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447A -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447A
KR20160150447A KR1020150088455A KR20150088455A KR20160150447A KR 20160150447 A KR20160150447 A KR 20160150447A KR 1020150088455 A KR1020150088455 A KR 1020150088455A KR 20150088455 A KR20150088455 A KR 20150088455A KR 20160150447 A KR20160150447 A KR 2016015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adjusting
adjusting ring
length
stopper pin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129B1 (ko
Inventor
윤동현
Original Assignee
윤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현 filed Critical 윤동현
Priority to KR102015008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손잡이부가 있는 상부폴대; 상기 상부폴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상기 상부폴대에 비해 직경이 작고,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외주면에는 정해진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폴대; 상기 상부폴대의 하단에 인접한 바깥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된 길이조절 버튼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길이조절링; 및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폴대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강 시 상기 걸림홈에 걸려서 상기 상부폴대에 대하여 상기 하부폴대의 길이를 고정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상승 시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LENGTH ADJUSTABLE WALKING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보행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Stick)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보행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과 같은 보행 활동에 널리 사용되는 스틱 형태의 보행 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걸맞게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스틱 형태의 보행 보조기구는 복수의 파이프들이 다단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끼워지고 소정의 길이 조절수단에 의해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각 파이프를 슬라이딩 시켜 지팡이 몸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일반적인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지팡이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를 단순히 슬라이딩 시키는 방식은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고정하기가 쉽지 않은 취약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팡이에 큰 하중이 걸릴 경우 길이 조절 부분의 지탱이 어려워 의도하지 않게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한편, 특허문헌 2는 조절수단의 작동관을 당겨주는 작동에 의하여 스토퍼용 볼이 작동관 하단의 넓은 확장홈에 위치되어 자유로운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제2지지관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고, 당기고 있던 작동관을 놓아주면 스토퍼용 볼이 걸림홈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완료된 제1,2지지관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 등산용 스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등산용 스틱은 길이 조절시 작동관을 손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 제1지지관에 대하여 제2지지관을 펼치거나 집어넣어서 길이 조절을 해야 하는데, 작동관을 한 손으로 잡아 당기는 것이 쉽지가 않으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953887호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10-12765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걸림홈과 스토퍼 간의 결합에 의해 폴대의 길이조절 상태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이 편리한 구조를 가진 보행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손잡이부가 있는 상부폴대; 상기 상부폴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상기 상부폴대에 비해 직경이 작고,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외주면에는 정해진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폴대; 상기 상부폴대의 하단에 인접한 바깥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된 길이조절 버튼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길이조절링; 및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폴대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강 시 상기 걸림홈에 걸려서 상기 상부폴대에 대하여 상기 하부폴대의 길이를 고정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상승 시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길이조절 버튼은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조절 버튼과 상기 길이조절링을 서로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커넥팅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부재는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조절 버튼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커넥팅 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길이조절링의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핀은 받침점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폴대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강 시 상기 스토퍼 핀의 하부가 눌려서 상기 걸림홈에 걸리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상승 시 상기 스토퍼 핀의 상부가 눌려서 하부가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핀은 상기 시소 운동의 받침점이 되는 부분을 기점으로 상부와 하부가 상호 둔각을 이루면서 꺾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폴대의 걸림홈과 상부폴대의 스토퍼 핀 간의 결합에 의해 스틱의 조절된 길이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마련된 길이조절 버튼을 눌러서 원터치 방식으로 길이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스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 보조기구에서 스토퍼 핀이 걸림홈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스토퍼 핀이 걸림홈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록킹 상태를 구현하는 스토퍼 핀의 작동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록킹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스토퍼 핀의 작동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행 보조기구의 상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행 보조기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 후, 좌, 우, 상, 하, 정면, 측면과 같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서술하는 기준 방향이 달라지면 이러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도 당연히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구는 상단에 손잡이부(100')가 고정되어 있는 상부폴대(100)와, 상부폴대(100) 내에 출입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폴대(110)와, 상부폴대(100)에 출입되는 하부폴대(1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링(120) 및 스토퍼 핀(130)을 포함한다.
상부폴대(10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하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폴대(10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상부폴대(100)를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100')는 상부폴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별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상부폴대(100)의 상단 일부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손잡이부(100')가 상부폴대(100)와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상부폴대(100)에 결합된 예를 중심으로 본원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폴대(110)는 상부폴대(100)의 하단에 결합되고 길이조절을 위해 상부폴대(100) 내에 출입 가능하게 상부폴대(100)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하부폴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외주면에는 정해진 간격으로 걸림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111)은 하부폴대(110)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링(120) 및 스토퍼 핀(130)은 상부폴대(100)의 하단 부근 바깥면에 설치되고, 길이조절링(120)에 의해 스토퍼 핀(130)이 작동되어 하부폴대(110)의 걸림홈(111)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부폴대(100)에 대하여 하부폴대(1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길이조절링(120)은 상부폴대(100)의 하단에 인접한 바깥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부(100')에 마련된 길이조절 버튼(101)에 연동하여 소정 구간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 핀(130)은 길이조절링(12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부폴대(100)에 조립된다. 상부폴대(100)와 하부폴대(110) 간의 안정적인 록킹을 위해 스토퍼 핀(130)은 상부폴대(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토퍼 핀(130)의 개수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링(120)이 하강한 상태에서 길이조절링(120)에 의해 눌려서 그 하단에 마련된 후크 구조가 걸림홈(111)에 걸리는 록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부폴대(100)에 대하여 하부폴대(110)의 길이를 고정한다. 또한, 스토퍼 핀(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링(120)이 상승하면 바깥 방향으로 선회하여 하단이 걸림홈(111)에서 이탈함으로써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핀(130)은 길이조절링(120)에 의해 눌려서 록킹 상태가 된다. 여기서, 스토퍼 핀(130)은 실질적으로 시소(seesaw) 운동이 가능하게 상부폴대(100)의 외부면에 장착되고, 시소 운동의 받침점이 되는 부분(132)을 기점으로 상부(131)와 하부(133)가 상호 둔각을 이루면서 꺾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토퍼 핀(130)의 상부(131)는 하부(133)를 기준으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꺾인 구조를 가지며, 길이조절링(120)은 스토퍼 핀(130)의 하부(133)를 누른 상태에서 스토퍼 핀(130)의 상부(13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1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홀(121)은, 스토퍼 핀(130)이 길이조절링(120)에 의해 눌리는 과정에서 스토퍼 핀(130)의 상부(131)가 길이조절링(1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링(120)이 상승하여 스토퍼 핀(130)의 상부(131)를 누름에 따라 스토퍼 핀(130)의 하부(133)는 바깥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도 6에는 길이조절 버튼(101)과 길이조절링(120) 간의 결합관계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조절 버튼(101)은 손잡이부(100')의 상단에 장착되어 손잡이부(100')의 상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가진다.
길이조절 버튼(101)과 길이조절링(120)은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커넥팅 부재(10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된다. 즉, 길이조절 버튼(101)이 하강함에 따라 커넥팅 부재(103)가 상승하여 길이조절 버튼(101)이 하강한 거리만큼 길이조절링(12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길이조절 버튼(101)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102)에 의해 길이조절 버튼(101)은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동시에 커넥팅 부재(103)에도 하방으로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상부폴대(100)와 길이조절링(120) 사이에는 스프링(104)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해 커넥팅 부재(103)는 스프링(104)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구의 길이조절을 위한 스토퍼 핀(130)의 록킹 해제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길이조절 버튼(101)이 눌리면 커넥팅 부재(103)와 함께 길이조절링(120)이 상승하면서 스토퍼 핀(130)의 상부(131)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 핀(130)이 시소 운동함으로써 하부폴대(110)에 대하여 스토퍼 핀(130)의 하부(133)가 벌어지면서 스토퍼 핀(130)의 하단이 걸림홈(111)에서 이탈되어 록킹 해제상태가 된다.
길이조절 버튼(101)이 눌려서 스토퍼 핀(130)이 록킹 해제상태가 되었을 때 하부폴대(110)는 상부폴대(100)에 대하여 자유롭게 출입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크기로 보행 조조기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폴대(110)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 길이조절 버튼(101)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커넥팅 부재(103)와 함께 길이조절링(120)이 원위치로 하강하여 스토퍼 핀(130)의 하부(133)를 누름으로써 스토퍼 핀(130)의 하단이 걸림홈(111)에 걸려서 다시 록킹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상부폴대 100': 손잡이부
101: 길이조절 버튼 102,104: 스프링
103: 커넥팅 부재 110: 하부폴대
111: 걸림홈 120: 길이조절링
130: 스토퍼 핀

Claims (5)

  1. 상단에 손잡이부가 있는 상부폴대;
    상기 상부폴대 내에 출입 가능하게 상기 상부폴대에 비해 직경이 작고,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외주면에는 정해진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폴대;
    상기 상부폴대의 하단에 인접한 바깥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된 길이조절 버튼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길이조절링; 및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폴대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강 시 상기 걸림홈에 걸려서 상기 상부폴대에 대하여 상기 하부폴대의 길이를 고정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상승 시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버튼은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길이조절 버튼과 상기 길이조절링을 서로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커넥팅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는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조절 버튼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커넥팅 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길이조절링의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핀은 받침점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폴대에 장착되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하강 시 상기 스토퍼 핀의 하부가 눌려서 상기 걸림홈에 걸리고, 상기 길이조절링의 상승 시 상기 스토퍼 핀의 상부가 눌려서 하부가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핀은 상기 시소 운동의 받침점이 되는 부분을 기점으로 상부와 하부가 상호 둔각을 이루면서 꺾인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구.
KR1020150088455A 2015-06-22 2015-06-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KR101707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55A KR101707129B1 (ko) 2015-06-22 2015-06-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55A KR101707129B1 (ko) 2015-06-22 2015-06-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47A true KR20160150447A (ko) 2016-12-30
KR101707129B1 KR101707129B1 (ko) 2017-02-15

Family

ID=5773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55A KR101707129B1 (ko) 2015-06-22 2015-06-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2068B2 (en) 2017-01-05 2018-10-09 Dong-In Entech Co., Ltd. Length adjustment device
KR20190002310A (ko)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등산용 스틱
KR102046845B1 (ko) 2019-02-26 2019-12-02 윤영태 등산용 스틱
WO2020050658A1 (ko) * 2018-09-05 2020-03-12 (주)동인기연 길이 조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887B1 (ko) 2009-03-14 2010-04-22 김상순 지팡이
KR20120055762A (ko) * 2010-11-22 2012-06-01 임영찬 자동길이조절 스틱
KR101276577B1 (ko)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KR20140137537A (ko) * 2013-05-23 2014-12-03 최진홍 등산용 스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887B1 (ko) 2009-03-14 2010-04-22 김상순 지팡이
KR20120055762A (ko) * 2010-11-22 2012-06-01 임영찬 자동길이조절 스틱
KR101276577B1 (ko)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KR20140137537A (ko) * 2013-05-23 2014-12-03 최진홍 등산용 스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2068B2 (en) 2017-01-05 2018-10-09 Dong-In Entech Co., Ltd. Length adjustment device
KR20190002310A (ko)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등산용 스틱
WO2020050658A1 (ko) * 2018-09-05 2020-03-12 (주)동인기연 길이 조절 장치
KR102046845B1 (ko) 2019-02-26 2019-12-02 윤영태 등산용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29B1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2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US20130092207A1 (en) Detent Actuators, Foldable Apparatus Including Detent Actuators, and Related Methods
EP1641668B1 (en) Locking device for a telescopic stem of a trolley
US8464737B2 (en) Stabilizer support for crutches and/or walking sticks
CN203717563U (zh) 可伸缩定位管
US10986903B2 (en) Walking stick
KR20100069547A (ko)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US20160214251A1 (en) Quick Release Implement
KR101801650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WO2015168818A1 (zh) 用于手工具的伸缩杆
TW201536489A (zh) 用於手工具之伸縮桿
KR102258526B1 (ko) 길이 조절 장치
KR10172042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CN209965445U (zh) 伞巢锁定结构
US2515493A (en) Folding umbrella
US8628064B2 (en) Multi-section pulling rod structure
EP3847922A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CN105711682B (zh) 长度可调节的停车支撑架
JP3215874U (ja) 傘の開閉傘掛止構造
FI115117B (fi) Pituudeltaan säädettävä kävelysauva tai hiihtosauva
CN207860243U (zh) 一种手推车
CN207979202U (zh) 带安全锁的拉杆
JP6708549B2 (ja) ケース及びバッグのプルロッドスイッチの改良構造
CN105519502B (zh) 一种用于钓凳、钓椅、钓台的调整脚
JP3213487U (ja) ジャンプ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