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240B1 -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 - Google Patents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240B1
KR100954240B1 KR1020080006473A KR20080006473A KR100954240B1 KR 100954240 B1 KR100954240 B1 KR 100954240B1 KR 1020080006473 A KR1020080006473 A KR 1020080006473A KR 20080006473 A KR20080006473 A KR 20080006473A KR 100954240 B1 KR100954240 B1 KR 10095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weight
parts
chitosan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612A (ko
Inventor
박운순
이조형
Original Assignee
박운순
김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운순, 김창훈 filed Critical 박운순
Priority to KR102008000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2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성장촉진, 사료효율 개선 및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보조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이 향상된 키토산과, 또한 법제하여 독성을 제거한 유황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이의 상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나노점토 등을 첨가한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유황을 제독한 법제유황을 포함하는 가축용 보조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법제유황의 제조는,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릿가루 5 내지 15 중량부, 게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솔잎분말 5 내지 10중량부, 무즙 1000 내지 15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5℃ 내지 60℃로 승온시켜 10 내지 16시간 동안 이를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 이후, 침전물을 건조시켜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법제유황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나노점토를 3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를 유황의 담체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보조사료는 법제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5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유황, 키토산, 면역

Description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bsidiary feedstuff with detoxocated sulfur and/or chitosan, and the subsidiary feedstuff thereby}
본 발명은 가축의 성장촉진, 사료효율 개선 및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보조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이 향상된 키토산과, 또한 법제하여 독성을 제거한 유황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이의 상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나노점토 등을 첨가한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에 관한 것이다.
보조사료는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소화력, 생리활성, 성장촉진, 면역증강 등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첨가제 등을 말하는 것으로, 배합사료에 섞어서 경구투여할 수있어야 하고, 소량 투여로도 효과가 있어야 하며,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아야 하고, 또한 지적적인 투여와 반복적인 투여시 내성증가로 인해 생리활성이나 면역증진 효과가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 식생활의 서구화로 축산물 섭취가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정적 견해가 제기되기도 한다. 특히 콜레 스테롤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HDL 콜레스테롤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보조사료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무항생제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정부의 정책 의지가 높은 가운데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역할을 보조사료가 해 줘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항생제 잔류물, 중금속 함유, 각종 병원균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대량 축산시에 건강하게 사육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최근 건강식의 일종으로 유황오리라 하여 독성을 감한 유황이나 생유황을 급여하여 사육한 오리가 애용되고 있는데, 이렇게 사육한 오리는 일부 대사작용에 제약을 받아 일반오리보다 간의 대사가 저조해 기름기가 없고 어느 정도 체중의 감소도 수반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방식은 가축들의 면역증강을 시킴에 있어 어느 정도는 가축들을 혹사시키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얻는 것으로 유황의 급여시 폐사하는 가축들이 어느 정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오리 이외의 가축의 경우 유황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는 살균, 살충 효과가 높으며 칼슘 함량 및 각종 미네랄이 높은 유황의 독성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환경오염등으로 인한 가축의 체내 중금속 오염도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한 문제점의 해결도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점의 인식은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으며, 부분적인 해결방안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키토산올리고당을 사료나 음수첨가용 영양제에 첨가한다거나, 유황의 법제방법을 통해 제독된 유황을 급여하는 방법이 무분별하게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시한 방법들의 경우 주요 성분들의 상용성이 높지 않고 단지 첨가한 것에만 의미를 두어 실질적인 효과가 의심스럽다. 키토산의 경우 체내 흡수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어야 하며, 유황의 제독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리고 이러한 성분들을 잘 담체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토산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유황의 제독을 충분히 하여 오리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성분들간의 상용성을 높이고, 이들을 담체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하여 가축에게 안전한 급여할 수 있는 보조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유황을 제독한 법제유황을 포함하는 가축용 보조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법제유황의 제조는,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릿가루 5 내지 15 중량부, 게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솔잎분말 5 내지 10중량부, 무즙 1000 내지 15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5℃ 내지 60℃에;서 10 내지 16시간 동안 이를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 이후, 침전물을 건조시켜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법제유황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나노점토를 3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를 유황의 담체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보조사료는 법제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5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축용 보조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사료는 주사료와 함께 사용하여 가축의 대사활동, 면역력 증강, 콜레스테롤의 저하, 육질의 개선 등 가축의 기능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유황을 포함하는 사료의 적용 대상 가축의 범위를 넓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법제유황의 제조에 관하여 기술한다.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58570, 제2000-24651, 제2006-62243 등)이 제시되고 있지만 그 효과의 입증이 미비하고, 매우 많은 원료와 전처리 공정이 번거로우며, 그 제조공정 또한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무즙을 사용하는 경우 유황의 독성의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지만 어떠한 기작으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는 해명되지 않고 있으며, 다만 여러가지 성분들을 첨가하여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시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여러 실험을 통해 현재까지의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에서는 무즙, 보릿가루, 솔잎이나 편백 추출액, 게나 새우의 껍질의 분말(이하 게 분말이라 한다)의 키틴 성분을 사용하여 유황을 법제한다. 무즙은 유황을 법제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성분들은 이러한 법제시 그 효율을 더욱 높여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키틴 성분은 게나 새우의 껍질을 복잡한 전처리 과정없이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본 절차에서의 키틴은 체내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흡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결정성을 매우 좋게 하여 다른 성분들이 유황의 독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편백이나 솔잎의 분말(이하 총칭하여 솔잎 분말이라 한다)은 피톤치드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는 식물이 병원균, 해충, 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이의 첨가는 법제의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우선 유황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릿가루 5 내지 15중량부, 게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솔잎 분말 5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하고 혼합하여 유황조성물을 만든다. 이 물질을 충분히 교반 분쇄하여 잘 섞인 상태로 만든다. 이에 상기 유황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0 내지 1500 중량부의 무즙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상기 무즙은 1000 중량부 이하의 경우에 유황의 유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기에 미흡하며 또한 유황의 역한 냄새가 제거되기에 부족하며, 많은 무즙을 넣으면 좋으나 1500 중량부 이상에서는 그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경제적, 효율적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가 적합하다. 상기 비율은 본 출원인에 의해 수회 행하여진 반복 실험을 통하여 유황으로부터 만족할 정도의 독이 제거될 수 있게 되는 범위의 것으로서, 상기 비율의 경우에 제독시간이 비교적 짧고, 만족할 만한 상태의 제독이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황, 보릿가루, 게분말, 솔잎분말을 섞은 후에 무즙을 가하여 교반시키는 것도 무방하나, 좀 더 바람직하게는 유황을 가장 나중에 혼합하는 것이 좀더 낫다. 즉 무즙에 보릿가루, 게분말, 솔잎분말을 섞어서 잘 혼합한 후에 유황을 넣고 교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황의 담체 물질로 나노점토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토의 원재료는 천연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의 수팽윤성이 우수한 점토로서 이를 산 및 염기의 전처리 과정과 건조후 볼밀 등을 사용하여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2.5㎛ 정도의 것으로 하여 사용한다. 나노점토 형성방식은 입자의 층간 간격은 1 nm정도인 상기 점토를 물에 넣고 수화 및 양이온 교환하여 정제하고 유기용제하에서 유기화제(intercalent)를 넣어 친수성과 소수성의 성질을 갖게 하고 유기용제를 날려 점토의 층상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고상(solid)의 5 내지 10 nm의 간격을 갖는 점토 배열을 갖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점토의 층간 간격의 부분에 추후 황토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 점토는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국내에서는 (주)더블유비텍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점토는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를 첨가하는데, 너무 양이 적은 경우에는 유황을 충분히 담체하기에 부족하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실질적인 유황성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범위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서 담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할 수 있는 가축의 범위가 더욱 넓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나노점토는 유황의 담체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도 고유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점이 더욱 증대된다. 나노점토는 가축의 소화율을 개선시키며, 발육촉진, 축분의 수분조절 및 악취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돼지나 닭의 근육과 지방특성에 유리한 영향을 준다.
다음은 상기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숙성과정에서 유황의 유해한 물질이 제거되거나 그 형태가 바뀌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숙성온도는 25 내지 60℃가 적당하며, 상기 온도로 10 시간 이상 숙성시키는데 숙성온도에 따라 그 시간의 차이가 일어날 수 있고, 숙성정도를 파악하여 조절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시간 정도이다.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숙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숙성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오히려 숙성이 된다기 보다는 부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숙성시에는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서 실시한다. 다른 문헌을 참고하여 80℃의 이상의 고온으로 하여 숙성 시간을 줄인 경우, 실제로는 숙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온도를 더욱 높여 유황을 액화시킨 후 재결정을 시킨 경우 수득율이 떨어지거나 제독 효과가 탁월하지 않은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다음으로는 상기 숙성시킨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물의 교반을 멈추고 1시간 정도 방치시키면, 하부에 침전물이 가라앉는다. 상 하부가 분리되면 상부의 액체를 버리고 침전물은 따로 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진공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보다 완벽하게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얻어진 것을 본 발명에서는 총체적으로 법제유황이라 칭하겠다. 상기 법제유황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를 좀 더 미세분말화하면 용도가 더욱 늘어난다.
다음으로는 상기 법제유황과 함께 사용할 키토산을 제조한다. 상기 유황혼합물에 사용되는 키틴 성분은 단순히 게껍질등을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탈아세 틸화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금속착화물을 형성하여 유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나 현 단계에서의 키토산은 체내 흡수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탈아세틸화가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키토산은 게 껍질 등에 존재하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은 폴리글루코사민으로서 분자량과 탈아세틸화도, 수용성화 정도에 따라 그 효능의 차이가 매우 크다. 키토산은 체내에서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성장촉진, 면역증강, 생리활성, 병원성 세균증식의 억제, 폐사율 감소, 소화기능 강화, 해독작용 등의 특성이 있어서 사료에 첨가될 때, 탈락이 적고, 부패를 방지하며, 사료계수를 증대시킨다. 다만, 분자량이 그다지 크지 않는 키토산 올리고당의 경우에는 고분자량의 키토산에 비하여 면역증강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키토산은 탈아세틸화도 85 이상, 분자량 10,000 내지 1,0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토산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효소 키토스나제를 넣어서 분해시킨다. 일반적으로 키토산은 분자량이 백만이상의 것으로서 이 키토산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키토산을 유기산 및 무기산에 가수분해하는 일반적 방법을 사용하면서, 효소 키토스나제를 넣어 키토산의 분해과정을 과정을 갖는다. 분자량의 조절방법으로는 pH에 의한 검사법이 있는데, 상기 분자량의 범위의 경우에는 pH 5 내지 8 정도의 범위에서 석출시켜서 만든다. 키토산은 분자량이 낮을수록 높은 pH에서도 석출되지 않고 분자량이 높을수록 낮은 pH에서도 석출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후 일반적인 정제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키토산의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0이 되는 것을 사용한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키토산은 분자 량이 작을 경우에는 독성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낮아지고, 너무 높은 경우에는 수용성화에 한계가 있어 체내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600,000의 분자량을 갖는 경우가 체내 흡수율과 이용율이 가장 극대화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법제유황과 고분자 키토산을 혼합하여 분쇄배합하는 과정이다. 상기 법제유황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분자 키토산 5 내지 50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사료의 주요 목적에 따라 키토산의 첨가 범위는 매우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법제유황과 키토산을 함께 배합하는 경우 특히 성장촉진과 육질의 개선이 유기적으로 더욱 상승한다. 또한 면역증강력이 배가되는 것은 물론이다. 키토산은 물질의 분산등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체내의 대사작용의 활성화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유황등의 흡수도 돕는 것으로 생각된다.
키토산은 콜레스테롤, 지방산, 담즙산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담즙산은 지방소화를 돕는 물질로서 간으로 이동 저장되면 지방이 쌓이는 원인이 된다. 키토산은 이러한 지방대사에 중요한 답즙산을 세포 끝자락 미토콘트리아로 이동시켜준다. 한편, HDL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좋은 콜레스테롤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좋지 않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있다. HDL이 높다면 건강에 좋은 상태임을 말한다. HDL은 조직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체외로 배설하는 일을 하므로 혈관 청소부 역할을 한다. 지방이 나쁜 것으로 인식이 되는 경향이 있는데, HDL처럼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을 섭취하지 않 으면 노화가 촉진되고 면역력이 떨어지게 된다. 약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경우 HDL 콜레스테롤을 높여주는 불포화지방산의 흡수도 억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가축에 있어 H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높여 이를 자연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보조사료는 이러한 역할을 도와주는 장점이 있다. 키토산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키토산의 역할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지만 또한 너무 과다하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축의 지방성분이 너무 제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필요에 따라서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지방성분을 대폭 줄일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키토산의 함량을 더 늘릴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
<법제유황의 제조>
무를 분쇄하고 프레스기로 압착하여 무즙 상태를 만든다. 유황, 보리, 게 껍질, 솔잎, 나노점토도 분쇄하여 각각 분말화한다.
유황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리 10 중량부, 게분말 15 중량부, 솔잎분말 7 중량부, 나노점토 45 중량부, 무즙 1300 중량부를 교반기에 넣고 이를 혼합 교반시킨다. 온도를 높여 35℃로 유지하면서 12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숙성을 마치고, 상기 혼합물을 2시간 가량 방치한 후 상부의 액체 성분은 버리고, 바닥의 침전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건조된 침전물을 분쇄기에 넣어 미세 분말로 만들어 유해성분이 제거된 법제유황을 만들었다.
<분자량이 조절된 키토산의 제조>
키토산을 유기산 및 무기산을 사용하여 용해시키는 통상의 키토산 용해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40℃로 조절하여 키토스나제를 넣고 키토산 분해과정을 시간별로 체크하여 분자량을 조절하였다. pH 5 내지 8의 범위내로 조절하여 석출되는 키토산을 수득하였다. 이를 음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정제하였다.
<법제유황과 키토산의 혼합 및 사료에의 적용>
상기 제조한 법제유황 100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을 2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교반시켜 보조사료를 제조하였다. 이를 통상의 닭사료에 중량%로 약 2%를 첨가하였고, 돼지 사료에도 약 2% 첨가하였다. 이를 닭과 돼지에게 20일간 급여하고 급여하고 급여전의 가축의 특성과 몇가지를 비교하였다. 또한 또 다른 무리의 가축에게는 본 발명의 보조사료를 포함하지 않은 통상의 사료만을 급여하고 이의 특성도 조사하였다.
[시험예]
<법제 유황의 유해금속의 함유여부>
상기 제조한 법제유황을 질산용액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다음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을 분리하여 매스(mass)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납, 카드뮴, 크롬, 수은, 세레늄, 비소 등이 거의 피크를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로 나타났다.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보조사료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혈액과, 통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혈액을 채취하여 콜레스테롤 함량을 조사하여 평균적 값을 조사하였다.
콜레스테롤 종류(mg/dL) 보조사료 첨가 보조사료 미첨가
HDL 153 108
LDL 102 158
또한 닭의 경우에는 달걀 내 난황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단위(mg/100g) 보조사료 첨가 보조사료 미첨가
620 1,524
상기 결과는 좋은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고 나쁜 콜레스테롤은 저하되므로 지방질의 개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보조사료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을 알 수 있다.
<난각 두께 등의 조사>
생산된 달걀의 난생산율, 난각질, 난각두께, 난각 강도 등을 급여전과 급여 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급여 전 급여 후
난생산율(%) 82 88
난각질(%) 1.07 0.98
난각두께(mm) 32 38
난각강도(kgf) 3.4 4.7
전체적인 생산란의 특성이 향상됨을 보여주며, 이는 닭의 건강상태 및 대사활동 등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기타 특성 조사>
1) 배설물의 조사하여 냄새 등을 조사하였는데, 본 발명의 보조사료를 급여한 가축의 배설물에서는 역한 냄새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2) 10 여명을 대상으로 하여 육질과 냄새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는데, 별차이를 못 느낀 1명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보조사료를 급여한 닭의 고기에 대하여 우수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의 것이다.

Claims (7)

  1. 유황을 제독한 법제유황을 포함하는 가축용 보조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법제유황의 제조는,
    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릿가루 5 내지 15 중량부, 게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솔잎분말 5 내지 10중량부, 무즙 1000 내지 15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25℃ 내지 60℃에서 이를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 이후, 침전물을 건조시켜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법제유황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10 내지 1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는 나노점토를 3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사료는 법제유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 5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의 분자량은 키토산의 분해 과정에서 pH를 5 내지 8의 범위에서 석출되는 것을 취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가축용 보조 사료.
KR1020080006473A 2008-01-22 2008-01-22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 KR10095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73A KR100954240B1 (ko) 2008-01-22 2008-01-22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73A KR100954240B1 (ko) 2008-01-22 2008-01-22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12A KR20090080612A (ko) 2009-07-27
KR100954240B1 true KR100954240B1 (ko) 2010-04-23

Family

ID=4129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473A KR100954240B1 (ko) 2008-01-22 2008-01-22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601B1 (ko) 2010-08-17 2012-08-08 김명자 고기잡내 제거용 정제유황 함유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동 사료첨가제를 동물에 급이하여 얻어지는 육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905B1 (ko) * 2017-06-26 2019-08-13 김창훈 법제유황을 포함하는 보조 사료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14B1 (ko) * 2004-12-03 2006-06-19 신일선 유황의 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황닭사료
KR100652865B1 (ko) * 2005-07-06 2006-12-01 정정근 사료용 유황 제독방법
KR20070023315A (ko) 2005-08-24 2007-02-28 이강준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14B1 (ko) * 2004-12-03 2006-06-19 신일선 유황의 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황닭사료
KR100652865B1 (ko) * 2005-07-06 2006-12-01 정정근 사료용 유황 제독방법
KR20070023315A (ko) 2005-08-24 2007-02-28 이강준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601B1 (ko) 2010-08-17 2012-08-08 김명자 고기잡내 제거용 정제유황 함유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동 사료첨가제를 동물에 급이하여 얻어지는 육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12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ssain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date-pits and its potential for developing value-added product-a review
KR100863607B1 (ko)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5319B1 (ko) 천연광물로부터 추출한 유.무기 복합 이온미네랄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EP1965809B1 (en) Compositions to improve gut health and animal performance comprising beta-glucans and alfa-fucans
JP4580034B2 (ja) カルシウムイオン徐放剤
CN102100318A (zh) 鸡饲料
CN111513211A (zh) 一种用于畜禽与水产养殖的水溶性营养精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00212B1 (ko) 섬유질 식품
KR100954240B1 (ko) 법제유황 및/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 사료
RU2541404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кур-несушек
KR102514295B1 (ko) 용해소화시간이 개선된 반려동물용 슬개골 강화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7014210A (ja) 飼料用添加物
AU2014257626A1 (en) Method for improving mineral resorption in farmed fish and crustacean
KR100736151B1 (ko) 가금류의 면역사료 및 이것의 제조방법
CN106689773A (zh) 一种雏鸵鸟专用饲料
KR20040069487A (ko) 마늘성분을 포함하는 가금용 사료 및 가금용사료첨가조성물
KR100851313B1 (ko) 육계 사료용 조성물
WO2021074807A1 (en) Nutritional supplement
CN102845360A (zh) 一种富硒黑天鹅养殖方法
CN113040279A (zh) 抗菌脱毒饲料添加剂及含有该添加剂的饲料
KR101968905B1 (ko) 법제유황을 포함하는 보조 사료 그 제조방법
CN112841423A (zh) 一种麋鹿养殖饲料及其制备方法
EP3391754B1 (en) Food additive for animal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as a prophylactic against ruminal acidosis
RU2794759C2 (ru)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и лошадей и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6578611A (zh) 一种雏鸵鸟专用饲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