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305B1 -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305B1
KR100950305B1 KR1020090106486A KR20090106486A KR100950305B1 KR 100950305 B1 KR100950305 B1 KR 100950305B1 KR 1020090106486 A KR1020090106486 A KR 1020090106486A KR 20090106486 A KR20090106486 A KR 20090106486A KR 100950305 B1 KR100950305 B1 KR 10095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wing
delete delete
bracket
engin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재
Original Assignee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sloping ground, e.g. on embankments or in d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초장치의 본체 하면에 복수개 이상의 바퀴를 장착하고 대용량의 엔진을 탑재하여 넓은 면적의 예초를 행하며,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가장자리의 블레이드가 경사면과 평행하게 각도 조절되게 함으로써 주행시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면 주행시 바퀴의 접지각이 가변 가능하게 하고,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평면 또는 경사면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예초할 수 있도록 한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논두렁의 노면 및 경사면을 예초하기 위해 단일의 엔진으로 신속하게 해당 예초 대상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게 본체의 하단 및 측부 하방에 각각 복수개의 예초부가 상호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져 있으므로 한 번의 주행으로 논두렁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각 블레이드의 회전날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예초된 풀들이 중앙부에 집초되게 되므로 차후 풀을 수거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노면 상황에 따라 본체의 예초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양 블레이드를 수평으로 편 상태에서 경사면 예초시 바퀴의 접지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주행방향이 상방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방으로의 하중 이동을 감소시켜 안전한 예초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휴대, 주행, 경사면, 노면, 예초.

Description

복합굴절면 예초장치{PORTABLE GRASS MOWER APPARATUS FOR MULTI-TURNING SECTION}
본 발명은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예초장치의 본체 하면에 복수개 이상의 바퀴를 장착하고 대용량의 엔진을 탑재하여 넓은 면적의 예초를 행하며,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가장자리의 블레이드가 경사면과 평행하게 각도 조절되게 함으로써 주행시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면 주행시 바퀴의 접지각이 가변 가능하게 하고,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평면 또는 경사면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예초할 수 있도록 한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예초장치는 풀을 베기 위한 장치로서, 농가에 일반적으로 1대 이상 보유하고 있는 일반적인 장치이다. 종래의 예초장치는 엔진형과 전기식 타입으로만 구분되며, 엔진의 힘이나 배터리의 힘으로 예초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그 회전 절단력을 이용하여 풀을 베는 장치이다.
또한, 종래의 예초장치는 사용자가 등에 본체를 둘러멘 상태에서 손으로 로드를 파지하여 풀을 베는 장치인 바, 일반적으로 외형 자체는 큰 변경이 없으면서 블레이드의 재질 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예초장치는 본체의 동력이 매우 약하므로 예초 범위가 너무 작으므로 예초 대상지가 넓은 경우에는 예초 시간이 너무 길다는 단점이 있었고, 본체의 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큰 용량의 엔진이나 배터리 등을 사용하게 되면 중량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등에 짊어지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예초장치는 논두렁의 상면인 노면이나, 경사면을 각각 별도로 예초해야 하므로, 예초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예초장치는 경사면만을 예초할 때, 본체가 경사면과 수직되게 이동되어야 하므로, 하방으로 본체의 하중이 쏠리게 되어 예초장치가 전복된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바퀴가 본체와 수직되게 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쏠리는 하중을 보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초장치의 본체 하면에 복수개 이상의 바퀴를 장착하고 대용량의 엔진을 탑재하여 넓은 면적의 예초를 행하며,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가장자리의 블레이드가 경사면과 평행하게 각도 조절되게 함으로써 주행시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면 주행시 바퀴의 접지각이 가변 가능하게 하고,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평면 또는 경사면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예초할 수 있도록 한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노면에 위치한 풀을 예초하는 노면 예초부와; 본체 프레임의 일측방에 구성되고, 그 본체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며,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2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경사면에 위치한 풀을 예초하는 경사면 예초부와; 상기 노면 예초부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회전력을 상기 경사면 예초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단에 구성되어 상기 노면 예초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 후방에는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본체 프레임을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바퀴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 전방에는 본체 프레임의 주행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장착된 전방 바퀴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상단에는 주행 및 블레이드 회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레버와, 주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기가 장착된 핸들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주행바퀴로 전달되는 엔진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주행 클러치와; 상기 제 1, 2 블레이드로 전달되는 엔진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블레이드 클러치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 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면 예초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된 평면 형상의 예초부 커버와;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직각으로 변형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의 하단에 장착되어 노면에 수평으로 회전하는 제 1블레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면 예초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측방에 결합된 평면 형상의 예초부 커버와;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각으로 변형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의 하단에 장착되어 경사면에 수평으로 회전하는 제 2블레이드와; 상기 예초부 커버의 일측 하단에 장착되어 예초부 커버가 경사면에 대해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바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블레이드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블레이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프레임의 하방 중앙에 예초된 풀이 집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력을 일정각도 변형하여 전달하기 위해 회전샤프트와 직결된 제 1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제 1 유니버셜 조인트와 직결되어 제 1 유니버셜 조인트의 회전력을 일정각도 변형 전달하기 위한 제 2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전방 프레임의 전단 중앙에 장착된 승강 브라켓과; 상기 승강브라켓이 상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승강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승강공의 외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승강 체결구와; 상기 승강체결구에 체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 외주연에 수나사가 각설되어져 있으며, 회전을 통해 승강되는 높이조절봉과; 상기 높이조절봉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고, 그 전단에 전방바퀴가 힌지 결합된 바퀴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스프로켓과; 제 1 스프로켓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본체 프레임의 측방에 설치된 제 2 스프로켓과; 상기 제 2 스프로켓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전방바퀴 상부의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제 3 스프로켓과; 상기 제 3 스프로켓의 측면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3 유니버셜 조인트와; 제 3 유니버셜 조인트에 축결되어 제 3 스프로켓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4 스프로켓과; 상기 전방바퀴의 축에 축결되어 상기 제 4 스프로켓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5 스프로켓과; 상기 제 1, 2 스프로켓과, 제 4, 5 스프로켓을 연결시키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엔진의 회전력을 전방바퀴로 전달하는 전방바퀴 주행구동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용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배면방향으로 핸들이 장착되고, 그 핸들의 끝단에는 엔진을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버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면 예초부와 경사면 예초부는 각 예초부 커버의 인접면에 힌지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힌지가 상기 동력전달부의 허용각도에 따라 회전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초부 커버는 그 가장자리 하방으로 돌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시트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2 블레이드의 하단에는 블레이드 보호용 원반이 각각 축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면예초부의 예초부 커버 상면에 부착된 제 1 브라켓과; 상기 경사면 예초부의 예초부 커버 상면에 부착된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2 브라켓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다단의 홈부가 형성된 다단걸림로드와; 상기 제 2 브라켓의 내부에 다단걸림로드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전단에 홈부와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후단 외주연에는 스프링이 결합되며, 후단이 와이어를 통해 핸들에 장착된 다단조절레버에 의해 인출입되는 지지로드로 구비됨으로써 노면예초부의 예초부 커버에 대해 경사면 예초부의 예초부 커버가 다단으로 각도조절되게 된 다단조절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2 유니버셜 조인트로 변형 전달 가능한 회전각은 각 유니버셜 조인트마다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브라켓은 그 상단 소정부에 다수의 주행각 결정공이 마련된 제 1 고정리브가 연장되고, 그 제 1 고정리브가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제 1 결합지그로 결합되어져 상기 고정브라켓이 일정 주행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브라켓은 그 전면 소정부에 다수의 접지각 결정공이 마련된 제 2 고정리브가 연장되고, 상기 바퀴지지대의 상단 소정부에 통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제 2 고정리브에 밀착되어 접지각 결정공과 통공이 제 2 결합지그로 결합되어져 상기 바퀴지지대가 일정 접지각으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조절봉은 그 하단에 힌지공이 형성된 결합판이 높이조절봉에 대해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퀴 지지대는 상기 전방바퀴의 주행방향 및 접지각이 가변될 수 있도록 그 후단과 차체 사이에는 복수개의 유니버셜 조인트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고정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스프로켓과 제 3 스프로켓은 연결 조인트의 양단이 축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초부 커버는 그 상면에 각각 브라켓이 구성되며, 그 브 라켓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기 가스쇼바가 더 구비되어, 상기 힌지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는 논두렁의 노면 및 경사면을 예초하기 위해 단일의 엔진으로 신속하게 해당 예초 대상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게 본체의 하단 및 측부 하방에 각각 복수개의 예초부가 상호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져 있으므로 한 번의 주행으로 논두렁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각 블레이드의 회전날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예초된 풀들이 중앙부에 집초되게 되므로 차후 풀을 수거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노면 상황에 따라 본체의 예초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양 블레이드를 수평으로 편 상태에서 경사면 예초시 바퀴의 접지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주행방향이 상방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방으로의 하중 이동을 감소시켜 안전한 예초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예초장치의 본체 하면에 복수개 이상의 바퀴를 장착하고 대용량의 엔진을 탑재하여 넓 은 면적의 예초를 행하며,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가장자리의 블레이드가 경사면과 평행하게 각도 조절되게 함으로써 주행시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면 주행시 바퀴의 접지각이 가변 가능하게 하고,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평면 또는 경사면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예초할 수 있도록 한 예초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그 본체(4)의 중앙부를 구성하며, 전단이 라운드진 직육각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 프레임(22)이 구비되는 바, 그 본체 프레임(22)의 상면에는 주행 및 예초를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6)이 장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직하방에는 상기 엔진(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블레이드(도 3참조: 108)를 회전시켜 노면에 위치한 풀을 예초하는 노면 예초부(10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일측 하방에 구성되고, 그 본체 프레임(22)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며, 상기 엔진(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2블레이드(도 3참조: 208)를 회전시켜 경사면에 위치한 풀을 예초하는 경사면 예초부(200)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는 상기 노면 예초부(100)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6)의 회전력을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12: 도 3참조)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전단에 구성되어 상기 노면 예초부(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300)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내부에는 본체 프레임(22)의 더욱 강하게 지지하기 위한 각형의 지지프레임(20)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지지프레임(20)의 전단 중앙부에는 승강브라켓(24a)이 지지프레임(20)에 용접되어져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그 승강브라켓(24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5a, 5b를 통해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일측에는 전방바퀴 주행구동부(400)가 별도의 커버로 설치되어져 있는 바, 그 전방바퀴 주행구동부(400)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방바퀴(14)를 주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하부 후방에 상기 엔진(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본체 프레임(22)을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바퀴(16)가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하부 전방에는 본체 프레임(22)의 주행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장착된 전방 바퀴(14)가 바퀴지지대(310)에 의해 장착되어져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단일의 엔진(6)을 통해 상기 노면 예초부(100) 및 경사면 예초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주행바퀴(16)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주행바퀴(16)로 전달되는 엔진(6)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주행 클러치(8)와; 상기 제 1, 2 블레이드(108,208: 도 3참조)로 전달되는 엔진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블레이드 클러치(10)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주행클러치(8)와 주행바퀴(16)의 사이에는 그 주행클러치(8)로부터 하방으로 연설된 미션케이스(18)가 구비되어져 주행바퀴(16)의 차속을 변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미션케이스(18)는 내부에 다수의 감속기어류가 장착된 공지의 미션장치가 내장되어져 있는 바, 그 미션장치(미도시)를 통해 예초장치(2)의 전진 및 후진, 고속 및 저속 주행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상기 주행바퀴(16)만을 구동시켜 예초 대상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주행바퀴(16)와 상기 제 1, 2 블레이드(108,208)에 동시에 엔진 회전력을 전달하여 논두렁을 주행하면서 논두렁의 지면으로 솟아나온 풀을 예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상기 논두렁의 노면을 주행하면서 상기 노면 예초부(100)를 구동시켜 상기 논두렁의 노면에 위치한 풀을 예초할 수 있으며, 그 논두렁의 둑방인 경사면에 위치한 풀을 경사면 예초부(200)의 구동으로 동시에 예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의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후방 상단에는 주행 및 블레이드 회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레버와, 주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기가 장착된 핸들(12)이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는 본체 프레임(22)의 배면방향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장치를 지지하거나, 조작하기 위한 핸들(12)이 부가되는 바, 그 핸들(12)의 끝단에는 엔진(6)의 시동시 또는 엔진(6)의 비상정지시 엔진(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비상정지버 튼(520)이 구비되어져 있다.
그 비상정지버튼(520)은 엔진(6)을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엔진(6) 시동시에는 경운기와 마찬가지로 초크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엔진(6)을 수동으로 구동시키는 바, 이때 상기 비상정지버튼(520)의 연료공급라인중 소정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료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보조 연료공급제어수단이다.
따라서, 엔진(6)의 시동시에는 상기 비상정지버튼(520)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초크밸브를 개방하고 엔진(6)을 수동으로 기동시키고, 엔진(6)의 비상 정지시에는 상기 비상정지버튼(520)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진(6)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차단되어 엔진(6)이 정지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엔진(6)은 유사시 신속하게 비상정지시켜야 하므로, 상기 비상정지버튼(520)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축결되어져 있고, 상기 비상정지버튼(520)의 가압 조작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게 엔진(6)이 정지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승강 브라켓(24a)의 후단에는 주행각도 조절부(330)가 구성되는 바, 그 주행각도 조절부(330)는 바퀴 지지대(310)를 좌우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제 1결합지그(332)를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예초시 일정한 각도의 주행각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조향수단이다. 이는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브라켓(24a)의 내부에는 상기 바퀴지지대(310)의 접지각을 가변 고정시킬 수 있는 접지각 조절부가 구비되는 바, 상기 승강 브라켓(24a)의 내 부에는 고정브라켓(308)이 수용되어져 있는 바, 그 고정브라켓(308)의 전면 소정부에는 상기 전방바퀴(14)의 접지각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제 2 결합지그(356) 등의 구성이 구비된 바, 이는 도 5b와 도 5c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 구성된 상기 노면 예초부(100)는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하단에 결합된 평면 형상의 예초부 커버(102)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클러치(10)를 매개로 연결된 풀리를 매개로 상기 엔진(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104)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104)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직각으로 변형하는 웜기어(110)가 구비된 바, 그 웜기어(110)를 통해 직하방 종축심(106)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그 회전력을 전달받은 블레이드 샤프트(108a)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블레이드(108)를 논두렁 노면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 포함된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는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측부 하방에 위치된 평면 형상의 예초부 커버(202)가 구성되며, 상기 엔진(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각으로 변형하는 웜기어(210)가 구성되고, 그 웜기어(210)에 의해 종축심(206)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며, 그 종축심(206)과 연결된 블레이드 샤프트(208a)를 통해 논두렁의 경사면에 수평으로 제 2블레이드(208)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예초부 커버(202)의 일측 하단에 장착되어 예초부 커버(202)가 경사면에 대해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바퀴(204)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의 주행시 예초된 풀들이 상기 예초부 커버(102,202)의 중앙부에 집초시키면서 예초장치(2)가 지나갈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블레이드(108)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블레이드(20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구비된 각 웜기어(110 또는 210) 내부의 기어류들이 각각 중앙에 집초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 1 블레이드(108)와 제 2 블레이드(208)의 축하단에는 각각 블레이드 보호용 원반(108b,208b)이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블레이드 보호용 원반(108b,208b)은 상기 제 1 블레이드(108)와 제 2 블레이드(208)를 최저 위치로 낮춘 경우라도, 직접 상기 제 1 블레이드(108)와 제 2 블레이드(208)가 지면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노면 예초부(100)와 경사면 예초부(200)는 각 예초부 커버(102,202)의 인접면에 힌지(214)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힌지(214)가 상기 동력전달부(112)의 허용각도에 따라 회전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예초부 커버(102,20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기 힌지(214)의 지지력이 크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예초부 커버(102,202)의 상면 에 각각 브라켓(452a,452b)을 구성하고, 그 브라켓(452a,452b)에 가스쇼바(450)를 설치하여 상기 예초부 커버(102,202)의 절첩시 상기 가스쇼바(450)가 상기 힌지(214)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논두렁의 노면상에 위치된 상기 노면예초부(100)에 대해서,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는 일정각도 굴절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동력전달부(112)는 상기 회전샤프트(104)의 회전력을 일정각도 변형하여 전달하기 위해 회전샤프트(104)와 직결된 제 1 유니버셜 조인트(112a)와; 상기 제 1 유니버셜 조인트(112a)와 직결되어 제 1 유니버셜 조인트(112a)의 회전력을 일정각도 변형 전달하기 위한 제 2 유니버셜 조인트(112b)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12a,112b)는 변형 전달 가능한 회전각이 각 유니버셜 조인트마다 30도이므로, 논두렁의 노면과 경사면간의 굴절 각도가 약 60도 가량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유니버셜 조인트(112a,112b)를 직결하여야만 노면과 경사면을 예초하기 위한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초부 커버(102,202)는 그 가장자리 하방으로 돌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시트가 더 장착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상기 본체 프레임(22)의 측부에 별도의 커버로 덮힌 전방바퀴 주행구동부(40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전방바퀴 주행구동부(400)는 상기 엔진(6)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스프로켓(402)과; 제 1 스프로켓(402)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본체 프레임(22)의 측방에 설치된 제 2 스프로켓(404)과; 상기 제 2 스프로켓(404)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전방바퀴(14) 상부의 본체 프레임(22)에 설치된 제 3 스프로켓(408)과; 상기 제 3 스프로켓(408)의 측면에 장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 2 연결조인트(370: 도 5d 참조)와; 상기 제 2 연결조인트(370)에 축결되어 제 3 스프로켓(408)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4 스프로켓(372)과; 상기 전방바퀴(14)의 축에 축결되어 상기 제 4 스프로켓(37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5 스프로켓(416)과; 상기 제 1, 2 스프로켓(402,404)과, 제 4, 5 스프로켓(372,416)을 각각 연결시키는 체인(406)으로 이루어져 엔진의 회전력을 전방바퀴(14)로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도 3을 통해서는 스프로켓의 구성이나 제 2 연결조인트(370)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였으나, 이는 도면을 간단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며, 상세한 제 2 연결조인트(370)의 후단 구성은 도 5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전방바퀴(14)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 프레임(22)에 대한 전방바퀴(14)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는 바, 그 높이조절부(300)는 좌우로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전방바퀴(14)의 주행방향을 설정한 이후,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 2 스프로켓(404)과 제 3 스프로켓(408)은 각각 제 1연결조인트(410)의 양단이 축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통한 상기 전방바퀴(14)의 고정구조에 대해서는 도 5b를 통해서 후술하기로 하고, 제 1연결조인트(41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연결조인트(410)는 상기 전방바퀴(410)가 작업자에 의해 일정한 범위내에서 좌우로 회전된 상태에서 다시 본체 프레임(22)에 고정되는 경우, 원활한 동력전달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스프로켓(404)과 제 3 스프로켓(408)에 축결 되어져 일정하게 변형된 각도의 동력전달을 보상하게 된다.
상기 제 1연결조인트(410)는 일반적인 유니버셜 조인트와 마찬가지로, 조인트 로드(412,414)의 일단이 각각 상기 제 2 스프로켓(404)과 제 3 스프로켓(408)에 축결되어져 있고, 그 타단에 형성된 연결고리부(412a,412b)가 각각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변형 각도에서의 동력전달을 지원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전방바퀴(14)가 일정한 주행각도를 갖도록 가변되기 때문에, 이때의 동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제 1연결조인트(410)를 통해 변형 각도에서의 동력전달을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초장치(2)는 상기 전방바퀴 주행구동부(400)를 통해 전방바퀴(14)가 주행할 수 있게 되므로, 예초할 노면상에 돌멩이나 기타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그 장애물을 전방바퀴(14)가 주행하면서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으며, 상기 주행각도 조절부(330)에 의해 일정한 주행각도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주행각도 조절부(330)는 본 발명의 예초장치(2)가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 예초할 경우, 경사면측에 위치된 경사면 예초부(200)의 하중에 의해 주행방향이 경사면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바퀴(14)를 그 경사면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일정각도로 고정시켜 주행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초장치(2)는 상기 노면 예초부(100)와 경사면 예초부(200)가 공히 경사면을 예초하기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 경사면을 주행하게 될 때, 본체의 하중이 경사면의 하방으로 집중되어 본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지지대(310)의 접지각을 가변시키는 접지각 조절부가 구성되어져 있다.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포함된 높이 조절부 및 주행각도 조절부, 접지각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b는 높이조절부 및 주행각도 조절부, 접지각 조절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c는 접지각 조절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d는 접지각 조절시 동력전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의 전단에 구성되어 노면 예초부(100)의 예초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본체 프레임(22)의 전단 중앙에 장착된 승강 브라켓(24a)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승강브라켓(24a)이 상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승강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승강공의 외주연에 암나사(314a)가 형성된 승강 체결구(31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상기 승강체결구(314)에 체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 외주연에 수나사(304a)가 각설되어져 있으며, 회전을 통해 승강되는 높이조절봉(304)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높이조절봉(304)의 상단은 회전로드(302)로 구성되어져 있고, 그 회전로드(302)의 끝단 상면에는 손잡이(306)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봉(304)의 하단에 힌지(348)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고정브라켓(308)과; 상기 고정브라켓(308)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08)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고, 그 전단에 전방바퀴(14)가 힌지 결합된 바퀴지지대(3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봉(304)과 상기 승강체결구(314)는 상시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손잡이(30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조절봉(304)이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높이조절봉(304)의 하단에 결합된 승강체결구(31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회전력을 나사결합 구조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그 직선운동력으로 상기 승강체결구(314)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체결구(314)에 힌지 결합된 상기 바퀴지지대(310)도 상기 고정부(312)를 기준으로 전방바퀴(14)가 결합된 끝단부가 상승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방바퀴(14)에 대한 본체 프레임(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국, 상기 제 1 블레이드(10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로인해 예초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300)을 구성하는 상기 높이조절봉(304)은 그 하단에 힌지공(305a)이 형성된 결합판(305)이 높이조절봉(304)에 대해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 구비된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가 자중에 의해 경사면 아랫방향으로 쏠림으로써 상기 전방바퀴(14)가 직전방으로 바른 주행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 구성된 상기 전방바퀴(14)는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가 자중에 의해 경사면 아랫방향으로 쏠려 직전방으로 주행하지 못하는 정도만큼 보상해주도록 일정각도 변경된 방향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 구비된 상기 주행각도 조절부(330)가 구비되고, 그 주행각도 조절부(330)는 고정된 승강 브라켓(24a)에 대해 결합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고정브라켓(308)을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브라켓(308)은 그 상단 소정부에 다수의 주행각 결정공(344)이 마련된 제 1 고정리브(342)가 연장되고, 그 제 1 고정리브(342)가 승강브라켓(24a)에 형성된 통공(340)을 통해 제 1 결합지그(332)로 결합되어져 상기 고정브라켓(308)이 일정 주행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308)의 가변 결합구조는 궁극적으로 상기 바퀴 지지대(310)를 일정한 주행각도로 가변시키기 위함이며, 예초 개시 전에 상기 승강브라켓(24a)에 대해 상기 고정브라켓(308)의 주행각도를 가변시켜 고정한 다음 예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예초장치(2)는 상기 노면 예초부(100)와 경사면 예초부(200)가 공히 경사면을 예초하기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 경사면을 주행하게 될 때, 본체의 하중이 경사면의 하방으로 집중되어 본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지지대(310)의 접지각을 가변시키는 접지각 조절부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접지각 조절부는 상기 고정브라켓(308)의 전면 소정부에 다수의 접지각 결정공(354)이 마련된 제 2 고정리브(352)가 연장되고, 상기 바퀴지지대(310)의 상단 소정부에 통공(362)이 형성된 결합편(360)이 제 2 고정리브(352)에 밀착되어 접지각 결정공(354)과 통공(362)이 제 2 결합지그(356)로 결합되어져 상기 바퀴지지 대(310)가 일정 접지각으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제 2 결합지그(356)는 제 1결합지그(332)와 마찬가지로 그 하단 외주연에 수나사(358)가 각설되어져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상기 전방바퀴(14)의 주행각도 및 접지각이 수동으로 가변될 수 있게 구성하였지만, 유압장치 등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며, 자동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구성만을 보면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자동으로 상기 전방바퀴(14)의 주행각도 및 접지각이 가변될 수 있는 구성도 본 발명에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미리 밝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상기 전방바퀴(14)의 주행각도 및 접지각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그 전방바퀴(14)가 결합되는 상기 바퀴지지대(310)는 그 후단에 본체프레임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유니버셜 조인트가 상호 결합되어 측방 틀어짐과 비틀림에 대응하여 차체에 대해 바퀴지지대(3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부(312)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바퀴지지대(310)의 측부로 전달되는 동력도 역시, 제 2 스프로켓(404)과 제 3 스프로켓(408)의 사이에 제 1 연결조인트(41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제 3 스프로켓(408)과 제 4 스프로켓(372)의 사이에는 제 2 연결조인트(370)가 구성됨으로써 바퀴지지대(310)가 주행각도와 접지각의 가변 조절에 의해 비틀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동력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포함된 다단조절 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상기 노면 예초부(100)의 예초부 커버(102)에 대해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의 예초부 커버(202)가 다단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노면 예초부(100)의 예초부 커버(102)에 대해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의 예초부 커버(202)가 다단으로 각도 조절됨으로써 경사면의 풀 높이에 맞게 경사면 예초부(200)의 장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단 조절부(500)는 상기 노면예초부(100)의 예초부 커버(102) 상면에 부착된 제 1 브라켓(504)과;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의 예초부 커버(202) 상면에 부착된 제 2 브라켓(502)과; 상기 제 1 브라켓(504)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2 브라켓(502)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다단의 홈부(506a)가 형성된 다단걸림로드(50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 브라켓(502)의 내부에 다단걸림로드(506)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전단에 홈부(506a)와 체결되는 걸림돌기(516)가 구비되고, 후단 외주연에는 스프링(518)이 결합되며, 후단이 와이어(508)를 통해 핸들(12)에 장착된 다단조절레버(512)에 의해 인출입되는 지지로드(514)에 의해 노면예초부(100)의 예초부 커버(102)에 대해 경사면 예초부(200)의 예초부 커버(202)가 다단으로 각도조절되게 되는 구성이 포함되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다단조절부(500)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노면예초부 커버(102)와 180도 각도가 되게 상기 경사면 예초부커버(202)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다단조절레버(51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와이어(508)가 당겨지면서 그 와이어(508)에 연결된 지지로드(514)가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그 전단의 걸림돌기(516)가 홈부(506a)에 결합되게 된다.
만약, 상기 경사면 예초부커버(202)를 노면예초부 커버(102)에 대해 일정각도 접혀지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단조절레버(512)를 전방으로 밀어내면 와이어(508)가 풀리면서 그 와이어(508)에 연결된 지지로드(514)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로인해 그 전단의 걸림돌기(516)가 홈부(506a)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상기 경사면 예초부커버(202)가 자중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작업자가 상기 다단조절레버(51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와이어(508)가 당겨지면서 그 와이어(508)에 연결된 지지로드(514)가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그 전단의 걸림돌기(516)가 또 다른 홈부(506a)에 결합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부(506a)는 상기 다단걸림로드(506)의 하면 3개소에 형성되어 3단으로 상기 경사면 예초부커버(202)가 노면예초부 커버(102)에 대해 접혀질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리코일 스타트 방식으로 상기 엔진(6)을 구동시키고, 상기 주행클러치(8)를 조작하여 엔진(6)의 회전력을 주행바퀴(16)로 전달하고, 상기 블레이드 클러치(10)를 해제하여 엔진(6)의 회 전력이 블레이드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예초 대상지로 이동한다.
예초 대상지에 도착하면, 사용자는 논두렁 노면과 경사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의 노면 예초부(100)와 경사면 예초부(200)가 걸쳐지게 예초장치(2)를 설치하고, 노면에 위치한 풀의 높이나 돌 등의 장애물을 고려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300)를 조절하여 장치 본체의 예초높이를 조절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주행클러치(8)와 블레이드 클러치(10)를 조작하여 엔진(6)의 회전력이 전방바퀴(14)와 주행바퀴(16) 및 제 1, 2 블레이드(108,208)로 전달되게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논두렁의 노면을 주행하면서, 그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초장치는 짧은 시간동안 논두렁의 노면과 경사면을 동시에 예초하게 되므로 신속한 예초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는 본체의 측면에 결합된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가 자중에 의해 경사면 아랫방향으로 쏠림으로써 상기 전방바퀴(14)가 직전방으로 바른 주행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 구성된 상기 전방바퀴(14)는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가 자중에 의해 경사면 아랫방향으로 쏠려 직전방으로 주행하지 못하는 정도만큼 보상해주도록 일정각도 변경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2)에 구비된 상기 주행각도 조절부(330)를 경사면 예초시 조절하는 바, 사용자는 본체에 고정된 상기 승 강 브라켓(24a)에 대해 고정브라켓(308)을 일정한 주행각도를 갖도록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경사면 예초부(200)가 자중에 의해 경사면 아랫방향으로 쏠리더라도 상기 전방바퀴(14)가 자중의 쏠림을 보상할 수 있게 경사면 하방측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예초와 주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예초장치(2)는 상기 노면 예초부(100)와 경사면 예초부(200)가 공히 경사면을 예초하기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 경사면을 주행하게 될 때, 본체의 하중이 경사면의 하방으로 집중되어 본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지지대(310)의 접지각을 가변시키는 접지각 조절부가 구성되어져 있는 바, 사용자는 상기 노면 예초부(100)와 경사면 예초부(200)를 완전히 펼친 다음 경사면만을 예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방바퀴(14)가 그 경사면에 대해 경사면 상방으로 90도보다 더 작은 접지각을 갖도록 함으로써 본체의 하중이 경사면의 하방으로 집중되어 본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은 경사면 예초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포함된 높이 조절부 및 주행각도 조절부, 접지각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포함된 다단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몸체, 6:엔진,
8:주행클러치, 10:블레이드클러치,
12:핸들, 14:전방바퀴,
16;주행바퀴, 24a:승강브라켓,
100:노면예초부, 104:회전샤프트,
108:제1 블레이드, 110:웜기어,
112:동력전달부, 112a,112b:유니버셜조인트,
200:경사면예초부, 208:제2 블레이드,
210:웜기어, 300:높이조절부,
330:주행각도 조절부.

Claims (22)

  1.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1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노면에 위치한 풀을 예초하는 노면 예초부와; 본체 프레임의 일측방에 구성되고, 그 본체 프레임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며,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2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경사면에 위치한 풀을 예초하는 경사면 예초부와; 상기 노면 예초부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회전력을 상기 경사면 예초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된 복합굴절면 예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단에 구성되어 상기 노면 예초부의 높이를 조절하며, 전방바퀴의 주행방향 및 접지각을 가변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그 높이조절부는 본체 프레임의 전단 중앙에 장착된 승강 브라켓과; 상기 승강브라켓이 상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승강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승강공의 외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승강 체결구와; 상기 승강체결구에 체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 외주연에 수나사가 각설되어져 있으며, 회전을 통해 승강되는 높이조절봉과; 상기 높이조절봉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고, 그 전단에 전방바퀴가 힌지 결합된 바퀴지지대와; 상기 바퀴지지대의 후단과 본체프레임 사이에는 전방바퀴의 주행방향 및 접지각이 가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니버셜 조인트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고정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그 상단 소정부에 다수의 주행각 결정공이 마련된 제 1 고정리브가 연장되고, 그 제 1 고정리브가 승강브라켓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제 1 결합지그로 결합되어져 상기 고정브라켓이 일정 주행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그 전면 소정부에 다수의 접지각 결정공이 마련된 제 2 고정리브가 연장되고, 상기 바퀴지지대의 상단 소정부에 통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제 2 고정리브에 밀착되어 접지각 결정공과 통공이 제 2 결합지그로 결합되어져 상기 바퀴지지대가 일정 접지각으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봉은 그 하단에 힌지공이 형성된 결합판이 높이조절봉에 대해 자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굴절면 예초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90106486A 2009-03-16 2009-11-05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KR100950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287 2009-03-16
KR20090022287 2009-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305B1 true KR100950305B1 (ko) 2010-03-31

Family

ID=4218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486A KR100950305B1 (ko) 2009-03-16 2009-11-05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30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331B1 (ko) 2013-05-23 2013-11-11 양규철 수동식 제초기
JP2018157762A (ja) * 2017-03-22 2018-10-11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草刈作業機
CN108651009A (zh) * 2018-07-13 2018-10-16 威海中颐现代农装科技有限公司 一种起垄栽培式果园用避障割草机
CN109348831A (zh) * 2018-09-03 2019-02-19 江苏大学 一种适用于果园地形的自动仿形割草机
IT201700121212A1 (it) * 2017-10-25 2019-04-25 Carli S R L Attrezzo agricolo
JP2019083764A (ja) * 2017-11-08 2019-06-06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KR102368297B1 (ko) 2021-07-26 2022-02-25 김광희 차량용 워터젯 예초장치
CN115119605A (zh) * 2022-08-10 2022-09-30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化多角度变换的修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532A (ja) * 1998-07-10 2000-01-25 Kubota Corp 草刈機
JP2000342041A (ja) * 1999-06-01 2000-12-12 Kubota Corp 畦草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532A (ja) * 1998-07-10 2000-01-25 Kubota Corp 草刈機
JP2000342041A (ja) * 1999-06-01 2000-12-12 Kubota Corp 畦草刈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331B1 (ko) 2013-05-23 2013-11-11 양규철 수동식 제초기
JP2018157762A (ja) * 2017-03-22 2018-10-11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草刈作業機
IT201700121212A1 (it) * 2017-10-25 2019-04-25 Carli S R L Attrezzo agricolo
JP2019083764A (ja) * 2017-11-08 2019-06-06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CN108651009A (zh) * 2018-07-13 2018-10-16 威海中颐现代农装科技有限公司 一种起垄栽培式果园用避障割草机
CN109348831A (zh) * 2018-09-03 2019-02-19 江苏大学 一种适用于果园地形的自动仿形割草机
KR102368297B1 (ko) 2021-07-26 2022-02-25 김광희 차량용 워터젯 예초장치
CN115119605A (zh) * 2022-08-10 2022-09-30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化多角度变换的修草装置
CN115119605B (zh) * 2022-08-10 2023-12-22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化多角度变换的修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305B1 (ko) 복합굴절면 예초장치
US6557331B2 (en) Operator control system for self-propelled vehicles
US5915487A (en) Walk-behind traction vehicle having variable speed friction drive transmission
US8544246B2 (en) Self engaging wing lawn mower
US8186135B2 (en) Electrically-powered combination lawn mower, trimmer and edger
KR100936508B1 (ko) 원격조종이 가능한 잔디 깎기
JP3778779B2 (ja) 自走式草刈機、操作レバー装置、ハンドルの方向調整装置、テンションクラッチ構造、及び草刈方法
JP6719744B2 (ja) 自走草刈機
US20070130902A1 (en) Side mower deck for a mower tractor
JP5144801B2 (ja) 自走式草刈機
CN113455173A (zh) 一种农业割草机
US20110173941A1 (en) Power Transmission for a Lawn Mower and a Lawn Mower Provided with Such a Transmission
US20220377976A1 (en) Single height adjustment and control assembly for walk-behind outdoor power equipment
US8166735B1 (en) Pull type gang mower
JP4166159B2 (ja) 歩行型草刈機
JP5060401B2 (ja) 乗用型草刈機
CN211152816U (zh) 一种一体调高式零转弯半径草坪割草机
JP3383539B2 (ja) 歩行型草刈機
JP2009291213A (ja) 草刈機
JP3397202B2 (ja) コンバインの乗降装置
JP3396917B2 (ja) コンバインの乗降装置
JPH10295142A (ja) 畦草刈機
KR101090311B1 (ko) 농업용 경사면 예초장치
JP3016183B2 (ja) レール式両面裾刈機
US11805727B1 (en) Device for controlling discharge of clippings from a rotary lawn m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