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470B1 -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 Google Patents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470B1
KR100949470B1 KR1020090115419A KR20090115419A KR100949470B1 KR 100949470 B1 KR100949470 B1 KR 100949470B1 KR 1020090115419 A KR1020090115419 A KR 1020090115419A KR 20090115419 A KR20090115419 A KR 20090115419A KR 100949470 B1 KR100949470 B1 KR 10094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rtificial turf
main body
fabric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석
윤종구
윤종웅
Original Assignee
(주)필드테크
엄기석
윤종구
윤종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드테크, 엄기석, 윤종구, 윤종웅 filed Critical (주)필드테크
Priority to KR102009011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면 상부에 적층되는 일정 형상의 패드와; 패드 상부에 고정 형성되는 일정 형상의 인조잔디 원단과; 일단이 패드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인조잔디 원단의 일측면과 접착 고정되는 접속판;으로 이루어지되, 패드는, 일정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 및 중심 영역에 형성되고, 접속판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접속홀이 형성된 접속판 결합부와, 인조잔디 원단과 대향하는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인조잔디 원단을 지지하는 스터드부와,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결속 요홈부와, 본체부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결속 요홈부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 돌출부를 포함하되, 본체부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접속판 결합부로부터 사면으로 스터드부를 가로질러 배수홈이 다수 형성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으로 빗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패드의 결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수홈을 형성하여 빗물 배수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고, 누수에 의해서 패드가 부양되지 않도록 하여 인조잔디 원단이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패드(pad), 스터드(stud), 배수홈, 인조잔디.

Description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A Drain System for Synthetic Turf Pitch}
본 발명은 축구장용 인조잔디 구장 조성을 위한 4세대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이 지면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패드의 결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수홈을 형성하여 빗물 배수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고, 누수에 의해서 패드가 부양되지 않도록 하여 인조잔디 원단이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3세대 또는 4세대 축구경기용 잔디구장의 경우에 롤 잔디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3세대 잔디구장의 경우 조립식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한편, 3세대 또는 4세대 축구경기용 잔디구장에서, 우천시 빗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배수 구조를 조성하기 위해서 배수관련 토목공사에 역점을 두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잔디 구장 공사기간이 상당히 길어지게 되고, 토목공사용 자재비, 장비비 및 잔디 구장 조성비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배수 구조를 위한 토목공사용 자재비, 장비비 및 잔디 구장 조성비가 잔디구장 조성을 위한 전체 공사 비용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수구조가 형성된 인조잔디 배수블록을 이용한 시공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실제 인조잔디 배수블록을 활용한 잔디구장 조성공사에 적용시, 조립식 배수블록의 각 연결부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충격흡수능력이 거의 없어 충진용 탄성체의 소요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충진용 탄성체 포설을 위한 특수장비 및 조립식 배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부수장치가 추가적으로 동원되어야 하고, 충진용 탄성체의 균일한 포설을 위한 시간이 증가하기도 한다.
따라서, 인조잔디의 배수구조를 위한 토목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이고, 충진용 탄성체, 예컨대 모래 또는 고무칩을 사용하지 않는 4세대 잔디를 이용하여 토목공사비 및 공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인조잔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3세대 잔디가 갖고 있는 고무칩의 경화 및 고무칩 유실에 따른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조잔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빗물이 지면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패드의 결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수홈을 형성하여 빗물 배수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고, 누수에 의해서 패드가 부양되지 않도록 하여 인조잔디 원단이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표면 상부에 포설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상부에 적층되는 일정 형상의 패드와; 상기 패드 상부에 고정 형성되는 일정 형상의 인조잔디 원단과; 일단이 상기 패드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인조잔디 원단의 일측면과 접착 고정되는 접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는, 일정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 및 중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판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접속홀이 형성된 접속판 결합부와, 상기 인조잔디 원단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조잔디 원단을 지지하는 스터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결속 요홈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 요홈부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접속판 결합부로부터 사면으로 상기 스터드부를 가로질러 배수홈이 다수 형성되는, 인조잔 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는 발포 폴리프로필렌 또는 발포 이브이에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판은 폴리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또는 이브이에이를 포함하고, 상기 인조잔디 원단의 일측면과 속건성 우레탄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조잔디 원단과 실질적으로 접착 고정되는 원판 형상의 원단 접촉부, 및 상기 원단 접촉부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패드에 실질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패드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표면 상부에 포설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상부에 적층되는 일정 형상의 패드와; 상기 패드 상부에 형성되는 롤 타입의 인조잔디 원단과; 상기 패드는, 일정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인조잔디 원단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조잔디 원단을 지지하는 스터드부와, 이웃하는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결속 요홈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 요홈부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터드부를 가로질러 배수홈이 사면으로 다수 형성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은 일정 곡률반경으로 만입 형성되고, 상기 결속 요홈부 및 결속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이웃하는 본체부와 각각 밀착 결속되어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에는 상기 패드를 지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봉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속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3 및 제4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 요홈부는, 상기 결속 돌출부에 상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홈은 상기 스터드부를 직선으로 가로질러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조잔디 원단은, 상기 패드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실층과, 상기 지지실층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모노실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패드의 결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수홈을 형성하여 빗물 배수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고, 누수에 의해서 패드가 부양되지 않도록 하여 인조잔디 원단이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d는 도 1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100)은, 패드(110)와, 인조잔디 원단(120)과, 접속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은, 인조잔디 구장, 예컨대 축구장 구장을 조성하기 위해서, 지반층 또는 지표면 상부에 포설되는 구조체를 이른다.
우선, 패드(110)는 지표면 상부에 일정 형상으로 배치되고, 패드(110) 상부에 적층 고정되는 인조잔디 원단(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패드(110)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Expanded PolyPropylene) 또는 발포 이브이에이(EVA;Ethylene Vinyl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인조잔디 원단(120)은 패드(110) 상부에 고정 형성된다. 여기서, 인조잔디 원단(120)은 일정 형상 및 크기의 타일 원단이거나 롤 타입(roll type)의 원단일 수 있다.
한편, 인조잔디 원단(120)은, 패드(11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층(base layer)(121)과, 베이스층(121)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실층(support yarn)(122)과, 지지실층(122)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모노실층(mono yarn)(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판(130)의 일단은 패드(11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고, 접속판(130)의 타 단은 인조잔디 원단(120)의 일측면과 접착 고정된다. 즉, 접속판(130)은 인조잔디 원단(120)을 패드(110) 상부에 고정 형성시킨다. 한편, 접속판(130)은 폴리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Polypropylene Block Copolymer) 또는 이브이에이(EVA;Ethylene Vinyl Acetate)를 포함하고, 인조잔디 원단(120)의 일측면과 속건성 우레탄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발포 폴리프로필렌 또는 발포 이브이에이로 이루어진 패드(110)는 연질이므로, 패드(110)와 인조잔디 원단(120)을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속건성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판(130)은 원판 형상의 원단 접촉부(131), 및 원단 접촉부(131)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패드 결합부(1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단 접촉부(131)는 후술하는 패드(110)의 접속판 결합부(112)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패드 결합부(132)는 일정 형상으로 배치되며, 원단 접촉부(13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4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접속판 결합부(112)는 패드 결합부(132)의 형상에 대응하는 4 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4 개의 돌출부는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배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인조잔디 원단(120)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균일하게 패드(110)로 분산시켜 패드(110)의 손상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접속판(130)의 원단 접촉부(131)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드 결합부(132)가 4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인조잔디 원단(120)의 상부의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향하여, 패드(110)와 인조잔디 원단(120)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110)는, 본체부(111)와, 접속판 결합부(112)와, 스터드부(113)와, 결속 요홈부(114)와, 결속 돌출부(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본체부(111)는 일정 형상, 예컨대 상면 및 하면이 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지표면에 고정되어 포설된다.
여기서, 본체부(111)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A)은 일정 곡률반경으로 만입 형성되고, 후술하는 결속 요홈부(114) 및 결속 돌출부(115)에 의해서 이웃하는 본체부(미도시)와 각각 밀착 결속되어, 본체부(111)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A)에는 패드(110)를 지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봉(116)의 삽입홀(117)이 실질적인 원형의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c 참조). 즉, 결속 요홈부(114) 및 결속 돌출부(115)의 결합에 의한 이웃하는 4 개의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A)은 원형의 홀 형상의 삽입홀(117)을 형성하게 되고, 삽입홀(117)에 상응하는 원통 형상의 고정봉(116)을 삽입홀(117)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본체부(111)가 빗물에 의한 부력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부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인조잔디 원단(120)이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접속판 결합부(112)는, 본체부(111)의 모서리 영역 및 중심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접속판 결합부(112)의 일측에 접속판(130)의 일단, 패드 결합부(132)가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판 결합부(112)는 패드 결합부(132)의 형상에 대응하는 4 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속판 결합부(112)는 패드 결합부(132)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요홈이고, 외주연에는 단 차가 형성되어서, 접속판(130)이 패드(11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접속판(130)은, 접속판 결합부(112)와 패드 결합부(132)의 삽입 결합시, 스터드부(113)의 돌출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접속판(130) 및 스터드부(113)는 접속판(130) 상부에 적층되는 인조잔디 원단(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터드부(stud)(113)는 인조잔디 원단(120)과 대향하여 본체부(111) 상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인조잔디 원단(120)을 지지한다. 여기서, 스터드부(113)는 일정 거리로 이격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원통 형상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돌출부로 구성된 스터드부(113)의 사이로 인조잔디 원단(12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되게 된다.
결속 요홈부(114)는 본체부(111)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되어, 이웃하는 본체부의 결속 돌출부(115)와 안정적으로 계합한다. 여기서, 결속 요홈부(114)는, 후술하는 결속 돌출부(115)에 상응하여 본체부(111)의 제1 및 제2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결속 돌출부(115)는, 본체부(111)의 제3 및 제4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속 요홈부(114)는 본체부(111)의 제1 및 제2 측면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되고, 결속 돌출부(115)는, 결속 요홈부(114)에 대향하는 위치에, 즉 본체부(111)의 제3 및 제4 측면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결속 요홈부(114) 및 결속 돌출부(115)가 본체부(111)의 각 측면에 실질적으로 절반의 두께로 형성되므로, 결속 요홈부(114) 및 결속 돌출 부(115)의 결속에 의한 계합시, 본체부(111)가 이웃하는 본체부와의 결합 고정시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속 돌출부(115)는 본체부(111)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결속 요홈부(114)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결속 돌출부(115)는 본체부(111)의 제3 및 제4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구(115-1), 및 연장구(115-1)의 양단으로 돌출된 체결구(115-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 요홈부(114)는 결속 돌출부(115)의 연장구(115-1) 및 체결구(115-2)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패드(110)가 이웃하는 패드와 결착되어 패드의 결합성이 보다 향상됨으로써, 빗물이 패드(110) 사이의 유격을 통해서 지면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1)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접속판 결합부(112)로부터 사면으로 스터드부(113)를 가로질러 배수홈(118)이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홈(118)은 스터드부(113)에 일정 형상으로 만입된 홈 형상으로, 인조잔딘 원단(12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배수홈(118)은 스터드부(113)를 직선으로 가로질러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홈(118)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패드(110)가, 패드가 포설되는 지면의 중심영역으로부터 외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1 °경사져 배열 형성됨으로써, 패드(110)의 배수홈(118)이 지면, 예컨대 축구장용 잔디구장의 외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우천시 빗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100)의 인조잔디 원단(120)은, 패드(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타일(tile) 타입일 수 있다.
한편, 도 3a는 도 1a에서 다른 형상의 접속판을 구비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다른 형상의 접속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접속판(130')의 일단은 패드(11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고, 접속판(130')의 타단은 인조잔디 원단(미도시)의 일측면과 접착 고정된다. 한편, 접속판(130')은 폴리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또는 이브이에이를 포함하고, 인조잔디 원단의 일측면과 속건성 우레탄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판(130')은 사각 형상의 원단 접촉부(131'), 및 원단 접촉부(131')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패드 결합부(132')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원단 접촉부(131')는 패드(110)의 사각 형상의 접속판 결합부(112')에 삽입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판 결합부(112')의 형상과 원단 접촉부(131') 형상은 상응하도록, 예컨대 사각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사각 형상으로 만입된 접속판 결합부(112')에 사각 형상의 원단 접촉부(131')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패드 결합부(132')는 일정 형상으로 배치되며, 원단 접촉부(13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4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접속판 결합부(112')는 패드 결합부(132')의 형상에 대응하는 4 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4 개의 돌출부는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배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인조잔디 원단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균일하게 패드(110)로 분산시켜 패드(110)의 손상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200)는, 패드(210) 및 인조잔디 원단(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은, 인조잔디 구장, 예컨대 축구장 구장을 조성하기 위해서, 지반층 또는 지표면 상부에 포설되는 구조체를 이른다.
패드(210)는 지표면 상부에 일정 형상으로 배치되고, 패드(210) 상부에 적층 고정되는 인조잔디 원단(2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패드(210)는 발포 폴리프로필렌 또는 발포 이브이에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조잔디 원단(120)은 패드(210) 상부에 고정 형성된다. 여기서, 인조잔디 원단(220)은 롤 타입(roll type)의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인조잔디 원단(220)은, 패드(21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층(221)과, 베이스층(221)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실층(222)과, 지지 실층(222)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모노실층(2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210)는, 일정 형상의 본체부(211)와, 인조잔디 원단(220)과 대향하는 본체부(211) 상부에 형성되고, 인조잔디 원단(220)을 지지하는 스터드부(212)와, 이웃하는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결속 요홈부(213)와, 본체부(211)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결속 요홈부(213)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 돌출부(214)를 포함하되, 스터드부(212)를 가로질러 배수홈(215)이 사면으로 다수 형성된다.
본체부(211)는 일정 형상, 예컨대 상면 및 하면이 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지표면과 접촉되어 지표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체부(211)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A)은 일정 곡률반경으로 만입 형성되고, 결속 요홈부(213) 및 결속 돌출부(214)에 의해서 이웃하는 본체부(미도시)와 각각 밀착 결속되어, 본체부(211)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에는 패드(210)를 지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봉(216)의 삽입홀(217)이 실질적인 원형의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속 요홈부(213) 및 결속 돌출부(214)의 결합에 의한 상호 이웃하는 4 개의 본체부는 원형의 홀 형상의 삽입홀(217)을 형성하게 되고, 삽입홀(217)에 상응하는 원통 형상의 고정봉(216)을 삽입홀(217)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본체부(211)가 빗물에 의한 부력에 의해서 부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인조잔디 원단(220)이 굴곡 없이 균일한 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스터드부(212)는 인조잔디 원단(220)과 대향하여 본체부(211) 상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인조잔디 원단(220)을 실질적으로 지지한다.
결속 요홈부(213)는 본체부(211)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되어, 이웃하는 본체부의 결속 돌출부(214)와 안정적으로 계합한다. 여기서, 결속 요홈부(213)는, 후술하는 결속 돌출부(214)에 상응하여 본체부(211)의 제1 및 제2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결속 돌출부(214)는, 본체부(211)의 제3 및 제4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속 요홈부(213)는 본체부(211)의 제1 및 제2 측면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되고, 결속 돌출부(214)는, 결속 요홈부(213)에 대향하는 위치에, 즉 본체부(211)의 제3 및 제4 측면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결속 요홈부(213) 및 결속 돌출부(214)가 본체부(211)의 각 측면에 실질적으로 절반의 두께로 형성되므로, 결속 요홈부(213) 및 결속 돌출부(214)의 결속에 의한 계합시, 본체부(211)가 이웃하는 본체부와의 결합 고정시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속 돌출부(214)는 본체부(211)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결속 요홈부(213)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결속 돌출부(214)는 본체부(211)의 제3 및 제4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구(214-1), 및 연장구(214-1)의 양단으로 돌출된 체결구(214-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 요홈부(213)는 결속 돌출부(214)의 연장구(214-1) 및 체결구(214-2)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요홈이 형 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패드(210)가 이웃하는 패드와 결착되어 패드의 결합성이 보다 향상됨으로써, 빗물이 패드(210) 사이의 유격을 통해서 지면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부(212)를 가로질러 본체부(211)의 상부측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211)의 사면으로 배수홈(215)이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홈(215)은 스터드부(212)에 일정 형상으로 만입된 홈 형상으로, 인조잔딘 원단(22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배수홈(215)은 스터드부(212)를 직선으로 가로질러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홈(215)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패드(210)가, 패드가 포설되는 지면의 중심영역으로부터 외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1 °경사져 배열 형성됨으로써, 패드(210)의 배수홈(215)이 지면, 예컨대 축구장용 잔디구장의 외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우천시 빗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200)의 인조잔디 원단(220)은, 다수로 결합되어 배열되는 패드(210)의 상부에 롤 타입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에서 다른 형상의 접속판을 구비한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다른 형상의 접속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Claims (8)

  1. 지표면 상부에 포설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상부에 적층되는 일정 형상의 패드와;
    상기 패드 상부에 고정 형성되는 일정 형상의 인조잔디 원단과;
    일단이 상기 패드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인조잔디 원단의 일측면과 접착 고정되는 접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는, 일정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 및 중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판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접속홀이 형성된 접속판 결합부와, 상기 인조잔디 원단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조잔디 원단을 지지하는 스터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결속 요홈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 요홈부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접속판 결합부로부터 사면으로 상기 스터드부를 가로질러 배수홈이 다수 형성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발포 폴리프로필렌 또는 발포 이브이에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판은 폴리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또는 이브이에이를 포함하고, 상기 인조잔디 원단의 일측면과 속건성 우레탄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판은,
    상기 인조잔디 원단과 실질적으로 접착 고정되는 원판 형상의 원단 접촉부, 및 상기 원단 접촉부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패드에 실질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패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4. 지표면 상부에 포설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상부에 적층되는 일정 형상의 패드와;
    상기 패드 상부에 형성되는 롤 타입의 인조잔디 원단과;
    상기 패드는, 일정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인조잔디 원단과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조잔디 원단을 지지하는 스터드부와, 이웃하는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결속 요홈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3 및 제4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 요홈부에 상응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터드부를 가로질러 배수홈이 사면으로 다수 형성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은 일정 곡률반경으로 만입 형성되고, 상 기 결속 요홈부 및 결속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이웃하는 본체부와 각각 밀착 결속되어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영역의 첨단에는 상기 패드를 지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봉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3 및 제4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 요홈부는, 상기 결속 돌출부에 상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제1 및 제2 측면의 두께의 절반 두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스터드부를 직선으로 가로질러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원단은,
    상기 패드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실층과, 상기 지지실층 상부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모노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 장용 배수구조물.
KR1020090115419A 2009-11-26 2009-11-26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KR10094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19A KR100949470B1 (ko) 2009-11-26 2009-11-26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19A KR100949470B1 (ko) 2009-11-26 2009-11-26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470B1 true KR100949470B1 (ko) 2010-03-29

Family

ID=4218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419A KR100949470B1 (ko) 2009-11-26 2009-11-26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4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76B1 (ko) * 2011-09-01 2012-01-31 (주)에스지에스에이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CN102888799A (zh) * 2012-09-26 2013-01-23 余德辉 一种运动地垫
CN104153275A (zh) * 2014-08-25 2014-11-19 广州傲胜人造草有限公司 拼装式草坪支撑垫
KR101813502B1 (ko) * 2017-07-05 2017-12-29 최은희 물빠짐 방지 배수판 겸용 패드
KR102656434B1 (ko) 2023-10-18 2024-04-09 주식회사 제이엠조경건설 인조 잔디 구장 시공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09A (ja) * 1994-08-05 1996-02-20 Mitsuru Yamaguchi 人工芝の下地材
JP2000045202A (ja) 1998-07-24 2000-02-15 Masuda Renga Kk 煉瓦又はコンクリート系二次製品の配列模様を表面に形成し、連結により敷設面積調整と排水機能を持った発泡樹脂板。
KR100757453B1 (ko) 2006-11-28 2007-09-11 성 무 김 연결.설치가 용이한 분리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아파트단지 내의 도로 시공방법
KR100869292B1 (ko) 2007-06-07 2008-11-18 시공그린텍(주) 다공석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09A (ja) * 1994-08-05 1996-02-20 Mitsuru Yamaguchi 人工芝の下地材
JP2000045202A (ja) 1998-07-24 2000-02-15 Masuda Renga Kk 煉瓦又はコンクリート系二次製品の配列模様を表面に形成し、連結により敷設面積調整と排水機能を持った発泡樹脂板。
KR100757453B1 (ko) 2006-11-28 2007-09-11 성 무 김 연결.설치가 용이한 분리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아파트단지 내의 도로 시공방법
KR100869292B1 (ko) 2007-06-07 2008-11-18 시공그린텍(주) 다공석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설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76B1 (ko) * 2011-09-01 2012-01-31 (주)에스지에스에이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CN102888799A (zh) * 2012-09-26 2013-01-23 余德辉 一种运动地垫
CN104153275A (zh) * 2014-08-25 2014-11-19 广州傲胜人造草有限公司 拼装式草坪支撑垫
KR101813502B1 (ko) * 2017-07-05 2017-12-29 최은희 물빠짐 방지 배수판 겸용 패드
KR102656434B1 (ko) 2023-10-18 2024-04-09 주식회사 제이엠조경건설 인조 잔디 구장 시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70B1 (ko) 인조잔디구장용 배수구조물
US10975532B2 (en) Underlayment panel having drainage channels
ES2279718B1 (es) "placa para la utilizacion en un sistema de colocacion, especialmente para la fabricacion de un pavimento, asi com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JP5909311B2 (ja)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1098896B1 (ko)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EP0049879B1 (en) Railway sleeper cover
KR101938795B1 (ko) 인조잔디의 탄성패드를 이용한 배수판
KR100989938B1 (ko)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WO2006123862A1 (en) Floor panel
JP6933916B2 (ja) 堤防嵩上げ構造物
CN206916790U (zh) 一种无裂缝、无渗漏超大面积地下室地坪的结构
KR20210034939A (ko) 바닥 배수판 및 바닥 배수판 시스템
KR101548170B1 (ko) 내진완충용 패드가 구비된 조립식 pc암거
JP2007247151A (ja) 建物基礎および建物基礎工法
KR20120060964A (ko) 도로구조물의 무소음 신축이음구조
ES2666280T3 (es) Traviesa con suela elástica en lecho de balasto
CN220909712U (zh) 蠕变型断层隧道结构
KR20090011880U (ko) 완충층 연결부의 지지판 연결부재
CN211522701U (zh) 一种公路铺设用橡胶防水板
CN219138239U (zh) 一种可预设管路的复合板结构
KR102609970B1 (ko) 설치가 편리한 매트용 바닥재
CN211368363U (zh) 一种桥梁的伸缩缝结构
KR20160103789A (ko) 모듈식 탄성바닥재
CN211775430U (zh) 一种电加热活动地板
CN214258889U (zh) 一种结构稳定的地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