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950B1 -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950B1
KR100949950B1 KR1020080002772A KR20080002772A KR100949950B1 KR 100949950 B1 KR100949950 B1 KR 100949950B1 KR 1020080002772 A KR1020080002772 A KR 1020080002772A KR 20080002772 A KR20080002772 A KR 20080002772A KR 100949950 B1 KR100949950 B1 KR 10094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ortion
sides
hinge
bridg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686A (ko
Inventor
박상렬
이광호
김형배
김창훈
홍성룡
김경남
문경태
홍성협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08000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9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양측의 슬랩(10a,10b); 양단이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에 결합하고, 심부가 좌우방향으로 신축 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격자형 부재(100); 격자형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20); 탄성 부재(20)의 양측으로서,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된 포장체(30);를 포함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충격, 진동, 소음이 거의 없어 주행성이 양호하고,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시공과 유지보수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신축에 의한 응력을 주변 구조에 고루 분포시킴으로써 조기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교량, 신축, 조인트

Description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JOINT STRUCTURE FOR BRIDG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을 위한 조인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판은 온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 활하중에 의한 처짐 등으로 인하여 신축(伸縮)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므로, 복수의 부재가 상호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조인트 구조물을 설치하는바, 이를 교량의 신축이음이라 한다.
이러한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은 위와 같은 교량 상판의 신축을 흡수함으로써, 교량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집중을 해소하고, 도로와 교량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을 근본취지로 한다.
종래의 기술 중 노출형으로 설치되는 조인트 구조물은 충격과 소음으로 인하여 주행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점, 조기 파손과 이음부의 누수에 따른 교량 구체의 노후화를 촉진시켜 결국 유지 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는바, 최근에는 교량의 신축을 상부 포장 재료에서 해소하는 아스팔트 플러그 조인트(Asphalt Plug Joint) 구조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인트 구조물(40)은 양측의 슬랩(10a,10b) 위에 설치된 받침판(41)과, 그 위에 설치된 탄성 부재(20), 그 탄성 부재(20)의 양측으로서,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된 포장체(30)에 의해 구성된다.
받침판(41)의 하부 갭(gap)을 통한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부재(42) 및 충전재(43)가 설치된다.
이는 충격, 진동, 소음이 거의 없어 주행성이 양호하고,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시공과 유지보수가 쉽고,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신축에 의한 변형을 주변 구조에 고루 분포시키지 못하여 조인트와 아스팔트 포장 사이, 바닥판(41)의 끝부분에서 균열이 발생하고, 상부재료의 온도의존성이 커서 패임(rutting)이나 재료의 이탈(overfolw) 현상이 나타나 조기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함께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 진동, 소음이 거의 없어 주행성이 양호하고,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시공과 유지보수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신축에 의한 응력을 주변 구조에 고루 분포시킴으로써 조기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양측의 슬랩(10a,10b); 양단이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에 결합하고, 심부가 좌우방향으로 신축 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격자형 부재(100); 상기 격자형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20); 상기 탄성 부재(20)의 양측으로서,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된 포장체(30);를 포함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양단 힌지부(111)가 형성된 복수의 메인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 힌지부(111)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타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고정 힌지부(121)와 일단 힌지부(122)가 형성된 복수의 단부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힌지부(121)는 상기 슬랩(10a,10b)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일단 힌지부(122)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힌지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부재(110)에는 심부 힌지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심부 힌지부(112)는 X형으로 교차하는 타 메인부재(110)의 심부 힌지부(112)에 힌지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11,112,121,122)는 상기 메인부재(110) 또는 단부부재(12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터드(200)를 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메인부재(110) 중 상측에 위치하는 메인부재(110)에는 상기 양단 힌지부(111) 또는 상기 심부 힌지부(112)의 위치에 스터드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200)는 상기 스터드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메인부재(110) 중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부재(110)의 상기 양단 힌지부(111) 또는 상기 심부 힌지부(112)의 위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자형 부재(100)의 심부와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30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자형 부재(100)의 양단과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 사이에는 각각 고정판(40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양단 힌지부(111)가 형성된 복수의 메인부재(110); 고정 힌지부(121)와 일단 힌지부(122)가 형성된 복수의 단부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 힌지부(111)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타 메인부 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상기 고정 힌지부(121)는 상기 고정판(400)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일단 힌지부(122)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힌지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11,112,121,122)는 상기 메인부재(110) 또는 단부부재(12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터드(200)를 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단부부재(120)의 상기 고정 힌지부(121)의 위치에 스터드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200)는 상기 복수의 단부부재(120)의 스터드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40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충격, 진동, 소음이 거의 없어 주행성이 양호하고,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시공과 유지보수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신축에 의한 응력을 주변 구조에 고루 분포시킴으로써 조기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양측의 슬랩(10a,10b); 양단이 양측의 슬랩(10a,10b)에 결합하고, 심부가 좌우방향으로 신축 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격자형 부재(100); 격자형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20); 탄성 부재(20)의 양측으로서,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된 포장체(30);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단지 바닥판(41)이 매설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신축에 의한 변형을 주변 구조에 고루 분포시키지 못하여 조기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음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 교량의 신축에 따라 격자형 부재(100)도 같이 거동하며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부재료의 응력집중을 방지하여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격자형 부재(100)의 구조에 관한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격자형 부재(100)는 양단이 양측의 슬랩(10a,10b)에 결합하고, 심부가 좌우방향으로 신축 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격자형 부재(100)의 심부는 신축 거동을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힌지부(111)가 형성된 복수의 메인부재(110)를 포함하고, 그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는 메인부재(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타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격자형 부재(100)의 단부는 슬랩(10a,10b)에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 힌지부(121)와 일단 힌지부(122)가 형성된 복수의 단부부재(120)를 포함하고, 고정 힌지부(121)는 슬랩(10a,10b)에 힌지결합하며, 일단 힌지부(122)는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힌지결합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메인부재(110)의 신축 거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재(110)의 심부에 심부 힌지부(112)가 형성되고, 그 심부 힌지부(112)는 X형으로 교차하는 타 메인부재(110)의 심부 힌지부(112)에 힌지결합 하여 함께 거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힌지부(111,112,121,122)는 메인부재(110) 및 단부부재(120)가 상술한 거동을 하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재(110) 또는 단부부재(12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터드(200)를 축으로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된 스터드(200)가 상부의 탄성 부재(20)에 삽입 고정되어, 격자형 부재(100)와 탄성 부재(20)가 신축에 의한 거동을 함께하게 되므로, 신축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조인트 구조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는바,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 기타 조기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메인부재(110) 중 상측에 위치하는 메인부재(110)에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힌지부(111) 또는 심부 힌지부(112)의 위치에 스터드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스터드(200)는 스터드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복수의 메인부재(110) 중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 또는 심부 힌지부(112)의 위치에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의 슬랩(10a,10b)의 사이 공간을 통해 포장 재료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 부재(100)가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되고, 격자형 부재(100)의 심부와 양측의 슬랩(10a,10b) 사이에, 양단이 양측의 슬랩(10a,10b)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300)이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판(300)은 강재 판의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격자형 부재(100)의 메인부재(110)는 받침판(30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을 일으키며 신축 거동을 하게 된다.
격자형 부재(100)의 양단이 결합하는 부분에도, 별도의 고정판(400)이 추가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 부재(100)는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되고, 격자형 부재(100)의 양단과 양측의 슬랩(10a,10b) 사이에는 각각 고정판(400)이 설치된 구조가 그것이다.
이 경우, 단부부재(120)의 고정 힌지부(121)는 고정판(400)에 힌지결합하고, 일단 힌지부(122)는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힌지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터드(200)에 의해 힌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부부재(120)의 고정 힌지부(121)의 위치에 스터드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스터드(200)는 복수의 단부부재(120)의 스터드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고정판(400)에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2 내지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메인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단부부재의 평면도.
도 9는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제4실시예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주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슬랩 20 : 탄성 부재
30 : 포장체 100 : 격자형 부재
110 : 메인부재 111 : 양단 힌지부
112 : 심부 힌지부 120 : 단부부재
121 : 고정 힌지부 122 : 일단 힌지부
200 : 스터드 210 : 스터드 관통공
300 : 받침판 400 : 고정판

Claims (11)

  1.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양측의 슬랩(10a,10b);
    양단이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에 결합하고, 심부가 좌우방향으로 신축 거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격자형 부재(100);
    상기 격자형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20);
    상기 탄성 부재(20)의 양측으로서,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된 포장체(30);를
    포함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양단 힌지부(111)가 형성된 복수의 메인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 힌지부(111)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타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고정 힌지부(121)와 일단 힌지부(122)가 형성된 복수의 단부부재(120)를 포 함하고,
    상기 고정 힌지부(121)는 상기 슬랩(10a,10b)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일단 힌지부(122)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110)에는 심부 힌지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심부 힌지부(112)는 X형으로 교차하는 타 메인부재(110)의 심부 힌지부(112)에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11,112,121,122)는 상기 메인부재(110) 또는 단부부재(12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터드(200)를 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부재(110) 중 상측에 위치하는 메인부재(110)에는 상기 양단 힌지부(111) 또는 상기 심부 힌지부(112)의 위치에 스터드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200)는 상기 스터드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메인 부재(110) 중 하측에 위치하는 메인부재(110)의 상기 양단 힌지부(111) 또는 상기 심부 힌지부(112)의 위치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자형 부재(100)의 심부와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판(3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자형 부재(100)의 양단과 상기 양측의 슬랩(10a,10b) 사이에는 각각 고정판(4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부재(100)는
    양단 힌지부(111)가 형성된 복수의 메인부재(110);
    고정 힌지부(121)와 일단 힌지부(122)가 형성된 복수의 단부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 힌지부(111)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타 메인부 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각각 힌지결합하며,
    상기 고정 힌지부(121)는 상기 고정판(400)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일단 힌지부(122)는 상기 메인부재(110)의 양단 힌지부(111)에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11,112,121,122)는 상기 메인부재(110) 또는 단부부재(12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터드(200)를 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부부재(120)의 상기 고정 힌지부(121)의 위치에 스터드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200)는 상기 복수의 단부부재(120)의 스터드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40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KR1020080002772A 2008-01-09 2008-01-09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KR10094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772A KR100949950B1 (ko) 2008-01-09 2008-01-09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772A KR100949950B1 (ko) 2008-01-09 2008-01-09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686A KR20090076686A (ko) 2009-07-13
KR100949950B1 true KR100949950B1 (ko) 2010-03-30

Family

ID=4133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772A KR100949950B1 (ko) 2008-01-09 2008-01-09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864B1 (ko) * 2021-01-29 2022-12-28 배종오 신축이음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0505A (ja) * 1990-04-05 1991-12-20 Koichi Nishina 橋梁用盲目地式伸縮装置
JPH11229325A (ja) 1998-02-13 1999-08-24 Sumitomo Metal Ind Ltd 橋梁継目の水平リンク式伸縮装置
KR100404315B1 (ko) 2000-03-20 2003-11-12 김해영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2005016098A (ja) 2003-06-25 2005-01-20 Tadao Yoshikawa 橋梁等の伸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0505A (ja) * 1990-04-05 1991-12-20 Koichi Nishina 橋梁用盲目地式伸縮装置
JPH11229325A (ja) 1998-02-13 1999-08-24 Sumitomo Metal Ind Ltd 橋梁継目の水平リンク式伸縮装置
KR100404315B1 (ko) 2000-03-20 2003-11-12 김해영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2005016098A (ja) 2003-06-25 2005-01-20 Tadao Yoshikawa 橋梁等の伸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686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415B1 (ko)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0743044B1 (ko) 내진용 신축이음장치
KR101777271B1 (ko) 교대상부 무조인트 슬래브 교량구조
KR100644143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116876B1 (ko) 도로와 교량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1389996B1 (ko)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KR102052963B1 (ko) 탄성 보강재를 이용한 신축이음 보수 공법
KR101123761B1 (ko) 프리캐스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KR100949950B1 (ko) 교량의 조인트 구조물
KR10163063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U2014336082A1 (en) Transition slab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deck of a bridge with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s having a long service life, and methods for absorb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s of the deck of a bridge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KR200403788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580194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 이와 공장제작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14134060A (ja) 床版取り替え工法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90102084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203700879U (zh) 一种剪力铰及轨道结构
KR20026435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