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887B1 - 지팡이 - Google Patents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887B1
KR100953887B1 KR1020090047791A KR20090047791A KR100953887B1 KR 100953887 B1 KR100953887 B1 KR 100953887B1 KR 1020090047791 A KR1020090047791 A KR 1020090047791A KR 20090047791 A KR20090047791 A KR 20090047791A KR 100953887 B1 KR100953887 B1 KR 10095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ne
cover
handle body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순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45B2009/025Handles or heads releasably connected to a wrist strap or a glo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8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slideably retracted in a housing when not in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지팡이가 개시된다.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개방 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로를 형성하는 손잡이 커버; 및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 이외 부분인 제 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관통로를 통해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가 개방 시 상기 손잡이 끈이 상기 관통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는 손잡이 커버가 개방되면 관통로를 통해 손잡이 끈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고, 손잡이 커버가 닫히면 손잡이 끈이 위치 고정되도록 손잡이가 작동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손잡이 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팡이, 손잡이, 커버, 손잡이 끈

Description

지팡이{Stick}
본 발명은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 및 레저용 지팡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지팡이는 인접한 파이프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여 지팡이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지팡이는 손잡이 부분에 끈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끈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된 끈은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불편하고, 끈의 교환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지팡이의 손잡이 끈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폐루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폐루프는 지팡이 주변에 있는 물건에 걸려 물건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지팡이는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 다른 지팡이와 구별이 용이하지 않아 여러 사람이 동일한 디자인의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지팡이는 사용자에 의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땀이 차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속이 비어 있는 지면이나 바위틈 같은 지역에서 지팡이가 사용될 때 지팡이와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지팡이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바스켓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바스켓은 평소에는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촉의 일부와 최하단 파이프의 하단부를 타이트하게 감싸는 커버에 부착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하지 않는 바스켓을 보관의 별도로 보관하는 과정에서, 바스켓을 쉽게 분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손잡이 끈의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른 지팡이와 구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잡이가 통기성을 갖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잡이 끈의 정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바스켓의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개방 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로를 형성하는 손잡이 커버; 및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 이외 부분인 제 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관통로를 통해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가 개방 시 상기 손잡이 끈이 상기 관통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 커버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폐될 수있다.
상기 지팡이 몸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상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커버의 하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커버가 폐쇄 시 상기 관통로 상 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끈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몸체에는, 상기 손잡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과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커버는,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의 상단부는 상기 식별부재가 보이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끈의 제 1 영역이 걸림 지지되는 폐루프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는 보조식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식별부재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하단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파이프 커버; 및 상기 파이프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커버에서 이탈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내측 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림지지되는 바스켓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커버가 개방되면 관통로를 통해 손잡이 끈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고, 손잡이 커버가 닫히면 손잡이 끈이 위치 고정되도록 손잡이가 작동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손잡이 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커버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수용홈과 수용홈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 커버의 상단부를 통해 보이는 식별부재에 의해 자신의 지팡이를 다른 지팡이와 혼동하지 않고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몸체에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손잡이 몸체의 통풍성이 향상되고, 손잡이 몸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몸체의 후방측 하단부에는 손잡이 끈의 제 1 영역을 걸림 지지하는 폐루프 걸림부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영역에 다른 물건에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이 손잡이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바스켓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바스켓의 보관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지팡이 몸체(110)와, 손잡이부(120)를 포함한다.
지팡이 몸체(110)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팡이(100)는 등산용 또는 레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파이프(112)를 상호 슬라이딩 시켜 지팡이 몸체(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등산용 지팡이의 일반적인 메커니즘을 따른다.
지팡이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12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20)는 지팡이 몸체(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112) 중 최상단 파이프(112a)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120)는 손잡이 몸체(130)와, 손잡이 커버(140)와, 손잡이 끈(15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 몸체(130)는 지팡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자가 지팡이(100)를 앞에 놓은 상태에서 손잡이 몸체(130)를 파지한 경우, 손잡이 몸체(130)의 전방을 F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 몸체(13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 커버(14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손잡이 몸체(13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 몸체(13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홈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부(136)는 손잡이 몸체(130)의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홈부(136)의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커버(140)는 관통홈부(1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 몸체(130)의 측면을 통해 손잡이 몸체(130) 및 손잡이 커버(140)를 관통하는 힌지축(148)에 의해 손잡이 몸체(1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 커버(140)는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후방측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손잡이 커버는 손잡이 몸체에 대해 전방측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는, 손잡이 커버는 손잡이 몸체에 대해 좌우측을 포함하는 측면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손잡이 몸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에 포함된 손잡이 커버(14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손잡이 끈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 커버(140)는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 커버(140)는 손잡이 몸체(13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로(138)를 형성할 수 있다.
관통로(138)는 관통홈부(136)의 바닥면(136a)과 손잡이 커버(140)의 하단면(140a)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로(138)의 일부는 손잡이 커버(140)의 후방 하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 커버(140)는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폐쇄될 수 있다. 손잡이 커버(140)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손잡이 끈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방지부(142)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방지부(142)는 손잡이 커버(140)가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폐쇄 시 관통로(138)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20)에 포함되는 손잡이 끈(150)은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152)과, 제 1 영역(152) 이외의 부분인 제 2 영역(154)를 구비한다.
제 1 영역(152)은 지팡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부분으로서, 손잡이 몸체(130)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제 2 영역(154)은 관통로(미도시)를 통해 손잡이 몸체(130)의 후방측으로 연장된다. 즉, 제 2 영역(154)은 일부가 관통로(미도시)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손잡이 몸체(130)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영역(152)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에 포함되는 손잡이 끈(150)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 커버(140)가 개방 시, 손잡이끈(150)은 관통로(138)를 따라 손잡이 몸체(13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 끈(150)이 관통로(138)를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제 1 영역(152)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영역(154)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끈(150)이 관통로(138)를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제 1 영역(152)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영역(154)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 커버(140)가 폐쇄 시, 관통로(138) 상에 위치하는 손잡이 끈(150)이 손잡이 커버(1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동 방지부(142)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끈(150)은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제 1 영역(152)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는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영역(154)의 길이도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는 손잡이 커버(140)가 개방되면 관통로(138)를 통해 손잡이 끈(15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고, 손잡이 커버(140)가 닫히면 손잡이 끈(150)이 위치 고정되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제 1 영역(152)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영역(152)의 폐루프 크기가 감소되는 과정에서 제 1 영역(152)은 관통로(138)에 진입하는 순간 제 1 영역(152)을 구성하는 손잡이 끈(150)의 일부가 겹쳐지면서 제 2 영역(154)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전환된 제 2 영역(154)은 손잡이 끈(150)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관통로(138)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1 영역(152)의 중앙부(m)에 로고(미 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 1 영역(152)의 크기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로고의 모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항상 중앙부(m)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영역(152)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손잡이 몸체(13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152)의 단부에는 벨크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몸체(13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영역(152)의 단부를 벨크로를 이용하여 깔끔하게 접어서 정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 몸체(130)에는 손잡이 몸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1 관통홀(139a)이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몸체(130)에는 제 1 관통홀(139a)과 연결되고, 손잡이 몸체(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139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몸체(130)의 통풍성이 향상되고, 손잡이 몸체(13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커버(140)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수용홈(144)과 수용홈(144)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별부재(146)를 포함한다. 이 경우, 손잡이 커버(140)의 상단부는 식별부재(146)가 보이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 커버(140)의 상단부를 통해 보이는 식별부재(146)에 의해자신의 지팡이를 구별할 수 있고, 다른 지팡이와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144)이 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전방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 몸체(130)의 후방측 하단부에는 손잡이 끈(150)의 제 1 영역(152)를 걸림 지지하는 폐루프 걸림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영역(152)의 크기를 조절하고 제 1 영역(152)을 폐루프 걸림부(132)에 걸림 지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영역(152)은 손잡이 몸체(130)에 대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영역(152)에 다른 물건이 걸려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몸체(130)의 측면에는 보조식별부재(13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지팡이와 타인의 지팡이를 구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식별부재(134)는 손잡이 몸체(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지팡이 몸체(110)를 구성하는 최하단 파이프(112b)에 설치되는 파이프 커버(160)와, 파이프 커버(160)에 설치되는 바스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17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스켓(170)은 바스켓 몸체(171)와, 커버 접촉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몸체(171)는 내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구획하는 구조체일 수 있다. 커버 접촉부(172)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스켓 몸체(17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170)을 포함하는 지팡이(100)의 하단부의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스켓(170)은 파이프 커버(1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커버(160)는 최하단 파이프(112b)의 하단부와 최하단 파이프(112b)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촉부(162)를 감싸서 보호한다. 바스켓(170)이 파이프 커버(1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커버 접촉부(172)의 내측면에는 오목형상의 바스켓 오목부(174)가 형성되고, 파이프 커버(160)의 외측면에는 바스켓 오목부(174)에 대응하는 커버 볼록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170)이 파이프 커버(160)에 설치 시, 커버 볼록부(164)는 바스켓 오목부(174)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볼록부(164)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커버 볼록부(164)를 포함하는 파이프 커버(16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170)이 파이프 커버(160)에 착탈되는 과정에서 커버 볼록부(164)가 바스켓 오목부(174)에 대해 탄성적으로 운동함으로써바스켓(170)이 파이프 커버(160)에 용이하게 착탈 될 수 있다.
한편으로, 바스켓(170)은 파이프 커버(16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170)은 파이프 커버(1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170)이 손잡이부(12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바스켓(170)은 파이프 커버(160)(도 8 참조)로부터 이탈된 경우, 손잡이부(120)의 상단부와 결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스켓 몸체(171)의 내측 하단부에는 걸림턱(17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120)의 상단부에는 걸림턱(176)이 걸림 지지되는 바스켓 걸림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스켓 걸림부(122)는 손잡이 커버(140)의 전방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바스켓 걸림부(122)는 식별부재(146)의 후방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 몸체(171)는 상기 손잡이부(120)의 상단부에 대해 착탈되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170)은 손잡이부(12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바스켓(170)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에 포함된 손잡이 커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에 포함되는 손잡이 끈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을 포함하는 지팡이의 하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이 손잡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지팡이 몸체 120 : 손잡이부
130 : 손잡이 몸체 140 : 손잡이 커버
150 : 손잡이 끈 160 : 파이프 커버
170 : 바스켓

Claims (11)

  1.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개방 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관통로를 형성하는 손잡이 커버; 및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 이외 부분인 제 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관통로를 통해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가 개방 시 상기 손잡이 끈이 상기 관통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크기가 조절되고,
    상기 손잡이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끈의 제 1 영역이 걸림 지지되는 폐루프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커버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 몸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상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커버의 하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커버가 폐쇄 시 상기 관통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끈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에는,
    상기 손잡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과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 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커버는,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커버의 상단부는 상기 식별부재가 보이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는 보조식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식별부재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하단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파이프 커버; 및
    상기 파이프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커버에서 이탈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내측 하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림지지되는 바스켓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KR1020090047791A 2009-03-14 2009-05-29 지팡이 KR100953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1930 2009-03-14
KR1020090021930 2009-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887B1 true KR100953887B1 (ko) 2010-04-22

Family

ID=4222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791A KR100953887B1 (ko) 2009-03-14 2009-05-29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447A (ko) 2015-06-22 2016-12-30 윤동현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101A (en) 1978-02-20 1981-09-08 Exel Oy Ski stick handle
JP2001137024A (ja) * 1999-11-15 2001-05-22 Aiwa Sangyo Kk
US6439610B1 (en) * 1999-05-18 2002-08-27 Gipron Giuseppe Pronzati S.P.A. Stick handle for ski, trekking and the like with adjustable wrist str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101A (en) 1978-02-20 1981-09-08 Exel Oy Ski stick handle
US6439610B1 (en) * 1999-05-18 2002-08-27 Gipron Giuseppe Pronzati S.P.A. Stick handle for ski, trekking and the like with adjustable wrist strap
JP2001137024A (ja) * 1999-11-15 2001-05-22 Aiwa Sangyo K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447A (ko) 2015-06-22 2016-12-30 윤동현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2408B2 (ja) ハンドルループを有するポールハンドル
JP3165024U (ja) コードロック組立体
US20070017764A1 (en) Luggage
JP2009084743A (ja) 防寒手袋
US20050231930A1 (en) Protective sleeve structure for a portable electric product
KR100953888B1 (ko) 지팡이
KR100953887B1 (ko) 지팡이
JP6590177B1 (ja) 杖補助具及び杖
JP5481533B2 (ja)
US9168448B2 (en) Pole/wrist strap assembly
JP7060516B2 (ja)
US8684018B1 (en) Automatic umbrella
KR101189149B1 (ko) 지팡이
KR200448525Y1 (ko) 지팡이
WO2015177696A1 (en) Backpack garment system
US20200352259A1 (en) Clothing
CN109152948A (zh) 保护性旅行高尔夫球袋
KR100856856B1 (ko) 윗옷 겸용 백
KR10132556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등산용 스틱
KR200454468Y1 (ko) 배낭 구조
JP2016028671A (ja) 収納部、ステッキ、収納部付きステッキ及びステッキ機能付き収納体
JP3111952U (ja) 収納多機能バッグ
KR101597674B1 (ko) 지팡이
KR200493603Y1 (ko) 골프 가방
KR20130141312A (ko) 통풍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