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115A - 과실 보호용 봉투 - Google Patents

과실 보호용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115A
KR20080027115A KR1020070021218A KR20070021218A KR20080027115A KR 20080027115 A KR20080027115 A KR 20080027115A KR 1020070021218 A KR1020070021218 A KR 1020070021218A KR 20070021218 A KR20070021218 A KR 20070021218A KR 20080027115 A KR20080027115 A KR 2008002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fruit
bag
protection
dott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638B1 (ko
Inventor
백현철
Original Assignee
백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현철 filed Critical 백현철
Priority to KR102007002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6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의 각종 과실을 어린 과실상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봉투에 관한 것으로, 과실의 종류에 따라 속봉투와 겉봉투로 된 2-3중 겹침 구조 또는 단일봉투의 구조로 과실 보호용 봉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중앙부분을 향해 미세한 다수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진 점선부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시켜, 과실 보호용 봉투가 상단의 주름부와 중앙의 점선미형성부와 하단의 통기부로 분할 구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과실 보호용 봉투의 하단에는 수분배출용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점선부를 통해 봉지 씌움 작업시 과실을 삽입하여 봉투를 오므리고 씌우는 작업이 편리하므로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봉지 씌움시 어린과실의 꼭지에 충격을 적게 주어 과실의 숙성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봉투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공기의 이동과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여 봉투 내에 잔류하는 수분의 발산을 촉진시켜 봉투는 물론 과실 자체에 곰팡이 및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함과 더불어, 농약, 영양제 및 대기오염으로 인해 발생된 가스가 봉투 내에 남아 과실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70021218
과실, 봉투, 통기공, 점선, 통풍, 배수, 낙과방지

Description

과실 보호용 봉투 {Fruits envelop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보호용 봉투의 펼침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과실 보호용 봉투의 속봉투와 겉봉투를 서로 포갠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봉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속봉투 11, 12, 21, 22 ; 점선부
13, 23 ; 상측부 14, 24 ; 하측부
15 ; 가이드부 20 ; 겉봉투
25 ; 덮개부 26 ; 접는선
27a, 27b ; 접착부 28 ; 절취선
30 ; 과실
본 발명은 배,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의 각종 과실을 생장초기의 어린 과실로부터 완전히 숙성될 때까지 폭우, 서리 또는 우박 등의 기상이변에 대한 자연재 해 및 각종 조류와 병충해에 의한 피해 등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사용되는 과실 보호용 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 보호용 봉투 씌움시 꼭지가 삽입되는 개방부를 묶는 기능을 하는 봉투의 상측부 및 과실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측부에 미세한 다수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진 점선부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여 봉투 씌움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통풍과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 과실 보호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의 각종 과실은 자연재해나 조류 및 병충해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고자 반드시 과실 보호용 봉투를 이용하여 감싸게 되는데, 이러한 과실 보호용 봉투로 초기에는 신문지나 착색봉지 등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상기의 신문지나 착색봉지의 경우 내구성이 약하여 우천 또는 우박 등에 의한 피해를 완전하게 예방할 수 없고 쉽게 파지되는 경우가 많아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으며, 이후 그 내구성 및 방수성을 개선한 다양한 형태의 봉투가 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봉투는 작업자가 일정량의 힘을 가하여 그 내부에 과실을 삽입한 후 꼭지부를 감싸 묶어주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일반적으로 그 작업속도 및 능률이 좋지 못하고, 더욱이 이같은 봉투 씌움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미성숙한 어린 과실의 꼭지에 필요 이상으로 힘을 가해 과다한 충격을 주는 경우 낙과율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향후 과실의 성장을 저해하여 수확율을 현저히 감소시키게 되는 중대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과실 보호용 봉투를 씌워 재배한 과실은 외부와 완전히 차단 된 상태가 되어 통풍성 및 배수성은 물론 햇빛의 투광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었으며, 특히 장마철과 같이 습한 환경에 있어서 봉투 내에 습기가 차는 경우 봉투는 물론 과실 자체에까지 곰팡이나 얼룩이 생기는 등 위생적인 면에서도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햇빛의 저조한 투광은 과실 숙성시 본연의 색상을 갖지 못하고 그 당도 또한 낮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실에 봉투 씌움시 그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어린 과실의 꼭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며, 우수한 통풍성과 배수성과 햇빛 투광률을 통해 과일의 숙성상태를 향상시킴으로써 맛과 색상이 우수한 고품질의 과실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과실 보호용 봉투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실 보호용 봉투는, 상단에 과실삽입용 가이드부를 돌출시킨 과실 보호용 봉투에 있어서, 상기 과실 보호용 봉투는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중앙부분을 향해 미세한 다수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진 점선부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시켜, 과실에 봉투를 씌움시 꼭지를 지지하는 묶음부의 역할을 하는 상단주름부와, 봉투의 형태를 유지하는 중앙의 점선미형성부, 및 통풍과 배수의 역할을 하는 하단의 통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과실 보호용 봉투는 상단에 과실삽입용 가이드부를 돌출시킨 1-2장의 속봉투와, 상기 속봉투의 외측을 감싸며 형성되어진 겉봉투의 다중 겹침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봉투의 하단에는 수분배출용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속봉투와 겉봉투의 상하측에 천공되는 점선부는 상기 속봉투와 겉봉투에 서로 일치하여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봉투는 상단주름부와 중앙의 점선미형성부와 하단의 통기부의 길이비율이 각각 3.5~4 : 3.5~4 : 2~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보호용 봉투의 펼침상태를 보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과실 보호용 봉투의 속봉투와 겉봉투를 서로 포개어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봉투를 과실에 씌운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보호용 봉투(100)는, 바람직하게, 과실에 봉투를 씌운 후 꼭지(31)에 묶여진 조임상태를 견고하게 하여 병충해 및 농약 침투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속봉투(10)와 겉봉투(20)를 안쪽부터 순서대로 부착시킨 다중 겹침 구조로 구성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먼저, 상기 겉봉투(20)의 일측 단부 및 내면에 풀칠을 하여 그 위에 속봉투(10)의 양측날개(10a)(10b)를 접어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겉봉투(20)의 양측 날개부(20a)(20b) 중 일측 날개부(20a)에 풀칠을 하여 측면 접착부(27a)를 형성한 다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가상의 양측 접는선(26)을 기준으로 겉봉투(20)의 일측 날개부(20b)를 내측으로 접어 주게 되는 것이며, 이어서 상기 겉지(20)의 반대측 날개부(20a)가 상기 일측 날개부(20b)에 부착되도록 내측으로 접은 후, 상기 겉봉투(20) 하단의 덮개부(25)에 풀칠을 하여 하단 접착부(27b)를 형성한 다음 상기 하단 덮개부(25)를 상측으로 접어 겉지(20) 측면 날개부(20a)(20b)에 부착시켜 봉투(100)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봉투(100)의 상측 개방부는 과실에 봉투 씌움시 과실(30)의 꼭지(31)을 지지하는 묶음부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과실(30)을 봉투(100)에 삽입시 겉봉투(20)와 속봉투(10) 사이 공간으로 과실(30)이 삽입되는 것을 예방함과 동시에 속봉투(10) 내부로의 과실(30) 삽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속봉투(10) 상단에는 겉봉투(20)의 상단부와 겹쳐지지 않도록 상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가이드부(15)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과실 묶음부인 속봉투(10)와 겉봉투(20)의 상측부(11)(21)에는 과실(30) 꼭지(31)에 묶음시 반복적인 접힘과 구김으로 주름부를 형성하여 그 씌움 작업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한 통기공으로 이루어진 점선부(13)(23)가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한 체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겉봉투(20)는 봉투(100) 내에 남아있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봉투(100)와 과실(30)이 젖거나 그 표면에 곰팡이 및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단에 수분배출용 배수공(27)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공(27)은 접힘선(26)을 기준으로 양측 날개부(20a)(20b)와 덮개부(25) 사이를 소정 이격시켜 양측 날개부(20a)(20b) 접힘시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필요시 상기 덮개부(25)에 임의의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벌레나 농약의 침투를 예방하기 위해 과실(30)의 하단을 밀폐하는 상기한 속봉투(10)와 겉봉투(20)의 하측부(12)(22)에는 봉투(100)에 남아있는 공기의 이동 및 수분의 발산을 촉진시키고 햇빛의 투광율을 높여 과일의 맛과 색상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한 통기공으로 이루어진 점선부(14)(24)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봉투 상측부(11)(21)의 점선부(13)(23) 역시 하측부(12)(22)의 점선부(14)(24)와 동일한 통풍/배수 및 햇빛 투광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점선부들(13)(23)(14)(24)은, 바람직하게 봉투의 크기에 대응하여 5~30줄 정도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부(11)(21)에 형성되는 점선부(13)(23)는 봉투 묶음시 주름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꼭지의 길이를 고려하여 가공하며, 하측부(12)(22)에 형성되는 점선부(14)(24)는 물 빠짐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를 고려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점선부들(13)(23)(14)(24)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수록 통풍 및 수분배출 면에서 용이하긴 하나 지나치게 길게 형성하면 봉투(100) 자체의 내구성이 크게 떨어져 과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는 것이므로 상기한 봉투 상측부(11)(21)의 점선부(13)(23)와 봉투(100) 중앙부분의 점선미형성부, 및 봉투 하측부(12)(22)의 점선부(14)(24)의 길이를 대체로 3.5~4 : 3.5~4 : 2~3의 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선부들(13)(23)(14)(24)은 통풍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봉투(100)의 속봉투(10)와 겉봉투(20)에 서로 밀착되는 위치에 일치시켜 통기공이 외부로부터 과실이 수납된 내부까지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적어도 속봉투(10)와 겉봉투(20)에 형성된 점선부(13)(23)(14)(24)의 간격범위가 0.5~1.0mm 이내가 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투의 상측부(11)(21)와 하측부(12)(22)에 각각 형성된 점선부들(13)(23)(14)(24)이 봉투(100)의 중간부분을 향해 마주 보며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과 변형이 또한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예로서, 봉투의 상측부(11)(21)와 하측부(12)(22)에 각각 형성된 점선부들(13)(23)(14)(24)을 대각선 방향으로 반복적이고도 연속되게, 또는 톱니형의 연속된 점선들을 일정한 폭으로 반복적이고도 연속되게 형성하여도 본 발명이 추구하는 상기한 목적들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속봉투(10)를 1겹으로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필요시 이를 2겹 또는 3겹으로 형성하여 2중-3중의 다중구조의 봉투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다중 봉지와는 달리 1겹의 종이가 속봉투와 겉봉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단일봉투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중구조는 대체로 감싸는 과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데, 적용되는 과실이 배의 경우는 2-3중 봉투를 사용하게 되고, 사과의 경우는 1-2중 봉투를 사용하게 되며, 포도와 복숭아와 같은 경우엔 한겹의 단일 봉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실 보호용 봉투는, 봉투 상하측부에 미세한 다수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진 점선부를 복수개 형성시켜 과실에 씌움시 그 삽입 및 오므리고 씌우는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여 그 작업 속도를 높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킴은 물론 어린 과실의 꼭지에 충격을 적게 주어 과실의 숙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을 통해 봉투내의 공기의 이동 및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특히 습기가 많은 장마철에 있어서 봉투 내에 남아있는 수분의 발산을 촉진시켜 봉투는 물론 과실 자체에 곰팡이 및 얼룩이 발생되는 현상과 농약, 영양제 및 대기오염으로 인해 발생된 가스가 봉투 내에 잔존하는 현상을 예방하여 과실의 숙성 상태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봉투의 통기공은 햇빛의 관통공으로도 작용하는 바 햇빛의 투광률을 높여 착색기의 과실이 그 색상이 제대로 표현되게 함은 물론, 밀폐된 봉투안의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인하여 과실이 성장장애를 입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를 통해 과실의 맛과 당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과실의 종류에 따라 속봉투와 겉봉투로 된 2-3중 겹침 구조 또는 단일봉투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과실 보호용 봉투에 있어서,
    상기 과실 보호용 봉투는,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중앙부분을 향해 미세한 다수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진 점선부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시켜, 과실에 봉투를 씌움시 꼭지를 지지하는 묶음부의 역할을 하는 상단주름부와, 봉투의 형태를 유지하는 중앙의 점선미형성부, 및 통풍과 배수의 역할을 하는 하단의 통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용 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보호용 봉투는, 상단에 과실삽입용 가이드부를 돌출시킨 1-2장의 속봉투와, 상기 속봉투의 외측을 감싸며 형성되어진 겉봉투의 다중 겹침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용 봉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의 하단에는 수분배출용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용 봉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봉투와 겉봉투의 상하측에 천공되는 점선부는 상기 속봉투와 겉봉투에 서로 일치하여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용 봉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는 상단주름부와 중앙의 점선미형성부와 하단의 통기부의 길이비율이 각각 3.5~4 : 3.5~4 : 2~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보호용 봉투.
KR1020070021218A 2007-03-03 2007-03-03 과실 보호용 봉투 KR10082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218A KR100824638B1 (ko) 2007-03-03 2007-03-03 과실 보호용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218A KR100824638B1 (ko) 2007-03-03 2007-03-03 과실 보호용 봉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475U Division KR200433001Y1 (ko) 2006-09-21 2006-09-21 과실 보호용 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15A true KR20080027115A (ko) 2008-03-26
KR100824638B1 KR100824638B1 (ko) 2008-04-30

Family

ID=3941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218A KR100824638B1 (ko) 2007-03-03 2007-03-03 과실 보호용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6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21B1 (ko) * 2009-09-02 2011-01-05 박종순 과실봉지
KR20150093406A (ko) * 2014-02-07 2015-08-18 백현철 과실 보호용 봉투
CN107409869A (zh) * 2017-05-16 2017-12-01 李王贻 一种无花果防虫贴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89B1 (ko) * 2008-10-14 2011-08-26 백현철 통기공이 형성된 과실 재배용 봉지 및 제조방법
KR200463742Y1 (ko) 2010-08-12 2012-11-21 송용석 다겹 과일봉지
KR20180081676A (ko) 2018-06-22 2018-07-17 선진산업주식회사 황토성분이 함유된 과실봉지용 원단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과실봉지용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2056U (ko) * 1979-10-18 1981-05-26
JP2881601B2 (ja) * 1996-08-09 1999-04-12 マルシン商事株式会社 葡萄用果実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50657Y1 (ko) * 2001-07-16 2001-11-17 장현만 합성수지를 이용한 과수봉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21B1 (ko) * 2009-09-02 2011-01-05 박종순 과실봉지
KR20150093406A (ko) * 2014-02-07 2015-08-18 백현철 과실 보호용 봉투
CN107409869A (zh) * 2017-05-16 2017-12-01 李王贻 一种无花果防虫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638B1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638B1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0433001Y1 (ko) 과실 보호용 봉투
CN102860237A (zh) 新型果实纸加膜套袋
KR200199901Y1 (ko) 과일재배용 봉투
KR200380842Y1 (ko) 선인장 화분 포장봉투
KR200398000Y1 (ko) 과실보호용 봉투
KR200402902Y1 (ko) 과일 생육용 보호봉지
CN212448597U (zh) 一种红薯包装箱
CN202918789U (zh) 新型果实纸加膜套袋
KR200476848Y1 (ko) 과실재배용 봉지
US20030136081A1 (en) Method of covering a pot or floral grouping with a sleeve having a concave lower end
CN208731708U (zh) 一种鲜花原盆保湿快速包装盒
KR200227385Y1 (ko) 과실보호용 봉투
US20110154733A1 (en) Method of covering a pot with a floral sleeve having a side-sealed bottom gusset
CN215301955U (zh) 瑞雪苹果专用育果纸袋
KR200230042Y1 (ko) 과일재배용 보호 케이스
CN214102550U (zh) 一种苹果用新型育果袋
KR101649784B1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0186132Y1 (ko) 과실보호용 봉투
KR20120002485U (ko) 기능성 배 보호용 봉지
US20040175519A1 (en) Self erecting pot
CN210519639U (zh) 一种有色双膜水果套袋
JP2007202574A (ja) 果実袋
KR101501534B1 (ko) 낙과방지용 패키지
KR100494536B1 (ko) 복숭아용 과수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