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708B1 -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708B1
KR100951708B1 KR1020090061915A KR20090061915A KR100951708B1 KR 100951708 B1 KR100951708 B1 KR 100951708B1 KR 1020090061915 A KR1020090061915 A KR 1020090061915A KR 20090061915 A KR20090061915 A KR 20090061915A KR 100951708 B1 KR100951708 B1 KR 10095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management information
box
identifica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철
Original Assignee
(주)유비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인포텍 filed Critical (주)유비인포텍
Priority to KR102009006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6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having provision for multiple compartments

Abstract

문서의 보관 위치별로 구분 설치되는 복수의 문서함을 포함하며,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도어가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되는 상기 문서함에 상기 문서를 보관 또는 인출하는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UTO DOCUMENT KEEP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서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한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문서'라 함은 종이에 프린트된 인쇄물이나 책, CD/DVD/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정보를 광학적 및 전자기적으로 기록한 광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정보를 담고 있는 메모리 칩 등을 포괄하는 유체물로서의 정보 매체 및 인쇄 매체를 말한다. 이러한 '문서'의 예를 들면 외부로 유출되기 쉬운 회사의 기밀 보안 문서, 도면, 회사 내부 정보를 담고 있는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메모리 칩 등이 있다.
종래에 자료의 보관 및 관리 작업이 무인 자동화된 문서 보관 시스템은 형체가 없는 무체물로서 온라인 상으로 전달 가능한 전자 문서에 한정하여 구현되고 있 는 것이 대부분이며, 전자 문서의 예를 들면 금융 기관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발급하는 공인 인증서, 전자 신용장, 전자 통장, 전자 카다록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과 같이 유체물로서 '문서'를 자동 보관하는 시스템은 하드 카피된 문서의 문서함을 가상적 공간이 아닌 현실의 공간에 설치해야해야 하고, 문서를 보관하는 폴더에 해당하는 문서함을 자동으로 억세스하고 주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문서함의 사용자 인증 및 보안 시스템을 자동화시켜야 하는 등 다양한 기술상 어려움으로 인하여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술 개발상의 어려움을 극복한 것으로, 문서를 보관하는 문서함의 잠금 장치를 전자식으로 설치하고 문서 문서함, 키오스크, 제어부 등을 온라인상의 서버와 연동하는 한편, 문서 문서함을 마치 폴더와 같이 억세스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 모두에게 원격으로 문서 보관 및 관리 작업을 무인으로 가능케 하는 자동화된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는, 문서의 보관 위치별로 구분 설치되는 복수의 문서함을 포함하며,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도어가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되는 상기 문서함에 상기 문서를 보관 또는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는 문서 보관 장치의 제어 방법은, 문서의 보관 위치별로 구분 설치되는 복수의 문서함과, 상기 각 문서함에 설치되는 로킹부를 제어하고 상기 문서함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상기 로킹부의 통신용 고유 주소와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 문서 목록을 저장하는 제어부와, 사용자 또는 관리자를 상기 제어부에 인터페이스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문서 보관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로킹부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알아내고 상기 통신용 고유 주소에 상기 문서함의 개폐 제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상기 통신용 고유 주소로부터 상기 문서함의 도어 닫힘 신호를 입수함으로써,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된 문서함에 상기 문서를 보관 또는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의 보관 위치별로 구분 설치된 문서함을 식별용 일련 번호 체계를 이용하여 억세스하고 자동으로 문서함의 로킹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문서의 보관 및 인출 과정을 무인 자동화할 수 있으며, 문서의 보관 및 인출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회사의 기밀 유지 수단으로 매우 적합하며, 문서의 분실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100)는 여러 기능 메뉴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유비쿼터스 욕구에 부흥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어 설정부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할 언어 또는 사용자 안내 음성을 설정할 수 있고, 문서함 관리부를 구비하여 로킹부(50)를 통해 문서함 개폐 동작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설정부를 구비하여 서버(200)와 연결되는 문서 보관 장치(100)의 IP 또는 DNS 관리를 웹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력 관리부를 구비하여 문서함(40)의 사용 시간이나 각 사용자별 위반 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문자 안내 정보를 발송하는 SMS부와, 휴대폰, 스마트 카드, RF ID, 지문, 생체 정보 등을 판독하여 사용자의 인증 상태를 관리하는 인증 관리부를 구비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100)는 회사나 학교의 중요한 기밀 문서 보관은 물론, 주거 시설, 업무 시설, 공공 장소, 상업 시설 등에 설치되어 관리자 없이도 문서의 보관 또는 인출 열람이 가능한 유비쿼터스(ubiquitous) 문서 관리 시스템이며, 사용자 인증 수단 등이 설치된 키오스크(kiosk, 5)를 통하여 요금 결제까지 모두 가능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100)는, 문서를 수납하는 공간이 되는 문서함(40)과, 문서함(40)을 개폐하는 로킹부(50)와, 메뉴 및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하는 키오스크(5)와, 로킹부(50) 및 키오스크(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된 문서 보관 장치(10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되어 통합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서버(20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00), 보안 솔루션 데이터베이스(400), 전자 보관 장치가 연동된다. 한편, 각 문서함(40)끼리의 연결을 포함한 문서 보관 장치(100) 내부에 대하여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부(90)가 마련되는데, 연결부(90)의 실시예로서 RS422, RS485, RS232등의 프로토콜이 채용될 수 있다.
키오스크(5)는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에 관한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 지령을 입출력하기 위한 그래픽 표시 장치로서, 사용자 인증 수단과 디스플레이부(1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문서의 보관 또는 인출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제어 명령을 제어부(70)에 입출력하는 메뉴 표시 및 사용자 지령 입력 수단이 되며, 터치 패널, 키보드 등을 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키오스크(5)는 그 밖에도 문서의 관리 정보를 담고 문서에 부착되는 바코드와 같은 식별표를 스캔하는 식별표 인식기(2) 및 식별표를 인쇄하는 식별표 출력기(3)를 구비할 수 있다. 식별표 출력기(3)에서 출력된 식별표는 스티커 형태로 문서에 부착된다.
사용자 인증 수단은 지문 인식기(30)와, 문서 보관 장치(100)의 사용 안내 음성을 송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25), RF ID, 스마트 카드, 핸드폰 등의 사용자 정보를 읽기 위한 리더기(20) 등을 구비한다.
문서함(40)은 도어(43)로 개폐되며 문서을 수납하는 공간이 되는 곳으로 복수로 배열된다. 문서함(40) 내부에는 제어부(70)와 연결되는 로킹부(50)가 마련되며, 로킹부(50)는 액츄에이터(51)에 의하여 도어(43)를 로킹시키거나 로킹 해제시 키는 스토퍼(53)와, 로킹 보드(52)를 구비한다. 로킹 보드(52)는 제어부(7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액츄에이터(51)를 구동하고 도어(43)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공장에서 출하시 자신의 고유 주소를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억하고 있는 PCB 형태의 구동 보드이다.
문서 보관 장치(100)는 중앙에 제어부(70)를 두고 RS422, RS485, RS232 통신을 사용하여 전자식 잠금 장치가 설치된 문서함(40)을 여러 개 병렬적으로 연결한 형태이다. 이때, 각 문서함(40)을 식별하기 위해서 고유의 식별용 일련 번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각 문서함(40)마다 마련되는 로킹 보드(52)의 고유 주소를 실시간으로 비교함으로써 문서함(40)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자동 설정한다. 즉, 공장 출하시 로킹 보드(52)에 자체적으로 기억된 고유 주소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문서함(40)의 일련 번호를 설정하며, 이와 같이 설정된 일련 번호에 따라 각 문서함(40)을 식별한다.
문서함(40)에는 스토퍼(53), 액츄에이터(51)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동작을 제어하며 도어 열림 상태를 감지하고 문서함(40)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여 제어부(70)와 동작 지령을 주고받는 로킹 보드(52)가 각각 설치된다. 제어부(70)로부터 도어 열림 명령이 입수되면 로킹 보드(52)는 도어(43)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여 문서함(40)을 개방한다. 문서의 수납이 완료되거나 제어부(70)로부터 도어 닫힘 명령이 입수되면 로킹 보드(52)는 스토퍼(53)를 로킹 위치로 이동시켜 문서함(40)을 폐쇄하고 도어 닫힘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한다.
로킹 보드(52)는 공장 출하시 예를 들어 4 바이트(byte)의 고유 주소가 부과되어 내부 저장 장소에 저장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문서함(40)을 이용할 때 로킹 보드(52)에 저장된 고유 주소는 전혀 알 수 없으므로 도어(43)에 부착된 식별용 일련 번호(도 1을 참조하면 1~10까지의 식별용 일련 번호가 도어(43)의 표면에 기재되어 있다)를 보고 각 문서함(40)을 구분 식별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 및 제어부(70)와 서버(200)에서도 식별용 일련 번호에 따라 문서함(40)을 구분 식별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임의의 배열로 설치되는 문서함(40)의 배치 순서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동작 지령을 입출력하기 위하여는 로킹 보드(52)의 고유 주소와 문서함(40)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이 필요하다. 제어부(70)는 해당 문서함(40)에 대한 동작 제어시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고유 주소를 갖는 로킹 보드(52)에 문서함 개폐 정보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든 문서함(40)에 대한 일련 번호의 설정시, 모든 문서함(40)의 도어(43)를 연 다음 도어(43)가 닫히는 순서대로 각 문서함(40)별 일련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스위치나 점퍼 세팅을 요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로킹부(50)가 내장된 문서함(40)을 몇 개 교체할 때 일련 번호를 새로 설정해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식별용 일련 번호의 설정 모드 진입시 모든 로킹부(50)의 고유 주소를 제어부(70)에서 입수하며, 파악된 모든 고유 주소에 도어 열림 명령을 전달하여 도어(43)를 모두 열고, 원하는 일련 번호 순서대로 도어를 순차적으로 닫은 결과 도 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는 각 도어(43)의 순서대로 제어부(70)가 각 문서함(40)별 일련 번호를 설정한다.
일련 번호 생성 완료 후, 제어부(70)는 고유 주소 및 일련 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생성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문서함(40)의 개폐 제어 명령을 로킹부(50)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의 동작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각 동작 모드별로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 등록 문서에 대한 문서 보관 모드의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어부(70)에 저장된 문서 목록에 이미 등록된 문서를 문서함(40)에 다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의 문서 보관 모드가 도시된다.
키오스크(5)의 디스플레이부(10)에 문서함 이용 안내 메뉴가 뜨면(641), 사용자는 기 등록 문서의 문서 보관 모드를 선택한다.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인증한다(642).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문서의 관리 정보를 입수한다. 관리 정보의 입수 방법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입력한 관리 정보를 입수하거나, 사용자 인증 수단에 저장된 문서 관리 정보를 입수하거나, 식별표 인식기(2)를 통하여 식별표에 저장된 문서 관리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이다. 관리 정보는 보관할 문서함(40)의 식별용 일련 번호, 문서의 종류, 문서의 보안 등급, 문서의 인출 및 열람 기록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하고자 하는 문서의 바코드와 같은 식별표를 인식하면(643), 어느 문서함(40)에 문서가 보관될 것인지 파악되고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된 식별용 일련 번호에 해당하는 문서함(40)의 도어(43)를 오픈한다(644). 그리고, 문서함(40)에 문서를 집어넣고 도어(43)를 닫는다(646). 도어 닫힘 신호가 제어부(70)로 전달되면 기 등록된 문서의 문서 보관 모드가 종료된다(646).
즉, 기 등록 문서의 문서 보관 모드시,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보관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키오스크(5)를 통하여 입수하며,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문서함(40)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40)의 로킹부(50)를 해제하여 도어(43)를 오픈시키며, 로킹부(50)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문서 보관 모드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신규 등록 문서에 대한 문서 보관 모드의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문서 목록에 등록되지 않은 신규 문서를 문서함(40)에 처음으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의 문서 보관 모드가 도시된다. 키오스크(5)의 디스플레이부(10)에 문서함 이용 안내 메뉴가 뜨면(651), 사용자는 신규 등록 문서의 문서 보관 모드를 선택한다.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인증한다(652).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키오스크(5)를 통하여 문서의 관리 정보를 입수한다(653). 관리 정보의 입수 방법은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관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 정보의 중복 여부를 체크한다(654). 관리 정보가 중복되지 않아 신규 등록 문서에 관한 관리 정보로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면 식별표 출력 기(3)를 통하여 바코드를 인쇄한다(655). 인쇄된 바코드를 문서에 부착하고 식별표 인식기(2)가 읽게 함으로써 바코드에 저장된 문서 관리 정보를 제어부(70)에 저장한다(656,657). 관리 정보에 포함된 식별용 일련 번호에 해당하는 문서함(40)의 도어(43)를 오픈한다(658). 문서함(40)에 문서를 집어넣고 도어(43)를 닫는다(659). 도어 닫힘 신호가 제어부(70)로 전달되면 신규 등록을 원하는 문서의 문서 보관 모드가 종료된다.
즉, 신규 등록하고자 하는 문서의 문서 보관 모드시,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보관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키오스크(5)를 통하여 입수하며, 문서 목록에서 관리 정보의 중복 여부를 검사하고, 문서의 관리 정보를 담은 식별표를 식별표 출력기(3)를 통하여 인쇄하며, 문서에 부착된 식별표를 식별표 인식기(2)로 스캔하여 문서의 관리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 정보에 따라 문서함(40)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며,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40)의 로킹부(50)를 해제하여 도어(43)를 오픈시키고, 로킹부(50)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문서 보관 모드를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문서 인출 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문서함(40)에 보관된 문서의 열람을 위하여 문서를 인출하는 문서 인출 모드가 도시된다.
문서 인출 모드시, 키오스크(5)의 디스플레이부(10)에 문서함 이용 안내 메뉴가 뜬다(661). 문서 인출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662), 인출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키오스크(5)를 통하여 입수한 다(663).
이때, 관리 정보 입력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하여 사용자가 문서함(40)을 선택하거나 문서 이름을 검색하거나 즐겨찾기 메뉴에서 사용자가 가상의 폴더에서 보관중인 문서 정보를 인출 대상 문서의 관리 정보로 넘겨줄 수 있다.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문서함(40)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40)의 로킹부(50)를 해제하여 도어(43)를 오픈시키며(664), 도어(43)가 오픈된 문서함(40)에서 문서를 인출하고(665), 문서함(40)에서 인출된 문서에 부착된 식별표를 식별표 인식기(2)로 스캔하여 문서의 관리 정보를 확인하고(666), 로킹부(50)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문서 인출 모드를 종료한다(667).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보관 위치 변경 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보관 위치 변경 모드는 어느 특정 문서가 보관되는 장소로서 문서함(40)을 변경하는 것이다.
보관 위치 변경 모드시, 키오스크(5)의 디스플레이부(10)에 문서함 이용 안내 메뉴가 뜬다(671). 보관 위치 변경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672), 보관 위치가 변경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5)를 통하여 입수하며(673), 상기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보관 위치 변경 전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40)의 로킹부(50)를 해제하여 도어(43)를 오픈시키며 문서를 꺼낸다(674).
꺼낸 문서를 보관하고자 하는 변경 문서함(40)의 도어(43)를 연다(675). 변 경 문서함(40)에 문서를 보관하고(676), 변경 문서함(40)의 도어(43)를 닫으며(677), 로킹부(50)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보관 위치 변경 모드를 종료한다(678).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문서 폐기 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문서 폐기 모드는 문서함(40)에 보관된 문서를 꺼내어 폐기하는 모드를 말한다.
문서 폐기 모드시 키오스크(5)의 디스플레이부(10)에 문서함 이용 안내 메뉴가 뜬다(681). 문서 폐기 모드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다(682). 폐기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5)를 통하여 입수한다(683).
상기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문서함(40)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40)의 로킹부(50)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43)를 오픈시키며 폐기 대상이 되는 문서를 꺼낸다(684). 로킹부(50)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문서 폐기 모드를 종료한다(685).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문서 보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 등록 문서에 대한 문서 보관 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신규 등록 문서에 대한 문서 보관 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문서 인출 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보관 위치 변경 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문서 폐기 모드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식별표 인식기 3...식별표 출력기
5...키오스크 10...디스플레이부(touch panel)
20...리더기(reader) 25...근접 센서
30...지문 인식기 40...문서함
43...도어(door) 50...로킹부(locking portion)
51...액츄에이터(actuator) 52...로킹 보드(locking board)
53...스토퍼(stopper) 60...상태 표시부
70...제어부 90...연결부
100...문서 보관 장치 200...서버(server)
300...사용자 데이터베이스 400...보안 솔루션 데이터베이스
500...네트워크

Claims (13)

  1. 삭제
  2. 문서의 보관 위치별로 구분 설치되며,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도어가 선택적으로 자동 개폐됨으로써 상기 문서가 보관 또는 인출되는 복수의 문서함;
    상기 도어를 자동 개폐하도록 상기 각 문서함에 설치되는 로킹부를 제어하고, 상기 문서함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상기 로킹부의 통신용 고유 주소와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 문서 목록을 저장하는 제어부;
    사용자 또는 관리자를 상기 제어부에 인터페이스하는 키오스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에 수록된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로킹부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알아내고, 상기 통신용 고유 주소에 상기 문서함의 개폐 제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상기 통신용 고유 주소로부터 상기 문서함의 도어 닫힘 신호를 입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 인증 수단, 상기 문서의 보관 또는 인출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입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를 담고 상기 문서에 부착되는 식별표를 스캔하는 식별표 인식기 및 상기 식별표를 인쇄하는 식별표 출력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문서 보관 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보관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문서함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의 로킹부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오픈시키며, 상기 로킹부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상기 문서 보관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문서 보관 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보관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문서 목록에서 상기 관리 정보의 중복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를 담은 식별표를 상기 식별표 출력기를 통하여 인쇄하며, 상기 문서에 부착된 상기 식별표를 상기 식별표 인식기로 스캔하여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문서함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며,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의 로킹부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오픈시키고, 상기 로킹부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상기 문서 보관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문서 인출 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인출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문서함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 의 로킹부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오픈시키며, 상기 문서함에서 인출된 문서에 부착된 식별표를 상기 식별표 인식기로 스캔하여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로킹부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상기 문서 인출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보관 위치 변경 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보관 위치가 변경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보관 위치 변경 전후의 복수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문서함의 로킹부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오픈시키며, 상기 로킹부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상기 문서함별로 입수되면 상기 보관 위치 변경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문서 폐기 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폐기될 문서의 관리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를 통하여 입수하며, 상기 입수된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문서함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문서함의 로킹부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오픈시키며, 상기 로킹부에서 감지되는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면 상기 문서 폐기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액츄에이터로 동작됨으로써 상기 문서함의 도어를 로킹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문서함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기억하는 로킹 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11.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용 일련 번호의 설정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킹부에 도어 열림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를 연 다음 상기 로킹부로에서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는 순서대로 각 문서함별 일련 번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
  12. 문서의 보관 위치별로 구분 설치되는 복수의 문서함과, 상기 각 문서함에 설치되는 로킹부를 제어하고 상기 문서함의 식별용 일련 번호를 상기 로킹부의 통신용 고유 주소와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 문서 목록을 저장하는 제어부와, 사용자 또는 관리자를 상기 제어부에 인터페이스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문서 보관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로킹부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알아내고 상기 통신용 고유 주소에 상기 문서함의 개폐 제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상기 통신용 고유 주소로부터 상기 문서함의 도어 닫힘 신호를 입수함으로써,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된 문서함에 상기 문서를 보관 또는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의 관리 정보는, 사용자 인증 수단, 상기 문서의 보관 또는 인출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입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서에 부착되는 식별표를 스캔하는 식별표 인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보관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90061915A 2009-07-07 2009-07-07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5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15A KR100951708B1 (ko) 2009-07-07 2009-07-07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15A KR100951708B1 (ko) 2009-07-07 2009-07-07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708B1 true KR100951708B1 (ko) 2010-04-07

Family

ID=4221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15A KR100951708B1 (ko) 2009-07-07 2009-07-07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3669A (zh) * 2015-11-30 2016-02-03 江苏金瑞金融设备有限公司 动态密码及指静脉控制多门保险箱管理系统
CN108294497A (zh) * 2017-11-16 2018-07-20 林来成 一种重要文件存取箱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959A (ja) 2002-12-12 2004-07-08 Tosho Inc 薬品類収納装置
JP2004256242A (ja) 2003-02-26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収納装置
KR20090001521A (ko) * 2007-04-23 2009-01-09 홍성춘 사물함 시스템
KR20090027961A (ko) * 2007-09-13 2009-03-18 (주)듀플렉스 자동문서관리 기능을 구비한 캐비닛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959A (ja) 2002-12-12 2004-07-08 Tosho Inc 薬品類収納装置
JP2004256242A (ja) 2003-02-26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収納装置
KR20090001521A (ko) * 2007-04-23 2009-01-09 홍성춘 사물함 시스템
KR20090027961A (ko) * 2007-09-13 2009-03-18 (주)듀플렉스 자동문서관리 기능을 구비한 캐비닛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3669A (zh) * 2015-11-30 2016-02-03 江苏金瑞金融设备有限公司 动态密码及指静脉控制多门保险箱管理系统
CN108294497A (zh) * 2017-11-16 2018-07-20 林来成 一种重要文件存取箱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13388B (zh) 自助图书馆、自助图书借阅系统和自助图书借还方法
KR101648000B1 (ko) 스마트 패널을 이용한 캐비닛 보관문서 관리시스템
CN105117753B (zh) 一种纸质文件回收系统及回收方法
CN110517384B (zh) 一种钥匙管理箱
CN202882651U (zh) 智能仪器存储柜
CN103345620B (zh) 一种涉密文件批量回收设备及方法
CN103400431B (zh) 一种双管双控的智能涉密载体存储柜
WO2011033839A1 (ja) 資産管理システム
CN108986270A (zh) 一种基于储物柜的物品管理方法
KR20190051750A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KR20090027961A (ko) 자동문서관리 기능을 구비한 캐비닛 장치
KR100951708B1 (ko) 문서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336081A (zh) 一种变电站图纸资料管理查询系统
CN201145917Y (zh) 指纹电子储物箱
CN105678916A (zh) 一种互联网支付的电子寄存柜
JP2009269705A (ja) 物品管理システム
KR100938629B1 (ko) 전자 사물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5663B1 (ko) 도서관 자료 비대면 제공 장치
CN207583175U (zh) 一种银行尾箱安全存放交接设备
JP4950253B2 (ja) 鍵管理システム
JP2010174516A (ja) 引き出し開閉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引き出し開閉管理プログラム、及び引き出し開閉管理方法
KR100938622B1 (ko)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KR102192682B1 (ko) 초근접 직접통신 기반 nfc 리더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장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 방법
JP2001243517A (ja) Idカードによる自動取引装置の管理方法
CN207425015U (zh) 一种基于物联网的仓储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