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774B1 - 글래스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글래스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774B1
KR100952774B1 KR1020080070590A KR20080070590A KR100952774B1 KR 100952774 B1 KR100952774 B1 KR 100952774B1 KR 1020080070590 A KR1020080070590 A KR 1020080070590A KR 20080070590 A KR20080070590 A KR 20080070590A KR 100952774 B1 KR100952774 B1 KR 10095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glass
glass cover
stud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792A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7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3Rear seat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는, 패널에 결합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가 저면을 통해 삽입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클립; 및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 글래스의 일측 끝단을 덮도록 상기 클립에 결합되는 글래스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는, 글래스의 끝단을 덮음으로써 외관을 개선할 수 있고, 패널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글래스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스터드의 위치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글래스커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외관 상품성 및 조립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글래스, 커버, 스터드, 클립, 공차, 위치, 조정

Description

글래스커버 조립체{Glass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의 글래스 끝단 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글래스의 일측 끝단을 덮도록 결합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 패널과의 결합위치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비교적 대형의 프론트글래스(전방유리) 및 리어글래스(후방유리)가 제공되는데, 이 같은 각각의 글래스에는 끝단의 미관 개선을 위해 몰드물이 장착된다.
특히, 리어글래스의 하측 끝단은 트렁크패널 끝단과 비교적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바, 상기 리어글래스의 하측 끝단에는 여러 가지 형상의 몰드물이 장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리어글래스의 끝단에 결합되는 종래의 몰딩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후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리어글래스 끝단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글래스(30)는 하측 끝단이 리어패널(10) 및 트렁크패널(20)과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함은 물론 충격흡수를 위해 웨더스트립(4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어글래스(30)의 하측 끝단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이 좋지 아니하므로, 상기 리어글래스(30)의 하측 끝단에는 압출 방식으로 제작되는 몰딩(50)이 장착된다.
상기 몰딩(50)은 단순히 리어글래스(30) 끝단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끼워짐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므로, 외부 충격이 인가되거나 사용연한이 오래되는 경우 상기 몰딩(50)이 리어글래스(30)로부터 빠지거나 결합위치가 비틀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어글래스의 끝단을 덮음으로써 외관을 개선할 수 있고, 리어패널에 결합됨으로써 리어글래스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리어패널과의 결합위치에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리어패널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글래스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는,
패널에 결합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가 저면을 통해 삽입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클립;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 글래스의 일측 끝단을 덮도록 상기 클립에 결합되는 글래스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홀에 상기 스터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이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터드는, 상기 패널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보다 큰 단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헤드부가 관통된 후 상기 클립이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헤드부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레일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안착레일에 안착된 후 상기 클립이 타측으로 설정거리 이상 이동할 때 상기 스터드와 간섭되어 상기 안착레일로부터의 헤드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구비한다.
상기 글래스커버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체결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은, 상기 리어패널과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리어패널과 접촉되는 부위에 탄성편이 구비된다.
상기 글래스커버와 리어글래스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 사이에는 글래스스트립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는, 리어글래스의 끝단을 덮음으로써 외관을 개선할 수 있고, 리어패널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리어글래스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리어패널과의 결합위치에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리어패널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는, 리어패널(10)에 고정 결합되는 스터드(100)와, 상기 스터드(100)에 결합되는 클립(200)과, 상측 끝단이 리어글래스(30)의 일측 끝단(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끝단)을 덮도록 상기 클립(200)에 결합되는 글래스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터드(100)와 클립(200)은 한번 결합된 이후에는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스터드(100)와 클립(200) 간의 결합구조는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클립(200)은, 쌍을 이루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0)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두 돌출부(220) 사이에는 삽입홈(2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글래스커버(300)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홈(222)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310)가 구 비되는바, 상기 글래스커버(300)는 상기 삽입부(310)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삽입홈(2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클립(200)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립(200)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쌍을 이루는 돌출부(220)를 형성함으로써 삽입홈(222)이 마련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클립(20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경우 상기 삽입홈(222)은 상기 클립(200)의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22)과 삽입부(310)의 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글래스커버(300)에 삽입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200)에 삽입부(310)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는, 외관 개선을 위해 리어글래스(30)의 일측 끝단을 덮는 글래스커버(300)가 상기 리어글래스(3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스터드(100) 및 클립(200)을 결합 매개체로 리어패널(10)에 결합되는바, 외부 충격이 인가되거나 사용연한이 오래되더라도 분리되거나 결합위치가 변경될 우려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포함되는 클립(200)과 스터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포함되는 클립(200)과 스터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클립(200)에는 상기 스터드(100)가 저면으로부터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터드(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200)이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210)은 타측(-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터드(100)가 체결홀(210)에 삽입되고 상기 클립(200)이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클립(200)이 스터드(100)로부터 상향으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터드(100)는, 상기 리어패널(10)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110)와, 상기 몸통부(110)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110)의 끝단에 구비되는 헤드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홀(210)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헤드부(120)가 관통된 후 상기 클립(200)이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헤드부(120)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레일(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20)가 상기 안착레일(212) 상에 안착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클립(200)은 상향으로 빠지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120)가 안착레일(212)을 벗어나도록 클립(200)이 타측(-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클립(200)은 스터드(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립(200)에는 상기 헤드부(120)가 상기 안착레일(212)에 안착된 후 상기 클립(200)이 타측으로 설정거리 이상 이동할 때 상기 스터드(100)와 간섭되어 상기 안착레일(212)로부터의 헤드부(120)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14)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편(214)은,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100)볼트가 상기 체결홀(210)로 삽입될 때에는 스터드(100)볼트에 의해 밀려 끝 단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상기 스터드(100)볼트의 삽입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상기 클립(200)이 타측(-X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끝단이 상기 스터드(100)볼트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터드(100)볼트가 체결홀(210)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탈방지편(214)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스터드(100)볼트의 헤드부(120)는 안착레일(212)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100)는 체결홀(210)의 중단에 결합되도록 설계되는바, 헤드부(120)와 이탈방지편(214) 사이에는 α1만큼의 이격거리가 생기게 되고, 체결홀(210)의 안쪽 끝단과 몸통부(110) 사이에는 α2만큼의 이격거리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200)은 스터드(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X축 방향으로는 α1만큼 이동될 수 있고, -X축 방향으로는 α2만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홈(222)은 상기 체결홀(2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글래스커버(300)는 상기 삽입부(310)가 상기 삽입홈(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2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글래스커버(300)와 클립(200)의 결합위치가 상기 체결홀(2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면, 상기 삽입홈(222)과 삽입부(3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310)가 돌 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222)은 상기 체결홀(2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부(310)가 삽입홈(222)으로 삽입되는 Y축 방향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스터드(100)에 결합되는 클립(200)은 설정 범위 이내에서 +X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클립(200)에 결합되는 글래스커버(300)는 +Y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스터드(100)의 위치 공차가 발생되어 상기 스터드(100)가 설계지점보다 약간 벗어난 지점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글래스커버(300)가 리어글래스(30)의 일측 끝단을 덮는 위치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터드(100)가 설정지점보다 X축 방향으로 약간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클립(20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글래스커버(300)를 정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터드(100)가 설정지점보다 Y축 방향으로 약간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글래스커버(30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를 이용하면, 스터드(100)의 위치공차가 발생되더라도 리어글래스(30)에 결합되는 글래스커버(300)의 위치를 설정 위치로 조정할 수 있는바, 외관 상품성 및 조립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포함되는 클립(200)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스터드(100)의 조립공차가 X축 및 Y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즉, 상기 리어패널(10)과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Z축 방향)으로 발생되는 경우, 클립(200)과 스터드(100) 간의 결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터드(100)가 설계치보다 더 돌출되는 경우 클립(200) 저면이 리어패널(10) 상면에 밀착되지 아니하여 상기 클립(200)이 Z축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고, 상기 스터드(100)가 설계치보다 덜 돌출되는 경우 상기 클립(200)이 스터드(100)에 결합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도록, 상기 클립(200)은 상기 스터드(1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Z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립(200)은 상기 리어패널(10)과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패널(10)과 접촉되는 부위에 탄성편(23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230)은 끝단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리어패널(10)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착레일(212)의 상면이 헤드부(12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클립(200)에 탄성을 인가한다.
이와 같이 탄성편(230)이 구비되면, 상기 스터드(100)의 위치공차가 Z축 방향으로 발생됨으로 인하여 상기 클립(200)이 리어패널(10)과 약간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더라도, 상기 클립(200)이 흔들리는 현상 없이 상기 스터드(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클립(200)의 Z축 방향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글래스커버(300)의 장착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글래스커버(300)가 리어글래스(3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래스커버(300)와 리어글래스(30)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 사이에는 글래스스트립(400)이 구비된다.
상기 글래스스트립(400)은 외력에 의해 두께가 증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커버(300)와 리어글래스(30)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 사이에 구비되면, 상기 글래스커버(300)의 장착 높이가 약간 높거나 낮아지더라도 리어글래스(30)와 글래스커버(30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글래스(30)에 장착되는 구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론트글래스 등 다양한 종류의 글래스 일측 끝단을 덮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리어글래스 끝단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포함되는 클립과 스터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포함되는 클립과 스터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에 포함되는 클립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글래스커버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터드 110 : 몸통부
120 : 헤드부 200 : 클립
210 : 체결홀 212 : 안착레일
214 : 이탈방지편 220 : 돌출부
300 : 글래스커버 310 : 삽입부
400 : 글래스스트립

Claims (8)

  1. 패널에 결합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가 저면을 통해 삽입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클립; 및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 글래스의 일측 끝단을 덮도록 상기 클립에 결합되는 글래스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에 상기 스터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이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상기 패널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헤드부가 관통된 후 상기 클립이 일측으 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헤드부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안착레일에 안착된 후 상기 클립이 타측으로 설정거리 이상 이동할 때 상기 스터드와 간섭되어 상기 안착레일로부터의 헤드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체결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글래스커버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패널과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과 접촉되는 부위에 탄성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커버와 글래스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 사이에는 글래스스트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커버 조립체.
KR1020080070590A 2008-07-21 2008-07-21 글래스커버 조립체 KR10095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90A KR100952774B1 (ko) 2008-07-21 2008-07-21 글래스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90A KR100952774B1 (ko) 2008-07-21 2008-07-21 글래스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92A KR20100009792A (ko) 2010-01-29
KR100952774B1 true KR100952774B1 (ko) 2010-04-14

Family

ID=4181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590A KR100952774B1 (ko) 2008-07-21 2008-07-21 글래스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7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45A (ja) 1985-07-01 1987-01-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屋根の棟構造
KR0113805Y1 (ko) * 1993-11-12 1998-04-11 전성원 버스 측면 고정창문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45A (ja) 1985-07-01 1987-01-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屋根の棟構造
KR0113805Y1 (ko) * 1993-11-12 1998-04-11 전성원 버스 측면 고정창문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92A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942B2 (ja) 車両ドア用ベルトモール
JP4836917B2 (ja) 車両のドアミラー取付構造
JP4223529B2 (ja) 車両の後部構造
JP4729087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4704067B2 (ja) 車両のガラスガイド構造
WO2017141892A1 (ja) 車両用モール
US9321405B2 (en) Roof rail
CN106183755B (zh) 用于车辆的车门装饰板和车门内挡水条的结构
KR100952774B1 (ko) 글래스커버 조립체
KR101221715B1 (ko) 자동차 사이드 실 몰딩 구조체
CN104108353A (zh) 车辆的外部构造
JP6368612B2 (ja) 車両用ベルトモール
CN110466447B (zh) 车门装饰件
JP6838387B2 (ja) 内装部品の取付構造
JP5123898B2 (ja) 装飾部材の取付構造
KR100958203B1 (ko) 로어 웨더스트립 조립구조
JP5965718B2 (ja) 車両ドア用ベルトモール
JP4652159B2 (ja) バックドア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100683221B1 (ko) 헤드램프 장착장치
KR200143136Y1 (ko) 자동차 도어의 가니쉬부 구조
KR102131014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JPH081936Y2 (ja) 車両用ドアのウエストバー装置
JP6674659B2 (ja) ミ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2007125979A (ja) 車両用シール構造
KR0122048Y1 (ko) 자동차 리어 판스프링용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