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893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893B1
KR100950893B1 KR1020030051249A KR20030051249A KR100950893B1 KR 100950893 B1 KR100950893 B1 KR 100950893B1 KR 1020030051249 A KR1020030051249 A KR 1020030051249A KR 20030051249 A KR20030051249 A KR 20030051249A KR 100950893 B1 KR100950893 B1 KR 10095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original
original section
rear end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497A (ko
Inventor
타니가와쇼타로
오타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1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zoom) 조작을 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낚싯대(10)은 원상절(14)가 원절(15)에 대해서 신축하는 줌 기구를 구비한다. 원상절(14)의 후단면(後端面)을 덮도록 충격 흡수 부재(26)이 설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 부재(26)은 NBR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원상절(14)는 감합 부재(24)의 내부에 삽입된다. 감합 부재(24)는 원상절(14)의 감합을 안내하는 경사면(31)을 구비하고 있다.
원상절, 원절, 감합 부재, 뒷마개, 플랜지부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후단부분 (원절의 후단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감합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충격 흡수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낚싯대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낚싯대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 일부를 잘라 낸 상태에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주요부 확대도.
도 10은 일반적인 줌 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의 후단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은 일반적인 줌 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의 원상절이 원절내에 수용될 때의 양자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낚싯대 14: 원상절
15: 원절 22: 유지 기구
24: 감합 부재 25: 뒷마개
26: 충격 흡수 부재 27: 감합편
28: 감합편의 선단 29: 축경부(縮徑部)
30: 정경부(定徑部) 31: 경사면
37: 감입부 38: 플랜지부
39: 마개 부재 40: 작은 지름부
41: 큰 지름부 42: 충격 흡수 부재
43: 후단면 가장자리부 44: C면
45: 충격 흡수 부재 46: 플랜지부
47: 슬라이드 안내면 48: 단부(段部)
50: 작은 지름부
이 발명은 이른바 줌 기구를 탑재한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낚싯대를 구성하는 원절 및 원상절의 유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막대 형상의 낚싯대 구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 다. 각 낚싯대 구성 부재는 바깥지름이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제1 절, 제2 절로 불린다. 각 절은 일반적으로 테이퍼를 가지는 중공(中空) 파이프 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제1 절만 혹은 제1 절의 일부만이 중실(中實) 막대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있다.
제1 절 후단부(後端部)는 제2 절 선단부(先端部)에, 또 다시, 제2 절 후단부는 제3 절 선단부에 연결되고, 이와 같이 하여 각 절이 서로 인접하는 다른 마디와 서로 이어진다. 각 절간의 연결 형식은 뽑이식, 병계(竝繼)식 인롱계(印籠繼)식 등 다양하다. 여기서, 바깥지름이 가장 큰 마디를 특히 「원절」이라고 하며, 원절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마디를 특히 「원상절」이라고 한다.
그런데, 낚싯대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정격 길이 (예를 들어 갯바위용 낚싯대에서는 5.3m)가 변화되는 기구 (「줌(zoom) 기구」라고 일컬어진다.)를 갖는 것이 있다. 이 줌 기구는 원절에 대하여 원상절이 소정의 계합력으로 상대적으로 계합 유지되고 있어, 필요할 때 그 계합이 해제되어 원절에 대하여 원상절이 꺼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줌 기구에 의해 원절의 치수 정도만큼 낚싯대 전체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0은 일반적인 줌 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의 후단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원절에 대한 원상절의 유지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줌 기구는 상기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절(1)과 원상절(3)과의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즉, 줌 기구는 고리 형상의 감합 부재(2)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이 원절(1)의 후단부 안쪽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감합 부재(2)의 안쪽지름은 원상절(3) 후단부의 바깥지름에 대응하고 있다. 덧붙여 참조 부호(4)는 감합 부재(2)에 끼워 넣어진 마개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원상절(3)이 원절(1)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즉, 실제 낚시에 있어서 낚싯대 전체 길이가 짧게 되었을 때), 원상절(3)의 후단부가 감합 부재(2)의 내부에 밀어 넣어지는 것에 의해, 원절(1)에 대해서 원상절(3)이 소정의 계합력 (감합력)으로 계합 유지된다. 그리고, 원절(1)에 대해서 원상절(3)이 꺼내질 때에는 (즉, 실제 낚시에 있어서 낚싯대의 전체 길이가 길게 되었을 때), 원절(1)이 축 방향 (도면의 좌측)으로 당겨져 양자의 감합이 풀어지는 것에 의해, 원절(1)에 대하여 원상절(3)이 상대적으로 꺼내진다 (덧붙여, 원상절(3)과 원절(1)과의 상대적인 신축 동작은 낚시꾼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이러한 조작은 「줌 조작」이라고 일컬어진다).
이러한 줌 기구에서는 원절(1)의 안쪽에 감합 부재(2)가 끼워 넣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절(1)과 원상절(3)의 사이에 감합 부재(2)의 두께(d)의 치수 정도만큼 간극(間隙)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도 11은 원상절(3)이 원절(1) 내에 수용될 때 양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절(3)이 원절(1)에 계합할 때에는, 우선, 감합 부재(2)의 선단에 맞닿아 접 (충돌)한다. 통상, 감합 부재(2)의 선단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면(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원상절(3)은 감합 부재(2)의 내부로 안내되어 원절(1)과 계합한다.
그렇지만, 감합 부재(2)가 제조된 후, 그 선단부가 완전히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극히 곤란하고, 통상 0.5mm 정도의 두께(t)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원상절(3)이 원절(1) 내에 수용될 때 원상절(3)의 후단면(6)이 감합 부재(2)의 선단면(7)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원절(1)의 테이퍼가 큰 경우 (원절의 선단부 바깥지름과 후단부 바깥지름과의 차이가 크고, 상기 치수(d)가 큰 경우)에는 양자는 상당히 충돌하기 쉬워진다.
원상절(3)의 후단면(6)과 감합 부재(2)의 선단면(7)과의 충돌은 낚싯대의 기능에 어떠한 악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낚싯대의 사용자 측에서 본다면, 줌 조작을 할 때 충격이 손에 전해져 위화감이 드는 조작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 조작을 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낚싯대는 원상절이 원절에 대해서 수납된 수납 위치와 돌출된 돌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위치에 있어서 원상절이 원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줌 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원상절의 후단면을 덮는 충격 흡수 부재가 당해 원상절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원상절이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 (낚시꾼이 이러 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조작은 특히 「줌인(zoom in) 조작」이라고 일컬어진다.) 원상절의 후단부가 원절의 후단부 안쪽 등 일정한 부위에 맞닿아 접 (충돌)한다고 해도 충격 흡수 부재가 원상절의 후단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그 충돌시 충격이 완화된다.
상기 원상절의 후단면 가장자리부에, C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서는, 줌인 조작이 될 때 원상절의 후단부가 원절의 상기 일정 부위에 충돌했다고 하여도 C면에 의해 그 충돌시 충격이 한층 더 완화된다.
(2)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과 관련되는 낚싯대는 원상절이 원절에 대해 수납된 수납 위치와 돌출된 돌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위치에서 원상절이 원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줌 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원상절이 상기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에, 당해 원상절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감합하는 감합 부재가 상기 원절 후단부에 설치되고, 당해 감합 부재는 상기 원상절의 감합을 안내하는 감합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절은 상기 원상절이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 상기 원상절의 후단면을 상기 감합 안내면에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원절이 슬라이드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원상절이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 원상절 후단부는 감합 부재의 감합 안내면으로 안내된다. 이 감합 안내면에 안내된 원상절의 후단부는 감합 안내면에 의해 원활하게 원절에 감합한다. 즉, 줌인 조작을 할 때, 원상절 후단부가 원절 후단부의 안쪽 등 일정 부위에 맞닿아 접(충돌)이 발생한다고 하여도 그 충돌시 큰 충격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라이드 안내면은 상기 원절의 내벽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서는, 원절의 내벽면이 상기 슬라이드 안내면을 겸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안내면을 구성하는 특별한 부재는 불필요하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대의 구조를 간략하게 하여 낚싯대의 경량화, 저렴화가 실현된다.
<실시예>
이하,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0)의 정면도이다. 낚싯대(10)의 개략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낚싯대(10)은 이른바 이너 가이드 타입의 뽑이식 낚싯대이다. 낚싯대(10)은 제1 절(11)에서부터 제5 절(15)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4 절(14) (즉 원상절(14))이 제5 절(15) (즉 원절(15))에 대해서 신축하는 줌 기구를 탑재하고 있다. 제1 절(11) 내지 제5 절(15)는 탄소 섬유 (carbon fiber)를 소재로 한 중공(中空) 파이프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존의 제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절(11)은 제2 절(12)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1 절(11)의 선단에는 낚싯줄이 도출되는 탑 가이드(16)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절(11)의 바깥지름은 테이퍼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 지름보다 후단 지름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절(11)의 후단 지름은 제2 절(12)의 선단 지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제1 절(11)을 제2 절(12)로부터 꺼냈을 때, 제1 절(11)의 후단 부분이 제2 절(12)의 선단 부분과 서로 맞물려 양자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제2 절(12)와 제3 절(13)과의 관계 및 제3 절(13)과 원상절(14)의 관계도 같다. 또한, 제2 절(12) 내지 원절(15)의 선단부에는 당해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 서로 이웃이 되는 절의 맞물림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링(R1) 내지 링(R4)가 장착되어 있다.
원상절(14)의 선단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는 낚싯줄 도입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낚싯줄 도입구멍에 낚싯줄을 유도하기 위한 도입 가이드(17)이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탑 가이드(16) 및 도입 가이드(17)은 기존의 구성이기 때문에,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원절(15)에는 릴 시트(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릴 시트(18)은 릴 (도시하지 않음)을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릴 다리부의 한편을 수용 유지하는 후드부(19) 및 릴 다리부의 다른 편을 수용 유지하는 후드 부재(20)을 구비하고 있다. 후드 부재(20)은 릴을 배치하는 배치면(21)을 따라 도면의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후드부(19)와의 사이에 릴 다리부를 협지(挾持)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이러한 릴 시트(18)에 대해서도 기존의 구조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릴이 장착되는 타입의 낚싯대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타입의 낚싯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계류용 낚싯대 등의 이른바 대나무 통대로 된 낚싯대에도 적용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으로, 상기 줌 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상절(14)를 원절(1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신축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상절(14)가 원절(15)에 대해서 수납 위치 (도 1에 도시한 위치)와, 이 수납 위치로부터 도면의 좌측으로 돌출한 돌출 위치의 사이에 위치 변화가 가능해지고 있다. 각 위치에 있어서 원상절(14)는 원절(15)에 대해서 소정의 유지력으로 상대적으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원상절(14)가 수납 위치 상태 또는 돌출 위치 상태로 낚싯대(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4 절(14)가 유지되기 위한 유지 기구(22)는 후술한다.
또한, 원상절(14)의 중간 부분에는 그 외주를 감싸도록 링 부재(23)이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링 부재(23)은 원상절(14)가 수납 위치가 되었을 때에, 원상절(14)와 원절(15)와의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원상절(14)가 수납 위치가 되었을 때, 원절(15)의 선단 내부 (링(R4)의 안쪽)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줌 기구는 상기 유지 기구(22)를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예가 특징으로 하는 바는 이 유지 기구(22)의 구조에 있다. 이 유지 기구(22)에 의하면, 원상절(14)의 유지 및 유지 해제, 즉 원절(15)에 대한 원상절(14)의 신축 동작 (줌 조작)이 매끄럽게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하, 유지 기구(22)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낚싯대(10)의 후단 부분 (원절(15)의 후단부)의 구조, 즉, 상기 유지 기구(22)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이다.
이 유지 기구(22)는 원절(15)의 후단부 안쪽에 끼워 넣어진 감합 부재(24)와, 원절(15)의 후단에 설치된 뒷마개(25)와, 원상절(14)의 후단에 설치된 충격 흡수 부재(26)을 구비하고 있다.
감합 부재(24)는 원상절(14)가 수납 위치가 되었을 때, 원상절(14)의 후단부와 감합하여 원상절(14)를 소정의 유지력으로 유지한다.
도 3은 감합 부재(24)의 사시도 이다.
감합 부재(24)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유리 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것도 포함한다)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전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합 부재(24)의 바깥지름은 원절(15)의 후단부의 안쪽지름에 대응하여 원절(15)의 후단부 안쪽에 꼭 끼워 넣어져 있다. 감합 부재(24)의 후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절(15)의 후단과 일치하도록 (이른바 동일 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감합 부재(24)는,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원절(15)에 고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감합 부재(24)의 안쪽에는 감합편(27)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합편(27)은 감합 부재(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감합편(27)은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기존의 고착 수단에 의해 감합 부재(24)에 고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감합편(27)은 상기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합편(27)은 6매로 설치되어 있고, 감합 부재(24)의 내벽면 둘레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감합편(27)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매 내지 16매의 범위로 설치된다.
각 감합편(27)은 동일한 형상을 나타내며, 감합 부재(24)의 지름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내부 설치되어 있다. 각 감합편(27)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감합편(27)은 감합 부재(24)의 선단(28)의 내벽면에 매끄럽게 연속하여, 감합 부재(24)의 지름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그 높이 치수가 점차 크게 되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후, 일정한 높이 치수가 유지되어 감합 부재(24)의 축 방향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합부재(24)의 전체신장(L1)은 5mm ~ 30mm, 감합 부재(24)의 최대 안쪽지름(D)는 10mm ~ 35mm, 최소 안쪽지름(d)는 3mm ~ 33mm로 설정된다. 또한, 감합편(27)의 전체신장(L2)는 5mm ~ 30mm, 정경부(定徑部)(30)의 축 방향 치수(L3)는 4mm ~ 30mm에 설정된다. 특히, 본 발명의 낚싯대(10)에서는 L1=17.0mm, L2=10.0mm, L3=7.0mm, D=21.4mm, d=17.27mm로 설정되어 있다.
뒷마개(25)는 계단식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작은 지름부(33)과 큰 지름부(34)를 가진다. 뒷마개(25)는 수지, 금속 등에 의해 구성된다. 작은 지름부(33)의 바깥지름은 상기 감합 부재(24)의 최대 바깥지름(D)에 대응하고 있어, 감합 부재(24) 후단부에 꼭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지름부(33)의 바깥지름 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감합 부재(24)의 후단부 안쪽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뒷마개(25)가 감합 부재(24)에 나사로 조여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은 지름부(33)과 큰 지름부(34)와의 경계 부분 (계단식 부분)에 O 링(35)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뒷마개(25)는 확실하게 감합 부재(24)에 단단히 조여 들어감과 함께, 외부로부터 낚싯대(10) 내부로의 물의 침입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상기 작은 지름부(33)의 축 방향 치수는 소정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은 지름부(33)의 축 방향 단면(36)은 원절(15) 내부에서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원상절(14)가 원절(15)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수납 위치), 원상절(14)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충격 흡수 부재(26)은 원상절(14)의 후단면을 덮도록 원상절(14)에 끼워 넣어져 있다. 충격 흡수 부재(26)은,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NBR)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충격 흡수 부재(26)의 사시도 이고, 원상절(14)에 끼워 넣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충격 흡수 부재(26)은, 상기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식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감입부(37)과 플랜지부(38)을 가지고 있다. 감입부(37)은 원통 형상을 보이고 있고, 그 바깥지름은 원상절(14)의 후단부의 안쪽지름에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감입부(37)은 원상절(14)의 내부에 꼭 끼워 넣어지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38)은 단면이 대략 コ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감입부(37)에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8)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절(14)의 후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당해 후단부에 소정의 계합력으로 계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 흡수 부재(26)은 두께 치수(t)가 0.5mm ~ 1.0mm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충격 흡수 부재(26)이 원상절(14)에 장착되었을 시에는, 플랜지부(38)의 가장자리 부분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절(14)의 둘레 면으로부터 치수(t)만큼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낚싯대(10)에서는, 낚시꾼이 줌인 조작을 행하여 원상절(14)가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 원상절(14)의 후단부가 원절(15) 내에 배치된 감합 부재(24)의 선단(28)에 충돌하는 일이 있다고 해도, 원상절(14)에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26)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원상절(14)의 후단면이 덮여 있기 때문에 당해 충돌시의 충격이 완화된다. 특히 원절이 큰 테이퍼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에 있어서는, 원상절이 감합 부재와 심하게 충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는 절대적이다.
따라서, 이 낚싯대(10)에서는 낚시꾼은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 조작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 흡수 부재(26)은 원상절(14)의 둘레면으로부터 치수(t)만큼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원상절(14)가 감합 부재(24)에 감합한 경우에 간극(間隙)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원상절(14)가 수납 위치로 위치 변화된 때에는, 원절(15)와 원상절(14)와의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성감이 있는 줌 기구가 실현된다.
한편, 충격 흡수 부재(26)을 통하여 원상절(14)와 감합 부재(24)가 감합하기 때문에 양자의 고착이 방지된다. 따라서, 낚시꾼은 줌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낚싯대(10)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원상절(14)의 후단부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가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상절(14)의 후단부에 NBR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충격 흡수 부재(26)이 끼워 넣어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마개 부재(39)가 원상절(14)의 후단부에 나사로 조여지고 있다는 점이다. 덧붙여,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0)과 같다.
마개 부재(39)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지름부(40)과 큰 지름부(41)을 가지고 있다. 마개 부재(39)는, 예를 들면, NBR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작은 지름부(4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바깥지름은 원상절(14)의 후단부 안쪽지름에 대응하고 있다. 작은 지름부(40)의 둘레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큰 지름부(41)은 작은 지름부(40)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상절(14) 후단부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이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나합(螺合)하는 것에 의하여, 마개 부재(39)가 원상절(14)에 나사로 조여지고 있다. 단지, 작은 지름부(40) 및 원상절(14)에 상기 수나사 및 암나사가 형성된 구성이 아닌 작은 지름부(40)이 원상절(14)의 후단부에 끼워 넣어지는 구성이어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다.
큰 지름부(41)의 외주면 및 단면에 충격 흡수 부재(42)가 장착되어 있다. 이 탄성흡수 부재(4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부재(26)과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충격 흡수 부재(42)는 탄성 도료 (예를 들면, 세노세후트 (상품명))이 도포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충격 흡수 부재(42)가 장착됨으로써 원상절(14)의 후단면이 충격 흡수 부재(42)로 덮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낚싯대(10)에 있어서도, 낚시꾼이 줌인 조작을 행하여 원상절(14)가 수납 위치로 위치 변화될 때, 원상절(14)의 후단부가 원절(15) 내에 배치된 감합 부재(24)의 선단(28)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고 해도 그 충돌시 충격이 완화된다. 그 결과, 낚시꾼은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 조작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낚싯대(10)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로써, 원상절(14)의 후단부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가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원상절(14)의 후단면 가장자리부(43)에 C면(44)가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충격 흡수 부재(45)의 플랜지부(46)은 이 C면(44)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충격 흡수 부재(45)는 탄성 도료 (예를 들면, 세노세후트 (상품명))가 도포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0)과 같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낚시꾼이 줌인 조작을 할 때, 원상절(14)의 후단부가 원절(15)내에 배치된 감합 부재(24)의 선단(28)에 충돌하는 일이 있다고 하여도 그 충돌시 충격이 완화된다. 게다가, 원상절(14)에는 상기 C면(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충돌시 충격이 한층 더 완화된다. 그 결과, 낚시꾼은 한층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 조작을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일부를 잘라 낸 상태에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이다. 이들 도는 낚싯대의 줌 기구가 구비한 유지 기구(22)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가 특징으로 하는 점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원상절(14)에 충격 흡수 부재(26)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원상절(14)가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 원상절(14)의 후단을 경사면(31)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면(47)이 원절(15)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안내면(47)은 원절(15)의 내벽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원절(15)의 후단부 안쪽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段部)(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48)은 원절(15)의 후단부의 안쪽에 큰 지름부(49)와 작은 지름부(50)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7에서의 주요부 확대도 이고, 단부(48)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 부재(24)에 감합편(27)이 설치되어 있지만, 제1 실시예와 같이, 감합편(27)에는 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31)은 감합 부재(24)에 연속하여 형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감합 부재(24)의 선단부(24a)는 경사면(31)에 연속하도록 비스듬하게 잘려져 있다.
단부(48)의 단차 치수는, 감합 부재(24)의 선단부(24a)의 두께 치수(T)와 같거나 또는 두께 치수(T)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작은 지름부(50)의 안쪽지름은 상기 감합 부재(24)의 선단부 안쪽 지름, 즉, 감합 부재(24)의 최대 안쪽지름(D)와 같거나 또는 최대 안쪽지름(D)보다 작도록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 이 단부(48)은 원절(15)를 성형할 때, 심금으로서의 맨드릴(mandrel)에 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낚시꾼이 줌인 조작을 행하여 원상절(14)가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 원상절(14)는 슬라이드 안내면(47)에 의해 안내된다.
이 때, 상기 작은 지름부(50)의 안쪽지름은 상기 감합 부재(24)의 최대 안쪽지름(D)와 같거나 또는 최대 안쪽지름(D)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상절(14)의 후단부는 슬라이드 안내면(47)에 의해 안내되었을 때, 반드시 감합편(27)의 경사면(31)에 맞닿아 접한다. 이 경사면(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상절(14)와 원절(15)의 감합을 안내하는 감합 안내면으로써 기능하기 때문에, 원상절(14)의 후단부는 경사면(31)에 의해 원활하게 원절(15) 쪽으로 감합한다.
즉, 낚시꾼이 줌인 조작을 할 때, 원상절(14)의 후단부가 감합 부재(24)의 선단부(28)에 충돌하는 일이 있다고 해도 그 충돌시 큰 충격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특히 원절이 큰 테이퍼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에 있어서는, 원상절이 감합 부재와 심하게 충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는 절대적이다. 따라서, 낚시꾼은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 조작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안내면(47)이 원절(15)의 내벽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면(47)을 구성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원절(15)의 내부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원절(15)의 구조가 간략화 되어 낚싯대 전체로서의 제조 비용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슬라이드 안내면(47)은, 예를 들어 필요한 안내 부재를 원절(15) 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원상절(14)의 후단면 가장자리부(43)에 상기 제1 실시예에 도시된 C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C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원상절(14)와 감합 부재(24)가 충돌했을 때 충격은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낚시꾼은 보다 한층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 조작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꾼이 줌인 조작을 할 때, 원절과 원상절이 충돌한 경우라 하더라도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낚시꾼은 위화감이 제거된 매끄러운 줌 조작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원상절이 원절에 대하여 수납된 수납 위치와 돌출된 돌출 위치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위치에 있어서 원상절이 원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줌 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원상절의 후단면(後端面)을 덮는 충격 흡수 부재가 당해 원상절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절의 후단면 가장자리부에 C면이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
  3. 원상절이 원절에 대해서 수납된 수납 위치와 돌출된 돌출 위치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위치에 있어서 원상절이 원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줌 기구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원상절이 상기 수납 위치로 위치가 변화될 때, 당해 원상절의 후단부가 삽입, 감합되는 감합 부재가 상기 원절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당해 감합 부재는 상기 원상절의 감합을 안내하는 감합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원절은 상기 원상절이 수납 위치로 위치 변화될 때에, 상기 원상절의 후단면을 상기 감합 안내면에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안내면은 상기 원절의 내벽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낚싯대.
KR1020030051249A 2002-07-29 2003-07-25 낚싯대 KR100950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0295 2002-07-29
JP2002220295A JP3980438B2 (ja) 2002-07-29 2002-07-29 釣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497A KR20040012497A (ko) 2004-02-11
KR100950893B1 true KR100950893B1 (ko) 2010-04-06

Family

ID=3043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249A KR100950893B1 (ko) 2002-07-29 2003-07-25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80438B2 (ko)
KR (1) KR100950893B1 (ko)
CN (1) CN100333639C (ko)
TW (1) TWI2602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6238A (ja) * 2007-10-31 2009-05-21 Daiwa Seiko Inc 釣竿
JP5537167B2 (ja) * 2010-01-15 2014-07-02 積水樹脂株式会社 農園芸用支柱
FR3089752B1 (fr) * 2018-12-18 2021-03-05 Ctfi Canne a peche telescopique fil interieur
JP7378778B2 (ja) * 2019-11-27 2023-11-14 メガバス株式会社 釣り竿
EP4175469A1 (en) * 2020-07-02 2023-05-10 Penicka, Robert Fishing rod and method for attaching line guides, tip tops and accessories to a rod blan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68U (ja) * 1992-11-13 1994-06-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H07327553A (ja) * 1994-06-10 1995-12-19 Daiwa Seiko Inc 中通し釣竿
JP2001128594A (ja) 1999-11-09 2001-05-15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580B2 (ja) * 1996-08-09 2005-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JP4180197B2 (ja) * 1999-08-23 2008-11-1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68U (ja) * 1992-11-13 1994-06-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H07327553A (ja) * 1994-06-10 1995-12-19 Daiwa Seiko Inc 中通し釣竿
JP2001128594A (ja) 1999-11-09 2001-05-15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33639C (zh) 2007-08-29
TWI260201B (en) 2006-08-21
KR20040012497A (ko) 2004-02-11
TW200401606A (en) 2004-02-01
JP2004057084A (ja) 2004-02-26
JP3980438B2 (ja) 2007-09-26
CN1471815A (zh)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4920A (en) Connection element for a rod
MX2014011152A (es) Instrumento de escritura que tiene una cubierta de proteccion movil.
KR100950893B1 (ko) 낚싯대
JP2009048118A (ja) カムフォロアおよびレンズ鏡枠
JP2007259741A (ja) 釣竿
KR102150347B1 (ko)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US9550391B2 (e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JP6116860B2 (ja) 筆記具
US7195566B2 (en) Grip of sports equipment
JP6639984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当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る釣竿
JP2001128594A (ja) 竿体の嵌合構造
JP5933203B2 (ja) 筆記具用軸筒
JP6147662B2 (ja) 釣竿
JP2022081031A (ja) 振出竿
JP2018140512A (ja) 筆記具の尾栓取付構造
JP3596823B2 (ja) 中通し竿のトップガイドおよび中通し竿
JP2520423Y2 (ja) 振出し竿
JP6345003B2 (ja) 釣竿
JP2020138492A (ja) 熱変色性ボールペン
JP2010051260A (ja) 釣竿
JP2021000735A (ja) 芯折れ防止機構付き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0342119A (ja) 釣 竿
JPH0450157Y2 (ko)
JP4460992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101857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