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183B1 -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 Google Patents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183B1
KR100954183B1 KR1020080055348A KR20080055348A KR100954183B1 KR 100954183 B1 KR100954183 B1 KR 100954183B1 KR 1020080055348 A KR1020080055348 A KR 1020080055348A KR 20080055348 A KR20080055348 A KR 20080055348A KR 100954183 B1 KR100954183 B1 KR 10095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oor
lock
lock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206A (ko
Inventor
권필목
Original Assignee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사물함에 적용되는 패드록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의 전면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금수단이 구비된 독립된 패드를 도어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어잠금장치가 구비된 도어 패드록키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조립되는 조립식 사물함에 있어서,
패드 결합공을 관통형성한 도어;와,
걸림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측판;과,
상기 도어의 패드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착탈수단;과, 체결부재를 회동시켜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측판과 밀착되어 도어를 고정하도록 한 슬라이더 안착수단;을 구비한 도어록 패드를 조립식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하도록 구성한 도어 패드록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패드록키, 잠금수단, 도어잠금장치, 안착수단, 도어록 패드

Description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The key locker door paedeurok}
본 발명은 개인 사물함에 적용되는 도어 패드록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의 전면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금수단이 구비된 독립된 패드를 도어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어잠금장치가 구비된 도어패드록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의 전면 도어에는 잠금수단이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잠금수단은 걸고리를 도어와 측판에 고정하고, 이 걸고리에 자물쇠를 채우는 방식과, 도어 자체에 자물쇠를 내장하여 열쇠로 열거나 닫도록 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식 중 자물쇠 내장방식을 통상적으로 백화점이나 대형 매장, 지하철, 기차역 등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사물함에 사용되고 있으며, 별도의 자물쇠를 준비하여야 하는 방식은 학교나 도서관 등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장소에서 적용되고 있다.
무료로 제공되는 사물함의 경우, 오링 형상의 고리가 도어와 본체에 각각 나사고정 또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고, 이들을 개인이 준비한 자물쇠로 잠그도록 구 성되어 있는바, 이는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저가로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현대에 와서는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다소간의 무리가 따랐다.
이러한 외관상의 심미감을 고려하여 제안된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6284호로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손잡이 삽입구가 형성된 잠금몸체의 일측에 이름표 삽입구를 구비한 잠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 삽입구는 깊이가 얕은 모서리의 수직면 상하부에 형성된 푸시편 삽입홀 앞쪽인 수평면 상하부에 각각 힌지공을 형성하여 힌지축으로 손잡이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푸시편 삽입홀이 형성된 수직면 중앙에 고리를 형성하여 손잡이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끼워져 앞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 삽입구의 뒤쪽에 고정핀으로 결합된 가이드캡 내부로 스프링이 개재된 가변 록킹부재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잠금장치,는 사물함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잠금장치의 걸고리가 앞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고 있는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팔, 다리 등의 신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도어를 열 때마다 손잡이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열어주어야 하므로, 이 손잡이 후단에 연결설치된 가변 록킹부재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게 마련이고, 이에 의해 장착된 위치가 변동되어 손잡이에 관통된 관통공 과 고리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고리를 휘어주어 관통공과 일치하도록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나아가서 잠금몸체의 일측에 관통된 푸쉬편삽입홈에 작은 철사 등을 끼워넣어 가이드록킹부재를 강제로 이동시키면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어서,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어느 하나의 부품이 고장 나거나 변형을 일으키면 작동불가의 상태로 되고, 전체 부품을 교환하여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물함 잠금장치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하여도 잠금장치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 패드를 구비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즉,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패드에 금속재의 자물 쇠하우징을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자물쇠 하우징에 결합되는 코어조립체를 결합하여 상기 패드에 장착 한 후, 이 패드를 도어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별도의 자물쇠로 잠글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한 도어록 패드를 구비한 본 발명은, 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패드가 독립적으로 제작 및 조립되므로 어느 한 부품이 고장나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조립되는 조립식 사물함에 있어서,
패드 결합공을 관통형성한 도어;와,
체결돌부를 일체로 형성한 측판;과,
상기 도어의 패드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착탈수단;과,
체결부재를 회동시켜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측판과 밀착되어 도어를 고정하도록 한 슬라이더 안착수단;을 구비한 도어록패드를 조립식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패드착탈수단은,
패드의 외주연부 일측단에 체결홈을 요입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경사면을 가진 탄성체결부(16)를 형성하며, 이 탄성체결부의 말단부와 상기 패드의 전면판 외주연부 사이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토록 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는 하우징홀과, 외주면에는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하우징 프레임을 형성하여 자물쇠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홀에 삽입되는 코어조립체는,
코어축의 일단에 축선과 직교하는 체결공을 상하로 관통형성하여 상기 자물쇠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코어축의 타측단에는 체결부재 고정축을 일체로 연장하여 판체를 절곡하여 구성한 체결부재를 고정너트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단면부에는 걸림돌기를 돌출형성하여 회동각도를 90도 ㄱ각도로 제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슬라이더 안착수단은,
패드의 후면 상단에 이탈방지턱을 구비한 가이드홀(60)을 형성하고, 그 내측벽에는 원통형의 안내관체를 일체로 돌출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홀에 결합되는 슬라이더는, 본체의 일단에 삼각형의 걸림헤드를 구비하고, 타측단 상하부에는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된 이탈방지편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홀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록 패드가 장착된 사물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록 패드를 나타낸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록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패드록키를 도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도오 패드록키를 잠그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도어 패드록키를 잠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6B는 도5B의 A-A선 단면도로서, 슬라이더의 작동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조립되는 조립식 사물함(1)에 있어서,
전면 일측에 패드 결합공(3)을 관통형성한 도어(2);와,
체결돌부(41)를 전면프레임(42)의 내측에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측판(40);과,
상기 도어(2)의 패드 결합공(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착탈수단;과,
체결부재(27)를 회동시켜 도어(2)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측판(40)과 밀착되어 도어(2)를 고정하도록 한 슬라이더 안착수단;을 구비한 도어록패드를 조립식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패드착탈수단은, 패드(10)의 전면판(11) 외주연부 일측단에 소폭의 체결홈(15)을 요입형성하고, 타측단에는 상단이 고정되고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곡연장된 탄성체결부(16)를 형성하며, 이 탄성체결부(16)의 말단부와 상기 패드(10)의 전면판(11) 후면 외주연부 사이에 결합부(17)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2)에 관통형성된 패드결합공(3)에 삽입하면, 패드결합공(3)의 내 주연부에 패드(10)의 체결홈(15)이 결합되며, 타측단의 탄성체결부(16)와 패드(10)의 전면판(11) 후면 사이에 형성된 결합부(t)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잠금수단은,
하우징홀(22)이 관통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20) 외주면에는 나선결합부(21)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하우징 프레임(24)을 형성하며, 이 하우징 프레임(24)에서 연장되는 하우징 연장부(23)를 일체로 형성하여 외주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자물쇠 결합공(25)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0)의 하우징홀(22)에 삽입되는 코어조립체(30)는, 코어축(31)의 일단에 축선과 직교하는 체결공(32)을 상하로 관통형성하고, 끝에는 프레임(33a)과 손잡이(33)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코어축(31)의 중앙부에는 코어홀(34)을 요입형성하여 스프링(35)과 볼(36)을 차례로 결합하고,
상기 코어축(31)의 타측단에는 체결부재 고정축(37)을 일체로 연장하며, 상기 하우징(20)의 하우징홀(22)에 삽입하고, 이 하우징(20)을 패드(10)에 관통된 하우징 결합공(13)에 삽입한 후, 그 후방에서 하우징 고정너트(26)로 하우징(20)을 고정하며, 상기 코어조립체(30)의 체결부재 고정축(37)에는 판체를 절곡하여 구성한 체결부재(27)를 고정너트(28)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단면부(20a)에는 걸림돌기(20b)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코어축(31)의 체결부재 고정축(37)에는 90도 각도로 코어축(31)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와셔(39)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걸림와셔(39)는 링의 외주연부에 내측 각도가 90도의 회동각도를 가지도록 걸림부(39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안착수단은,
패드(10)의 후면 상단에 이탈방지턱(62)을 구비한 한쌍의 가이드판(61)(61') 사이에 가이드홀(60)을 형성하고, 그 내측벽(63)에는 원통형의 안내관체(64)를 일체로 돌출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홀(6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50)는, 본체(51)의 일단에 삼각형의 걸림헤드(52)를 구비하고, 타측단 상하부에는 각각 걸림돌기(54)가 형성된 이탈방지편(53)을 연장하여 형성하며, 그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체(64)에 삽입되는 축봉(55)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0은 자물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록 패드의 장착과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패드(10)의 전면판(11) 일측에 관통형성된 하우징결합공(13)에 하우징(20)을 삽입하여 하우징 고정너트(26)로 고정한다.
이어서 이 하우징(20)의 하우징홀(22)에 코어조립체(30)를 삽입하고, 그 일단의 체결부재 고정축(37)에 체결부재(27)를 고정너트로 고정한다.
상기 코어조립체(30)의 중앙부 코어홀(34)에 스프링(35)으로 탄지된 볼(36)이 하우징홀(22)의 내벽면에 스프링(35)의 탄성으로 밀착되어 쿠션역할을 하게 된다.
하우징(20)의 하우징홀(22)에 결합되는 코어조립체(30)는, 코어축(31)이 하 우징홀(22)에 삽입되면, 손잡이(33)과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33a)이 하우징 연장부(23)의 선단에 걸리게 되고, 이때 하우징 연장부(23)를 상하로 관통하는 자물쇠 결합공(25)과, 코어축(31)의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32)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20)을 패드(10)에 조립한 후 이 패드(10)를 도어(2)의 패드결합공(3)에 삽입하여 장착하게 되는데, 패드결합공(3)의 내주연부를 패드(10)의 저면판(11)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12)의 후면 주연부에 요입형성된 체결홈(15)을 끼우고, 이어서 패드(10)의 타측 후면에 돌출형성된 탄성체결부(16)를 밀어 넣는다.
상기 탄성체결부(16)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패드결합공(3)의 내주면(4)을 따라 밀리면서 상기 탄성체결부(16)와 패드(10)의 전면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된 결합부(t)에 상기 패드 결합공(3)의 내주면(4)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패드(10)를 도어(2)에 장착한 후, 도어(2)를 닫아 잠그고자 하는 경우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어(2)를 닫으면, 패드(10)의 후면에 설치된 슬라이더(50)의 일측에 돌출된 삼각형의 걸림헤드(52)가 측판(40)의 전면부 측판프레임(42)에 밀착되면서 후방으로 밀려 가이드홀(17)의 내측으로 코일스프링(56)을 압축하면서 들어가게 된다.
계속해서 진입하는 도어(2)에 의해 슬라이더(50)는 완전히 가이드홀(17)에 밀려들어가게 되고, 도어(2)가 완전히 닫히는 순간, 슬라이더(50)를 탄지하고 있던 코일스프링(56)의 반발력으로 전면프레임(56)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닫힌 상태가 고정된다.
이후, 하우징(20)에 결합된 코어조립체(30)의 선단 손잡이(33)를 일정한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코어축(31)에 형성된 체결공(32)과 하우징 연장부(23)에 관통된 자물쇠 결합공(25)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렇게 체결공(32)과 자물쇠 결합공(25)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호 교통되면, 여기에 자물쇠(100)를 걸어 잠그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코어조립체(30)가 회동할 때, 코어축(31)의 체결부재 고정축(37)에 고정된 걸림와셔(39)가, 하우징(20의 내측단면부(20a)에 돌출된 걸림돌기(20b)에 걸려, 코어축(31)의 회전각이 90도 각도로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코어조립체(30)가 90도 각도로 회전하면, 코어축(31)의 후방 일단에 고정된 체결부재(27)가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측판(40)의 체결돌부(41) 상단에 위치하여 밀착되면서 도어(2)를 잠그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코어축(31)에는 볼(36)이 스프링(35)으로 탄지되어 있어, 코어축(31)이 회전작동할 때 볼(36)이 하우징(20)의 하우징홀(22)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코어축(31)의 회동작동을 탄력 있게 회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자물쇠(100)로서 도어(2)를 완전히 잠글 수 있게 된다.
역으로, 잠겨진 도어(2)를 열기 위해서는 하우징(20)과 코어조립체(30)를 고정하고 있는 자물쇠(100)를 열고 분리시킨 후, 손잡이(33)를 역방향으로 90도 각도 로 회전시키면, 체결부재(27)가 측판(40)의 체결돌부(41)에서 이탈하게 되어 도어(2)를 열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어(2)의 전면 패드(10) 측에 요입 형성된 개폐손잡이부(12)를 잡고 당기면, 슬라이더(50)의 걸림헤드(52)가 다시 측판프레임(42)에 의해 밀려 들어가면서 도어(2)의 개방상태를 촉각으로 느낄 수 있게 한다.
즉, 측판프레임(42)에 의해 밀려 들어간 슬라이더(50)가 코일스프링(56)의 반발력으로 도어(2)가 열림과 동시에 '딸깍' 하는 소음을 발성하여 도어(2)가 열림을 알려주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패드록키가 장착된 사물함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패드록키를 도어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 패드록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패드록키를 도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도오 패드록키를 잠그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도어 패드록키를 잠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6B는 도5B의 A-A선 단면도로서, 슬라이더의 작동을 나타낸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물함 2 : 도어
3 : 패드 결합공 4 : 내주면
10 : 패드 11 : 저면판
12 : 전면프레임 13 : 하우징 결합공
15 : 체결홈 16 : 탄성체결부
20 : 하우징 21 : 나사결합부
22 : 하우징 홀 23 : 하우징 연장부
24 : 하우징 프레임 25 : 자물쇠 결합공
30 : 코어조립체 31 : 코어축
32 : 체결공 33 : 손잡이
34 : 코어홀 35 : 스프링
36 : 볼 37 : 체결부재 고정축
50 : 슬라이더 51 : 본체
52 : 걸림헤드 53 : 이탈방지편
60 : 가이드홀 61,61': 가이드판
62 : 이탈방지턱 64 : 안내관체

Claims (5)

  1.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조립되는 조립식 사물함에 있어서,
    패드 결합공을 관통형성한 도어;와,
    체결돌부를 일체로 형성한 측판;과,
    상기 도어의 패드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착탈수단;과,
    체결부재를 회동시켜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측판과 밀착되어 도어를 고정하도록 한 슬라이더 안착수단;을 구비한 도어록패드를 조립식 사물함의 도어에 장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착탈수단은, 패드(10)의 전면판(11) 외주연부 일측단에 소폭의 체결홈(15)을 요입형성하고, 타측에는 상단이 고정되고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곡연장된 탄성체결부(16)를 형성하며, 이 탄성체결부(16)의 말단부와 상기 패드(10)의 전면판(11) 후면 외주연부 사이에 결합부(t)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도어 패드록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내부를 관통하는 하우징홀(22)과, 외부로 연장되는 하우징 연장부(23)의 상, 하를 관통하는 자물쇠 결합공(25)과, 일단에 걸림돌기(20b)을 구비한 하우징(20)과,
    코어축(31)의 일단에 축선과 직교하는 체결공(32)과, 체결부재 고정축(37)을 형성한 코어조립체(30)와,
    코어축(31)에 고정되는 체결부재(27)와,
    회동각을 90도로 제한하는 걸림와셔(39)를 조립하여, 자물쇠 결합공(25)과 체결공(32)을 일치하도록 회전시켜 별도로 구비되는 자물쇠(100)로 잠그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안착수단은,
    패드(10)의 후면 상단에 이탈방지턱(62)을 구비한 한쌍의 가이드판(61)(61') 사이에 가이드홀(60)을 형성하고, 그 내측벽(63)에는 원통형의 안내관체(64)를 일체로 돌출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홀(6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50)는, 본체(51)의 일단에 삼각형의 걸림헤드(52)를 구비하고, 타측단 상하부에는 각각 걸림돌기(54)가 형성된 이탈방지편(53)을 연장하여 형성하며, 그 중앙에는 상기 안내관체(64)에 삽입되는 축봉(55)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단면부(20a)에는 걸림돌기(20b)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코어축(31)의 체결부재 고정축(37)에는 90도 각도로 코어축(31)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와셔(39)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KR1020080055348A 2008-06-12 2008-06-12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KR10095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348A KR100954183B1 (ko) 2008-06-12 2008-06-12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348A KR100954183B1 (ko) 2008-06-12 2008-06-12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206A KR20090129206A (ko) 2009-12-16
KR100954183B1 true KR100954183B1 (ko) 2010-04-20

Family

ID=4168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348A KR100954183B1 (ko) 2008-06-12 2008-06-12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06B1 (ko) 2010-10-05 2011-04-29 영남강철 주식회사 물품보관함 잠금장치
KR101208057B1 (ko) 2010-12-24 2012-12-04 곽영준 사물함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51B1 (ko) * 2010-02-19 2010-05-11 주식회사 건승 학생용 사물함의 잠금장치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352Y1 (ko) 2005-02-04 2005-05-03 박생현 사물함 록킹구 잠금장치
KR200386046Y1 (ko) 2005-01-04 2005-06-07 박생현 사물함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46Y1 (ko) 2005-01-04 2005-06-07 박생현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383352Y1 (ko) 2005-02-04 2005-05-03 박생현 사물함 록킹구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06B1 (ko) 2010-10-05 2011-04-29 영남강철 주식회사 물품보관함 잠금장치
KR101208057B1 (ko) 2010-12-24 2012-12-04 곽영준 사물함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206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1233B2 (ja) 薄壁の開口部に取り付けるためのラッチ
US20070228906A1 (en) Drawer with at least one wooden drawer side wall
KR200436620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KR100954183B1 (ko)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JP2020168366A (ja) 腕時計のブレスレットのための挿入部品
KR200451017Y1 (ko) 매립형 가구 손잡이
US20210071444A1 (en) Child-safe door, cabinet, and drawer locking system and apparatus
JP4410777B2 (ja) 非表示型打掛錠の非常解錠構造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KR200437756Y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0845095B1 (ko) 사물함용 자물쇠 록킹장치
KR100608457B1 (ko) 사물함
KR200440287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CN210563793U (zh) 一种内嵌式门把手及其应用的门锁
JP4915941B2 (ja) 電気機器収納箱の扉の蝶番構造
CN208236164U (zh) 一种新型抽屉锁组件
KR100977008B1 (ko) 옷장 및 사물함용 손잡이
KR200206792Y1 (ko) 사물함의 도어 힌지장치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2596884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0397165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구조
CN210697449U (zh) 带装饰盖无键快拆盖板
CN210828742U (zh) 一种带旋转盖板的月牙锁
KR200452695Y1 (ko) 캐비닛 잠금장치
JPH0755248Y2 (ja) 扉錠の受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