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352B1 - 과실봉지 - Google Patents

과실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352B1
KR100954352B1 KR1020070122206A KR20070122206A KR100954352B1 KR 100954352 B1 KR100954352 B1 KR 100954352B1 KR 1020070122206 A KR1020070122206 A KR 1020070122206A KR 20070122206 A KR20070122206 A KR 20070122206A KR 100954352 B1 KR100954352 B1 KR 10095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ag
present
fruit bag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335A (ko
Inventor
백현동
이성국
Original Assignee
백현동
이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현동, 이성국 filed Critical 백현동
Priority to KR102007012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3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 모양 및 착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과실봉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과실이 담겨지는 중앙부; 중앙부의 하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 중앙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과실의 가지에 고정되도록 철심핀을 갖으며 양쪽 모서리가 잘려진 결속부를 포함한다.
과실봉지, 돌출부

Description

과실봉지{FRUIT ENVELOPE}
도 1은 종래의 복숭아용 과실봉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과실봉지의 생산과정에서 노치부로 인해 발생되는 파지부분을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용 과실봉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복숭아용 과실봉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측이 세로방향으로 찢어진 과실봉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용 과실봉지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과실봉지의 제조 과정중 커팅단계에서 절단되는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는 다양한 돌출부를 갖는 과실봉지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중앙부
120 : 결속부
130 : 돌출부
본 발명은 과실봉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봉지내 과실 모양 및 착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과실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봄철 과실 또는 열매의 꽃이 진 후에는 어린 과실을 보호하기 위하여 과실 보호용 봉지를 통해 나뭇가지에 매달린 과실을 포장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과실 보호용 봉지의 사용은 성과가 되기 전에 포장 봉지를 과실에 씌움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한 과실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고, 농약, 병충해 그리고 까치 등의 조류로부터 과실을 보호하여 과실의 품질을 보다 좋게 육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복숭아와 같은 과실은 가지에 인접하게 열리기 때문에 과실봉지를 과실의 가지에 직접 고정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복숭아용 과실봉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복숭아용 과실봉지(10a,10b)는 상단 개구부의 중앙에 과실의 가지가 위치할 수 있도록 "V"자 형태의 노치부(12)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단 개구부의 양측을 경사지게 절단한 노치부(12)가 형성된다. 이처럼 종래의 복숭아용 과실봉지(10a,10b)는 연속적으로 봉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노치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일부분이 파 지처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에는 노치부로 인해 발생되는 파지부분을 보여준다.
또한, 과수는 수확시점에 육안으로 과수의 수확시기(숙기)를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복숭아용 과실봉지는 잘 찢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단(14)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과실봉지의 일부를 세로방향으로 찢는다는 것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보편적으로는 봉지가 씌어져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만져본 후 수확의 정도를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지 제조과정에서 파지가 발생되지 않는 과실봉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수의 수확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과실봉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지를 세로방향으로 쉽게 찢을 수 있는 과실봉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실봉지는 과실이 담겨지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하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실봉지는 상기 중앙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과실의 가지에 고정되도록 철심핀을 갖으며 양쪽 모서리가 잘려진 결속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속부의 양쪽 모퉁이에서 잘려진 부분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빗물이 쉽게 배수되도록 가장자리 방향으로 만곡지거나 하향 경사진 내측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앙부의 밑면과 접하는 모서리를 갖으며, 상기 모서리는 세로방향으로 찢을 때 시작점이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실봉지 제조 방법은 봉지를 제작하기 위해 원단을 공급하는 단계와 접착하는 단계 및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커팅하는 단계는 상기 과실 봉지 상부의 절단면 모양과 하부의 절단면 모양이 동일하도록 커팅하여 커팅과정에서 파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과실봉지의 상부의 절단면 모양은 양쪽 모서리가 잘려진 형태이고, 상기 과실봉지의 하부의 절단면 모양은 상기 상부의 양쪽 모서리에서 잘려진 부분과 동일한 모양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형태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용 과실봉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복숭아용 과실봉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실봉지(100)는 과실이 담겨지는 중앙부(110)와 중앙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과실의 가지에 고정되도록 철심핀(140)을 갖는 결속부(120) 그리고 중앙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3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과실봉지(100)는 가지에 인접하게 열리는 복숭아에 매우 접합하다. 본 발명의 과실봉지(100)는 한 장의 종이로 제작된 것으로, 양 모서리를 일부가 겹쳐지게 포갠 후 접착제로 서로 붙여 세로 방향(길이방향)으로 접착면(a)을 형성하고, 중앙부(110)의 하단 아래에 가로방향으로 일부를 접착제로 붙여 가로 방향으로 접착면(b)을 부분적으로 형성한 후 일정 간격으로 커팅하여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중앙부(110)의 가로 방향 접착면(b)은 과실이 성장하면 자연적으로 가로방향 접착면(b)이 벌어지면서 중앙부(110)의 아래가 완전 개방된다. 특히, 본 발명의 과실봉지(100)는 가로방향 접착면(b)이 중앙부(110)의 밑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방향 접착면(b)이 벌어지면 작업자가 손쉽게 과실의 성장 상태(수확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5참조). 특히, 중앙부(110)의 밑면이 완전 개방되더라도 양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30)가 햇빛을 가려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방향 접착면(b)이 벌어지면 작업자가 용이하게 중앙부(110)에 있는 과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 접착면(b) 아래에는 절단처리하되, 중앙부(110)의 양쪽 가장자리부분으로만 돌출부(130)를 연장 형성하여 최소한으로 햇빛을 가리고 과실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전체 봉지의 길이가 일반적인 봉지와 비슷하지만, 가로방향 접착면(b) 아래는 그 다음 생산될 봉지의 결속부(120)로 사용하도록 과실이 위치되는 중앙부(110)의 길이는 짧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기존의 과실봉지를 생산하는 것에 비해 종이 원단의 미터당 생산량이 현저하게 뛰어날 뿐만 아니라, 파지 발생이 없기 때문에 원가 절감 효과 및 파지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실봉지는 과실봉지의 상부(윗면) 절단면 모양(121b,121a)과 하부(밑면) 절단면 모양(132,112)이 동일하도록 커팅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물론, 접합 단계에서 세로방향으로 접착면(a)을 형성할 때 철심핀(140)을 삽입하여 접합하게 된다.
중앙부(110)는 과실이 수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결속부(120)는 중앙부(110)의 상단에 위치되며 과실을 씌운 후 과실의 가지에 고정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결속부(120)는 과실이 수납되는 입구로써, 직선 절단면(121a)과, 그 양쪽 모서리가 하향 경사지게 잘려져 나가면서 형성된 경사 절단면(121b)을 갖는다. 결속부(120)는 과실의 가지에 고정되도록 철심핀(140)을 갖는다. 결속부(120)에서 철심핀(140)의 위치가 가장자리에 위치하지 않고 중앙쪽에 위치하는 것은 모서리가 잘 려져 있기 때문에 철심핀(140)이 가장자리에 위치하면 가지에 고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돌출부(130)는 중앙부(110)의 하단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130)는 결속부(120)의 양쪽 모서리에서 잘려진 부분(x)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과실봉지(100)는 상단(상부)의 절단면 모양과 하단(하부)의 절단면 모양이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과실봉지(100)는 제조하는 과정에서 파지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돌출부를 살펴보면, 돌출부(130)는 내측면(132)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봉지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돌출부(130)의 내측면(132)을 통해 배출된다. 특히, 돌출부(130)는 중앙부(110)보다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특히 내측면(132)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 돌출부(130)의 경사진 내측면(132)을 따라 용이하게 흘러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돌출부(130)는 중앙부(110)의 밑면(112)과 접하는 모서리(s)를 갖는다. 이 모서리(s)는 세로방향으로 봉지를 찢을 때 시작점이 된다. 예컨대, 과수는 수확시점에 육안으로 과수의 숙기를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과실봉지의 일부를 찢어서 과수의 수확시기(숙기)를 확인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실봉지(100)는 사용자가 돌출부(130)를 손으로 잡고서 위로 잡아당기면, 돌출부(130)의 모서리(s)부분에서부터 쉽게 찢어진다. 도 6에는 일측 일부가 세로방향으로 찢어진 과실봉지(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과실봉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과실봉지의 일부를 쉽게 찢어서 과실의 수확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돌출부(130)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과실봉지(100) 전체를 놓고 보면, 돌출부(130)의 내측면(132)과 중앙부(110)의 밑면(112)은 과실봉지의 밑면(과실봉지의 하부 절단면)에 해당된다. 그리고 즉, 과실봉지(100)는 양쪽이 하향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밑면(하부 절단면)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과실봉지(100)의 밑면 양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과실봉지(100)의 윗면(상부) 양쪽에 절단된 부분(x)(도 4에 도시됨)만큼 동일하게 돌출 형성된다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물론, 돌출부(130)는 삼각형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다양한 돌출부를 갖는 과실봉지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1번 과실봉지(100)는 앞에서 언급한 삼각 형상의 돌출부(130)를 갖는다. 2번 과실봉지(100-2)는 사각 형상의 돌출부(130-2)를 갖는다. 물론 결속부(120)의 양단 모서리는 돌출부(130-2)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잘려져 있음을 물론이다. 3번과 4번의 과실봉지(100-3,100-4)는 내측면 일부가 경사면(133)으로 이루어져 있는 사각 형상의 돌출부(130-3,130-4)를 갖는다. 그리고 5번의 과실봉지(100-5)는 돌출부(130-5)의 내측면(132)이 볼록하게 형성된 예를 보여주며, 6번의 과실봉지(100-6)는 돌출부(130-6)의 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이처럼, 과실봉지의 돌출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숭아용 과실봉지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과실봉지의 제조 과정중 커팅단계에서 절단되는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과실봉지 제조 과정은 크게 원단인 종이를 공급하는 단계(S10), 봉지형태로 접착하는 단계(S20) 그리고 커팅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접착 단계(S20)는 종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s22), 철심핀을 삽입한 후 종이를 접어 봉지형태로 만들고(s24), 접합부를 압착하여 붙이는 과정(s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 단계(S20)는 공지기술에 해당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커팅 단계(S30)로써, 커팅 단계(S30)에서는 과실봉지의 상부 절단면 모양과 하부의 절단면 모양이 동일하도록 커팅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8은 커팅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8에서와 같이 첫 번째 커팅롤러(210)에 의해 양쪽의 경사면(결속부의 경사 절단면 121b, 돌출부의 내측면 132에 해당)을 절단하고, 두 번째 커팅롤러(220)에서 가운데 직선면(결속부의 직선 절단면 121a, 중앙부의 밑면 112에 해당)을 절단하여 과실봉지(100)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경사면 절단과 직선면 절단 순서는 바뀔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커팅롤러에 경사면과 직선면을 한번에 커팅할 수 있는 커팅날을 부착한다면 한번에 커팅이 완료될 수 도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커팅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파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과실봉지의 상부 절단면 모양과 하부의 절단면 모양이 동일하도록 커팅하는데 있는 것이다. 물론, 첫 번째 과실봉지를 생산할 때에는 결속부(120)의 모서리로부터 딱 한번 파지가 발생되지만 그 이후로는 파지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실봉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 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1겹의 단일 봉지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필요시 2-3겹으로 형성하여 2중-3중의 다중구조의 봉지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중구조는 대체로 감싸는 과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데, 적용되는 과실이 배의 경우는 2-3중 봉지를 사용하게 되고, 사과의 경우는 1-2중 봉지를 사용하게 되며, 포도와 복숭아와 같은 경우엔 단일 1중 봉지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봉지 제조과정에서 파지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봉지를 세로방향으로 쉽게 찢을 수 있기 때문에 과실의 수확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봉지의 길이가 일반적인 봉지와 비슷하지만, 가로방향 접착면 아래는 그 다음 생산될 봉지의 결속부로 사용하도록 과실이 위치되는 중앙부의 길이는 짧게 형성하여, 기존의 과실봉지의 생산량에 비해 종이 원단의 미터당 생산량이 현저하게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봉지 제조과정에서 파지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봉지내의 공기의 이동 및 빗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과실봉지에 있어서:
    과실이 담겨지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과실의 가지에 고정되도록 철심핀을 갖으며 양쪽 모서리가 잘려진 결속부;
    상기 중앙부의 하부 양단에 상기 결속부와 동일한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부는 하단에 과실이 성장하면 자연적으로 벌어져서 완전 개방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일부가 접착제로 붙여지는 가로방향 접착면이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앙부의 밑면과 접하는 세로방향으로 찢을 때 시작점이 되는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고 빗물이 쉽게 배수되도록 개방된 배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봉지.
  7. 삭제
  8. 삭제
KR1020070122206A 2007-11-28 2007-11-28 과실봉지 KR10095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206A KR100954352B1 (ko) 2007-11-28 2007-11-28 과실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206A KR100954352B1 (ko) 2007-11-28 2007-11-28 과실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335A KR20090055335A (ko) 2009-06-02
KR100954352B1 true KR100954352B1 (ko) 2010-04-21

Family

ID=4098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206A KR100954352B1 (ko) 2007-11-28 2007-11-28 과실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65B1 (ko) * 2012-06-11 2014-04-04 정성채 과실 재배용 봉지
KR200477260Y1 (ko) * 2013-06-20 2015-05-26 대한민국 과일 보호용 봉지
CN104303929A (zh) * 2014-09-30 2015-01-28 徐世慧 一种使用双层纸套袋的水果栽培方法
KR20190060731A (ko) 2019-05-14 2019-06-03 류승문 정현직교 파형과 바이너리 cdma의 융합에 의해 직교도를 높인 변조신호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070A (ja) * 2000-03-27 2001-10-02 Shibataya Kakoshi Kk 果実掛袋
KR20050012125A (ko) * 2004-06-29 2005-01-31 남해산업(주) 과실봉지 및 과실봉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070A (ja) * 2000-03-27 2001-10-02 Shibataya Kakoshi Kk 果実掛袋
KR20050012125A (ko) * 2004-06-29 2005-01-31 남해산업(주) 과실봉지 및 과실봉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335A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352B1 (ko) 과실봉지
KR20080027115A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130045035A (ko) 주름부를 갖는 원터치형 과일봉지
KR20070007221A (ko)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KR200465007Y1 (ko) 포도보호용 봉지
KR200433001Y1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120054305A (ko) 주름 구간이 형성된 과일 봉지
KR200463742Y1 (ko) 다겹 과일봉지
JP5073539B2 (ja) 果実掛袋
JP3005228U (ja) 果実掛袋
KR100928121B1 (ko) 과일봉지
JP2007319003A (ja) 果実袋
KR200266319Y1 (ko) 과일재배용봉지
CN204132080U (zh) 一种适用于水果栽培中预先脱掉外层袋的双层纸套袋
JP3870393B2 (ja) 果実掛袋
JPH0242114Y2 (ko)
JP3661171B2 (ja) 果実掛袋
KR20090005963U (ko) 끈 일체형 식용과일 보호용 봉지
JP2001269070A (ja) 果実掛袋
JPH0233495Y2 (ko)
JP6574800B2 (ja) 果実掛袋
JPH0242115Y2 (ko)
KR20120002485U (ko) 기능성 배 보호용 봉지
KR200433032Y1 (ko) 청과 보호용 봉지
DK3098183T3 (en) Packaging element, especially for cut flowers and flower p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