100955458B1 (ko) 2009-12-29 2009-12-29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59A KR100955458B1 (ko) 2009-12-29 2009-12-29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458B1 true KR100955458B1 (ko) 2010-04-29

Family

ID=4222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659A KR100955458B1 (ko) 2009-12-29 2009-12-29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458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292B1 (ko) 2010-06-18 2010-09-24 방현수 그루빙 코팅용 수지몰탈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0450B1 (ko) * 2010-05-26 2010-10-29 이경욱 축열기능 및 항균, 탈취 기능을 갖는 기능성 도료
KR101045361B1 (ko) * 2011-01-24 2011-06-30 우리개발주식회사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1045359B1 (ko) * 2011-01-24 2011-06-30 최대열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1115043B1 (ko) 2011-07-20 2012-03-06 금강페인트공업(주) 미끄럼 방지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의 도포방법
KR101132571B1 (ko) 2010-11-25 2012-04-05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분산제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조성물
KR101145321B1 (ko) * 2011-10-14 2012-05-14 주식회사 폴리그린테크놀로지즈앤드프로덕츠 투수성 블록
KR101310271B1 (ko) 2013-05-08 2013-09-23 듀라케미 (주) 융설 미끄럼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융설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1440522B1 (ko) 2014-04-15 2014-09-17 문진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도막형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2536B1 (ko) 2014-05-13 2014-09-30 주식회사 한솔이앤씨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N104177962A (zh) * 2013-05-24 2014-12-03 铜仁市光彩漆业有限公司 一种采用恒温分散合成法制作的有机硅建筑涂料
KR101588591B1 (ko) * 2015-09-09 2016-01-26 한라케미칼(주) 황토를 이용한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6081B1 (ko) * 2015-11-18 2016-04-27 (주)성광산업개발 이액형 차선 도료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차선 시공방법
KR101748254B1 (ko) 2016-11-18 2017-06-16 강완혁 융착형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지의 형성 방법
KR101964164B1 (ko) * 2019-01-31 2019-04-02 지혜안전 주식회사 탈취효과가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44984A (ko) 2017-10-23 2019-05-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수용성 실리콘 아크릴 주차장 바닥 마감재 조성물 시공방법
KR101986811B1 (ko) * 2019-01-25 2019-06-07 이계영 야자섬유매트의 미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
KR102001651B1 (ko) 2018-12-11 2019-07-18 이성범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방법.
KR20190101041A (ko) * 2018-02-22 2019-08-30 김연태 미끄럼 방지층용 혼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층의 적층구조
KR102524739B1 (ko) * 2022-07-04 2023-04-24 김세학 친환경 도막형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03B1 (ko) * 2006-08-22 2007-02-06 (주)알엔씨 아크릴 에멀젼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바닥 코팅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03B1 (ko) * 2006-08-22 2007-02-06 (주)알엔씨 아크릴 에멀젼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바닥 코팅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450B1 (ko) * 2010-05-26 2010-10-29 이경욱 축열기능 및 항균, 탈취 기능을 갖는 기능성 도료
KR100983292B1 (ko) 2010-06-18 2010-09-24 방현수 그루빙 코팅용 수지몰탈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32571B1 (ko) 2010-11-25 2012-04-05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분산제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조성물
KR101045361B1 (ko) * 2011-01-24 2011-06-30 우리개발주식회사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1045359B1 (ko) * 2011-01-24 2011-06-30 최대열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1115043B1 (ko) 2011-07-20 2012-03-06 금강페인트공업(주) 미끄럼 방지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의 도포방법
KR101145321B1 (ko) * 2011-10-14 2012-05-14 주식회사 폴리그린테크놀로지즈앤드프로덕츠 투수성 블록
KR101310271B1 (ko) 2013-05-08 2013-09-23 듀라케미 (주) 융설 미끄럼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융설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CN104177962A (zh) * 2013-05-24 2014-12-03 铜仁市光彩漆业有限公司 一种采用恒温分散合成法制作的有机硅建筑涂料
KR101440522B1 (ko) 2014-04-15 2014-09-17 문진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도막형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2536B1 (ko) 2014-05-13 2014-09-30 주식회사 한솔이앤씨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588591B1 (ko) * 2015-09-09 2016-01-26 한라케미칼(주) 황토를 이용한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6081B1 (ko) * 2015-11-18 2016-04-27 (주)성광산업개발 이액형 차선 도료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차선 시공방법
KR101748254B1 (ko) 2016-11-18 2017-06-16 강완혁 융착형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 표지의 형성 방법
KR20190044984A (ko) 2017-10-23 2019-05-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수용성 실리콘 아크릴 주차장 바닥 마감재 조성물 시공방법
KR20190101041A (ko) * 2018-02-22 2019-08-30 김연태 미끄럼 방지층용 혼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층의 적층구조
KR102049801B1 (ko) * 2018-02-22 2019-11-28 김연태 미끄럼 방지층용 혼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층의 적층구조
KR102001651B1 (ko) 2018-12-11 2019-07-18 이성범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1986811B1 (ko) * 2019-01-25 2019-06-07 이계영 야자섬유매트의 미끄럼방지용 코팅 조성물
KR101964164B1 (ko) * 2019-01-31 2019-04-02 지혜안전 주식회사 탈취효과가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24739B1 (ko) * 2022-07-04 2023-04-24 김세학 친환경 도막형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458B1 (ko)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KR100953984B1 (ko) 아크릴계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
KR101065256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그루빙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KR101094429B1 (ko)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0856420B1 (ko) 차열성을 갖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바인더
KR101022197B1 (ko)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1045361B1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2221359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폴리우레아 도막형바닥재 포장용 조성물
KR102213066B1 (ko) 고인장강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균열저감형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0678603B1 (ko) 아크릴 에멀젼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바닥 코팅제
KR102282837B1 (ko) 친환경 아크릴계 폴리머 콘크리트 미끄럼방지, 피톤치드 발산 및 축광 투수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미끄럼방지, 피톤치드 발산 및 축광 투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투수포장 시공공법
KR102197047B1 (ko) 표면경도 및 표면 광택도가 우수한 미끄럼 방지 도료 조성물
KR101449480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 및 보도 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05323B1 (ko) 혼입골재 침강방지 및 논슬립이 향상된 미끄럼방지 조성물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공법
KR102022013B1 (ko) 축광 분말과 축광 골재 및 이를 이용하여 복층구조를 갖는 발광 투수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90663B1 (ko) 투수 및 차열 기능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강화된 아스팔트컬러 포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컬러 무늬 투수 포장재및 그 시공방법
KR102538500B1 (ko) 고마찰 미끄럼방지 노면처리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시공공법
KR20200032392A (ko) 미끄럼방지용 아크릴계 도료
KR20120021780A (ko) 저취형 차열성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1310271B1 (ko) 융설 미끄럼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융설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1433708B1 (ko)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면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0896429B1 (ko) 차열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차열성포장체
KR101045359B1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2351674B1 (ko) 차열 특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8898B1 (ko) 내구성이 개선된 고기능성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