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601B1 - 응집기 축봉수장치 - Google Patents

응집기 축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601B1
KR100951601B1 KR1020090128818A KR20090128818A KR100951601B1 KR 100951601 B1 KR100951601 B1 KR 100951601B1 KR 1020090128818 A KR1020090128818 A KR 1020090128818A KR 20090128818 A KR20090128818 A KR 20090128818A KR 100951601 B1 KR100951601 B1 KR 10095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acking
shaft
retainer
agglom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팔석
Original Assignee
윤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팔석 filed Critical 윤팔석
Priority to KR102009012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8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8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집기 축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축홈이 형성되는 리테이너와; 일측면에 브이홈이 형성된 링(Ring) 형상이고, 상기 리테이너에 안착되는 복수의 브이-패킹과; 원판 형상이고 일측면에 브이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축홈이 형성되는 압착구와; 축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리테이너, 상기 브이-패킹 및 상기 압착구가 내장되고, 상기 압착구와 접촉하는 위치에 볼트홈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볼트홈에 체결되는 조절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착구가 이송되어 상기 브이-패킹이 압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에 의하여 브이-패킹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조절볼트의 조작에 의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축봉수, 장치, 교반, 회전축, 방수, 침전, 응집기

Description

응집기 축봉수장치{Waterproof housing of agitation shaft}
본 발명은 응집기 축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패킹이 마모되는 경우에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내구성이 증대되는 응집기 축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수를 취수하여 식수를 만들거나, 폐수를 정화하여 과정에서 약품을 투입 이를 혼화 시킨 후 응집지에서 미세한 슬러지를 응집시켜 침전지에서 침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이와 같이 미소 슬러지를 침반하기 쉬운 슬러지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교반을 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교반과정은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패들을 설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부유물질을 응집시킨다.
수중에 장착된 상기 회전축은 벽을 관통하여서 외부에 장착된 모터와 감속기를 통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벽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집기 축봉수장치가 장착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응집기 축봉수장치는 패킹과 상기 패킹을 지지하는 리테이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응집기 축봉수장치는 사용에 의하여 패킹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여 새로 교체해야되고 또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교환과 수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패킹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패킹의 교환과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응집기 축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응집기 축봉수장치는, 중앙에 축홈이 형성되는 원판형상이고, 일측면에 원형의 오링홈이 형성되는 기저부싱과; 회전축이 관통되는 축홈이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측에 형성되는 원통이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싱과 접촉하는 면에 오링홈이 형성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기저부싱과 상기 리테이너 사이의 상기 오링홈에 안착되는 오링과; 단면이 "V"자 형상을 이루어 일측면에 브이홈이 형성된 링(Ring) 형상이고,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브이-패킹과; 원판 형상이고 일측면에 상기 브이홈에 안착되는 브이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홈이 형성되는 압착구와;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리테이너, 상기 브이-패킹 및 상기 압착구가 내장되고, 상기 압착구와 접촉하는 위치에 볼트홈이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볼트홈에 체결되는 조절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착구가 이송되어 상기 브이-패킹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2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단면에는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플렌지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에 형성된 상기 브이돌기의 돌기각(θ)은 상기 브이-패킹에 형성된 상기 브이홈의 홈각(α)보다 1~5°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이-패킹은 고무재질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압착구와 상기 케이싱은 금속, PE 또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브이-패킹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에 의하여 브이-패킹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조절볼트의 조작에 의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브이돌기와 상기 브이홈에 의하여 상기 브이-패킹이 상기 회전축에 압착되고 이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에 상기 브이-패킹을 삽입하거나 해체 작업 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집기 축봉수장치의 사시도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단면도 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응집기 축봉수장치는 기저부싱(150), 리테이너(20), 브이-패킹(30), 압착구(40) 및 케이싱(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저부싱(150)은 중앙에 축홈(90)이 형성되는 원판형상이고, 일측면에 원형의 오링홈(155)이 형성되어서 응집기의 벽면에 장착되게 된다.
도 4a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20)는 회전축(200)이 관통되는 축홈(90)이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측에 형성되는 원통이 일체로 형성되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원판과 원통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25)에는 후술하는 브이-패킹(30)이 복수로 안착하게 되고, 상기 기저부싱(150)과 접촉하는 면에 오링홈(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싱(150)과 상기 리테이너(20) 사이의 상기 오링홈(155,28)에는 오링(160)이 장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브이-패킹(3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 형상이고, 일측면에 브이홈(35)이 형성되어 단면이 'V"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이-패킹(30)은 고무재질로 성형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형상의 브이-패킹(30) 4개가 상기 리테이너(20)의 상기 안착홈(25)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브이홈(35)이 상기 압착구(40)를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착구(40)는 중앙에 상기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축홈(90)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이고, 일측면에는 상기 브이홈(35)에 안착되는 브이돌기(45)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평판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브이돌기(45)의 돌기각(θ)은 상기 브이-패킹(30)에 형성된 상기 브이홈(35)의 홈각(α)보다 1~5°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되는 형상이고, 분할된 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플렌지(57)가 형성되어 볼트(400)와 너트(50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중앙에 상기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축홈(9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리테이너(20), 상기 브이-패킹(30) 및 상기 압착구(40)가 내장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구(40)와 접촉하는 위치에는 볼트홈(55)이 형성되어서 조절볼트(70)가 체결되게 된다.
상기 압착구(40)와 상기 케이싱(50)은 금속, PE 또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테이너(20)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응집기 축봉수장치의 사용은 도 8과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집기 축봉수장치(10)은 상기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벽면에 고정된 기저부싱(150)과 결합되고, 상기 오링(160)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회전축(200)을 따라서 발생하는 누수는 복수의 상기 브이-패킹(30)에 의하여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브이-패킹(30)이 마모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볼트(70)를 이송하게 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70)가 이송하게 되면, 상기 압착구(40)를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고, 상기 압착구(40)에 형성된 상기 브이돌기(45)는 상기 브이-패킹(30)을 압착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브이홈(35)의 홈각(α)보다 1~5°더 크게 형성되는 브이돌기(45)의 돌기각(θ)에 의하여 상기 브이-밸브는 상기 회전축(200)으로 압착하여 밀착되게 되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이-패킹(30)를 해체하는 경우에는 2개로 분할된 상기 케이싱(50)을 해체하고, 노출되는 상기 압착구(40)를 분리하면 상기 브이-패킹(30)의 브이홈(35)의 홈각(α)이 작아지면서 상기 회전축(200)에서 이격되게 되므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상기 브이-패킹(30)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헐거워진 브이-패킹(30)을 간단하게 조립한 후에, 상기 조절볼트(70)의 회전에 의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축(200)을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기 축봉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집기 축봉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집기 축봉수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집기 축봉수장치의 단면도.
도 4a와 4b는 리테이너의 사시도와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브이-패킹의 사시도.
도 6은 압착구의 사시도.
도 7은 케이싱의 사시도.
도 8은 조절볼트에 의하여 브이-패킹이 압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밀페 하우징이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응집기 축봉수장치, 20: 리테이너,
25: 안착홈, 30: 브이-패킹,
35: 브이홈, 40: 압착구,
45: 브이돌기, 50: 케이싱,
55: 볼트홈, 57: 플렌지,
70: 조절볼트, 90: 축홈

Claims (6)

  1. 중앙에 축홈(90)이 형성되는 원판형상이고, 일측면에 원형의 오링홈(155)이 형성되는 기저부싱(150);
    회전축(200)이 관통되는 축홈(90)이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측에 형성되는 원통이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안착홈(25)이 형성되며, 상기 기저부싱(150)과 접촉하는 면에 오링홈(28)이 형성되는 리테이너(20);
    상기 기저부싱(150)과 상기 리테이너(20) 사이의 상기 오링홈(155,28)에 안착되는 오링(160);
    단면이 "V"자 형상을 이루어 일측면에 브이홈(35)이 형성된 링(Ring) 형상이고, 상기 리테이너(20)의 상기 안착홈(25)에 안착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브이-패킹(30);
    원판 형상이고 일측면에 상기 브이홈(35)에 안착되는 브이돌기(45)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축홈(90)이 형성되는 압착구(40);
    중앙에 상기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축홈(9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리테이너(20), 상기 브이-패킹(30) 및 상기 압착구(40)가 내장되고, 상기 압착구(40)와 접촉하는 위치에 볼트홈(55)이 형성된 케이싱(50); 및
    상기 케이싱(50)의 상기 볼트홈(55)에 체결되는 조절볼트(70)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볼트(7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착구(40)가 이송되어 상기 브이-패킹(30)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기 축봉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0)은 2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단면에는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플렌지(57)가 형성되어 볼트(400)와 너트(50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기 축봉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40)에 형성된 상기 브이돌기(45)의 돌기각(θ)은 상기 브이-패킹(30)에 형성된 상기 브이홈(35)의 홈각(α)보다 1~5°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기 축봉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브이-패킹(30)은 고무재질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기 축봉수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40)와 상기 케이싱(50)은 금속, PE 또는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기 축봉수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와 상기 브이-패킹(30)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기 축봉수장치.
KR1020090128818A 2009-12-22 2009-12-22 응집기 축봉수장치 KR100951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818A KR100951601B1 (ko) 2009-12-22 2009-12-22 응집기 축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818A KR100951601B1 (ko) 2009-12-22 2009-12-22 응집기 축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601B1 true KR100951601B1 (ko) 2010-04-09

Family

ID=4221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818A KR100951601B1 (ko) 2009-12-22 2009-12-22 응집기 축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6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965B1 (ko) 2015-02-24 2015-09-15 윤팔석 응집 침전설비
KR101814127B1 (ko) * 2016-05-26 2018-01-03 조병현 축봉장치
KR102045512B1 (ko) 2019-06-20 2019-11-15 윤팔석 축봉수장치를 구비한 누수 방지구조가 개선된 수평 패들형 응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634Y2 (ja) 1990-09-03 1997-11-12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バルブロッド用シール
JP2000088138A (ja) 1998-09-17 2000-03-31 Kubota Corp 弁軸のシール構造
KR100900410B1 (ko) 2008-12-31 2009-06-02 박상옥 브이패킹의 탄성조절과 교환이 용이한 고압펌프의 피스톤
KR20090110079A (ko) * 2008-04-17 2009-10-21 (주)현우산업 본네트형 나이프 게이트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634Y2 (ja) 1990-09-03 1997-11-12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バルブロッド用シール
JP2000088138A (ja) 1998-09-17 2000-03-31 Kubota Corp 弁軸のシール構造
KR20090110079A (ko) * 2008-04-17 2009-10-21 (주)현우산업 본네트형 나이프 게이트 밸브
KR100900410B1 (ko) 2008-12-31 2009-06-02 박상옥 브이패킹의 탄성조절과 교환이 용이한 고압펌프의 피스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965B1 (ko) 2015-02-24 2015-09-15 윤팔석 응집 침전설비
KR101814127B1 (ko) * 2016-05-26 2018-01-03 조병현 축봉장치
KR102045512B1 (ko) 2019-06-20 2019-11-15 윤팔석 축봉수장치를 구비한 누수 방지구조가 개선된 수평 패들형 응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601B1 (ko) 응집기 축봉수장치
KR101936069B1 (ko) 주축베어링하우징부와 유입관을 설치하여 농축 및 회수 효율을 개선한 탈수장치
US6659113B2 (en) Grit washer and bearing assembly therefore
KR101795515B1 (ko)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기
CA1334762C (en) Mechanical seal
WO2013062057A1 (ja) 廃水処理槽用スクリーン装置及び廃水処理方法
CN113614426A (zh) 用于制造机器的密封组件的各向同性精加工密封圈的方法和器具
CN212297674U (zh) 一种刀闸阀
KR102045512B1 (ko) 축봉수장치를 구비한 누수 방지구조가 개선된 수평 패들형 응집기
CN107524813B (zh) 新型碟形加边油封装置
CN204955111U (zh) 一种卧式可移动的密封搅拌机
CN104033416A (zh) 一种机械密封装置
CN201434073Y (zh) 用于机械密封中的排渣式动环结构
CN205618379U (zh) 一种高效的新型排污泵
RU93916U1 (ru) Одинарное механическое торцевое уплотнение вертикального шламового насоса
CN105333153A (zh) 一种磁力轴密封装置及其加工方法
KR20140121153A (ko) 메카니컬 씰
KR200209581Y1 (ko) 비금속 슬러지 수집기용 스프라켓
JP2004132426A (ja) 軸封装置
JPS5823510B2 (ja) 泥状物圧送ポンプ
KR101866225B1 (ko) 클로즈드 임펠러를 지닌 오배수 펌프의 실링기구
KR101299580B1 (ko)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심회전원판으로 구성된 슬러지 탈수장치
RU93915U1 (ru) Одинарное механическое торцевое уплотнение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шламового насоса
JP3053880B2 (ja) フロキュレータの軸封装置
CN105381757A (zh) 一种浆料搅拌机用搅拌轴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