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529B1 -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529B1
KR100952529B1 KR1020070137360A KR20070137360A KR100952529B1 KR 100952529 B1 KR100952529 B1 KR 100952529B1 KR 1020070137360 A KR1020070137360 A KR 1020070137360A KR 20070137360 A KR20070137360 A KR 20070137360A KR 100952529 B1 KR100952529 B1 KR 10095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et
strength
pet fil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635A (ko
Inventor
김상필
홍성희
강봉진
강인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5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29C55/02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of preformed plates or sheets coated with a solution, a dispersion or a melt of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PET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비 및 연신온도를 최적화함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두께에서도 필름에 구멍이 잘 나지않는 특성인 필름의 돌자 강도(Stick Strength)를 향상시킨 강인성 PET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의 제조 방법은 무입자 PET 칩과 실리카 입자(SiO2) 함유 PET 칩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PET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두께는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연신비를 증가시키고, TD 열고정 온도는 낮추고, 제막 후 물,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 및 멜리민(melamine)계 경화제로 구성되는 도막제로 막의 일면을 도막하여 제조함으로, MD 인장강도 30Kgf/㎟ 이상이고, TD 인장강도 28Kgf/㎟ 이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MD 인장강도를 30Kgf/㎟ 이상 그리고 TD 인장강도를 28Kgf/㎟ 이상 증진시켜 종래의 필름에 비하여 돌자강도가 월등하게 향상되어 딱딱한 스낵류와 같은 과자 제품의 포장에 사용되어도 포장지가 찢어지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유용하게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PET, 필름, 돌자강도, 식품포장.

Description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PET film improving stick strength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식품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PET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비 및 연신온도를 최적화함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두께에서도 필름에 구멍이 잘 나지않는 특성인 필름의 돌자 강도(Stick Strength)를 향상시킨 강인성 PET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포장용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 포장용 PET 필름의 경우에는 이들 포장용 PET 필름 용기에 수납되어 지는 식품이 딱딱한 스낵류와 같은 과자 제품의 경우 이들 제품을 포장용기에 담을 때, 이들 제품에 의해 포장용기의 필름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경우가 발생되어 제품 포장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절실하게 요구되어 오고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측면으로 시도되었는데, 이들 문제점을 가장 간단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필름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서 필름의 강도를 증진시켜 상기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단순히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포장원가비용이 증가하고 재활용 부담 비용도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두께를 증진하지 않는 것으로 제시된 새로운 해결책으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8-0704592호는 "2축배향폴리에틸렌필름"이라는 명칭으로 "에틸렌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고, 공단량체 분포 폭 인덱스(CDBI)가 50%를 초과하고, C3-C20 알파-올레핀 공단량체의 함량이 0 내지 6.0 몰% 이며, 밀도가 0.915 g/cc 이상인 열가소성 에틸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2축 배향 필름 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개시하면서, 상기한 필름의 2축 배향은 투명도, 강성도, 다트 드롭 충격, 파열 저항성, 및 수축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인장 강도 또한 증가시켜, 이러한 제품 필름은 수축 포장, 겉포장으로서, 그리고 스낵 및 곡식과 같은 건조 포장 등의 적용에 유용하다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발명에 따라 얻어진 필름은 강성도가 증가되었다고는 하지만, 딱딱한 제품을 수납하여 포장 시 포장지가 찢어지는 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 분야의 현재 상황을 감안할 때 식품포장 등에 있어서 포장지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두께에서도 포장지의 찢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여전히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현재 사용되는 두께에서도 필름에 구멍이 잘 나지않는 특성인 필름의 돌자 강도(Stick Strength)를 향상시킨 강인성 PET 필름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한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 이에 의해 돌자강도가 월등히 향상된 필름을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필름이 잘 찢어지지 않는 특성인 필름의 돌자 강도가 월등하게 향상된 강인성 PET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포장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필름이 잘 찢어지지 않는 특성인 필름의 돌자 강도가 월등하게 향상된 강인성 PET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PET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연신비는 높이고, TD 열고정 온도는 낮추어 MD, TD 방향의 연신을 극대화함으로서, MD 인장강도 30Kgf/㎟ 이상, TD 인장강도 28Kgf/㎟ 이상으로 돌자강도를 향상시킨 강인성 PET 필름을 얻음으로 달성할 수 있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의 제조 방법은;
무입자 PET 칩과 실리카 입자(SiO2) 함유 PET 칩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PET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통상 PET 필름의 두께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연신비를 통상 PET 필름에 비하여 2 내지 10% 증가시킨 4.5 내지 5.0배로 하고, TD 열고정 온도는 통상 PET 필름의 열고정 온도에 비하여 5 내지 30℃ 낮춘 200 내지 250℃로 하고, 제막 후 물,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 및 멜리민(melamine)계 경화제로 구성되는 도막제로 막의 일면을 도막하여 제조함으로, MD 인장강도 30Kgf/㎟ 이상이고, TD 인장강도 28Kgf/㎟ 이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PET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5㎛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은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각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은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MD 및 TD 연신비를 높이고, TD 열고정 온도는 낮추어 MD, TD 방향의 연신을 극대화하고, 특정한 코팅물질로 코팅함에 의하여 MD 인장강도를 30Kgf/㎟ 이상 그리고 TD 인장강도를 28Kgf/㎟ 이상 증진시켜 종래의 필름에 비하여 돌자강도를 월등하게 향상시킨 강인성 PET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강인성 PET 필름은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필름이 잘 찢어지지 않는 특성인 필름의 돌자 강도가 월등하게 향상되어 딱딱한 스낵류와 같은 과자 제품의 포장에 사용되어도 포장지가 찢어지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유용하게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무입자 PET 칩 88kg과 입자크기 2.4㎛의 실리카 입자(SiO2)를 0.76% 함유하는 PET 칩을 12kg 준비하여 이들 칩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PET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제조 조건은 라인 스피드, 적하비율 및 CA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종 방향 연신비는 총 4 단계를 통해 각 단계에서 1.0 내지 2.6으로 하여 총 연신비를 4.71로 하였으며, 이때의 온도는 약 70℃ 내지 115℃로 하였으며, B-시트 폭은 1780mm로 하였다. 다음으로 횡방향(TD)의 열고정 온도는 215℃를 넘지 않는 온도 내에서 수행하였으며, 횡방향(TD) 연신을 7190mm 까지 연신하여, 두께 12㎛의 필름으로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필름의 일 면 상에 순수 92.26%,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인 TR-620K(상품명) 7.60% 및 멜리민(melamine)계 경화제인 MW-12LF 0.14%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얻은 도막제를 코팅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식품 포장용 PET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무입자 PET 칩 88kg과 입자크기 2.4㎛의 실리카 입자(SiO2)를 0.76% 함유하는 PET 칩을 12kg 준비하여 이들 칩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PET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제조 조건은 라인 스피드, 적하비율 및 CA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종 방향 연신비는 총 4 단계를 통해 각 단계에서 1.04 내지 2.45로 하여 총 연신비를 4.27로 하였으며, 이때의 온도는 약 70℃ 내지 113℃로 하였으며, B-시트 폭은 1780mm로 하였다. 다음으로 횡방향(TD)의 열고정 온도는 100 내지 240℃ 내에서 수행하였으며, 횡방향(TD) 연신을 7120mm 까지 연신하여, 두께 12㎛의 필름으로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필름을 권취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PET 필름에 대하여 후도, 돌자강도, 열수축율, 강도, 신도, 탄성율, 면배향도 및 헤이즈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두께 평균 12 12
돌자강도 (Stick Strength) N 3.7 5.0
열수축율 150℃ MD 1.4 3.1
30분 TD 0.0 1.8
190℃ MD 2.6 8.4
20분 TD 0.0 6.6
강도 MD Kgf/㎟ 25 34
TD 20 30
신도 MD % 120 108
TD 152 118
탄성율 MD Kgf/㎟ 503 513
TD 477 528
면배향도(fn) 0.157 0.166
헤이즈(HAZE) % 3.5 3.0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PET필름은 MD 인장강도가 34Kgf/㎟이고, TD 인장강도가 30Kgf/㎟이며, 돌자강도가 5.0N으로 종래의 필름에 비하여 강인성이 월등히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무입자 PET 칩과 실리카 입자(SiO2) 함유 PET 칩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PET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5㎛로 되도록 하면서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연신비를 4.5 내지 5.0배로 하고, TD 열고정 온도는 200 내지 250℃로 하고, 제막 후 물,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 및 멜리민(melamine)계 경화제로 구성되는 도막제로 막의 일면을 도막하여 제조함으로, MD 인장강도 30Kgf/㎟ 이상이고, TD 인장강도 28Kgf/㎟ 이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항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PET 필름.
KR1020070137360A 2007-12-26 2007-12-26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60A KR100952529B1 (ko) 2007-12-26 2007-12-26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60A KR100952529B1 (ko) 2007-12-26 2007-12-26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35A KR20090069635A (ko) 2009-07-01
KR100952529B1 true KR100952529B1 (ko) 2010-04-12

Family

ID=4132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60A KR100952529B1 (ko) 2007-12-26 2007-12-26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471B1 (ko) * 2009-12-28 2015-12-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인장신도를 개선한 고신도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5264B1 (ko) * 2010-09-02 2012-01-17 (주)레이나 Cmp 공정 중 연마 완료 시점 검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05A (ko) * 1990-12-18 1992-07-25 이수환 도포층 함유 고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00006326A (ko) * 1998-06-22 2000-01-25 구기사와 도시로 2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
KR20010054059A (ko) * 1999-12-03 2001-07-02 구광시 표면처리 이축연신 필름
JP2003261701A (ja) 2002-02-21 2003-09-19 Toray Plastics (America) Inc 耐スクラッチ表面を有する熱可塑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205A (ko) * 1990-12-18 1992-07-25 이수환 도포층 함유 고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00006326A (ko) * 1998-06-22 2000-01-25 구기사와 도시로 2축배향폴리에스테르필름
KR20010054059A (ko) * 1999-12-03 2001-07-02 구광시 표면처리 이축연신 필름
JP2003261701A (ja) 2002-02-21 2003-09-19 Toray Plastics (America) Inc 耐スクラッチ表面を有する熱可塑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35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329B1 (ko) 상용화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락트산 혼합물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
US10040261B2 (en) Polyethylene useful for producing film and molded articles in a process which uses solid state stretching
PL194279B1 (pl) Poliolefinowa wielowarstwowa taśma, przędza lub błona poliolefinowa, sposób jej wytwarzania, tkany lub włóknisty kompozyt oraz materiał złożony
KR102601041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JP7367675B2 (ja) 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包装袋
KR102091593B1 (ko) 자원순환성 적층필름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친환경 롤백, 1회용 식탁보 및 1회용 장갑
US10967552B2 (en) Void-containing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20161357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KR100952529B1 (ko) 돌자 강도를 향상한 강인성 피이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8895103B2 (en) Shrinkabl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4245532A1 (en) Polypropylene multi-layer sheet
CN105658706B (zh) 尼龙膜
KR20220161367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JPH0424220B2 (ko)
CN104520362B (zh) 模内标签用聚丙烯薄膜
JPH075758B2 (ja) 高密度ポリエチレン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32061A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포장체
KR102620810B1 (ko)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9206B1 (ko) 인쇄성이 향상된 통기성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성이 향상된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0370265B1 (ko) 무광 적층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TWI631165B (zh) 含空洞聚丙烯膜
KR102648996B1 (ko) 내열성 및 투명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3226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재질의 투명층을 포함하는 비닐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4245533A1 (en) Multilayered polypropylene sheet
JPH08300470A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