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696B1 -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 Google Patents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696B1
KR100952696B1 KR1020090105391A KR20090105391A KR100952696B1 KR 100952696 B1 KR100952696 B1 KR 100952696B1 KR 1020090105391 A KR1020090105391 A KR 1020090105391A KR 20090105391 A KR20090105391 A KR 20090105391A KR 100952696 B1 KR100952696 B1 KR 10095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portion
original
circumferential direction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화
Original Assignee
정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화 filed Critical 정민화
Priority to KR102009010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7Rigid pipes obtained by bending a sheet longitudinally and connecting the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7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이프는,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면서 축경부의 산부 측면부에 함입부가 형성되고,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 측면부에는 상기 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이들 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축경부가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함입부들이 서로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파이프는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외주면이 파이프의 내주면에 면접촉 상태로 밀착이 되므로 냉난방 배관의 보온/보냉재 마감용 파이프로서 매우 유용하다.
파이프, 축경부, 함입부, 돌출홈, 압축, 관경, 압출, 재단, 면접촉

Description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Pipe having fitting structure along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은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주면이 길이방향으로 재단된 후 결합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튜브, 덕트 등으로 불리는 각종 관(管)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압출기를 통해 성형되며, 관의 표면 형태에 따라 표면이 매끈한 직관(평활관) 형태로 성형되기도 하고, 원둘레 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코러게이트관)으로 성형되기도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주름관을 압출 성형하는 장치를 예시하고 있는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은, 내부에 주름관의 형상이 가공되어 있으며 몰드 이송 라인(1)을 따라 장방형으로 배열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성형 몰드(2)와, 이 성형 몰드(2)가 배열되어 있는 몰드 이송 라인(1)의 일측에 배치되어 성형 몰드(2)를 향해 성형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압출기(3)는 에어 토출구(3a)와 이 에어 토출구(3a)의 외경 부위에 위치하는 수지 토출구(3b)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지 토출구(3b)로부터 토출되는 합성수지(R)는 에어 토출구(3a)로부터 토출되는 에어(A)의 압력에 의해 성형 몰드(2)의 내벽에 균일하게 밀착되면서 성형 몰드(2)의 내부 형상대로 성형이 된다.
특히, 몰드 이송 라인(1)의 네 군데 모서리 부위에서는 성형 몰드(2)가 타원형 궤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의 변곡점으로 인해 압출기(3)의 에어 토출구(3a) 및 수지 토출구(3b)가 성형 몰드(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가 되어야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만일 상기 토출구(3a,3b)가 변곡점 위치에서 성형 몰드(2)의 밖으로 설치가 된 상태에서 수지(R)의 압출이 이루어지면, 성형 몰드(2)가 변곡점을 통과할 때 압출되는 수지(R)를 긁어내게 됨으로 인해 주름관의 성형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에어 토출구(3a)와 수지 토출구(3b)가 성형 몰드(2)의 내측으로 설치되려면 당연히 이들 토출구(3a,3b)의 총 외경은 성형 몰드(2)의 내경 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와 같은 압출 성형 장치에 의해 제조된 주름관(P)의 내부에 보온재나 보냉재와 같은 연질 또는 반경질 등의 수용물을 수용하는 경우, 주름관(P)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후에, 수용물의 외주면에 주름관(P)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주름관(P)을 원호방향으로 압축하고, 절개된 부위를 다시 접합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절개된 부위의 접합부가 선접촉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접합력이 미흡하여 접합 부가 쉽게 떨어지고, 이로 인해 주름관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주름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 주름관의 길이방향으로 수용물을 삽입하면 되지만, 주름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주름관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다음에 절개된 부위를 벌려서 수용물을 삽입하게 된다. 그런데, 주름관의 절개된 부위를 벌릴 때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주름관에 뒤틀림이나 좌굴 현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 주름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용물을 압출기 내에서 통과시킴과 아울러 압출기를 통과한 수용물을 주름관이 수용하도록 주름관을 성형하고자 할 경우, 성형 몰드에 의해 성형되는 주름관의 내주면에 수용물의 표면이 면접촉을 하는 상태가 되도록 주름관을 압출 성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주름관 구조로 성형함에 있어서, 성형 수지(R)의 압출 직후 성형 몰드 내에 주입되는 에어(A)의 압력에 의해 수지(R)가 확산되면서 주름관 구조가 형성되므로 압출 당초에 비해 관경이 확장된다. 따라서, 성형이 완료된 후의 관경이 압출할 때의 관경보다 작은 주름관을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이프의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함에 있어서,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후에, 수용물의 외주면에 파이프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파이프를 원호방향으로 압축하고, 절개된 부위를 다시 접합하였을 때, 접합부의 접합력이 강하게 유지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가 긴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다음에 절개된 부위를 벌려서 수용물을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파이프에 뒤틀림이나 좌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내부에 수용될 수용물을 압출기 내에서 통과시킴과 아울러 압출기를 통과한 수용물을 파이프가 수용하도록 파이프를 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 성형 몰드에 의해 성형되는 파이프의 내주면에 수용물의 표면이 면접촉을 하는 상태가 되도록 파이프를 압출 성형할 수 있게 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출 성형시의 최초 관경보다 작은 관경을 갖도록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산부 측면부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 측면부에는 상기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산부 측면부에는 축경부의 내부에서 홈 형태를 가지면서 축경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1돌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 측면부에는 상기 제1돌출홈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돌출홈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2돌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홈부와 제2돌출홈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절개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돌출홈부가 상기 제2돌출홈부에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 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산부 상면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 상면에는 상기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골부 상면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골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골부에는 상기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평활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상면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이 제1함입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상면에는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외주면이 파이프의 내주면에 면접촉 상태로 밀착이 되므로 냉난방 배관의 보온/보냉재 마감용 파이프로서 매우 유용하며, 함입부 또는 돌출홈부에 의한 결합력에 더하여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부의 접합력을 강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 기밀이나 수밀이 요구되는 공조기의 냉매 이송용 관이나 전선 보호관 등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에 적용이 될 수가 있는바, 그 유용성과 적용 범위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긴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재단한 다음에 재단된 부위를 벌려서 수용물을 삽입하는 경우, 관경이 일정한 파이프에 비해 축경부를 가진 본 발명의 파이프는 재단된 부위를 벌리는 힘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므로, 파이프의 뒤틀림이나 좌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주름관의 성형 공정에서 성형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를 통해 주름관 내부로 수용물을 통과시켜 성형된 주름관의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래의 관경부와 축경부에 각각 복수 개의 함입부(또는 돌출홈부)들을 형성하여 이 함입부들 간의 결합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다양한 관경의 파이프를 제 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의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소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서로 다른 관경을 갖는 파이프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금형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파이프의 내부에서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의 형성 부위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파이프에서 축경부가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6a는 본 발명의 파이프 내부에 수용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상태로부터 축경부가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파이프는 링형의 주름관(100)으로 예시되어 있다. 즉, 원둘레에 링(ring) 형태의 산부(111,121)가 주름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산부(111,121)들 사이의 부분을 골부(112,122)라고 지칭할 때 이들 산부(111,121)와 골부(112,122)에 의해 링형 주름관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주름관(100)에 있어서, 주름관(100)의 중심을 지나는 내경을 관경(管徑)이라 하고, 이 관경이 일정하게 형성된 부분을 원래의 관경부(110)라 호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 원래의 관경부(110) 보다 관경이 감소된 상태로 형성된 부분을 축경부(縮徑部 : 120)라 호칭하는데, 이 축경부(120)는 주름관(100)의 원호방향으로 폭이 좁은 슬릿 형태로 형성이 되되 주름관(1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경부(120) 역시 원래의 관경부(110)와 동일하게 산부(121)와 골부(1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경부(120)의 산부(121) 측면부에는 제1함입부(12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함입부(121a)은 축경부(120)의 산부(121)의 측면으로부터 함입(陷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경부(120)의 산부(121)로부터 연장선상에 있는 상기 원래의 관경부(110)에 구비된 산부(111)에는 상기 제1함입부(121a)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함입부(111a)는 제1함입부(121a)의 형상 그대로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 측면으로부터 주름관(100) 내부로 함입되면서 형성됨으로써, 주름관(100)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제1함입부(121a)와 동일한 형상의 홈으로 보이지만 도 4처럼 주름관(100)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는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2함입부(111a)가 제1함입부(121a)에 형합(形合)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제1함입부(121a)와 제2함입부부(111a)를 구비한 주름관(100)의 성형은 전술한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도 1의 압출 성형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주름관(100)의 형상을 따른 성형 몰드가 배치되어 있는 몰드 이송 라인에서 압출기로부터 성형 소재를 압출함으로써, 상기 제1함입부(121a)가 형성된 축경부(120)와 상기 제2함입부(111a)가 형성된 원래의 관경부(110)로 이루어진 주름관(100)을 성형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성형되는 주름관(100)의 내부에 보온재나 보냉재와 같은 연질 또는 반경질 등의 수용물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예를 들 수 있다. 첫째는, 도 1의 압출 성형 장치에서 성형되는 주름관의 내부를 향해 압출기로부터 수용물을 통과시켜 수용물을 삽입하고, 주름관을 길이방향으로 재단(裁斷)한 다음, 수용물의 외주면에 주름관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주름관을 원호방향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재단된 부위를 다시 결합하는 것이다. 둘째는, 주름관을 길이방향으로 재단한 다음에 재단된 부위를 벌려서 수용물을 삽입하고, 앞의 예와 같이 재단된 부위를 다시 결합하는 것이다.
위의 두 경우에 있어서 주름관의 재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3에서 주름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L-L선으로 표시된 부위는 제1함입부(121a)와 제2함입부(111a) 사이의 접경 부위에서 원래의 관경부(110)를 지나는 선이고, L'-L'선으로 표시된 부위는 제1함입부(121a)와 제2함입부(111a) 사이의 접경 부위에서 축경부(120)를 지나는 선으로서, 이들 L-L선과 L'-L'선을 따라 주름관(100)을 2열로 재단한다. 만일, 1열로 재단하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경부(120)를 원래의 관경부(110)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결합할 때 덧살로 인해 슬라이딩 삽입이 곤란하게 되고, 삽입 후 들뜸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2열로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주름관(100)의 재단된 부위는 그 접경부가 원상태로 접합 또는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도 3 및 도 6a에 보이는 것처럼 주름관(100)의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함에 따라, 축경부(120)가 원래의 관경부(110)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120)의 제1함입부(121a)에 제2함입부(111a)가 끼워져 결합되고, 도 5와 같이 원래의 관경부(110) 양단이 서로 맞닿게 되는 구조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주름관(100)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S)의 외주면에 주름관(100)의 내주면이 면접촉하는 상태로 밀착하게 된다. 주름관(100)을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하는 방법으로는, 주름관(100)의 외주면에 링형 밴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링형 밴드의 양단을 원둘레 방향으로 당기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함입부(121a)와 제2함입부부(111a)의 결합에 의해 주름관(100)의 재단된 부위가 결합된 이후에, 보다 완벽하고 안전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된 원래의 관경부(110)의 원둘레 방향 양단을 핫 멜트(hot melt)형 접착제로 접합시키거나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축경부(120)의 형성 범위가 원래의 관경부(110) 보다 지나치게 크면 주름관(100)을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할 때 주름관(100)이 뒤틀릴 수가 있고, 지나치게 작으면 제1함입부(121a)와 제2함입부(111a)의 사이즈가 작게 형성할 수밖에 없어 결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열융착 등에 의한 접합 공정 수행시 작업 여유 공간이 불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축경부(120)의 호의 길이는 상기 원래의 관경부(110)의 원주길이(직경×3.14) 대비 3∼30%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축경부(120)의 호의 길이는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함입부(121a)가 축경부(120)의 산부(121)의 일측면부에만 한 개 형성되고, 상기 제2함입부(111a) 역시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의 일측면부에만 한 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다음의 예처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의 일측면부에 복수 개의 제2함입부(111a,111a',111a'')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120)의 산부(121)의 일측면부에도 복수 개의 제1함입부(121a,121a',121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수 개의 제1함입부(121a,121a',121a'')와 제2함입부(111a,111a',111a'')가 형성되는 경우, 재단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의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파이프 소재에 대해 제1함입부(121a,121a',121a'')와 제2함입부(111a,111a',111a'')의 결합 위치 변경에 따라 다양한 관경의 파이프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의 양측면부에 한 개(또는 복수 개)의 제2함입부(111a,111b)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120)의 산부(121)의 양측면부에도 한 개(또는 복수 개)의 제1함입부(121a,121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산부(111,121)의 양측면부에 제2함입부(111a,111b)와 제1함입부(121a,121b)가 형성됨으로써, 원래의 관경부(110)에 대한 축경부(120)의 결합력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실시예와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 제1함입부(121a,121a',121a'',121b)와 제2함입부(111a,111a',111a'',111b)는 각각 U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예시되었지만,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제1함입부(121c)와 제2함입부(111c)가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축경부(120)를 원래의 관경부(110)의 내주면 측으로 쉽게 슬라이딩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V자형 단면의 노치홈은 직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함입부(121a,121a',121a'',121b)와 제2함입부(111a,111a',111a'',111b)가 U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되면 탈부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되면 결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므로,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하면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함입부(121a,121a',121a'',121b,121c)와 제2함입부(111a,111a',111a'',111b,111c)는 모두 축경부(120)의 산부(121) 측면부 혹은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 측면부로부터 주름관(100) 내부로 함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도 10과 같이 주름관(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로 설명된 결합수단을 각각 제1돌출홈부(121d)와 제2돌출홈부(111d)으로 부르기로 하는데, 제1돌출홈부(121d)는 축경부(120)의 산부(121) 측면의 내부에서는 홈 형태를 가지면서 축경부(1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돌출홈부(111d)는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 측면에서 제1돌출홈부(111d)가 슬라이딩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돌출홈부(121d)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홈부(121d)는 축경부(120)의 산부(121) 일측면에만 한 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홈부(111d)는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 일측면에만 한 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도 7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함입부(121a,121a',121a'')와 제2함입부(111a,111a',111a'') 처럼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축경부(120)의 산부(121) 양측면에 제1돌출홈부(121d,121e)가 형성되고, 상기 원래의 관경부(110)의 산부(111) 양측면에도 제2돌출홈부(111d,111e)가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제1돌출홈부(121d,121e)와 제2돌출홈부(111d,111e)는 각각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홈부(121d,121e)와 제2돌출홈부(111d,111e)는 각각 관 내부에서 보았을 때 U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V자형 단면의 노치홈일 경우 축경부(120)를 원래의 관경부(110)의 내주면 측으로 쉽게 슬라이딩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직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1돌출홈부(121d,121e)와 제2돌출홈부(111d,111e) 사이의 접경 부위에 대한 재단을 실시할 때는, 앞서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축경부(120) 측과 원래의 관경부(110) 측에서 각각 1열씩 총 2열로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2는 본 발명의 파이프(주름관)에서 재단선의 위치에 따른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의 결합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 번의 파이프 압출 성형 공정에서 재단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서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의 결합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다양한 관경의 파이프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데, 도 12는 이러한 재단 위치의 변경을 위한 재단선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12의 도면부호는 전술한 도 3 또는 도 7의 동일 부위에 부여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만일 축경부의 산부(121)에 3개의 제1함입부(121a,121a',121a'')가 형성되고,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111)에는 1개의 제2함입부(111a)가 형성된 것으로 하였을 때,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111) 측에 대한 재단은 부호 'A', 'B', 'C'의 세 부위 중 어느 한 부위에 대해 실시할 수 있고, 축경부의 산부(121)에 대한 재단은 부호 'D' 부위에 대해 실시할 수 있다.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111) 측에 대한 재단을 'A' 부위에서 했을 경우에 축 경부를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 제2함입부(111a)는 부호 121a의 제1함입부와 결합이 되고, 'B' 부위에서 재단했을 경우에는 제2함입부(111a)는 부호 121a'의 제1함입부와 결합이 됨으로써 'A' 부위에서 재단했을 때보다 길이 ℓ1-ℓ2 만큼 파이프의 원주가 줄어들게 된다. 또, 'C' 부위에서 재단했을 경우에는 제2함입부(111a)는 부호 121a''의 제1함입부와 결합이 되므로 'B' 부위를 재단했을 대보다 길이 ℓ2-ℓ3 만큼 파이프의 원주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번의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소재를 이용하여 세 가지의 서로 다른 관경을 갖는 파이프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에 비해 금형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파이프의 내부에서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의 형성 부위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의 파이프에서 축경부가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원둘레에 링 형태의 산부(211,221)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산부(211,221) 사이에 골부(212,222)가 형성된 링형 주름관(200)을 예시한 것이며, 제1함입부(221a)와 제2함입부(211a)가 형성된 부위 및 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함입부(221a)는 축경부(220)에 구비된 산부(221)의 상면으로부 터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함입부(211a)는 상기 제1함입부(22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함입부(221a)의 형상 그대로 원래의 관경부(210) 산부(211)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함입부(211a)는 주름관(200)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제1함입부(221a)와 동일한 형상의 홈으로 보이지만 주름관(200) 내부에서 보았을 때는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함입부(211a)가 제1함입부(221a)에 형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함입부(221a)와 제2함입부(211a)는 각각 주름관(200)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세 개씩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한 개씩 형성되거나 둘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함입부(221a)와 제2함입부(211a)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 U자형 단면 또는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V자형 단면의 노치홈일 경우 특히 직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함입부(221a)와 제2함입부(211a) 사이의 접경 부위인 L-L선과 L'-L'선으로 표시된 부위를 따라 주름관(100)을 2열로 재단한 상태에서 주름관(200)의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함에 따라, 축경부(220)가 원래의 관경부(210)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220)의 제1함입부(221a)에 제2함입부(211a)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관경부(210)의 양단이 서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도 6b에서와 마찬가지로 주름관(100,200)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S)의 외주면에 주름관(100,200)의 내주면이 면접촉하는 상태로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축경부(220)의 제1함입부(221a)에 제2함입부(211a)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원래의 관경부(210)의 원둘레 방향 양단을 핫 멜트 접착이나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면 보다 완벽하고 안전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은 상기 도 13의 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서, 원래의 관경부(210) 및 축경부(220) 각각의 산부(211,221)에는 함입부가 형성되지 않고, 원래의 관경부(210)의 골부(212)에 제2함입부(212a)가 형성되고, 축경부(220)의 골부(222)에 제1함입부(222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함입부(222a)와 제2함입부(212a)는 각각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도 17의 제1함입부(222b)와 제2함입부(212b)와 같이 U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1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평활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주름관과 달리 외주면에 산과 골이 없이 평탄한 평활관(300)의 파이프로 예시된 것이다.
즉, 원래의 관경부(310)와 이 보다 관경이 축소된 축경부(3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된 평활관(300)으로서, 축경부(320)의 상면에 제1함입부(32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경부(320)의 원둘레 방향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310)의 상면에는 평활관(300)의 내측면을 향한 부위가 제1함입부(320a)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입된 제2함입부(310a)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함입부(320a)와 제2함입부(310a) 사이의 접경 부위, 즉 축경부(320) 측과 원래의 관경부(310) 측에서 2열로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지면 축경부(320)가 원래의 관경부(310)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1함입부(320a)에 제2함입부(310a)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원래의 관경부(110,210,310)에 접하는 축경부(120,220,320)의 접경 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재단된 상태에서 축경부(120,220,320)가 원래의 관경부(110,210,310)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가 결합되거나 제1돌출홈부와 제2돌출홈부가 결합됨으로써 원하는 관경의 파이프가 완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파이프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S)의 외주면에 파이프의 내주면이 면접촉으로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이프는 냉난방 배관의 보온/보냉재 마감용 관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파이프의 내부에 수용될 수용물의 크기에 대응하는 폭의 축경부(120,220,320)를 갖는 파이프를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에 적용을 할 수가 있다.
또, 제1함입부(121a,221a,321a)와 제2함입부(111a,211a,311a) 또는 제1돌출홈부(121d,121e)와 제2돌출홈부(111d,111e)에 의한 결합력이 매우 강할 뿐 아니라, 재단된 부위가 결합된 이후에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된 원래의 관경부(110,210,310)의 원둘레 방향 양단을 핫 멜트형 접착제로 접합시키거나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키면 접합부의 접합력이 더욱 강하게 유지됨으로써, 주름관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길이가 긴 파이프, 예를 들어 주름관(100,200)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다음에 절개된 부위를 벌려서 수용물(S)을 삽입하는 경우, 관경이 일정한 주름관에 비해 축경부(120,220)를 가진 본 발명의 주름관(100,200)은 절개된 부위를 벌리는 힘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므로, 주름관(100,200)의 뒤틀림이나 좌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름관(100,200)의 성형 공정에서 성형 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를 통해 주름관(100,200) 내부로 수용물(S)을 통과시켜 성형된 주름관(100,200)의 내부에 수용물(S)을 수용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이 단순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는, 냉난방 배관의 보온/보냉재 마감용 관을 비롯하여 공조기의 냉매 이송용 관이나 전선 보호관 등 다양한 종류의 관에 적용이 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 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주름관을 압출 성형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 압출기의 토출구가 성형 몰드의 변곡점 위치에서 성형 몰드의 밖으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파이프의 내주면 측에서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의 형성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파이프에서 축경부가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파이프 내부에 수용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로부터 축경부가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 3의 확대도에 대응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파이프에서 재단선의 위치에 따른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의 결합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파이프의 내부에서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의 형성 부위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파이프에서 축경부가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 13의 확대도에 대응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평활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주름관
110,210,310 : 원래의 관경부
111,121,211,221 : 산부
111a,111a',111a'',111b,111c,211a,,212a,310a : 제2함입부
111d,111e : 제2돌출홈부
121d,121e : 제1돌출홈부
112,122,212,222 : 골부
121a,121a',121a'',121b,121c,221a,222a,320a : 제1함입부
120,220,320 : 축경부
300 : 평활관
S : 수용물

Claims (21)

  1.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산부 측면부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 측면부에는 상기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는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일측면부에만 1∼10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함입부는 상기 원래의 관경부 산부의 일측면부에만 1∼10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는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양측면부에 1∼10개씩 형성되고, 상기 제2함입부는 상기 원래의 관경부 산부의 양측면부에 1∼10개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2함입부는 각각 U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2함입부는 각각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에 대한 재단은 상기 축경부 측과 상기 원래의 관경부 측에서 각각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7.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산부 측면부에는 축경부의 내부에서 홈 형태를 가지면서 축경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1돌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 측면부에는 상기 제1돌출홈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돌출홈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2돌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홈부와 제2돌출홈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절개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돌출홈부가 상기 제2돌출홈부에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홈부는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일측면에만 1∼10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홈부는 상기 원래의 관경부 산부의 일측면에만 1∼10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홈부는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양측면에 1∼10개씩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홈부는 상기 원래의 관경부 산부의 양측면에 1∼10개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홈부와 상기 제2돌출홈부는 각각 관 내부에서 보았을 때 U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홈부와 상기 제2돌출홈부는 각각 관 내부에서 보았을 때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홈부와 상기 제2돌출홈부 사이의 접경 부위에 대한 재단은 상기 축경부 측과 상기 원래의 관경부 측에서 각각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3.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산부 상면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산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산부 상면에는 상기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4. 원둘레에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 주름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골부 상면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골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골부에는 상기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5. 평활관으로서, 원래의 관경부 보다 관경이 감소된 축경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의 상면에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이 제1함입부의 원둘레 방향 연장선상에 있는 원래의 관경부의 상면에는 제1함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함입부와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가 재단된 상태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져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축경부의 제1함입부에 상기 제2함입부가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2함입부는 각각 원둘레 방향을 따라 1∼10개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2함입부는 각각 U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2함입부는 각각 V자형 단면의 노치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19.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2함입부 사이의 접경 부위에 대한 재단은 상기 축경부 측과 상기 원래의 관경부 측에서 각각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20.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의 호의 길이는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원주길이(직경×3.14) 대비 3∼30%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21.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중 어 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가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내주면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원래의 관경부의 원둘레 방향 양단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KR1020090105391A 2009-11-03 2009-11-03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KR10095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391A KR100952696B1 (ko) 2009-11-03 2009-11-03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391A KR100952696B1 (ko) 2009-11-03 2009-11-03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696B1 true KR100952696B1 (ko) 2010-04-13

Family

ID=4221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391A KR100952696B1 (ko) 2009-11-03 2009-11-03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6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09B1 (ko) 2010-05-18 2012-11-28 정민화 균일한 내경을 갖는 결합식 파이프
KR101237918B1 (ko) * 2010-05-18 2013-02-28 정민화 제작이 용이한 결합식 파이프
KR20160036234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다산 에어컨의 배관재 삽입용 주름관
KR20180087625A (ko) 2017-01-25 2018-08-02 김준래 분리형 주름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9440A1 (de) 1997-02-14 1998-08-19 FRÄNKISCHE ROHRWERKE, GEBR. KIRCHNER GmbH &amp; Co. Kunststoffwellrohr mit einem Längsschlitz
US6034329A (en) 1996-09-03 2000-03-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rrugated tube and an automatic wire-loading device therefor
JP2000224727A (ja) 1999-01-29 2000-08-11 Yazaki Corp 筒状保護具
JP2004040953A (ja) 2002-07-05 2004-02-05 Mirai Ind Co Ltd ケーブル保護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4329A (en) 1996-09-03 2000-03-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rrugated tube and an automatic wire-loading device therefor
EP0859440A1 (de) 1997-02-14 1998-08-19 FRÄNKISCHE ROHRWERKE, GEBR. KIRCHNER GmbH &amp; Co. Kunststoffwellrohr mit einem Längsschlitz
JP2000224727A (ja) 1999-01-29 2000-08-11 Yazaki Corp 筒状保護具
JP2004040953A (ja) 2002-07-05 2004-02-05 Mirai Ind Co Ltd ケーブル保護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09B1 (ko) 2010-05-18 2012-11-28 정민화 균일한 내경을 갖는 결합식 파이프
KR101237918B1 (ko) * 2010-05-18 2013-02-28 정민화 제작이 용이한 결합식 파이프
KR20160036234A (ko)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다산 에어컨의 배관재 삽입용 주름관
KR20180087625A (ko) 2017-01-25 2018-08-02 김준래 분리형 주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696B1 (ko) 원둘레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파이프
EP1295062B1 (en) Flexible tube comprising a variable stiffness bellows
WO2019022599A1 (en)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TO A PIPE AND METHOD OF FORMING THE COUPLING DEVICE
US9869413B2 (en) Clamping ring
CN102470061B (zh) 用于制造止血塞的压力机
CN101243280A (zh) 管接头
CN208587625U (zh) 用于将管联接到管配件的压缩套环和联接组件
KR100739891B1 (ko)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JPWO2016132915A1 (ja) 網目状樹脂成形品及び網目状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N110462274A (zh) 压套
US696948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ipe termination box from thermoplastic material
KR101205992B1 (ko) 우수한 결합력을 갖는 결합식 파이프
KR101471123B1 (ko) 다관절 맨드릴 및 다관절 맨드릴을 이용한 타원형 벤딩관의 제조방법
KR101442801B1 (ko) 에어컨의 배관재 삽입용 주름관
US9273881B2 (en)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and tool for its manufacture
KR101237918B1 (ko) 제작이 용이한 결합식 파이프
US20170051861A1 (en) Pipe coupling structure
JP2007255542A (ja) 高耐圧ホースの製造方法
KR101206109B1 (ko) 균일한 내경을 갖는 결합식 파이프
JP6522965B2 (ja) 流体遮断用バック及び流体遮断装置
EP30771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bell joint
KR101794867B1 (ko)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KR101158308B1 (ko) 실링과 스톱퍼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0409574Y1 (ko) 합성수지관 마감부재
JP2023529795A (ja) ホース、ホースアセンブリおよびホース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対応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