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695Y1 - 캐비닛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캐비닛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695Y1
KR200452695Y1 KR2020090013665U KR20090013665U KR200452695Y1 KR 200452695 Y1 KR200452695 Y1 KR 200452695Y1 KR 2020090013665 U KR2020090013665 U KR 2020090013665U KR 20090013665 U KR20090013665 U KR 20090013665U KR 200452695 Y1 KR200452695 Y1 KR 200452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main body
locking
rotating body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수
유철재
Original Assignee
유철재
유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재, 유철수 filed Critical 유철재
Priority to KR2020090013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비닛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방으로 노출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잠금바가 함께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캐비닛 도어의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캐비닛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단순히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잠금바가 함께 회전하면서 캐비닛 도어의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기존의 캐비닛 잠금장치보다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이 용이하여 제품의 성능 및 편리함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체, 소켓, 회전체, 잠금바, 스토퍼

Description

캐비닛 잠금장치{A LOCKING DEVICE OF CABINET}
본 고안은 캐비닛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닛 몸체의 일부분에 걸려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바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잠금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편리성을 향상시킨 캐비닛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닛 도어의 일부분에는 손잡이 역할과 도어의 록킹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면, 캐비닛 도어에 설치된 잠금장치의 잠금바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캐비닛 몸체의 일부분에 걸려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잠금바를 작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도록 구성된다. 물론, 잠금바가 걸림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는 별도의 자물쇠를 채워 사용자 외에는 다른 사람이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장치의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1-0037090호, 제2002-0023461호, 특허 출원번호 제2002-0046232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시된 종래의 제품들은 잠금바를 작동시키는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잠금바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이 용이하도록 하여 편리함을 향상시킨 캐비닛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캐비닛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잠금바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였을 때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지 않도록 약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단순하고 작동이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 한 캐비닛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캐비닛 도어에 설치되고, 정면 상부에는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립구멍에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본체의 정면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1스크류부로 형성되며, 제1스크류부의 후면에는 일단부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의 내부 중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전방에는 상기 연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방에는 제2스크류부가 제1스크류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1스크류부에 체결되어 본체에서 소켓이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너트; 상기 제2스크류부에 끼워져 조립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되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키면 걸림편이 제1스크류부의 걸림돌기에 걸려 회전체의 회전을 직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제2스크류부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측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캐비닛 몸체의 일부분에 걸려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잠금바; 및 상기 제2스크류부에 체결되어 잠금바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단순히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잠금바가 함께 회전하면서 캐비닛 도어의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기존의 캐비 닛 잠금장치보다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이 용이하여 제품의 성능 및 편리함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비닛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서 회전체의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구슬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걸림수단의 내부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캐비닛 도어(1)에 설치되어 손잡이 역할과 록킹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체(30)의 손잡이부(31)를 잡고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잠금바(40)가 본체(10)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직각 회전하면서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10)가 캐비닛 도어(1)에 설치되되, 본체(10)는 정면이 내부로 함몰되고 일측 단부에는 걸림단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걸림단에 손가락을 걸어 캐비닛 도어(1)를 열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정면 상부에는 조립구멍(11)이 관통 형성되며, 이 조립구멍(11)은 트랙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0)의 조립구멍(11)에는 소켓(20)이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소켓(20)은 내부가 중공(21)으로 형성되며, 결합되었을 때 본체(10)의 정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연통공(22)이 형성되고, 본체(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제1스크류부(23)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스크류부(23)의 후면에는 일단부에 걸림돌기(25)가 돌출 형성된다.
소켓(20)의 내부 중공(21)에는 회전체(30)가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회전체(30)의 전방 선단부에는 손잡이부(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소켓(20)의 연통공(22)과 대응되는 관통공(3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방에는 제2스크류부(33)가 제1스크류부(23)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체(30)가 회전하여 관통공(32)이 연통공(22)과 관통되게 놓였을 때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관통공(32)이 연통공(22)에 엇갈리게 놓였을 때에는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잠금 상태에서는 관통공(32)과 연통공(22)을 관통하도록 자물쇠(5)를 채워 다른 사람이 캐비닛을 열 수 없도록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체(10)의 조립구멍(11)에 결합된 소켓(20)의 제1스크류부(23)에는 고정너 트(N1)가 체결되어 본체(10)에서 소켓(20)이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1)를 잡고 회전체(30)를 회전시키면 소켓(20)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체(30)만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회전체(30)의 제2스크류부(33)에는 먼저 스토퍼(50)가 끼워진 상태에서 잠금바(40)가 끼워지고 최종적으로 체결너트(N2)가 체결되어 스토퍼(50)와 잠금바(40)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토퍼(50)는 제2스크류부(33)에 조립될 수 있게 중앙에 삽입공(51)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되는 걸림편(52)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체(30)를 회전시키면 걸림편(52)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류부(23)의 걸림돌기(25)에 걸려 회전체(30)의 회전을 직각으로 제한하게 구성된다. 즉, 회전체(30)는 회전하였을 때 스토퍼(50)의 걸림편(52)에 의해 손잡이부(31)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놓이게 되며, 수평 상태에서는 관통공(32)이 연통공(22)과 엇갈리게 놓여 지고 수직 상태에서는 관통공(32)이 연통공(22)에 관통되게 놓여 진다.
잠금바(40)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에는 제2스크류부(33)에 조립될 수 있게 결합공(41)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결합공(41)을 통해 제2스크류부(33)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회전체(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측방향으로 회전 하였을 때는 캐비닛 몸체(3)의 일부분에 걸려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걸림 상태가 해제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체(30)를 회전시켰을 때 직각에서 걸리는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체(30)와 소켓(20)의 사이에는 구슬(35)이 설치된다. 즉, 회전체(30)의 상면 중간에는 스프링삽입홈(34)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삽입홈(34)에는 스프링(S)과 구슬(35)이 삽입되어 구슬(35)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설치되며, 소켓(20)의 중공(21) 내주면에는 구슬걸림홈(24)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슬(35)이 구슬걸림홈(24)에 걸리는 느낌을 통해 회전체(30)의 직각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의 후면 하단에는 걸림수단이 설치되어 캐비닛 도어(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잠금바(4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였을 때 도어(1)가 자동으로 열리지 않도록 약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시키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걸림수단은, 본체(10)의 후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설치공간(61)이 형성되며, 개구부 반대편에는 중앙부분에 조립공(62)이 관통 형성된 걸림구케이스(60)와, 설치공간(61)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게 조립되고, 전방에는 밀고 들어갈 수 있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스프링지지봉(71)이 연장 형성되고, 스프링지지봉(71)의 단부에는 후크(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지지봉(71)이 조립공(62)에 끼워지게 조립된 상태에서 후크(72)에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걸림구(70)와, 설치공간(61) 내에서 스프링지지봉(71)에 끼워지게 조립되어 걸림구(70)를 외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S)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체(10)의 후방에는 외관을 커버하기 위해 덮개(80)가 씌워져 나사로 고정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관계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회전체(30)를 소켓(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소켓(20)을 본체(10)의 조립구멍(11)에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후방에서 고정너트(N1)를 소켓(20)의 제1스크류부(23)에 체결하여 소켓(20)이 본체(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회전체(30)의 제2스크류부(33)에 스토퍼(50)와 잠금바(40)를 순차적으로 끼워 넣고 체결너트(N2)를 체결하여 스토퍼(50)와 잠금바(40)가 분리되지 않고 회전체(30)와 함께 회전되도록 조립한다. 다음으로, 걸림구케이스(60)의 설치공간(61)에는 걸림구(7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즉, 걸림구(70)의 스프링지지봉(71)에 스프링(S)을 끼워 넣은 상태로 스프링지지봉(71)이 조립공(6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스프링지지봉(71)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72)가 조립공(62)의 단부에 걸려 걸림구(70)가 걸림구케이스(6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며, 스프링(S)은 걸림구(70)를 탄성 가압하여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구(70)를 밀면 걸림구케이스(60) 내로 삽입되었다가 밀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S) 복원력에 의에 걸림구(70)가 원래의 상태로 이동하여 걸림구케이스(6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마지막으로, 본체(10)의 후방에 덮개(80)를 결합한 상태에서 캐비닛 도어(1)에 설치하면 모든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회전체(30)의 손잡이부(31)를 잡고 수평으로 돌려놓으면 잠금바(4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캐비닛 도어(1)를 열 수 있게 되고, 손잡이부(31)를 잡고 수직으로 돌려놓으면 잠금바(4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캐비닛 몸체(3)의 일부분에 걸려 캐비닛 도어(1)를 열 수 없는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회전체(30)의 손잡이부(31)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돌려놓기만 하면 잠금바(40)가 회전하면서 상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작동이 매우 편리하고 수월한 장점이 있다.
이때, 본 고안은 걸림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30)의 손잡이부(31)를 작동시켜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캐비닛 도어(1)를 열 수 있는 상태에 놓이더라도 걸림구(70)가 캐비닛 몸체(3)의 일부분에 살짝 걸려 캐비닛 도어(1)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회전체(30)의 손잡이부(31)를 수직으로 돌려 걸림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체(30)의 관통공(32)과 소켓(20)의 연통공(22)에 체결되도록 자물쇠(5)를 채워 놓으면 캐비닛 도어(1)를 다른 사람이 열 수 없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모든 종류의 사물함 등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비닛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서 회전체의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사시도로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구슬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걸림수단의 내부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소켓
30: 회전체 40: 잠금바
50: 스토퍼 60: 걸림구케이스
70: 걸림구

Claims (3)

  1. 캐비닛 도어에 설치되고, 정면 상부에는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립구멍에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본체의 정면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1스크류부로 형성되며, 제1스크류부의 후면에는 일단부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의 내부 중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전방에는 상기 연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방에는 제2스크류부가 제1스크류부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제1스크류부에 체결되어 본체에서 소켓이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너트;
    상기 제2스크류부에 끼워져 조립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되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키면 걸림편이 제1스크류부의 걸림돌기에 걸려 회전체의 회전을 직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제2스크류부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측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캐비닛 몸체의 일부분에 걸려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잠금바; 및
    상기 제2스크류부에 체결되어 잠금바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면 중간에는 스프링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삽입홈에는 스프링과 구슬이 삽입되어 구슬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설치되며, 상기 소켓의 중공 내주면에는 구슬걸림홈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슬이 구슬걸림홈에 걸리는 느낌을 통해 회전체의 직각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 하단에는 걸림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부 반대편에는 중앙부분에 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걸림구케이스와,
    상기 설치공간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게 조립되고, 전방에는 밀고 들어갈 수 있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스프링지지봉이 연장 형성되고, 스프링지지봉의 단부에는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지지봉이 조립공에 끼워지게 조립된 상태에서 후크에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걸림구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스프링지지봉에 끼워지게 조립되어 걸림구를 외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잠금장치.
KR2020090013665U 2009-10-20 2009-10-20 캐비닛 잠금장치 KR200452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665U KR200452695Y1 (ko) 2009-10-20 2009-10-20 캐비닛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665U KR200452695Y1 (ko) 2009-10-20 2009-10-20 캐비닛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695Y1 true KR200452695Y1 (ko) 2011-03-16

Family

ID=4424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665U KR200452695Y1 (ko) 2009-10-20 2009-10-20 캐비닛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6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24Y1 (ko) 1997-06-17 2000-04-15 유철수 캐비닛용 잠금장치
KR200194166Y1 (ko) 2000-03-08 2000-09-01 유철수 캐비닛 문의 잠금장치
KR20010037090A (ko) * 1999-10-13 2001-05-07 김순택 빔 인덱스 음극선관의 형광막 스크린과 그의 제조방법
KR20020023461A (ko) * 2000-09-22 2002-03-29 이재국 실버 쓰루홀 타입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24Y1 (ko) 1997-06-17 2000-04-15 유철수 캐비닛용 잠금장치
KR20010037090A (ko) * 1999-10-13 2001-05-07 김순택 빔 인덱스 음극선관의 형광막 스크린과 그의 제조방법
KR200194166Y1 (ko) 2000-03-08 2000-09-01 유철수 캐비닛 문의 잠금장치
KR20020023461A (ko) * 2000-09-22 2002-03-29 이재국 실버 쓰루홀 타입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9934U (ja) アルミ製窓枠用隠し取っ手
US7537250B1 (en) Cabinet child safety lock
JP2015517615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331892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200451017Y1 (ko) 매립형 가구 손잡이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200452695Y1 (ko) 캐비닛 잠금장치
KR100976367B1 (ko) 사물함용 삼방향 도어록킹장치
KR10116807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440287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0821533B1 (ko) 이중 창문 잠금장치
KR200461180Y1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58415Y1 (ko) 사물함열쇠고리잠금장치
KR100954183B1 (ko) 사물함의 도어 패드록키
KR101057529B1 (ko) 투 포인트 타입 도어 로킹 장치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1945625B1 (ko)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JP3197691U (ja) 解錠ボタンを有する錠前装置
KR200460413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20160090484A (ko) 샤시 창문용 손잡이 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KR200463252Y1 (ko) 회전식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KR102659785B1 (ko)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KR200460009Y1 (ko) 잠금장치를 갖는 도어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