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832B1 -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832B1
KR100949832B1 KR1020090093568A KR20090093568A KR100949832B1 KR 100949832 B1 KR100949832 B1 KR 100949832B1 KR 1020090093568 A KR1020090093568 A KR 1020090093568A KR 20090093568 A KR20090093568 A KR 20090093568A KR 100949832 B1 KR100949832 B1 KR 100949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gateway
usn
camera modu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중
이정환
김 에모스 데이빗
Original Assignee
(주) 씨어스피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어스피에스피 filed Critical (주) 씨어스피에스피
Priority to KR102009009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센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한 감지신호를 1:1로 전송받아 처리하도록 각 센서에 대응 구성된 복수 개의 USN 센서노드; 상기 복수 개의 USN 센서노드에서 처리된 후 RF신호로 전송되어 오는 감지신호를 받아 침입 발생장소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모듈이 구성된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지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으로 확인하도록 카메라 내부에 구성된 DVR 기능 또는 원격 구성된 서버; 및 감지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SMS로 전송받는 휴대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가정, 건물, 상가 등과 같이 보안을 요구하는 곳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 사설 보안 시스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침입감지 기능을 기본으로 하여 가스센서를 이용한 가스 누출 감지, 불꽃/연기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한 침입 감지, 이산화탄소/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 감지, 사이렌 센서를 이용한 알람 기능 등의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감지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SMS으로 전송하므로 비상상황 발생을 즉시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
방범방재, USN, 카메라

Description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Security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USN gateway integrated with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선택적으로 센서와 카메라의 연관 작동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침입자를 감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환경 모니터링, 가스센서를 이용한 가스 누출 감지, 불꽃/연기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실 생활면에서는 보다 풍족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긴 했으나, 한편으로는 사회가 복잡해지고 빈부격차가 심해짐에 따라 물질적, 정신적 상실감으로 인한 각종 범죄가 다반사로 일어나는 것이 현대사회의 심각한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국가에서 책임을 맡아줘야 할 부분이겠으나, 워낙 인구 가 많아지고 각종 시설물들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정작 필요한 부분은 민간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각종 방범방재 관련 기술들이 공지되어 왔다.
구체적인 종래 방범방재시스템을 살펴보면,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침입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 이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방범방재시스템은 카메라(1)와, 카메라(1)에 내장된 열감지센서(PIR)(2), 센서(2) 및 카메라(1)의 감지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입력받아 인터넷확인부(4) 혹은 이메일(5)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제어하는 서버(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시스템은 카메라(1)의 움직임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거주지 침입자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서버(3)에 전송하여 이메일 등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동작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열감지센서와 카메라의 움직임 감지사양에 의하여 제한된 범위내에서만 감지가 가능할 뿐이어서 침입 예방 보다는 이미 발생된 침입상황 감지의 역할에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원하는 지역의 침입을 영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카메라를 필요한 장소에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상당하다.
또한 종래 기술은 침입 발생 후 감지 역할만 수행하므로 출입문이나 창문으로의 침입감지, 화재감지, 가스누출감지, 형광등 상태 감지 등 거주지나 상가, 건물 등의 보안을 위한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침입감지에 대한 정보 전송에 있어서, 카메라가 침입 감지시 영상정보를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 영상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해당 사용자가 인터넷 등의 온라인에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접속에 장시간이 소요되어야 할 경우에는 침입 사실을 뒤늦게 확인하게 되어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범방재시스템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모듈이 게이트웨이와 통합 구성되어 카메라 기능 및 게이트웨이 기능의 동시 혹은 선택적 수행이 가능함에 따라 각종 감지정보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프로세스와 USN 센서노드 프로세스가 분리된 구조로 카메라 프로세스의 구동시에도 USN 센서노드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센서 노드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 감지정보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은, 침입자의 열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한 감지신호를 1:1로 전송받아 처리하도록 각 센서에 대응 구성된 복수 개의 USN 센서노드; 상기 복수 개의 USN 센서노드에서 처리된 후 RF신호로 전송되어 오는 감지신호를 받아 침입 발생장소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모듈이 구성된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지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으로 확인하도록 카메라 내부에 구성된 DVR 기능 또는 원격 구성된 서버; 및 감지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SMS로 전송받는 휴대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는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센서의 감지정보를 시리얼로 입력받는 USN 베이스노드모듈; 상기 USN 베이스노드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감지정보를 처리하는 CPU; 및 상기 CPU에서의 감지정보 처리결과에 따라 침입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CPU는 카메라모듈로부터 BT.656 또는 BT.601 라인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촬영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메모리에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게이트웨이가 촬영된 이미지정보 혹은 센서의 감지정보 전송을 위해 인터넷(TCP/IP)을 사용하는 것에 부합시키기 위하여 촬영된 영상정보를 WiFi, Ethernet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와 통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USN 게이트웨이와 통합되어 카메라 기능 및 USN 게이트웨이 기능의 동시 혹은 선택 수행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프로세스와 USN 센서 프로세스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IP 카메라 프로세스의 구동시에도 USN 센서 처리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센서노드들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센서, 센서노드 및 게이트웨이는 상호간에 식별수단으로 IP 혹은 NON-IP 방식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연결 가능하여 메모리에 저장 관리되는 촬영 영상의 직접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센서는 열감지센서, 자기센서, 화재감지센서, 가스누출 감지센서, 환경감지센서 등 다양한 센서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은, CPU; 침입자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센서노드; 상기 센서노드에서 처리된 센서의 감지신호에 연관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자동녹화부; 상기 자동녹화부에 의해 녹화되는 촬영 영상을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 상기 CPU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 및 상기 CPU에서 처리 분석된 침입 정보를 사용자의 이메일 및 휴대폰으로 SMS 전송하는 이메일 및 SMS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보부는 경보음으로서의 알람 및 내용전달수단으로서의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센서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의 감지신호가 없더라도(센서의 구동과는 상관없이) 필요에 따라 게이트웨이에서 카메라를 구동하여 임의장소를 촬영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방범방재 기능수행이 가능하다.
둘째, 게이트웨이에서 센서의 감지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촬영토록 하여 게이트웨이가 그 자체로서 관제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가 오직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방범방재상황에 관련된 센서의 감지신호 및 카메라의 촬영영상만을 처리하는 역할이므로 동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며, 복잡한 신호전송에 따른 오동작의 우려가 없다.
셋째, 카메라에 자체적으로 웹 기반 프로그램이 내장되므로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가정, 건물, 상가 등과 같이 보안을 요구하는 곳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 사설 보안 시스템 설치가 가능하고, 카메라의 침입감지 기능을 기본으로 하여 가스센서를 이용한 가스 누출 감지, 불꽃/연기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이산화탄소/온도/습도센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 사이렌 센서를 이용한 알람 기능 등의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감지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SMS 전송하므로 비상상황 발생을 즉시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의 구성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IP 방식에 따른 USN 센서노드와 USN 게이트웨이의 관련도, 도 6은 본 발명의 NON-IP 방식에 따른 USN 센서노드와 USN 게이트웨이의 관련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침입자의 열을 감지하도록 각종 시설물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10)와, 이들 복수 개의 센서(10)에 의한 감지신호를 1:1로 전송받아 처리하도록 각 센서(10)에 대응 구성된 복수 개의 USN 센서노드(20)와, 상기 복수 개의 USN 센서노드(20)에서 처리된 후 RF신호로 전송되어 오는 감지신호를 받아 분석한 후 침입 발생장소를 촬영하도록 발생된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카메라모듈(32)이 구성된 게이트웨이(30)와,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처리 분석되어 전송되어 오는 침입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으로 확인하도록 카메라 내부에 구성된 DVR 기능 또는 원격 구성된 서버(40)와, 침입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SMS로 전송받는 휴대폰(5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좀 더 구체화한 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감지부로서 센서(10)와 카메라(32)가 구성되며, 센서(10)의 감지가 이루어져서 감지신호가 센서노드(20)를 통해 전송되어 오면 CPU(33)가 이를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카메라(32)가 트래킹 구동됨으로써 센서 설치 장소 부근을 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자동녹화부(35)에 의해 녹화되어 메모리(34)에 저장 관리된다.
이때, CPU(33)는 침입 판단에 따라 경보부(60)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경보로 확인시키거나, 이메일 및 SMS전송부(36)를 통해 사용자의 이메일 및 휴대폰(50)으로 비상상황을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30)는 도 4에 도시된 바 와 같이 USN 베이스노드 모듈(31)과, 메인보드에 구성된 CPU(33)와, 카메라모듈(32)이 서로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적으로는 분산된 구조를 갖는다.
즉 카메라모듈(32)로부터 BT.656 또는 BT.601 라인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침입 영상정보가 CPU(32)에서 처리되도록 하며, 센서노드(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지정보는 USN 베이스노드모듈(31)을 통해 시리얼로 CPU(33)에 입력되어 상기 카메라모듈(32)의 구동제어를 위해 처리된다.
상기 카메라모듈(32)을 게이트웨이(30)에 통합 구성한 것은, 카메라(32)와 게이트웨이(30)가 모두 촬영된 영상정보 혹은 센서(10)의 감지정보 를 인터넷(TCP/IP)을 통해 서버(40)에 전송하고, 종래 USN 이미지센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가 USN망을 통해 전송되기에는 전송속도가 너무 느려(246kbps)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해소하고자 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이미지센서의 역할을 본 발명에서는 웹기반 프로그램이 저장된 카메라모듈(32)이 수행토록 하여 촬영된 영상정보를 WiFi, Ethernet을 통해 서버(4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30)는 또한, 카메라모듈(32)에 의한 영상 프로세스와 USN 센서(10)의 감지신호 프로세스가 분리된 구조로 카메라모듈(32)의 프로세스의 구동시에도 USN 센서(10)의 감지신호를 프로세싱하는 센서 노드(20)들이 독립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센서(10)는 바람직하게는 열감지센서(PIR) 혹은 자기센서로서 열감지센서의 경우 침입자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모듈(32)은 움직임 트래킹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센서(10)의 침입 감지에 따른 정 지영상 혹은 동영상을 촬영 저장하는 카메라로서 촬영영상을 프로세싱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센서(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지신호의 구분이 IP방식 혹은 NON-IP방식에 따라 다르다.
즉 IP방식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노드(20)와 게이트웨이(30)는 LAN에서 사용하는 TCP/IP 통신과 유사하게 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바, 각 센서노드(20)는 게이트웨이(30)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를 가지고 어느 센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인지를 구분하여 처리하게 된다.
NON-IP방식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센서노드(20)에 할당된 고유한 노드 ID를 가지고 식별하는바, LAN 카드 제조시 LAN 카드만 가지고 있는 MAC 주소와 동일한 개념이다. 즉 센서노드(20)가 센서(10)의 감지신호를 처리한 감지정보를 게이트웨이(30)로 전송할 때 고유한 노드 ID를 함께 전송라인에 실어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30)는 센서노드(20)의 노드 ID값을 토대로 구분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USN 센서노드(20)는 침입감지, 화재감지, 가스감지 등 다양한 센서와 연동하여 비상상황을 감지하도록 침입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및 가스감지센서 등 다양한 센서의 감지데이터 처리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센서의 종류를 구분하는 센서 타입이 프로토콜로 정의되어 있는바, 예를 들어 화재센서의 경우에는 0x01, 침입센서는 0x02 식으로 정하여 센서노드 및 게이트웨이에서의 센서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서(10), 센서노드(20) 및 게이트웨이(30)는 일정장소에 고정된 개념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센서노드(20)에 RF통신 방식을 채택하여 게이트웨이(30)와의 단거리 통신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적절하게 센서(10), 센서노드(20) 및 게이트웨이(30)를 설치하면 근접한 컴퓨터 단말기 등을 통해서 비상상황의 신속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모듈(32)과 서버(40)간의 인터넷 연결기능을 채택하여 카메라모듈(32)에 의해 촬영된 침입 영상정보 등을 WiFi, Ethernet 등의 인터넷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원격지 서버(40)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터넷 연동을 위하여 물리적으로 게이트웨이(30)에 Ethernet, WiFi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IP 네트워크는 현재의 IPv4 망과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 모두를 지원 가능하도록 Dual Stack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양한 IPv4/IPv6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Configured Tunneling, 6to4 등 IPv4/IPv6 연동 알고리즘이 내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감지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침입감지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시설물 내로의 침입자가 발생된 경우 감지센서(10)에서의 감지신호가 USN 센서노드(20)에 전송되어 처리된 후 RF신호로 게이트웨이(30)에 구성된 USN 베이스노드모듈(31)로 전송되어 CPU(33)에서 처리됨에 따라 침입 여부가 판단된다.
따라서 CPU(33)에서는 침입으로 판단되면 카메라모듈(32)을 구동시켜 자동녹화부(35)에 의해 센서(10)의 설치 장소 부근에 대한 침입 영상을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형태로 촬영 녹화토록 하고, 촬영된 영상정보가 처리되면 이를 메모리(34)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메일 및 SMS전송부(36)를 통해 감지정보를 원격지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인터넷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원격지 서버(40)로도 영상정보가 전송되어 카메라모듈(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즉 원격지 사용자가 웹에 접속이 불가능하여 이메일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휴대폰으로 전송되어 온 SMS 메시지에 의해 침입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웹을 통해 카메라모듈(32)에 접속하여 침입 영상정보를 확인한 후 적절한 대응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30)에 구성된 카메라모듈(32)은 실시간 녹화가 가능하므로 해당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 설정시 메모리(34)에 실시간 영상을 자동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카메라모듈(32)에서 제공하는 웹 기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촬영된 영상정보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다음에 USN 센서 네트워크 생성 및 관리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구성된 게이트웨이(30)는 각종 감지정보의 처리 및 그에 따른 제어신호 발생 프로세스를 저장한 CPU(33)가 내장되어 본 발명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무선 USN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다양한 종류(침입자, 화재, 가 스, 환경 등)의 USN 센서노드(20)들의 접속 및 제어 관리가 가능토록 한다. 즉, 화재 감지, 열감지, 가스 감지 등 다양한 용도의 센서(10)가 부착된 다수의 센서와 연동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 각 센서(10)의 배터리 잔량, 동작 상태 정보 등을 관리하며 센서 on/off 기능 등의 제어 또한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침입자 감지 등 보안 기능의 수행이 가능함은 물론, 화재 감지센서 기능, 가스 누출 감지센서 기능, 환경 모니터링 기능 등이 적용 가능하여 USN 센서노드(20)로부터 각종 이벤트(화재, 가스누출, 침입 등) 발생시 각 USN 센서노드(20)들로부터 감지정보가 RF신호로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되고, 이 정보들을 토대로 카메라모듈(32)에 의해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으로 비상상황 발생 장소가 촬영 저장되면, 이들 정보를 이메일과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운영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신속 적절한 대응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등을 구성하여 온도 및 습도가 게이트웨이(30)에 구성된 CPU(33)에 저장 관리되는 임계치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되면 현재 온도와 습도 정보를 경보부(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적절한 대응이 가능토록 한다. 이러한 응용은 대기 오염 측정센서를 구성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 오염 임계치로의 도달여부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야까지 그 적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되는 과정이 도 7에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IP 영상 카메라가 수행하였던 제한적인 침입 감지 기능에 추가하여 IEEE 802.15.4 기반의 무선 기술인 지그비, 블루투스, 6LoWPAN 등과 같은 무선 USN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하여 환경 감지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마그네틱센서와 열감지센서, Motion-Detection 기능을 이용한 침입 감지, 가스센서를 이용한 가스 누출 감지, 불꽃/연기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사이렌을 이용한 알람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 및 수정 실시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른다.
도 1은 종래 침입감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의 구성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범방재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IP 방식에 따른 USN 센서노드와 USN 게이트웨이의 관련도.
도 6은 본 발명의 NON-IP 방식에 따른 USN 센서노드와 USN 게이트웨이의 관련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서 20 : 센서노드
30 : 게이트웨이 40 : 서버
50 : 휴대폰

Claims (10)

  1. 침입자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10);
    상기 복수 개의 센서(10)에 의한 감지신호를 1:1로 전송받아 처리하도록 각각의 센서(10)에 대응하여 구성된 복수 개의 USN센서노드(20);
    상기 복수 개의 USN센서노드(20)에서 처리된 후 RF신호로 전송되어 오는 감지정보를 받아 침입 발생장소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모듈(32)이 구성된 게이트웨이(30);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WiFi, Ethernet의 인터넷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영상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으로 확인하도록 원격 구성된 서버(40); 및
    침입 발생시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감지정보를 SMS로 전송받는 휴대폰(50)으로 이루어진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IP 혹은 NON-IP 로 상호 인식관리되는 USN 센서노드(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카메라 기능이 동시에 혹은 센서의 감지신호와는 별개로 수행되도록 카메라모듈(32)과 RF/USN 모듈 및 인터넷 인터페이스모듈이 통합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모듈(32)은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된 촬영 영상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웹 기반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센서노드(2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센서(10)의 감지신호를 시리얼로 입력받는 USN 베이스노드모듈(31);
    상기 USN 베이스노드모듈(31)을 통해 입력되는 센서(10)의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CPU(33); 및
    상기 CPU(33)에서의 센서(10)의 감지신호 처리결과에 따라 침입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CPU(33)는 카메라모듈(32)로부터 BT.656 또는 BT.601 라인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촬영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메모리(34)에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32)은 웹기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인터넷을 통해 카메라모듈(32)로부터 직접 촬영 영상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CPU(33);
    침입자를 감지하는 센서(10);
    상기 센서(10)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센서노드(20);
    상기 센서노드(20)에서 처리된 센서(10)의 감지신호에 연관되어 혹은 별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2)와, 상기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녹화하는 자동녹화부(35)와, 상기 자동녹화부(35)에 의해 녹화되는 촬영영상을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34)와, 상기 CPU(33)에서 처리 분석된 침입 정보를 사용자의 이메일 및 휴대폰으로 SMS 전송하는 이메일 및 SMS 전송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게이트웨이(30); 및
    상기 CPU(33)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US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 방재시스템.
  10. 삭제
KR1020090093568A 2009-09-30 2009-09-30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KR10094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568A KR100949832B1 (ko) 2009-09-30 2009-09-30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568A KR100949832B1 (ko) 2009-09-30 2009-09-30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832B1 true KR100949832B1 (ko) 2010-03-29

Family

ID=4218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568A KR100949832B1 (ko) 2009-09-30 2009-09-30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8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37B1 (ko) * 2011-11-23 2013-01-31 이더테크놀로지(주)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79587B1 (ko) * 2011-09-21 2013-06-27 (주)지브이넷 무인경비 시스템
KR101426835B1 (ko) * 2013-05-24 2014-08-06 주식회사 맥스포 영상 기반 가스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441507B1 (ko) * 2012-12-28 2014-09-18 (주)링크일렉트로닉스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US9231431B2 (en) 2012-12-12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for wireless charg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22123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위크라우드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36197B1 (ko) * 2016-08-23 2018-03-08 주식회사 위크라우드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을 위한 매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587A (ko) * 1999-12-29 2001-07-09 최준호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4128659A (ja) 2002-09-30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監視システム
KR20080108717A (ko) * 2007-06-11 2008-12-16 아람테크 주식회사 지능형 센서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방법
KR20090046128A (ko) * 2007-11-05 2009-05-11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587A (ko) * 1999-12-29 2001-07-09 최준호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4128659A (ja) 2002-09-30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監視システム
KR20080108717A (ko) * 2007-06-11 2008-12-16 아람테크 주식회사 지능형 센서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방법
KR20090046128A (ko) * 2007-11-05 2009-05-11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87B1 (ko) * 2011-09-21 2013-06-27 (주)지브이넷 무인경비 시스템
KR101221437B1 (ko) * 2011-11-23 2013-01-31 이더테크놀로지(주)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US9231431B2 (en) 2012-12-12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for wireless charg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590450B2 (en) 2012-12-12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for wireless charg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79224B2 (en) 2012-12-12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for wireless charg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41507B1 (ko) * 2012-12-28 2014-09-18 (주)링크일렉트로닉스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101426835B1 (ko) * 2013-05-24 2014-08-06 주식회사 맥스포 영상 기반 가스 누출 감지 시스템
KR20180022123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위크라우드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36197B1 (ko) * 2016-08-23 2018-03-08 주식회사 위크라우드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을 위한 매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95672B1 (ko) * 2016-08-23 2018-09-05 강희용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832B1 (ko) 카메라모듈이 통합된 유에스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방범방재시스템
US10275263B2 (en) Emergency video camera system
US9208666B2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Su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s based on active sensor networks
US9747769B2 (en) Entry point opening sensor
JP7142698B2 (ja) 環境における事象をモニタ及び制御するための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IoT)に基づく統合デバイス
US20090040026A1 (en) Monitor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in control device thereof,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gistering terminal device
US20070139192A1 (en) Sensor unit having a network video camera
US2016018950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 home security detection system
US201603414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on with active infrared sensors
US20180167585A1 (en) Networked Camera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1726315B1 (ko)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KR101906880B1 (ko) 무선랜 파라미터 동요에 기초한 모션 감지 방법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190120B1 (ko) 공유기 특성과 3g 기능을 가진 원격 감시 시스템
JP4816283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システムの端末装置、主制御装置、バックアップ装置、通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4298944B2 (ja) 情報処理装置、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90096153A1 (en) Smart digital door lo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25403B1 (ko) 보안 시스템
JP4931131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70061081A (ko) 보안 로봇 및 로봇을 이용한 보안 방법
KR101708225B1 (ko) 방범용 카메라와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20096023A1 (ja) 開閉装置、セキュリティサーバ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