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883B1 - 필름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883B1
KR100951883B1 KR1020070114867A KR20070114867A KR100951883B1 KR 100951883 B1 KR100951883 B1 KR 100951883B1 KR 1020070114867 A KR1020070114867 A KR 1020070114867A KR 20070114867 A KR20070114867 A KR 20070114867A KR 100951883 B1 KR100951883 B1 KR 10095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lm
tension
uni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814A (ko
Inventor
김용언
Original Assignee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filed Critical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Priority to KR102007011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8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송장치는 전방롤러에 권취된 필름이 권출되어 용액이 담겨진 처리조를 통과하여 후방롤러에 권취되는 필름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 상기 상부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롤러에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처리조의 용액에 담겨지는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롤러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장력조절부재,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상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부재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장력조절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동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도금처리중인 필름이 항상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필름 전체 면을 균일하게 도금처리할 수 있는 필름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이송장치, 장력조절부재, 제어부, 롤러

Description

필름이송장치{Apparatus for Trasnfering Film}
본 발명은 필름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도금, 에칭 및 세척등의 처리를 하는 것으로 도금처리중 필름의 장력을 항상 유지시켜 구리가 필름에 균일한 두께로 도금될 수 있도록 필름의 변형을 최소화 하면서 일정하게 필름을 처리를 할 수 있는 필름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해도금처리는 장식이나 표면보호뿐만 아니라 전기·전자재료의 가공처리등 여러가지 분야에 있어서 활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전기·전자재료분야에서,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계열인 폴리이미드 필름의 전체 면적에 구리로 도금을 하는 필름이송장치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 구리도금 필름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 구리도금 필름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이송장치(100)는 용액이 담겨진 처리조(110), 처리조(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롤러(120)(편의상 도 1의 좌측편을 전방으로 본다.), 처리조(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롤러(130)(편의상 도 1의 우측편을 후방으로 본다.), 처리조(110)의 상단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롤 러(140), 필름의 장력을 보조하기 위해 전방롤러배후에 배치되는 제1보조롤러(150), 제1보조롤러와 상부롤러사이 하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보조롤러(160), 상부롤러(140)의 이격된 공간에서 하향으로 처리조(110)의 하부에 고정배치되는 하부롤러(170)와 처리조(110)의 상단 측면에 배치되는 구동부(180)로 구성된다.
구동부(180)는 처리조(110)의 상단 전방롤러(120) 또는 후방롤러(130)측에 배치되는 모터(181),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벨트(182)에 의해 모터(181)와 연결되어 처리조(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로드(183)와 로드(183)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상부롤러(140)에 전달시키는 기어(184)로 구성된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폴리이미드 필름에 스퍼터링방법으로 구리 시드층이 형성된다. 그 다음 전방롤러(120)에 권취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제1보조롤러(150)를 거치면서 점점 팽팽해지고, 회동가능한 제2보조롤러(160)를 거치면서 장력이 유지된다. 즉, 전방롤러(120)가 빨리 회전되어 필름이 많이 풀리게 되어 느슨해지면 제2보조롤러(160)가 필름의 느슨해진 정도에 맞추어 하향으로 이동되어 필름의 장력이 유지된다.
모터(181)의 구동력은 벨트(182)에 의해 로드(183)에 전달되고 로드(183)에 설치된 기어(184)에 의해 상부롤러(14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구동력은 모든 상부롤러(140)에 동일하게 전달되어 필름은 상부롤러(140)를 거쳐 처리조(110)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롤러(17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필름이 처리조(110)를 통과하면 캐소드전극 역활을 하는 상부롤러(140)와 하부롤러(170)사이에 배치된 애노드전 극에 의해서 구리가 필름의 한쪽면 전체에 도금이 되어 후방롤러(130)에 권취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상부롤러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나 기어의 마모등 여러사정에 의해 상부롤러의 속도차이가 생기면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기 어려워 필름의 표면에 도금된 구리의 균일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하부롤러는 처리조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어 필름이 많이 풀리게 되는 경우 하부롤러를 따라 돌던 필름이 하부롤러와 떨어져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관계는 유기적인 관계가 아니므로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아 필름의 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이송장치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서 상부롤러 전체를 구동시키므로 구동력을 상부롤러에 전달시키기 위해서는 기어가 필요하고 기어끼리 맞물려있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기어가 마모되고 결국은 기어를 교체할 수 밖에 없어 기어를 교체하는 동안 작업이 중단되고 시간이 낭비되며 수리비용 및 교체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상부롤러마다 모터를 배치하여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각각의 상부롤러를 컨트롤하여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므로써 필름에 균일한 도금을 처리하는 필름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부롤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하부롤러가 필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는 필름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각의 상부롤러마다 모터를 배치할 뿐만 아니라 하부롤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필름의 장력이 느슨해지거나 너무 팽팽해지면 하부롤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작동하여 상부롤러에 있는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일련의 시스템으로써 항상 필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필름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각의 상부롤러마다 모터를 배치하므로써 기어마모에 의한 수리 및 교체로 인한 작업중단, 시간낭비와 비용낭비를 줄일 수 있는 필름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방롤러에 권취된 필름이 권출되어 용액이 담겨진 처리조를 통과하여 후방롤러에 권취되는 필름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 조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롤러에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처리조의 용액에 담겨지는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롤러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상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부재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장력조절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동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하향되면 하향된 장력조절부재의 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향되면 상향된 장력조절부재의 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감소시켜 항상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처리조의 내측 측벽에 상기 장력조절부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하부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와 맞닿아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무게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조절부는 처리조의 용액에 담겨져있는 상기 하부롤러의 양측 상향으로 상기 처리조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블럭, 상기 하부롤러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 배치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와 상기 하부롤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럭의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르레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각각의 상기 상부롤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상부롤러마다 모터를 배치하여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각각의 상부롤러를 컨트롤하여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므로써 필름에 균일한 도금을 처리하는 필름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하부롤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하부롤러가 필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는 필름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처리조의 상단에 각각의 상부롤러마다 모터를 배치할 뿐만 아니라 장력조절부재는 항상 하향으로 향하여 필름이 상하로 이동할 때 필름을 따라서 상하 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필름의 장력이 느슨해지거나 너무 팽팽해지면 상하로 이동된 장력조절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작동하여 제어부를 통해 상부롤러에 있는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일련의 시스템으로 항상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필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안정하게 필름을 이송할 수 있는 필름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상부롤러마다 모터를 배치하므로써 기어마모에 의한 수리 및 교체로 인한 작업중단, 시간낭비와 비용낭비를 줄일 수 있는 필름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편의상 도면의 좌측을 전방으로 도면의 우측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이송장치(1)는 용액이 담겨진 처리조(10), 처리조(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롤러(20), 처리조(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롤러(30), 전방롤러(20)와 처리조(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보 조롤러(41,42), 상기 처리조(10)의 상단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롤러(50), 상부롤러(5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60), 하부롤러를 포함하여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조절부재(70), 장력조절부재(70)의 상하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80), 센서부(80)와 연결되어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로 구비된다.
처리조(1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바닥에 밀착되며, 내부에 후술할 장력조절부재(70)의 상하이동을 돕는 가이드 부(11)가 설치된다. 처리조(10)의 측면에 처리조(10)를 지지하는 막대가 부착되고, 처리조(10)의 내부에 도금처리에 필요한 용액이 마련된다. 가이드 부(11)는 처리조(10)의 내측 양측벽에 후술할 장력조절부재(7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전방롤러(20)는 전방롤러(20)만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필름이송장치의 전방(도면에서 좌측)에 설치된다. 전방롤러(20)에 전처리(pretreatment)된 폴리이미드 필름이 권취된 상태로 마련된다.
후방롤러(30)는 후방롤러(30)만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필름이송장치의 후방(도면에서 우측)에 설치된다. 구리가 균일하게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일정한 속도로 후방롤러(30)에 권취된다.
제1보조롤러(41)는 후술할 상부롤러(50)와 같은 프레임상에 배치되며 전방롤러(20)로부터 폴리이미드 필름이 잘 풀려나올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제2보조롤러(42)는 제1보조롤러(41)와 상부롤러(50)사이 하향으로 처리조(10)의 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폴리이미드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상부롤러(50)는 처리조(10)의 상단에 상부롤러(50)와 제1보조롤러(41)를 안착시키는 블럭이 형성된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부롤러(50)는 이격되게 형성된 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각각의 상부롤러(50)에 구동부(60)가 마련되고, 후술할 제어부(90)를 통하여 구동부(60)의 속도를 조절하므로써 상부롤러(50)마다 회전수를 달리하여 필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제어하기 쉬운 모터가 바람직하다. 후술할 제어부(90)의 통제를 받는 모터는 각각의 상부롤러(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조 내부의 장력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조절부재(70)는 상부롤러(50)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며, 처리조(10)의 용액에 담겨진 하부롤러(71), 하부롤러(71)를 지지하며 가이드 부(11)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사각형의 프레임(72), 장력조절부재(70)에 무게를 더 할 수 있는 무게조절부(73), 프레임(72)의 양측에 배치되는 이동부(74)와 프레임(72)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센서에 대응되는 감지부(75)를 포함한다.
하부롤러(71)는 프레임(7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롤러(50)와 함께 필름을 자연스럽게 이동시킨다. 프레임(72)은 내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하단에 하부롤러(71)가 설치된다. 무게조절부(73)는 웨이트부(73a)와 무게추(73b)로 구분된다. 웨이트부(73a)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무게추(73b)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웨이트부(73a)는 프레임(72)의 개구부 하부와 하부롤러(71)의 상향사이에 배치되어 하부롤러(71)의 무게가 가벼워 하부롤러(71)가 부력에 의해 용액 위로 상승하려고 할 때 장력조절부재(70)를 하강시켜 하부롤러(71)를 용액의 하부로 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동부(74)는 프레임(72)의 측면에 배치되고 가이드 부(11)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즉, 안전하게 장력조절부재(7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72)의 양측면에 이동부(74)가 다수개가 설치되며, 이동부(74)의 단부는 장력조절부재(70)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위해 바퀴형태인 원형으로 마련된다. 감지부(75)는 프레임(72)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할 센서부(80)에 대응된다. 감지부(75)의 상하이동에 의해 장력조절부재(70)의 상하이동이 감지되어 후술할 제어부(90)에 입력이 되면 자동제어시스템으로 구동부의 속도를 조절하므로써 상부롤로(50)와 하부(71)롤러간에 균형을 이루어서 필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센서부(80)는 처리조(10)의 상단에 장력조절부재(70)의 감지부(75)와 대응되게 마련된다. 센서부(80)의 측면으로 감지부(75)의 하강을 막아주는 스톱퍼가 배치되며, 센서부(80)는 감지부(75)의 상승 및 하강을 감지하여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90)에 전달한다.
제어부(90)는 처리조(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센서부(80)에서 입력되는 장력조절부재(70)의 상하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받아 구동부(60)의 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부롤러(5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즉, 장력조절부재(70)가 하향되면 제어부(90)는 구동부(60)의 속도를 제어하여 전방롤러(20)측 상부롤러(50)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후방롤러(30)측 상부롤러(50)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필름이송장치를 도금장치에 적용한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작용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0)에 구리이온이 마련된 용액이 형성된 후, 전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권취된 상태로 전방롤러(20)에 설치되고, 필름의 시작부분은 상부롤러(50)와 하부롤러(71)를 거쳐 후방롤러(30)에 연결되어 필름의 장력이 유지된다.
다음으로 작업이 시작되어, 처리조(10)의 내부에 욕전압이 가해지면, 캐소드 기능을 하는 상부롤러(50)와 용액의 필름 사이에 마련된 애노드 전극에 의해서 필름의 표면에 구리이온이 흡착되어 도금이 시작된다. 이때 전방롤러(20)가 회전하면서 필름은 제1보조롤러(41)를 거치게 되고, 회동가능한 제2보조롤러(42)의 자체무게에 의해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는데 도움이 된다. 제2보조롤러(42)를 거친 필름은 상부롤러(50)를 거쳐 처리조(10)의 내부에 있는 하부롤러(71)로 전달된 후 다시 상부롤러(50)와 하부롤러(71)를 번갈아 가면서 후방롤러(30)에 권취된다. 즉, 필름은 전방롤러(20)로부터 나와서 제1 및 제2보조롤러(41,42)를 거치며 구동부(6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는 상부롤러(50)와 상하로 이동하는 장력조절부재(70)의 하부롤러(71)를 거치며 장력이 유지된다.
그러나 이때 어떤 이유에서건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경우, 즉 장력조절부재(70)가 용액에서 상승하는 경우에는 장력조절부재(70)의 감지부(75)가 상승하게 되어 센서부(80)가 상승된 감지부(75)를 감지한다. 센서부(80)에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90)로 이동되고, 이때 제어부(90)는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승된 장력조절부재(70)의 앞뒤에 배치된 구동부(60)의 속도를 증 가시켜 필름의 장력을 유지한다. 한편, 구동부(60)의 속도가 증가하므로써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장력조절부재(70)가 하강하여 센서부(80)가 하강된 감지부(75)를 감지한다. 이때 센서부(80)에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90)로 이동되고, 제어부(90)는 입력된 정보에 의해 하강된 장력조절부재(70)의 전방측 구동부(60)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후방측 구동부(60)의 속도를 증가시켜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정리하면, 장력조절부재(70)가 상승을 하거나 하강을 하든, 구동부(60)의 속도가 빠르거나 느려서 필름이 많이 풀리거나 조금풀려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 본 발명인 필름이송장치는 센서부(80)에서 장력조절부재(70)의 상하이동을 감지한 후, 센서부(80)의 감지된 정보가 제어부(90)에 전달되면, 제어부(90)는 구동부(60)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부롤러(50)와 하부롤러(71)간에 존재하는 필름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일련의 시스템으로 되어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 A-A'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조절부(73)는 무게추(73b)를 이용할 수 있다. 무게조절부(73)는 처리조(10)의 용액에 담겨져있는 하부롤러(71)의 양측 상향으로 처리조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블럭(76), 하부롤러(71)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무게추(73b), 무게추(73b)와 상기 하부롤러(7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8), 무게추(73b)를 흔들림없이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관(79)을 포함하며, 고정블럭(76)의 내측에 연결부 재(78)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르레(76a)가 마련된다. 센서부(80)는 가이드 관(79)에 설치되어 무게추(73b)의 상하이동을 감지한다.
제2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부롤러(71)가 상하로 이동시 무게추(73b)도 상하로 이동되어 센서부(80)는 상하로 이동하는 무게추(73b)를 감지하여 제어부(90)에 무게추(73b)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90)에서 구동부(60)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부롤러(50)의 회전수를 증감하여 필름의 장력을 유지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차이점은 무게조절부(73)가 웨이트부(73a)와 무게추(73b)로 나뉘어 지는 것이다. 무게조절부(73)가 웨이트부(73a)인 경우 하부롤러(71)가 가벼워 부력을 이겨내지 못하여 부력을 이겨내기 위해 하부롤러(71)에 웨이트부(73a)를 설치한다. 한편, 무게조절부(73)가 무게추(73b)인 경우 무거운 하부롤러(71)가 용액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처리조의 양측에 하부롤러(71)와 연결되어 있는 무게추(73b)를 설치한다.
필름이송장치(1)에 있어서, 무게조절부(73)는 웨이트부(73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게추(73b)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무게조절부(73)는 웨이트부(73a)와 무게추(73b)가 상황에 따라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품의 전방롤러부와 후방롤러부는 전공정 또는 후공정으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야에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 구리도금 필름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 구리도금 필름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내부의 장력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작용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이송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필름이송장치 10:처리조
20:전방롤러 30:후방롤러
41:제1보조롤러 42:제2보조롤러
50:상부롤러 60:구동부
70:장력조절부재 80:센서부
90:제어부

Claims (9)

  1. 전방롤러에 권취된 필름이 권출되어 용액이 담겨진 처리조를 통과하여 후방롤러에 권취되는 필름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
    상기 상부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롤러에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처리조의 용액에 담겨지는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롤러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장력조절부재;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상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력조절부재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장력조절부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동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하향되면 하향된 장력조절부재의 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향되면 상향된 장력조절부재의 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후방롤러측 상부롤러의 속도를 감소시켜 항상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처리조의 내측 측벽에 상기 장력조절부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하부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감지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와 맞닿아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무게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조절부는 처리조의 도금액에 담겨져있는 상기 하부롤러의 양측 상향으로 상기 처리조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블럭, 상기 하부롤러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 배치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와 상기 하부롤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럭의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르레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각각의 상기 상부롤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송장치.
KR1020070114867A 2007-11-12 2007-11-12 필름이송장치 KR10095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67A KR100951883B1 (ko) 2007-11-12 2007-11-12 필름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867A KR100951883B1 (ko) 2007-11-12 2007-11-12 필름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14A KR20090048814A (ko) 2009-05-15
KR100951883B1 true KR100951883B1 (ko) 2010-04-12

Family

ID=4085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867A KR100951883B1 (ko) 2007-11-12 2007-11-12 필름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58B1 (ko) 2014-04-30 2014-10-31 (주)네오피엠씨 롤러이동방식을 갖는 연속도금장치
KR101472005B1 (ko) * 2014-07-11 2014-12-24 (주)네오피엠씨 롤러이송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판도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213B1 (ko) * 2014-01-09 2019-10-04 (주)항남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05588B1 (ko) * 2014-01-09 2019-07-30 (주)항남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를 위한 모재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681083B1 (ko) 2016-06-26 2016-12-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곡면부를 포함하는 상대전극을 갖는 도금장치
KR101713652B1 (ko) 2016-07-27 2017-03-08 (주) 다쓰테크 다층금속박막 형성을 위한 박막제조장치
KR101691772B1 (ko) * 2016-08-09 2016-12-30 김동민 피도금체 연동 제어장치
KR102008447B1 (ko) * 2017-06-09 2019-08-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전도성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81733B1 (ko) * 2018-11-28 2020-11-24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조 내 스트립의 체류 길이 조절 장치
CN109930306A (zh) * 2019-03-14 2019-06-25 珠海运控瑞奇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物料张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004A (ja) 1997-08-27 1999-03-02 Techno Oote:Kk 巻取装置
JP2001048388A (ja) * 1999-08-12 2001-02-20 Fuji Photo Film Co Ltd ダンサロール機構およびこれを組み込むウェブ搬送装置
JP2001213557A (ja) * 2000-02-03 2001-08-07 Murata Mfg Co Ltd 長尺フィルムの搬送装置及び長尺フィルムの搬送方法
KR20060059420A (ko) * 2004-11-29 2006-06-02 (주)이엔지코리아 액정패널의 백라이트용 필름 적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004A (ja) 1997-08-27 1999-03-02 Techno Oote:Kk 巻取装置
JP2001048388A (ja) * 1999-08-12 2001-02-20 Fuji Photo Film Co Ltd ダンサロール機構およびこれを組み込むウェブ搬送装置
JP2001213557A (ja) * 2000-02-03 2001-08-07 Murata Mfg Co Ltd 長尺フィルムの搬送装置及び長尺フィルムの搬送方法
KR20060059420A (ko) * 2004-11-29 2006-06-02 (주)이엔지코리아 액정패널의 백라이트용 필름 적층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58B1 (ko) 2014-04-30 2014-10-31 (주)네오피엠씨 롤러이동방식을 갖는 연속도금장치
KR101472005B1 (ko) * 2014-07-11 2014-12-24 (주)네오피엠씨 롤러이송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판도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14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883B1 (ko) 필름이송장치
CN106119919B (zh) 镀敷设备、镀敷方法和转换用于可拆卸地保持基板的基板保持器的姿势的方法
US8007665B2 (e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movable dividers
US20040253087A1 (en) Transport apparatus
CN106149031B (zh) 镀敷设备
KR101533212B1 (ko) 스나우트의 댐 레벨 유지장치
KR20140025578A (ko) 플렉서블 기판 처리 디바이스
JP2004028218A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ーン歯飛び防止装置
KR101596147B1 (ko) 용탕의 드로스 및 슬러지 자동 제거장치
KR101510779B1 (ko) 오일 제거 효율 개선을 위한 오일 스키머
JP3164511U (ja) ハンガー交換装置
KR100975914B1 (ko) 초전도 선재의 권선 장치
US4975723A (en) Paper-processing control apparatus
KR101027153B1 (ko) 인쇄기의 배출용지 적재장치
JP2014014757A (ja) レンズ染色装置およびレンズ製造方法
KR101675953B1 (ko) 버킷 엘리베이터형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 피더
KR100956614B1 (ko) 슬러지 균등 공급장치
JP6521642B2 (ja) バレルめっき装置
JP6054717B2 (ja) 加工装置用ロール送り機構及び加工装置
JP2014094825A (ja) 処理剤液塗布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207498495U (zh) 一种布基软材水平化镀生产线
KR20170083260A (ko) 체인 장력 자동 조절 장치가 구비된 장방형 비금속 슬러지 수집기
CN109592465A (zh) 离型膜接料缓冲架
JP4244634B2 (ja) 搬送装置
CN217228963U (zh) 一种夹桶升降机自动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