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294B1 - 한자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한자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294B1
KR100955294B1 KR1020090042862A KR20090042862A KR100955294B1 KR 100955294 B1 KR100955294 B1 KR 100955294B1 KR 1020090042862 A KR1020090042862 A KR 1020090042862A KR 20090042862 A KR20090042862 A KR 20090042862A KR 100955294 B1 KR100955294 B1 KR 10095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nji
notation
chinese
self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령
Original Assignee
김신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령 filed Critical 김신령
Priority to KR102009004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294B1/ko
Priority to PCT/KR2010/003065 priority patent/WO201013192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첫째, 부수를 그림으로 그려 한자를 쉽게 연상할 수 있게 하며, 한자를 필순으로 익힐 수 있게 부수를 자해하였고, 둘째, 한자를 가나다순으로 분류한 한자 표기부에는 한자 생성에 기준인 핵심어를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한자 중간에 표기하여 핵심어와 관련된 한자를 결구 하여 배열하고, 상기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해당 한자의 일측에는 필순에 따라 자해함과 동시에 하단에는 색깔을 달리하여 부수를 표기하며, 부수와 핵심어, 낱자를‘+, ―, ×, =’기호를 통해 결합한 한자를 공식화하여 학습함으로 인해 필순에 따라 한자를 반복하여 연상화하는 방식으로 책 전체의 앞 뒤에 연결된 핵심어를 이해 및 암기하여 오랜 시간 동안 기억할 수 있어 초심자도 흥미롭고 쉽게 한자를 습득하여 복잡한 한자도 간단하게 읽으면 익혀져 좋은 글자로 여겨지게 됨으로 인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수 자를 그림으로 연상시키고 필순으로 자해한 부수 표기부와, 한자를 가나다순으로 분류하여 인쇄한 한자 표기부와, 상기 한자 표기부의 일측에는 해당 한자를 필순에 따라 자해(字解)하여 인쇄한 자해(字解) 표기부와,
상기 자해(字解) 표기부의 하단에는 필순에 따라 해당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와 핵심어, 낱자를 ‘+, ―, ×, =’ 등의 기호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공식화하여 인쇄한 기호 결합부로 구성한 것을 새로운 한자로 읽으면 익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자학습교재, 자해(字解), 한자(漢字)

Description

한자 학습교재{A study book Koreans Characters}
본 발명은 한자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수 자를 그림으로 그려 글자와 병행함으로 인해 글자를 쉽게 연상되도록 하고, 획순이 많은 부수 자는 필순으로 자해하여 이해하기 쉽게 풀이를 하며, 한자를 가나다순으로 분류한 한자 표기부에는 한자생성에 기준인 핵심어를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한자 중간에 표기하여 핵심어와 관련된 한자를 핵심어별로 결구되게 배열하고, 상기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한자의 일측에는 필순에 따라 자해함과 동시에 하단에 색깔을 달리하여 부수를 표기하며,‘+, ―, ×, =’기호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한자를 공식화하여 학습함으로 인해 필순에 따라 한자를 반복하여 연상화 하는 방식으로 이해하여 저절로 암기되어 오랜 시간 동안 기억할 수 있어 초심자도 흥미롭고 쉽게 한자를 습득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한 한자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자는 표의적 음절문자로서 하나의 한자가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어 소리글자와 다른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글자마다 고유한 형(形), 의(儀), 음(音)으로 있을 뿐만 아니라 자획이 복잡하여 익히기가 어려운 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어 어문 체계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는 구성이 복잡하여 익히기가 용이하지 않으나, 한자의 중요성을 익히 알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부터 한자를 급수에 맞게 공부하고 자격시험을 보고 있다.
한편, 한자의 일반적인 교육방법은 천자문과 같은 교재를 이용하여 교육하는 방법과 한자 급수에 따라 구분된 한자 학습교재와 쓰기 연습을 할 수 있는 다수개의 칸이 구비된 쓰기 연습용 한자 교재를 이용하여 교육하는 방법 등이 있다.
따라서 천자문은 뜻과 소리를 읽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한자를 익히도록 하며, 쓰기 연습용 한자 교재를 이용한 교육방법은 하나의 페이지에 다수개의 빈칸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빈칸 중 일단에는 학습해야 할 한자의 음(音)과 훈(訓)과 소리와 뜻을 기재하고, 다음 칸부터 한자의 획순에 따라 일련의 한자들을 필기하도록 하여 한자를 익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의 한자 학습능력자격시험에 따라 내용이 다양한 한자 학습교재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페이지를 구획하여 한자를 가나다순으로 분류하고 훈, 음, 부수, 총획을 순차적으로 표기한다.
또한, 최근에는 초등학생들이 한자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만화로 구성한 한자 학습교재도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한자 학습교재는 대부분 한자를 훈, 음, 부수, 총획으로 구성한 것을 단순히 반복하여 주입하는 학습방법으로 조금만 시간이 지나도 학습자가 익힌 한자를 쉽게 잊어버리고, 한자 학습에 전혀 흥미를 못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학습방식은 학습자가 한자를 학습하면서 그 전에 학습한 한자를 단순히 훈, 음을 암기하는 단조로운 암기식 한자 교육 방식으로 학습자가 교육 당시에는 한자들을 익힌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학습자가 대부분의 한자를 기억하지 못하여 학습의욕이 쉽게 저하됨은 물론 한자를 일시에 반복적으로 학습을 하였기 때문에 그 기억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함으로써 학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순 주입식 한자 학습교재나 쓰기 연습용 한자 학습교재들이 어린이들의 한자 교육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이는 단순 주입식 암기와 반복되는 쓰기 연습으로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고, 한자를 익히기보다는 단순히 칸을 채우는 것으로 만족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한자를 암기하거나 한자 학습교재의 빈칸을 모두 쓰기 연습으로 채웠다 하더라도 연습한 한자를 장시간 기억한다는 것이 쉽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잊어버리는 한자가 더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만화로 구성된 한자 학습교재를 통해 학습하는 아이들도 있으나, 이는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는 있으나 만화책에 수록된 한자의 개 수가 얼마 않되 더 많은 만화책을 구입해야하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경제적인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부수 자를 그림으로 그려 글자를 연상되도록 하였고 획순이 많은 부수 자는 필순으로 자해하여 이해하기 쉽게 하였으며, 가나다순으로 분류한 한자 학습 편에서는 부수와 같이 한자를 생성하기 위해 공통으로 사용하는 핵심어를 표기하고, 핵심어와 관련된 한자를 핵심어별로 결구하되 핵심어의 위치를 독립 자, 머리, 변, 방, 발, 받침, 엄, 몸의 순서인 부수의 일반적인 위치대로 정리한 한자 표기부와, 한자 표기부에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해당 한자를 필순에 따라 자해한 자해 표기부와, 상기 자해 표기부의 하단에는 필순에 따라 해당 한자를 기호에 의해 생성되는 과정을 공식화한 기호 결합부로 구성하여 학습하는 한자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한자 학습교재는 한자 중에 다른 한자를 생성하는 핵심어를 포함하여 가나다순으로 분류 한 후, 필순에 따라 자해함과 동시에 기호를 사용하여 필순에 따라 생성과정을 결합하여 핵심어별로 결구되게 배열하여 반복되는 학습과정으로 학습자의 눈에 복잡한 한자가 분해되어 시각적으로 느끼는 부담을 덜도록 하면서 분해된 여러 한자를 반복해서 익히도록 하여 오랜 시간 동안 기억할 수 있어 초심자도 흥미를 가지고 한자를 습득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활 중에 사용하는 한자어들을 쉽게 익힐 수 있어, 한자 어휘 활용능력과 다양한 표현력과 사고력, 상상력증대와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도 1은 학습 한자교재의 본문 서두(書頭)에 분류한 부수인 214자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은 학습 한자교재의 서두에 부수 자(7)와 부수 자(7)를 그림으로 그려 연상되도록 함께 표기하여 분류한 부수 표기부(9)를 형성하고, 상기 부수 표기부(9)의 일측에는 훈과 음을 표기하며, 필순에 따라 부수 자(7)를 자해하여 표기함은 물론 획순이 많은 부수 자(7)는 필순에 의해 순서대로 쓸 수 있도록 번호를 기재한 자해 표기부(2)와, 상기 자해 표기부(2)의 하단에는 상형문자로 형성된 부수 자(7) 또는 부수 자(7)를 구성하는 낱자를 필순에 따라‘+, ―, ×, =’ 기호(4)를 사용하여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여 결합된 상태를 공식화한 기호 결합부(3)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수 표기부(9)에는 부수 자(7)인 風(바람 풍)은 바람 연상화시킨 그림이 함께 표기되며, 일측에는 훈과 음이 표기되고, 자해 표기부(2)에는 風(바람 풍)을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모든(
Figure 112009064520617-pat00103
)벌레(
Figure 112009064520617-pat00104
)에게 민감한 바람이라는 의미."로 풀이하고, 일측에는 風(바람 풍)을 필순 순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번호를 순서대로 기재한다.
또한, 자해 표기부(2)의 하단에는 風(바람 풍)을 필순에 따라 결합관계를 기호를 표현하면
Figure 112009064520617-pat00105
(모두 범)+
Figure 112009064520617-pat00106
(벌레 충)= 風(바람 풍) 공식화한 기호 결합부(3)에 의해 학습자가 쉽게 읽을 수 있다.
그러면 학습자는 風(바람 풍)만 단순하게 주입식으로 암기하는 게 아니라 필순에 의해 한글로 해석하여 연상하여 기억하고, 風(바람 풍)만 아니라 風(바람 풍)을 이루는
Figure 112009064520617-pat00107
(모두 범)과
Figure 112009064520617-pat00108
(벌레 충)도 함께 암기할 수 있다.
또한, 부수 표기부(9)에 표기된 飛 (날 비)는 상형문자로 새가 날아가는 형상을 연상화시킨 그림을 부수 자(7)와 함께 표현하였으며,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따라 "새가 날개를 펴고 나는 모양. 새가 양 날개(
Figure 112009064520617-pat00109
)를 쭉 펴고 올라가며(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0
)날다." 로 풀이하였으며, 자해 표기부(2)의 하단에는 飛 (날 비)를 필순에 따라 결합관계를 기호(4)를 사용하여 공식화한 기호 결합부(3)에는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1
(날개모양)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2
(되, 오를 승)+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3
(날개모양)= 飛 (날 비)로 공식화하여 학습자가 쉽게 읽을 수 있다.
또한, 상기 飛 (날 비)의 하단 자해 표기부(2)에는 食(먹을 식), 香(향기 향), 馬(말 마), 骨(뼈 골), 高(높을 고)순으로 정리하고, 다른 부수 자(7)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부수 자(7)를 분류하여 표기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부수 자(7)를 학습할 때, 먼저 부수 표기부(9)에서 부수 자(7)를 연상하는 그림과 부수 자(7)를 암기하고, 자해 표기부(2)에서 자해된 풀이를 읽고 암기한 후, 기호 결합부(3)에서 기호(4)에 의해 부수 자(7)의 결합관계를 확인하여 반복 학습에 의해 암기할 수 있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한자 학습교재는 한자 음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분류한 한자(5)중에서 부수(7) 또는 부수(7)와 부수(7)가 결합된 한자를 핵심어로 표기하여, 상기 가나다순으로 분류되는 한자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핵심어를 핵심어 별로 결구되게 배열하여 인쇄한 한자 표기부(1)와, 상기 한자 표기부(1)의 일측에는 해당 한자(5)를 필순에 따라 자해(字解)하여 인쇄한 자해(字解) 표기부(2)와, 상기 자해(字解) 표기부(2)의 하단에는 필순에 따라 해당 한자(5)를 구성하는 부수(7)와 낱자 또는 핵심어를 +,- , ×, = 수학 기호(4)를 통해 더하거나 또는 빼거나 또는 곱하여 분해한 부수(7)와 낱자, 핵심어 아래에 훈과 음을 달아서 확인하고 모르는 부수(7)와 낱자, 핵심어는 가나다순으로 배열된 해당 한자 표기부로 찾아가 정확하게 익히고 오는 기호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한자는 부수 단독으로 쓰이는 한자와 부수한자가 둘이상 모여 다른 한자를 만드는 핵심어(생성한자)가 있으며, 이 핵심어가 다시 부수한자와 합하여져 다른 한자가 만들어지고 그렇게 만들어진 한자가 다시 부수나 핵심어(생성 한자)와 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한자의 구조이며 한자가 만들어지는 원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내용을 근거하여 분해하고 분해된 한자를 논리적으로 해석하여 부수와 핵심어가 결합된 한자를 중심으로 합하여 학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자를 가나다순으로 배열한 기존의 다른 한자 학습교재들과 같이 단순히 색인한자를 쉽게 찾아 보기 위함이 아니라, 한자의 구조를 분해하여 익히는 것이 효과적이라 하였는데 이때 분해된 한자중 부수한자나 핵심어를 가나다순으로 찾아 보기 쉽게 한것이다.
또한, 한자를 필순으로 분해하는 이유는 기존의 한자를 쓸 때도 쉽지 않기 때문에 부수와 핵심어를 중심으로 한자를 필순순서로 분해하면, 분해된 순서가 필순이 되기 때문에 읽는 대로가 곧 한자를 쓰는 순서가 되어 부수를 필순 대로 익힌 학습자라면 어떤 한자를 대할지라도 쓰기가 쉬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 한자 학습교재에서 가나다순으로 구성한 본문 중에서 한자 음이 "가" 로 시작하는 해당하는 페이지를 실시 예로 설명한 것으로서, 페이지를 동일하게 구획하여 일측에는 음이 "가"인 한자(5)를 수직선상으로 분류한 한자 표기부(1)와, 상기 한자 표기부(1)의 표기된 해당 한자(5)와 수평 하게 동일선상으로 해당하는 필순에 따라 자해한 자해 표기부(2)와 필순에 따라 기호(4)를 사용하여 결합관계를 공식화한 기호 결합부(3)를 구성한다.
따라서, 맨 처음 한자 표기부(1)에는 "可" 가 표기되고, 우측에는 훈(訓)과 음(音)인 "옳을 가"를 표기한 상태에서 우측에 위치한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의해 자해한 "장정(丁)처럼 당당하게 입(口)으로 말해야 옳다"로 표기한다.
또한, 자해 표기부(2)의 하단에는 필순에 따라 자해한 한자(5)를‘+, ―, ×, =’수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기에 의해 결합된 순서를 공식화하여 丁(장정 정) + 口(입구) = 可(옳을 가) ↔ 否로 표기한 기호 결합부(3)에 의해 丁(장정 정)에 口(입 구)를 더하여 可(옳을 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면 학습자는 자해 표기부(2)를 눈으로 먼저 보고, 필순에 따라 한글로 자해된 해석을 읽으면서 "可(옳을 가)"의 풀이를 연상하여 한자(2)를 암기할 수 있으며, 필순에 따라 공식화된 한자(5)를 낱자인 丁(장정 정)과 부수인 口(입 구)의 결합 관계로 인해 "옳을 가"의 한자(5)를 연상하여 암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장정 정(丁)과 입 구(口)를 동시에 연상하여 암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수 자인 입 구(口)는 파란색으로 표기하여 자해를 하는 과정에서 쉽게 인식하여 암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可(옳을 가) "는 핵심어(6)로 표기하고, "可(옳을 가) "의 하단에 위치한 한자 표기부(1)들이 핵심어별로 결구 되어 한자 표기부(1)에서 哥(노래 가)로 표기되고, 哥(노래 가)는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따라 " 노래(哥)를 하품(欠)하듯 하는 노래"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서는 哥(노래 가) + 欠(하품 홈)= 哥(노래 가)를 +, = 기호(4)를 사용하여 공식화하면 핵심어인 哥(노래 가)에 부수 자인 欠(하품 홈)이 더해져 哥(노래 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더할 가(加)"는 걸칠 가(架)의 핵심어(6)로 핵심어별로 결구되게 배열한 것으로, 핵심어(6)인 "더할 가(加)"의 우측에 훈과 음이 표기되며, 훈과 음이 표기된 우측에는 자해 표기부(2)가 위치하여 필순에 따라 자해하면 "힘(力)에" 말(口)로 영차라고 힘을 더하다"로 풀이하면 쉽게 연상하여 암기할 수 있다.
또한, 자해 표기부(2)의 하단에는 필순에 따라 풀이된 力(힘 력)+ 口(입 구)= 加(더할 가)를 +, = 기호를 사용하여 공식화하면 부수 자(7)인 力(힘 력)에 낱자인 口(입구)가 더 해진 것으로 학습자는 "더할 가(加)"를 연상함과 동시에 힘 력(力), 입 구(口)를 쉽게 암기할 수 있다.
또한, "더할 가(加)"에 핵심어별로 결구된 한자(5) "架"는 우측에 훈과 음인 "걸칠 가"로 표기되고,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따라 "더하듯이(加) 나무(木)로 시렁을 만들어 걸치다" 풀이한다.
그러면 "架"(걸칠 가)는 핵심어(6)인 "더할 가(加)"에 나무 목(木)이 결합된 글자임을 인식하고 연상하여 암기할 수 있다.
또한, 기호 결합부(3)에는 자해된 "架"(걸칠 가)를 필순에 따라 기호(4)를 사용하여 加(더할 가)+ 木(나무 목)= 架를 공식화면서 낱자(8)인 加(더할 가)에 부수인 木(나무 목) 결합된 글자임을 암기함과 동시에 부수 자(7)도 쉽게 암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한자(5)를 필순에 따라 기호(4)를 사용하여 낱자(8)와 부수 자(7)를 공식화하여 자연스럽게 연상하는 방식을 반복함으로 인해 한번 암기하면 오래 동안 기억할 수 있도록하며 잊어버린 한자(5)는 쉽게 다시 찾아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여,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모든 한자(5)를 자해하고 기호(4)로 공식화하여 분해 및 결합상태를 표기한다.
도 2b는 한자 표기부(1)에 표기된 "烏(까마귀 오)"는 자해 표기부(2)에서 "검정 색 눈이 안 보여 새 조(鳥)에서 눈(一)을 뺀 까마귀"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서는 鳥(새 조) - 一 (한 일)= 烏(까마귀 오)로 공식화하여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鳥(새 조)에서 - 기호를 사용하여 一 (한 일)을 빼면 "烏(까마귀 오)"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하고 암기할 수 있도록 수학적 기호로 표기함과 동시에 훈과 음을 달아서 확인하고 모르는 글자는 가나다순으로 배열된 해당 한자표기부로 찾아가 정확하게 익히고 오는 사전적 학습방법이다.
또한, 도 2c는 한자 표기부(1)에 표기된 "競(다툴 경)"은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따라 "마주서서(立) 입(口)으로 두 사람이(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4
) 다툰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 × 수학적 기호(4)를 사용하여 "(立 (설 립)+口(입 구)+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5
(사람 인)) × 2= 競 (다툴 경)으로 공식화하였다.
따라서, 부수 자(7)인 立 (설 립)에 口(입 구)를 더하고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6
(사람 인) 순차적으로 더한 상태의 더한 상태의 竟(마침내 경)을 2번 ×(곱하기)하여 "競(다툴 경)"이 이루어진 것을 학습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일한 글자가 반복되어 하나의 글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학습자가 수학적 기호를 통해 쉽게 이해하고 암기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높인다.
도 3a는 본 발명 한자 학습책자에 있어 부수 자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7
(새 추)를 예를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8
(새 추)를 예를 들어 부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부수 표기부(9)에서 새를 연상화 하는 그림과
Figure 112009064520617-pat00119
(새 추)가 함께 표기된 부수 자(7)는 자해 표기부(2)에서 "앉아 있는 꼬리가 짧은 새를 본뜬 자"※鳥(새 조)는 꼬리가 긴 새. 로 풀이를 하였다.
또한, 도 3b는 부수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0
(새 추)을 더하면 한자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1
(새 한 쌍 수)"가 형성되는데. 상기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2
(새 한 쌍 수)"는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따라 자해하면 "새(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3
)와 새(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4
)가 한 쌍을 이루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에서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5
(새 추)+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6
(새 추)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7
(새 한 쌍 수)로 공식화하여 표기한다.
즉, 상기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8
(새 한 쌍 수)"는 부수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29
(새 추)와 낱자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0
(새 추)를 +기호(4)로 더하면 두 마리 새를 나타내어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1
(새 한 쌍 수)로 연상하여 읽을 수 있다.
한편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2
(새 한 쌍 수)"는 핵심어(6)로 핵심어별로 결구되어 한자 표기부(1)에 배열한 "讐(원수 수)"는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의해 자해하면 "새(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3
)들이 짹짹 거리득 말(言)로 다투어 원수가 되다"로 풀이한다.
또한, 기호 결합부(3)에서 +, =를 사용하여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4
(새 한 쌍 수)+ 言(말씀 언)= 讐(원수 수) 기호(4)로 공식화하여 핵심어(6)인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5
"와 부수 자(7)인 "言"을 더하면 "讐(원수 수)"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3c는 한자 표기부(1)에 표기된 雙(쌍 쌍)은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새 한 쌍(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6
)에 또(又) 한 쌍"으로 풀이하고, 부수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7
(새 추)가 결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 결합부(3)에는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8
(새 한 쌍 수)+ 又(또 우)= "雙(쌍 쌍)" 으로 공식화하면 핵심어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39
(새 한 쌍 수)에 又(또 우)를 더하여 "雙(쌍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d는 한자 표기부(1)에 표기된 핵심어(6)인 "隻(외짝 척)"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으로 "한 쌍(雙)에 한 마리(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0
)가 죽은 외짝"으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빼기)기호(4)를 사용하여 雙(쌍 쌍)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1
(새 추)= 隻(외짝 척)으로 공식화한다.
즉 雙(쌍 쌍)에서 부수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2
(새 추)를 빼면 "隻(외짝 척)"으로 이루어진다.
도 4a는 본 발명 학습 한자 책자에 있어서, "選 (가릴 선)"을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한자 표기부(1)에 "選 (가릴 선)은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따라 "공손하게(巽) 이끌어 갈(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3
) 지도자를 가려뽑다."로 풀이하고, ☞ 보기 - 巽(손)으로 표기하고, 기호 결합부(3)에서는 반복학습 할 수 있도록 기호(4)를 사용하여 "巽(유 순, 공손할 손)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4
(멀리갈 수)= 選 (가릴 선)"으로 결합한 것을 공식화하여 낱자(8)인 巽(유 순, 공손할 손)에 부수 자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5
(멀리갈 수)를 더한 選 (가릴 선)이 이루어 진 것이다.
따라서 選 (가릴 선)을 읽은 후 巽(유 순, 공손할 손)을 더 자세히 학습하기 위해서는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다다순으로 분류되어 巽(유 순, 공손할 손)이 표기된 페이지로 찾아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巽(유 순, 공손할 손)이 표기된 해당 페이지로 찾아가면 한자 표기부(1)에는 "巽"가 표기되고,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엄마 자궁 속의 쌍태아(巳 巳)가 잠잠히 함께 (共) 있는 모습같이 유순하고 공손하다."로 풀이하고 ☞ 選(뽑을 선)을 표기하며, 기호 결합부(3)에서는 巳(태아 사) + 巳(태아 사) + 共(함께 공) = 巽(유순)으로 공식화함으로 인해 選 (가릴 선)을 학습하면서 巽(유 순, 공손할 손)찾아서 함께 공부하여 정확하게 익힐 수 있다.
도 5 a, b는 본 발명 학습책자에 있어 핵심어와 핵심어별로 결구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5 a는 한자 표기부(1)에 표시된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6
(낮고 작은 해질 폐)"는 핵심어(6)로서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여덟(八) 갈래로 수건(巾)이 작게(小) 너덜너덜 해지다."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더하기)기호(4)를 사용하여" 八(여덟 팔)+巾(수건 건)+ 小(작게)=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7
(낮고 작은 해질 폐)" 순차적으로 더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8
(낮고 작은 해질 폐)를 핵심어별로 결구된 한자 표기부(1)에는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49
(해질 폐)"가 표기되고,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 낮고 천한(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0
)사람을 때려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1
) 옷이 해지다."로 풀이하며, 기호 결합부(3)에는 +(더하기)기호(4)를 사용하여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2
(낮고 작은 폐)+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3
(칠 복)=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4
(해질 폐)"로 공식화된다.
상기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5
(해질 폐)는 핵심어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6
(낮고 작은 폐)에 부수 자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7
(칠 복)이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8
(해질 폐)의 핵심어별로 결구된 弊(폐단 폐)는 자해 표기부(2)에 필순으로 자해하면 "해지고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59
) 깨진 곳을 손(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0
)으로 더 해지게 하는 나쁜 폐단"으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1
(해질 폐)+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2
(받들 공)= 弊(폐단 폐)" 공식화한다.
즉, 弊(폐단 폐) 핵심어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3
(해질 폐)에 부수 자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4
(받들 공)이 더한 것이다.
또한, 弊(폐단 폐)에 핵심어별로 결구된 幣(비단 폐)는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으로 자해하여 "잘해지지(幣) 않는 천(巾)인 비단과 화폐."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기호를 사용하여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5
(해질 폐)+ 巾(수건 건)= 幣(비단 폐)로 공식화한 것으로 핵심어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6
(해질 폐)에 부수 자인 巾(수건 건)을 더한 것이다.
또한, 幣(비단 폐)에 핵심어별로 결구된 "蔽(덮을 폐)"를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으로 자해하면 "풀(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7
)로 해진(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8
)곳을 감추듯 덮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서 기호(4) 사용하여
Figure 112009064520617-pat00169
(풀 초)+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0
(해질 폐)= 蔽(덮을 폐)로 공식화된 것으로 부수 자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1
(풀 초)에 핵심어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2
(해질 폐) 더하여 이루어진다.
도 5b는 핵심어(6)인 尙(높일 상)을 기준으로 핵심어별로 결구 하면, 한자 표기부(1)에 尙(높일 상)을 표기하고,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으로 자해하여 "작은(小) 믿음이 온 들과 교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3
)까지 하나님을 숭상하게 하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더하기) 기호(4)를 사용하여 小(작을 소)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4
(들 경)= 尙(높일 상)으로 공식화한다.
또한, 尙(높일 상)을 기준으로 핵심어별로 결구한 "常(항상 상)"은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을 따라 자해하면" 높여 숭배(尙)하는 신성한 곳은 휘장(巾)으로 항상 보통 가린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더하기) 기호(4)를 사용하여 "尙(높일 상) + 巾(수건 건)= 常(항상 상)으로 공식화한 것으로 핵심어(6)인 尙(높일 상)에 부수인 巾(수건 건)이 더해져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裳(치마 상)은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고상(尙)해 보이도록 사람이 입는(衣) 치마."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서는 기호(4)에 의해 尙(높일 상)+ 衣(옷 의)= 裳(치마 상)으로 공식화한 것으로 핵심어(6)인 尙(높일 상)에 부수인 衣(옷 의)을 더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嘗(맛볼 상)은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으로 자해하여" 음식의 높은(尙) 가치는 맛(旨)에 있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더하기)기호(4)에 의해 尙(높일 상)+旨(맛 지)= 嘗(맛볼 상)으로 공식화한 것으로, 핵심어(6)인 尙(높일 상)에 낱자인(旨)가 더하여 이루어진다. (부수 자는 口(입 구))
또한, 핵심어(6)인 賞(상줄 상)은 자해 표기부(2)에서 "높이(尙) 칭찬하며 상품(貝)을 주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더하기)기호(4)를 이용하여 尙(높일 상)+ 貝(돈 패)= 賞(상줄 상)으로 공식화한 것으로, 핵심어(6)인 尙(높일 상)에 부수인 貝(돈 패) 더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償(갚을 상)은 핵심어(6)인 賞(상줄 상)을 핵심어별로 결구 한 것으로 서, 자해 표기부(2)에서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공 있는 사람(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5
)에게 상(賞)을 주어 공을 갚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부수인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6
(사람 인)에 핵심어(6)인 賞(상줄 상)이 더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6a, b는 본 발명 한자 학습교재에 있어 핵심어를 핵심어별로 결구할 때 부수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 한자 표기부(1)에서 핵심어(6)인 相(서로 상)을 표기하고,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의해 자해하면 "생명나무(木) 앞에 아담과 하와가 보며(目) 서로 함께 있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 기호(4)를 "木(나무 목)+ 目(눈 목)= 相(서로 상)"으로 공식화한 것으로, 핵심어(6)인 相(서로 상)이 단독으로 사용한다.
또한, 핵심어(6)인 相(서로 상)을 기준으로 핵심어별로 결구하여 想(생각할 상)은 핵심어(6)가 머리에 위치하며, 자해 표기부(2)에서는 필순에 의해 자해하여 "서로(相) 마음(心)으로 생각하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서는 기호(4)를 사용하여 相(서로 상)+ 心(마음 심)= 想(생각할 상)으로 공식화한다.
또한, 箱(상자 상)은 핵심어(6)인 相(서로 상)의 위치를 발에 위치하도록 하고, 자해 표기부(2)에서는 필순에 의해 자해하면 "대(竹)를 서로(相) 엮어 만든 상자"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서는 "竹(대 죽)+ 相(서로 상)= 箱(상자 상)"으로 공식화한다.
또한, 霜(서리 상)은 핵심어(6)인 相(서로 상)의 위치를 발에 위치하도록 하고, 자해 표기부(2)에서는 빗(雨)물이 서로(相) 얼어붙은 서리."를 풀이하며, 기호 결합부(3)에서는 기호(4)를 통해 雨(비 우) + 相(서로 상) = 霜(서리 상)으로 공식화한다.
도 6b는 도 6a 마찬가지로 핵심어(6)를 기준으로 핵심어별로 결구 할 때 핵심어(6)의 위치를 표기하기 위해 韋(다룸 가죽 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자 표기부(1)에 단독체로 위치하는 韋(다룸 가죽 위)와, 자해 표기부(2)에 필순에 따라 자해하여" 짐승의 가죽을 펴서 부드럽게 만든 가죽 또는 원 가죽이 달라진 가죽이라 '어긋나다.'라는 뜻있음과 ☞皮(가죽 피)-벗겨낸 짐승 가죽 또는 거죽, ☞革(가죽 혁) - 털을 뽑아 말려 만든 가죽, ☞韋(가죽 위) - 손질한 가죽, 마름질한 가죽으로 풀이한다.
또한, 偉(훌륭할 위)는 韋(다룸 가죽 위) 핵심어(6)로 사용하여 핵심어별로 결구된 것으로 핵심어(6)가 방에 위치하며. 자해 표기부(2)에는 "사람(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7
)이 어긋나지 않고 가죽(韋)같이 끈기 있으니 크게 훌륭하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에는 필순과 기호에 의해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8
(사람 인) + 韋(다룸 가죽 위)= 偉(훌륭할 위)"로 공식화한 것이다.
또한, 緯(씨줄 위)는 핵심어(6)가 방에 위치하며, 자해 표기부(2)에는 날실(
Figure 112009064520617-pat00179
)에 어긋나게(韋) 짜는 씨줄"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기호(4)에 의해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0
(실사)+韋(다룸 가죽 위)= 緯(씨즐 위)" 가 공식화 한다.
또한, 違(어길 위)는 핵심어(6)가 요받침으로 자해 표기부(2)에 필순에 따라 "어리석은 자는 가죽(韋)으로 가지(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1
)말라고 때려도 어기고 간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는 필순과 기호에 의해" 違(어길 위)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2
(멀리갈 착)= 違(어길 위)"로 공식화 한다.
또한, 圍(에워쌀 위)는 핵심어(6) 위치가 에울 위 몸으로 자해 표기부(2)에서는 필수에 의해 자해하면 "성(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3
)을 가지는 가죽옷(韋) 입은 병사들이 에워싼 둘레"를 풀이한 것이고, 기호 결합부(3)는 필순과 기호(4)에 의해"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4
(에워쌀 위)+韋(가죽 위)= 圍(에워쌀 위)"로 공식화 한다.
또한, 衛(지킬 위)는 핵심어(6)가 갈행 몸으로 위치하고, 자해 표기부(2)에는 필순에 따라 자해하면"다니며(行) 가죽옷(韋)을 입은 병사가 지키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는 "行(다닐 행) + 韋(가죽 위)= 衛(지킬 위)"으로 공식화 한다.
따라서 핵심어(6)와 관련된 한자(5)를 핵심어별로 결구하며, 핵심어(6)의 위치는 단독체, 머리, 변, 방, 발, 받침, 엄, 몸의 순서로 위치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한자 학습교재에 있어서, 한자중에서 틀리기 쉬운 필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한자 표기부(1)의 한자가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5
(다스릴 련(연))" 이고 자해 표기부(2)에는 진리의 말씀(言)과 사랑의 줄(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6
)로 이끌어 어지러움을 다스린다."로 풀이하고, 기호 결합부(3)에는 기호(4)에 의해 "言(말씀 언) +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7
(실 사)=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8
(다스릴 련(연)"으로 공식화된다.
따라서
Figure 112009064520617-pat00189
(다스릴 련(연))의 필순은
Figure 112009064520617-pat00190
(실 사)를 먼저 쓰지 않고, 言(말씀 언)을 먼저 쓴다.
따라서 본 발명 한자 학습교재는 종래의 주입식 한자 학습교재와 달리 한자(5)를 필순에 따라 자해하고, 기호(4)에 의해 공식화하여 배열함으로 인해 학습자는 눈에 빨리 익힐 수 있다.
또한, 한자(5)중 일부 핵심어(6)는 붉은색으로 표기하고 핵심어별로 결구되게 배열하여 눈에 빨리 익힐 수 있도록 하고, 한자(5) 중 부수(7)를 파란색으로 표기하여 뜻을 쉽게 연상할 수 있으며,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여 학습 중에 관련한자를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한자(5)의 핵심어(6)를 필순으로 해석하여 쓰기 쉽게 익혀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나다순으로 한자 표기부에 한자를 배열하고, 훈,음을 별도로 표기하여 모르는 한자를 체크하기가 쉽도록 하고, 필순으로 자해하여 이해를 돕고, 기호를 사용하여 자해 순서대로 한자를 분해하여 훈음을 달아 시각화함으로 인해 모르는 부분을 가나다순으로 쉽게 찾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시간에 많은 한자를 쉽게 익힐 수 있고, 혹시 잊어버려도 다시 찾아 반복 복습이 용이한 구성이다.
도 1은 학습 한자교재에서 분류한 부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b, c 는 한자에서 기호화하는 것을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a, b, c, d는 본 발명 한자 학습책자에 있어 부수 자
Figure 112009064520617-pat00191
(새 추)를 예를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a, b는 본 발명 학습 한자 책자에 있어서, "選 (가릴 선)"을 예를 들어 핵심어를 찾고 구별하고, 익히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5 a, b는 본 발명 학습책자에 있어 핵심어와 핵심어별로 결구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a, b 마찬가지로 핵심어를 기준으로 핵심어별로 결구 할 때 핵심어의 위치를 표기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한자 학습교재에 있어서, 한자중에서 틀리기 쉬운 필순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한자 표기부 2: 자해 표기부
3: 기호 결합부 4: 기호
5: 한자 6: 핵심어
7: 부수 자 8: 낱자
9: 부수 표기부

Claims (6)

  1. 한자와 해당 한자의 훈(訓)과 음(音)을 표기한 한자 표기부와, 상기 한자 표기부의 해당 한자를 자해(字解)한 자해 표기부와, 상기 한자 표기부의 한자를 수학 기호를 통해 분해한 기호 표기부로 구성하여 한자를 학습하기 위한 한자 학습교재에 있어서,
    한자의 음(音)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한자(5)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자(5)들 중에서 부수(7), 부수(7)와 부수(7)가 결합된 한자, 및 부수(7)와 다른 한자와 결합되어 또 다른 한자를 이루는 기초가 되는 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핵심어(6)로 표기하며, 상기 가나다순으로 분류되는 한자(5)들을 공통으로 사용되는 핵심어(6) 별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인쇄한 한자 표기부(1);
    상기 한자 표기부(1)의 일 측에 배치되며, 해당 한자(5)의 필순과 훈(訓)이 동시에 학습되도록 해당 한자(5)를 상기 필순에 따라 자해(字解)하여 인쇄한 자해 표기부(2); 및
    상기 자해 표기부(2)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해당 한자(5)를 필순에 따라 상기 해당 한자(5)를 구성하는 부수(7), 낱자 또는 핵심어로 분해하고, 상기 분해된 부수(7), 낱자 또는 핵심어(6)의 아래에 훈(訓)과 음(音)을 기재하며, 상기 분해된 부수(7), 낱자 또는 핵심어(6)의 사이에 수학 기호(4)를 삽입하여 상기 분해된 부수(7), 낱자 또는 핵심어(6)를 상기 수학 기호(4)를 통해 더하거나(+) 빼거나(-) 또는 곱하여(×) 상기 해당 한자(5)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쇄한 기호 결합부(3)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호 결합부(3)에 기재된 부수(7), 낱자 또는 핵심어(6) 중 학습하지 못한 부수(7), 낱자 또는 핵심어(6)를 상기 가나다순으로 분류된 한자 표기부(1)에서 상기 부수(7), 낱자 또는 핵심어(6)에 대응하는 한자(5)로 찾아가 학습하며,
    상기 핵심어(6)와 상기 핵심어(6)와 관련된 한자(5)가 가나다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핵심어(6)와 관련된 한자(5)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핵심어(6)가 상기 핵심어(6)와 관련된 한자(5)의 ⅰ) 상측(머리), ⅱ) 좌측(변), ⅲ) 우측(방), ⅳ) 하측(발), ⅴ) 상기 한자(5)의 좌측과 하측에 위치한 것으로 정의되는 받침, ⅵ) 상기 한자(5)의 상측과 좌측에 위치한 것으로 정의되는 엄, ⅶ) 상기 한자(5)의 외측(몸)에 위치한 순서대로 상기 핵심어(6)와 관련된 한자(5)들을 배열하여 상기 핵심어(6)와 관련된 한자(5)들 사이에 규칙성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핵심어(6)와 관련된 한자(5)들을 상기 순서에 따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교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42862A 2009-05-15 2009-05-15 한자 학습교재 KR10095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62A KR100955294B1 (ko) 2009-05-15 2009-05-15 한자 학습교재
PCT/KR2010/003065 WO2010131924A2 (ko) 2009-05-15 2010-05-14 한자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862A KR100955294B1 (ko) 2009-05-15 2009-05-15 한자 학습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294B1 true KR100955294B1 (ko) 2010-04-30

Family

ID=4222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862A KR100955294B1 (ko) 2009-05-15 2009-05-15 한자 학습교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5294B1 (ko)
WO (1) WO2010131924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85Y1 (ko) * 2012-07-27 2012-12-14 이정선 한자의 기본한자 학습교재
KR101264087B1 (ko) 2012-12-26 2013-05-15 문원근 부수에 대응되는 그림을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KR101582341B1 (ko) * 2015-06-12 2016-01-04 김도완 이미지 및 해설을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KR20180119777A (ko) * 2017-04-26 2018-11-05 이원태 한자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교재
KR20220006179A (ko) * 2020-07-08 2022-01-17 봉영아 한자 학습 교재의 편집 구조 및 그를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9255B1 (ja) * 2015-11-23 2017-03-08 雄太郎 植木 漢字学習用具
KR20230071207A (ko) * 2021-11-16 2023-05-23 손병진 한자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414A (ja) 2001-01-10 2002-07-26 Junko Sakai 漢字速習教材
KR200391859Y1 (ko) 2005-05-13 2005-08-09 조소제 한자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KR20070009812A (ko) * 2005-07-14 2007-01-19 김용부 한자 학습용 교재
KR20090000504U (ko) * 2007-07-13 2009-01-16 이혜숙 한자학습교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818Y1 (ko) * 2006-07-28 2006-12-28 박재성 한자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한자학습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414A (ja) 2001-01-10 2002-07-26 Junko Sakai 漢字速習教材
KR200391859Y1 (ko) 2005-05-13 2005-08-09 조소제 한자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KR20070009812A (ko) * 2005-07-14 2007-01-19 김용부 한자 학습용 교재
KR20090000504U (ko) * 2007-07-13 2009-01-16 이혜숙 한자학습교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85Y1 (ko) * 2012-07-27 2012-12-14 이정선 한자의 기본한자 학습교재
KR101264087B1 (ko) 2012-12-26 2013-05-15 문원근 부수에 대응되는 그림을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KR101582341B1 (ko) * 2015-06-12 2016-01-04 김도완 이미지 및 해설을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KR20180119777A (ko) * 2017-04-26 2018-11-05 이원태 한자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교재
KR101955017B1 (ko) * 2017-04-26 2019-03-07 이원태 한자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교재
KR20220006179A (ko) * 2020-07-08 2022-01-17 봉영아 한자 학습 교재의 편집 구조 및 그를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KR102398056B1 (ko) 2020-07-08 2022-05-13 봉영아 한자 학습 교재의 편집 구조 및 그를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1924A2 (ko) 2010-11-18
WO2010131924A9 (ko) 2011-05-19
WO2010131924A3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vin et al. Writing starts with own name writing: From scribbling to conventional spelling in Israeli and Dutch children
Holt Learning all the time
Kallendorf The Other Virgil:Pessimistic'Readings of the Aeneid in Early Modern Culture
KR100955294B1 (ko) 한자 학습교재
Unger Ideogram: Chinese characters and the myth of disembodied meaning
Gombrich The visual image
Gattegno Teaching foreign languages in schools: The silent way
Trubek The history and uncertain future of handwriting
Farjami EFL learners’ metaphors and images about foreign language learning
Bromley Stretching Students' Vocabulary: Best Practices for Building the Rich Vocabulary Students Need to Achieve in Reading, Writing, and the Content Areas
Warne “So that the sense of touch may supply the want of sight”: Blind Reading and Nineteenth-Century British Print Culture 1
McPherson Mnemonics for Study: Spanish edition
Conning The Kodansha kanji learner's course: A step-by-step guide to mastering 2300 characters
Manly et al. The writing of English
Stratton The teaching of English in the high school
Phillips Modern methods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Huey The History and Pedagogy of Reading: With a Review of the History of Reading and Writing and of Methods, Texts, and Hygiene in Reading
JP6089255B1 (ja) 漢字学習用具
Davis The technique of teaching
Kidd China, Or Illustrations of the Symbols, Philosophy, Antiquities... and Literature of the Chinese
Manolescu Language Learning through Thought, Memory, Imagination, and Reading.
KR100902249B1 (ko) 한자 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한자 학습교재
Manolescu TIPS: A Guidebook for Teaching Excellence in Esl
Ward The Spell of the Song: Letters, Meaning, and English Poetry
Hilmo Retributive Violence and the Reformist Agenda in the Illustrated Douce 104 MS of" Piers Plowm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