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124B1 -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 - Google Patents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124B1
KR100951124B1 KR1020090127673A KR20090127673A KR100951124B1 KR 100951124 B1 KR100951124 B1 KR 100951124B1 KR 1020090127673 A KR1020090127673 A KR 1020090127673A KR 20090127673 A KR20090127673 A KR 20090127673A KR 100951124 B1 KR100951124 B1 KR 10095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raw water
tank
water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식
Original Assignee
최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식 filed Critical 최인식
Priority to KR102009012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Abstract

섬유사의 조밀도를 조절하여 부유물의 여과 효율을 높이고, 여과 처리조 내부에 사이클론 효과를 유발하여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는 유입되는 원수에 대한 여과 공정이 이루어지고 하단에 부유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여과 처리조, 다공성관과, 다공성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튜브형 고정체와, 튜브형 고정체와, 다공성관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섬유사로 이루어지며, 여과 처리조 내에 수용되어 원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필터, 튜브형 고정체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하는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 여과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이 수용되는 부유물 농축조, 및 여과 처리조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저장하는 여과수조를 포함한다.
여과, 섬유사, 부유물, 사이클론, 탈리, 튜브

Description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APPARATUS FOR FILTERING USING THE FIBER AND FILTRATION FILTER}
본 발명은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섬유사의 조밀도를 조절하여 부유물의 여과 효율을 높이고, 여과 처리조 내부에 사이클론 효과를 유발하여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또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수에는 미세한 부유 물질을 포함하는 각종 슬러지가 포함되어 있어, 1차로 여과처리한 후에 재활용하거나 방류하게 된다. 이렇게 1차로 여과처리된 처리수에는 여과과정에서 미처리되어진 잔여 부유물이 잔존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여과 공정을 통해 여과된 후에 배출된다.
1차 여과 처리된 처리수 내의 잔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운전은 여과공정과 세척공정으로 나뉜다. 여과공정이란 부유물을 함유한 원수 또는 1차 여과 처리된 처리수를 여과장치에 유입시켜 부유물이 제거된 청정수를 배출시키는 공정으로서, 부유물을 여과층 내의 공극에 침전, 흡착, 응집 등을 통해 포획하고, 부유물이 제거된 청정수만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공정이 계속되면 여과층 내의 공극은 점점 부유물질로 채워지고 여과 저항이 증가하여 더이상 여과공정을 계속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세척수와 공기 등을 주입하여 공극에 포획된 부유물질을 배제시 키기 위한 세척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과장치의 성능은 부유물질의 제거효율, 여과속도, 여과지속시간, 세척수 사용량, 세척빈도 및 세척시간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편, 여과층에 충전하는 여재는 모래, 안스라사이트, 무연탄 등과 같은 무기 입상의 재질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여재는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과 이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극의 크기보다 작은 입자도 제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나, 이러한 여재로 형성된 여과층은 부유물질을 포획할 수 있는 공간이 표층부근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의 폐색으로 인한 여과저항의 급속한 증가를 초래하여, 세척을 자주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유물이 여과층의 표면 부근에서 주로 포획되어 세척을 자주해야 하는 단점을 해소하고, 여과장치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사를 여재로 사용하는 여과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는 피스톤으로 섬유사를 가압하여 섬유사의 밀도를 높인 후 피처리수가 섬유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액체 성분은 섬유사의 공극을 통해 빠져나가 여과되도록 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부유물은 섬유사에 포획되도록 한다.
이러한,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과정에서는 섬유사의 공극에 부유물이 누적되어 막히면 액체가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섬유사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섬유사의 밀도를 낮게 한 후에, 피처리수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역세수가 흐르게 하는 이른바 역세공정을 통하여 누적된 부유물이 제거되도록 세척한다. 그리고, 역세 공정이 완료되면 다시 원래의 여과 공정을 진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여과 방식에서는 세척조 내에 섬유사를 가압하기 위한 실린더 및 실린더 구동을 위한 동력 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구조의 복잡 및 동력 소모의 단점이 있다.
한편,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로서 다공성관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다수의 섬유사를 설치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다공성관의 일측에 연결된 실린더 로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다공성관를 일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섬유사를 꼬아 섬유사의 밀도를 높인 후에 여과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섬유사에 부유물이 누적되면 다공성관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섬유사의 꼬임을 풀어 역세수를 흘려 역세 공정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다공성관 회전 방식은 섬유사의 꼬임과 풀림 반복에 따라 섬유사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다공성관를 회전하기 위한 실린더 로드 및 실린더 로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 장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 공정시와 역세 공정시 선택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튜브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섬유사의 조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 필터 근방 둘레에 관형 차단벽체를 설치하여, 여과 필터와 관형 차단벽체 사이에 사이클론 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여과 필터에 의한 여과 이전에 크기가 큰 부유물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는 유입되는 원수에 대한 여과 공정이 이루어지고 하단에 부유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여과 처리조, 다공성관과, 다공성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튜브형 고정체와, 튜브형 고정체와, 다공성관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섬유사로 이루어지며, 여과 처리조 내에 수용되어 원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필터, 튜브형 고정체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하는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 여과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이 수용되는 부유물 농축조, 여과 처리조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저장하는 여과수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과 처리조 내부에 여과 필터와 이격 설치된 관형 차단벽체를 더 구비하여, 원수를 우회시켜 여과 필터에 유입시키고 관형 차단벽체 내부에 사이클론 효과에 의한 원심력을 발생시켜 섬유사에 포획되는 부유물이 쉽게 탈리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부유물 배출구에는 부유물 배출 제어 밸브를 더 구비하여 부유물 배출구로의 원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여과 처리조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여과수조로 배출하도록 여과 필터 하단에 연결되며 여과수 배출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여과수 배출관, 및 여과수조의 여과수를 역세 공정시 여과 처리조로 공급하도록 여과 필터 하단에 연결되며 역세수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역세수 공급관을 포함하며, 여과수 배출관과 역세수 공급관은 여과 필터 하단에 동일 배관으로 연결되고, 여과수조 측에서 분기되도록 함으로써, 배관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수 유입구 및 원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되는 원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원수 저장조와, 원수 저장조 내의 원수를 여과 처리조로 공급하며 원수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원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여과 처리조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여과 필터는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시켜 부유물과 여과수를 분리배출하는 여과 필터에 있어서, 다공성관과, 다공성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튜브형 고정체와, 튜브형 고정체와, 다공성관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섬유사, 및 튜브형 고정체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하는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사의 선택적인 조밀도 조절을 통해 여과 효율과 또는 역세 효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를 이용하여 섬유사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여과 효율과 역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 필터에 의한 여과 이전에 사이클론 효과를 유발하여 크기가 큰 부유물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높이며, 여과 필터에 포획되는 큰 부유물에 의한 부하를 줄임으로써 여과 필터에 포획된 부유물을 탈리시키는 역세 공정 주기를 늘릴 수 있어 역세 공정 대비 여과 공정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수 저장조(10), 여과 처리조(20), 여과 필터(30), 관형 차단벽체(40), 부유물 농축조(50), 여과수조(60)를 포함한다.
우선, 원수 저장조(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원수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여과 처리조(20)로 공급한다. 원수 저장조(10)의 상단에는 원수 유입구(11)와 원수 배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수 배출구(12)에는 원수 저장조(10) 내부에 저장된 원수를 여과 처리조(20)로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13)이 구비된다. 또한, 원수 저장조(10)의 내부에는 원수 공급관(13)으로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원수 공급 펌프(131)가 구비되고, 원수 공급관(13)에는 여과 처리조(20)로의 원수 공급량을 제어하며 여과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원수 제어 밸브(132)가 구비된다.
또한, 원수 저장조(10)에는 유입되는 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원수 수위 감지 수단(14)을 구비하여, 수위 감지 결과에 따라 원수 제어 밸브(132)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여과 처리조(20)로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한다.
여과 처리조(20)는 유입되는 원수에 대한 여과 공정이 이루어지는 여과 처리실(21)을 갖는다. 여과 처리실(21)의 상단 일측에는 원수 유입구(22)가 형성되며, 원수 유입구(22)에는 원수 공급관(13)이 연결된다. 그리고, 여과 처리실(21)의 하단에는 여과 공정에서 발생한 부유물이 배출되는 부유물 배출구(23)가 형성된다.
여기서, 부유물 배출구(23) 측으로 부유물이 잘 쌓일 수 있도록 여과 처리실(21)은 일정 높이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한다. 부유물 배출구(23)에는 여과 공정에서 발생한 부유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부유물 배출 제어 밸브(231)가 구비된다. 또한, 여과 처리실(21)의 상단에는 여과 처리실(21) 내부에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24)가 형성되며, 공기 배출구(24)의 외측에는 공기 배출을 단속하는 공기 배출 제어 밸브(241)가 구비된다.
한편, 여과 필터(30)는 여과 처리실(21)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을 여과한 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 필터(30)는 다공성관(31)과, 튜브형 고정체(32)와, 다수의 섬유사(33)를 포함한다.
다공성관(31)에는 원수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외벽면에 다수의 통공(311)이 형성되며, 다공성관(31)은 여과 처리실(21)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튜브형 고정체(32)는 다공성관(3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34)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됨으로써 다수의 섬유사(33)의 밀도를 조절한다. 이때,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34)은 에어 주입 또는 배출을 통해 튜브형 고정체(32)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압축기가 이용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섬유사의 밀도를 높여 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섬유사를 가압하거나, 섬유사가 설치된 다공성 관을 회전시킴으로써, 섬유사 가압 또는 회전을 위한 별도의 구동 장치들을 필요로 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은 튜브의 팽창 또는 수축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섬유사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수의 섬유사(33)는 튜브형 고정체(32)와 다공성관(31)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튜브형 고정체(32) 표면에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되고, 타단부가 다공성관(31)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관형 차단벽체(40)는 여과 처리실(21) 상단면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과 필터(30)의 둘레에 여과 필터(30)와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그 하단부가 여과 처리실(21)의 하단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다. 관형 차단벽체(40)는 원수 유입구(22)로 유입되는 원수를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우회시킴은 물론 유입되는 원수에 사이클론 효과를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부유물 농축조(50)는 부유물 배출구(23)로부터 배출되는 부유물이 수용되도록 여과 처리조(20)의 하단에 배치된다.
한편, 여과수조(60)는 여과 처리조(20)에서 여과된 여과수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여과수조(60)에는 여과수 유입구(61)와 여과수 배출구(62)가 형성된다. 그 리고, 여과수조(60)에는 저장되는 여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여과수 수위 감지 수단(63)이 구비된다. 여과수 유입구(61)에는 여과 처리조(20)의 여과수를 여과수조(60)로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관(64)이 연결된다. 여과수 배출관(64)은 여과 필터(30) 하단에 연결되며, 여과수 배출 제어 밸브(641)를 구비한다.
또한, 여과수조(60)에는 역세 공정시 여과수를 여과 처리조(20)로 공급하도록 다공성관(31) 하단에 연결되며, 여과수조(60) 내부에 수용되는 역세수 공급관(65)이 구비된다. 여과수조(60) 내부에는 여과수를 역세수 공급관(65)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역세수 공급 펌프(651)가 구비되고, 여과수 배출관(64)에는 여과 공정시 여과수 배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역세수 제어 밸브(6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여과수 배출관(64)과 역세수 공급관(65)은 여과 필터(30) 하단에 동일 배관으로 연결되고, 여과수조(60) 측에서 분기됨으로써 배관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여과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원수 제어 밸브(132)를 개방하고 원수 공급 펌프(131)를 구동시켜 원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원수를 원수 공급관(13)을 통해 여과 처리실(21)로 공급한다.
이때, 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튜브형 고정체(32)를 팽창시켜 섬유사를 팽팽하게 당김으로써, 섬유사(33) 사이의 밀도를 높인다. 즉, 여과 공정시에는 다 수의 섬유사(33) 사이의 간격이 조밀해야 부유물 여과 효율이 높다. 따라서, 여과 공정시에는 튜브형 고정체(32)를 팽창시켜 다수의 섬유사(33)를 팽팽하게 당김으로써, 섬유사(33)들 사이의 간격을 조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수 공급관(13)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관형 차단벽체(40)의 외벽면을 타고 하강하며, 관형 차단벽체(40)의 하단에 이르러 관형 차단벽체(40)의 내부로 다시 상승하여 여과 필터(30) 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원수 공급관(13)에서 유입된 원수는 높은 압력을 가지지만 관형 차단벽체(40)의 하단으로 우회한 후 다시 상승하면, 수압이 낮아진 상태로 여과 필터(30) 측으로 유입된다. 즉, 높은 수압을 가지는 원수가 여과 필터에 직접 유입될 경우 높은 수압에 의해 섬유사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된 원수를 관형 차단벽체(40) 일측면으로 우회시켜 수압이 낮아진 상태에서 여과 필터(30)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섬유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차단벽체(40)의 외벽면과 여과 처리조(20)의 내벽면 사이에는 사이클론 효과가 유발된다. 이와 같은 사이클론 효과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하여 크기가 큰 부유물이 여과 처리조(20) 내벽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여과 처리조(20) 내벽면으로 이동하는 부유물은 중력 작용에 의해 부유물 배출구(23) 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형 차단벽체(40)의 설치로 인해 여과 필터에 의한 여과 공정 이전에 크기가 큰 부유물을 1차로 분리됨으로써, 섬유사(33)에 포획되는 큰 부유물에 의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섬유사(33)에 포획된 부유물을 탈리시키는 역세 공정 주기를 늘릴 수 있어 역세 공정 대비 여과 공정 시 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여과 필터(30) 측으로 유입된 원수의 부유물은 다수의 섬유사(33)에 포획되고, 부유물이 제거된 여과수는 다공성관(3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다공성관(31) 내부로 유입된 여과수는 여과수 배출관(64)을 통해 여과수조(60)로 배출되어 여과수조(60)에 저장된다. 이때, 여과수 배출 제어 밸브(641)는 개방된 상태이고, 역세수 제어 밸브(652)는 폐쇄된 상태이다. 여과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여과수조(60)에 배출되는 여과수의 양이 많아지면 여과수조(60)의 수위가 높아져 저장된 여과수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여과 공정에서 부유물 배출구(23) 측에 많은 양의 부유물이 쌓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부유물 배출 제어 밸브(231)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쌓여있는 부유물이 부유물 배출구(23)를 통해 부유물 농축조(50)로 배출된다.
상술한 여과 및 부유물 배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섬유사에 많은 양의 부유물이 포획되어, 여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 공정을 수행한다.
역세 공정 진행 여부는 원수 저장조(10)의 수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섬유사(33)에 많은 양의 부유물이 포획되면 여과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원수 저장조(10)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원수 수위 감지 수단(14)에서 감지된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원수 제어 밸브(132)를 폐쇄하여 원수 공급을 중단하고, 역세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여과 처리조(20) 내부에 공기가 찬 상태이면 역세 효율이 저하되므로, 공기 배출 제어 밸브(241)를 개방하여 여과 처리조(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역세 공정시에는 여과수 배출 제어 밸브(641)를 폐쇄하고, 역세수 제어 밸브(652)를 개방하며 역세수 공급 펌프(651)를 구동시켜, 여과수조(60)에 저장된 여과수를 다공성관(31) 내부로 공급한다. 이때, 역세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34)은 튜브형 고정체(32)를 수축시킨다. 즉, 섬유사(33) 사이의 간격이 조밀할 경우 부유물의 탈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튜브형 고정체(32)를 수축시킴으로써 섬유사(33) 사이의 간격을 넓게함으로써, 부유물의 탈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공성관(31) 내부로 유입된 여과수는 외벽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다공성관(31) 외부로 배출되고, 여과수의 배출 압력에 의해 섬유사(33)에 부착된 부유물이 탈리된다. 그리고, 탈리된 부유물은 중력 작용에 의해 부유물 배출구 측으로 하강하여 쌓이게 된다.
이렇게, 역세 공정을 수행하면 여과수조(60)의 수위가 낮아지므로 여과수 수위 감지 수단(63)에서 감지된 여과수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역세 공정을 중단하고, 다시 여과 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과 공정시와 역세 공정시 선택적으로 섬유사의 조밀도를 제어하여 여과 효율 및 역세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 필터측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낮춰 섬유사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은 사이클론 효과를 유발하여 크기가 큰 부유물이 여과 필터에 유입되기 전에 제거함으로써, 역세 공정 주기를 늘린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원수 저장조 11 : 원수 유입구
12 : 원수 배출구 13 : 원수 공급관
131: 원수 공급 펌프 132: 원수 제어 밸브
14 : 원수 수위 감지 수단 20 : 여과 처리조
21 : 여과 처리실 22 : 원수 유입구
23 : 부유물 배출구 231: 부유물 배출 제어 밸브
30 : 여과 필터 31 : 다공성관
311: 통공 32 : 튜브형 고정체
33 : 섬유사 40 : 관형 차단벽체
50 : 부유물 농축조 60 : 여과수조
61 : 여과수 유입구 62 : 여과수 배출구
63 : 여과수 수위 감지 수단 64 : 여과수 배출관
641: 여과수 제어 밸브 65 : 역세수 공급관
651: 역세수 공급 펌프 652: 역세수 제어 밸브

Claims (6)

  1. 유입되는 원수에 대한 여과 공정이 이루어지고 하단에 부유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여과 처리조;
    다공성관과, 상기 다공성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튜브형 고정체와, 상기 튜브형 고정체와 상기 다공성관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섬유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 처리조 내에 수용되어 상기 원수를 여과 처리하는 여과 필터;
    상기 튜브형 고정체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하는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
    상기 여과 처리조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이 수용되는 부유물 농축조; 및
    상기 여과 처리조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저장하는 여과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처리조 내부에 상기 여과 필터와 이격 설치된 관형 차단벽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배출구에는 부유물 배출 제어 밸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 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처리조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상기 여과수조로 배출하도록 상기 여과 필터 하단에 연결되며 여과수 배출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여과수 배출관; 및
    상기 여과수조의 여과수를 역세 공정시 상기 여과 처리조로 공급하도록 상기 여과 필터 하단에 연결되며 역세수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역세수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수 배출관과 상기 역세수 공급관은 상기 여과 필터 하단에 동일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여과수조 측에서 분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원수 유입구 및 원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되는 원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원수 저장조; 및
    상기 원수 저장조 내의 원수를 상기 여과 처리조로 공급하며 원수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원수 공급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6.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시켜 부유물과 여과수를 분리배출하는 여과 필터에 있 어서,
    다공성관;
    상기 다공성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튜브형 고정체;
    상기 튜브형 고정체와 상기 다공성관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섬유사; 및
    상기 튜브형 고정체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하는 튜브형 고정체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필터.
KR1020090127673A 2009-12-21 2009-12-21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 KR10095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73A KR100951124B1 (ko) 2009-12-21 2009-12-21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73A KR100951124B1 (ko) 2009-12-21 2009-12-21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124B1 true KR100951124B1 (ko) 2010-04-07

Family

ID=4221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673A KR100951124B1 (ko) 2009-12-21 2009-12-21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23B1 (ko) 2011-12-29 2015-04-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카트리지 필터를 내장한 공극제어 섬유 여과기 및 섬유 여과기 세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481A (ko) * 1998-03-16 1999-10-15 이규철 섬유호스를 이용한 정밀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72266A (ko) * 2000-08-24 2000-12-05 강영배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KR100679231B1 (ko) 2006-04-13 2007-02-06 주식회사 나노엔텍 3 fm 정밀여과장치
KR20090126569A (ko) * 2008-06-04 2009-12-09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섬유사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481A (ko) * 1998-03-16 1999-10-15 이규철 섬유호스를 이용한 정밀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72266A (ko) * 2000-08-24 2000-12-05 강영배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KR100679231B1 (ko) 2006-04-13 2007-02-06 주식회사 나노엔텍 3 fm 정밀여과장치
KR20090126569A (ko) * 2008-06-04 2009-12-09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섬유사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23B1 (ko) 2011-12-29 2015-04-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카트리지 필터를 내장한 공극제어 섬유 여과기 및 섬유 여과기 세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82B2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KR100679231B1 (ko) 3 fm 정밀여과장치
JP4456632B2 (ja) 密度調節型繊維糸の精密ろ過装置
KR100951124B1 (ko) 섬유사를 이용한 여과 장치 및 여과 필터
JPH0217908A (ja) 固液分離装置の洗浄方法
JP2008284464A (ja) 間欠逆洗に優れた濾過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7813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628891B1 (ko) 여과부와 침전부를 일체로 갖는 상향류식 여과장치
JP2004321893A (ja) ろ過装置
JP2004524964A (ja) 水中浮遊物質濾過装置
CN207237393U (zh) 一种带反冲洗功能的水处理系统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JP3809648B2 (ja) 移動ろ床式ろ過装置
KR100388071B1 (ko) 부유물질 제거장치
RU250362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1705299B1 (ko) 공기역세가 가능한 부상여재 여과처리장치
KR101345261B1 (ko) 무역세 여과장치
KR100606602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KR10061841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CN215995896U (zh) 一种高效过滤器
KR200230433Y1 (ko) 부유물질 제거장치
KR200346468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규조토 여과시스템
KR102050980B1 (ko) 여과공정 및 역세공정을 갖는 여과 시스템
KR100984529B1 (ko) 섬유사를 이용한 연속 유입식 여과 장치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 필터
KR20140109364A (ko) 여과 장치의 역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