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433B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433B1
KR100949433B1 KR1020067025584A KR20067025584A KR100949433B1 KR 100949433 B1 KR100949433 B1 KR 100949433B1 KR 1020067025584 A KR1020067025584 A KR 1020067025584A KR 20067025584 A KR20067025584 A KR 20067025584A KR 100949433 B1 KR100949433 B1 KR 10094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leg
frame
spectacle
leaf sp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531A (ko
Inventor
게르트 하버만
Original Assignee
아이씨 베를린 브릴렌프로덕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 베를린 브릴렌프로덕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이씨 베를린 브릴렌프로덕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1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02C1/08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the rims being tranversely split and provided with secu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2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sheet type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1)와, 안경테(1)의 연결 부재(6)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 안경 다리(2)를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안경 다리(2)는 안경테의 인접 끝단에 3개의 판 스프링(3)(4)(5)이 마련된다. 2개의 외측 판 스프링(3)(4)은 연결 부재(6)의 힌지 부재(9)와 상호 작용하는 힌지 부재(10)를 구비함으로써, 힌지를 형성하게 된다. 안경테(2)가 접혀질 때, 안경 다리(2)의 외측 판 스프링(3)(4)은 안경 다리의 중앙 판 스프링(5)을 위하여 연결 부재(6)의 받침대(11)를 통하여 연결 부재(6)의 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옮겨진다.
안경, 안경테, 안경 다리, 연결 부재, 스프링, 힌지, 회동 핀, 받침대

Description

안경{glasses}
본 발명은 안경 또는 각각의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조인트 메커니즘을 위한 스크류 뿐만 아니라 그 부품들이 불필요한 안경 또는 각각의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안경 프레임을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조인트 기구들이 알려져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프레임 또는 각각의 안경테에 설치된 핀들이, 안경테의 측면에 있는 안경 다리의 끝단에 설치된 각각의 힌지와의 관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두 부품을 끼우거나 특별한 스크류로 그들을 연결함으로써 서로 협력하는 힌지 구조에 근거한다. 특히, 교정(corrective) 안경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안경테들에 있어서, 렌즈를 끼우거나 교환하기 위하여 안경테를 열고 닫는 것은 소위 클로징 블락(closing block)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렌즈에 직접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렌즈들은 프레임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이 없는 안경의 경우, 안경 다리들은 돌출부(projecting part)에 의해 렌즈에 직접 스크류 결합된다.
안경의 일생 동안 스위블(swivel) 조인트는 많은 동적 하중을 받기 때문에, 많은 해결책들에 있어서, 간단화 문제들로 인해 전통적인 스위블 조인트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3,155,982호는 안경 다리들이 렌즈를 싸고 있는 안경테의 전방부(front part)와 직접 연결된 안경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므로, 안경테의 측면에 있는 안경 다리의 끝단은 3개의 판(leaf) 스프링들로 분리되고, 여기서 중앙의 판 스프링은 안경테 부분의 외부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반면, 2개의 외측 판 스프링들은 그들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들에 의해 중앙 부분에서 외부 가장자리 근처에 배치된 구멍(opening)들과 맞물린다. 미국 특허 제3,155,982호에 개시된 조인트 메커니즘의 단점은 예를 들어 안경이 지면에 떨어질 때, 안경 다리들이 홀더(holder)로부터 아주 용이하게 느슨하게 될 수 있을 정도로 안경 다리들이 안경테에 매우 느슨하게 부착만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3개의 판 스프링들이 마련된 안경 다리를 역시 이용하는 안경 조인트를 위한 다른 해결책은 하프만즈 앤 고트쉬링(Haffmans and Gottschling)의 유럽 특허 번호 제0 863 424 B1호에 제안되었다. 각각의 연결 부재는 안경테의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안경 다리의 방향에 수직인 조인트 축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리세스(recess)를 가진다. 안경 다리들의 펄쳐진 상태에서, 안경 다리의 2개의 판 스프링들은 그들의 자유단에 제공된 곡면 형상에 의해 안경 착용자의 얼굴에 면하는 연결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연결 부재의 리세스에 접촉된 후 안경 착용자의 얼굴에 면하지 않는 연결 부재의 표면에 접촉되는 반면, 중앙 판 스프링은 연결 부재의 반대 표면에서 그 전체 길이에 접촉한다. 거기에서 연결 부재는 2 부분으로 나누어짐으로써, 렌즈들을 쉽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안정화를 위해서는, 2 부분의 연결 부재 위로 밀려질 수 있는 클로징(closing) 클립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 나, 이러한 메커니즘은 외측 판 스프링들과 중앙 판 스프링이 연결 부재의 반대 표면에서 가이드 되어야 하고, 이 동작은 탄성에 대항하는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아야 하고 끝단의 곡면 형상이 방해를 하기 때문에 안경 다리의 삽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특히 이러한 조인트의 치수가 매우 작은 경우, 작은 기구적 하중이 걸리게 되더라도 연결 부재로부터 안경 다리가 분리될 염려가 있다.
프랑스 공개특허 FR 2 779 241로부터, 안경테의 측면에 있는 안경 다리의 끝단에 핀을 제공하고, 그 핀이 안경테의 연결 부재의 리세스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행되는 안경 조인트를 가진 안경 프레임이 알려진 바, 연결 부재의 클립들은 안경 다리가 돌려 질 때 안경테의 측면에 있는 끝단에 중첩된다. 그러나, 그러한 조인트는 과다한 기구적 부하가 걸리는 경우 안경 다리의 안전한 지지를 보장하지 못한다.
미국 특허 3,458,866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슬릿을 가진 안경 다리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 프레임의 측방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안경을 개시한다. 안경 다리의 전단은 연결 부재를 둘러 싼다. 그러한 설계는, 보호 안경에 전형적인 것으로서, 쉽고 빠른 착용과 각각의 안경 다리의 해체를 수행함으로써 안경에는 적절하지 않은 운명이다.
이러한 근거로 인해,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 다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안경에 기구적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안경 다리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3항의 특징을 가진 안경 프레임,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안경테 및 청구항 제17항에 따른 안경 다리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핵심은 안경테의 측면에 있는 그 끝단에서 안결 프레임의 안경 다리들은 그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3개의 판 스프링을 가지고, 끝단에 있는 3개의 판 스프링의 외측 판 스프링은,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외측 판 스프링들이 연결 부재의 받침대 위로 스위블되거나 각각 연결 부재의 표면 평면을 벗어나 움직이도록 연결 부재의 조인트 부재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다는 사실이다. 편평한 평면으로서 설계된 연결 부재는 조인트 부재 뒤에서 안경 다리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고, 테이퍼 영역은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각각의 안경 다리의 3개의 판 스프링의 중앙 판 스프링을 위한 받침대를 형성한다.
그러한 설계는 공통의 평면 끝단 영역이 형성되도록, 모든 3개의 판 스프링들이 안경 착용자의 얼굴에 면하지 않는 연결 부재의 표면에 지지되는 장점을 가진다. 더군다나, 중앙 판 스프링뿐만 아니라 외측 판 스프링들도 연결 부재의 외측 표면에 지지 되는 사실은, 판 스프링들이 연결 부재의 반대 표면에서 가이드 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비록 이러한 판 스프링들이 공통 표면에 지지 되지만, 외측 판 스프링들에 부착되어 있는 조인트 부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설계는 안경 다리의 접음과 각각의 펼침을 지지하는 스프링 기구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스프링 기구 결과물은 중앙 판 스프링이 안경 다리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의 테이퍼진 영역에 지지됨으로써 받침대를 형성하는 반면 3개의 판 스프링의 외측 판 스프링들은 조인트 부재들이 마련되는 사실을 형성한다. 여기서, 중앙 판 스프링의 최대 폭은 받침대의 폭에 상응한다.
스위블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 판 스프링에서 안경 다리는 고리(loop) 형태의 조인트 부재를 가지는 반면 연결 부재에는 상응하는 회동 핀들이 마련된다. 안경 다리가 장착될 때, 연결 부재의 회동 핀들은 판 스프링의 고리와 결합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의 회동 핀들은, 외측 판 스프링에 배치된 오목한 반대의 베어링 쉘(shell)에 수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대략 원뿔로 설계된다.
연결 부재는 그 전체 길이에서 상부 바 및 하부 바로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는 프레임을 통해 렌즈까지 분리된다. 그르므로, 안경 다리를 분해하는 경우 안경테의 측면은 쉽게 분해할 수 있게 되고, 안경은 제거 또는 교환될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다.
안경 다리가 부착되기 전에 각각의 안경 다리의 연결 부재 위로 뒤집어 엎을 수 있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부가적인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이러한 바들은 휨 저항(flexural resistant) 연결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판 스프링 및 연결 부재의 조인트 부재들을 지지하기 위한 조인트 축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가해지는 스프링 탄성이 붙잡아 두는 방식(captivated manner)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이 되도록, 외측 판 스프링들은 설계된다.
부가적으로, 외측 판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은 바들(bars)이 서로에 대하여 단단하게 되고 렌즈들이 손실의 위험 없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 고정되는 사실의 결과를 초래한다. 연결 부재로부터 안경 다리를 해체하고 렌즈 교체를 위한 안경테에 대한 접근을 위하여 그들의 탄성에 대항하여 판 스프링들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 스프링의 길이 및 받침대의 길이는, 한편으로 스프링 탄성이 안경 다리 및 연결 부재의 조인트 부재의 연결이 분리되지 않도록 확보하는데 충분하고, 다른 한편으로 판 스프링 탄성이 펄쳐진 상태에서 안경 다리를 지지하는 데 충분하도록 제공된다. 선택된다. 또한, 연결 부재가 2개의 바를 가진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부품들의 길이들은 부가적 스프링 탄성이 연결 부재의 2개의 바를 결합시키는데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모든 부품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펀칭 또는 금속 시트로 제조된 블랭크로서 제작된 후 요구되는 완성된 형태로 굴곡될 수 있다. 또한, 개별 부재들을 위한 재료로서 티타늄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안경 다리 및 안경테의 사시도로서 안경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안경 다리 및 안경테의 사시도로서 안경 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안경테 2...안경 다리
3,4...외측 판 스프링 5...중앙 판 스프링
6...연결 부재 7...상부 바
8...하부 바 9...회동 핀
10...고리 11...받침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일 부분의 예를 나타낸다.
안경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안경테(1) 및 안경 다리(2)를 구비한다. 안경 다리(2)는 안경테의 측면 끝단에 평행하고, 2개의 외측 판 스프링(3)(4)과 중앙 판 스프링(5)으로 구성된, 3개의 판 스프링(3)(4)(5)을 가진다.
안경테(1)는 양측에서 안경 다리(2)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6)를 가진다. 연결 부재(6)는 상부 바(7) 및 하부 바(8)로 분리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경테(1)의 분리는 렌즈까지 확장하고 여기서는 표현되지 않는다. 안경 다리(2)가 해체되면, 렌즈를 끼우거나 각각 교체하기 위하여 상,하부 바(7)(8)를 잡아 당김으로서 안경테(1)는 약간 개방될 수 있다.
각각의 상부 바(7) 및 하부 바(8)는 각각 아래 위에 위치되어 회동 축을 형성하는 회동 핀(9)을 가진다. 장착된 상태에서, 이러한 회동 핀(9)은 외측 판 스프링(3)(4)에 각각 마련된 고리(10)와 결합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판 스프링(3)(4)을 잡아 당겨 그것을 회동 핀(9)에 고리(10)를 삽입하게 되면 안경 다리(2)는 연결 부재(6)에 쉽게 부착된다. 외측 판 스프링(3)(4)의 탄성이 서로에 대한 방향이기 때문에, 고리(10)는 회동 핀(9) 위에서 안전한 고정 및 회동 가능한 고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부 바(7) 및 하부 바(8)는 휨에 견디는(flexural resistant) 연결 방식으로 서로 고정된다.
연결 부재(6)는 회동 핀(9) 후방에서 안경 다리(2) 방향으로 테이퍼져 판-형상의 받침대(11)를 형성하는 영역을 가진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중앙 판 스프링(5)은 안경 착용자에 면하지 않는 받침대(11)의 표면에 지지 된다. 안경이 접혀 질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판 스프링(5)은 탄성 메카니즘을 형성하기 위하여 받침대(11)에 의해 지지 된다.
받침대(11)는 중앙 판 스프링(5)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안경 다리(2)가 접혀 질 때 외측 판 스프링(3)(4)이 받침대(11) 위에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 다.
'편평한 표면(flat surface)'은 평면(plane surface)의 의미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얼마간의 미세한 돌출부(elevation) 또는 구멍(cavity)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편평한 시트-형태의 재질로 제작되는 표면을 의미한다.
'고리(loop)'는 작은 구멍(eyelet)으로만 이해되는 것은 아니고, 핀이 그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을 정도로 적어도 주변적으로 포위되어 움푹 들어간 곳(recess)을 의미한다.
'잡아 두는 방식(captivated manner)'은 안경 다리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얻어지는 스위블(swivel) 축에서의 고정(fixation)이 스프링 효과만에 의해 조인트 부재들이 함께 유지되도록 하고; 조인트들은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작용할 때 쉽게 해체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스프링 탄성은 안경을 사용하는 동안 부재들을 함께 유지시키고, 동시에 반대의 힘이 가해지면 용이한 해체를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연결 부재(connecting element)'는 그 자체로서는 적극적으로 연결 부재로서 작용하지 않지만, 안경 다리의 방향 쪽으로 확장하는 프레임의 구성요소이며, 안경 다리의 회전 가능한 장착을 위한 조인트 부재들을 구비한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있는 안경 다리(2)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있으며 상기 안경 다리의 측면에 있는 그 끝단이 펼쳐진 상태의 안경 다리 방향을 향하는 연결 부재(6)를 가진 안경테(1)를 구비하며, 상기 안경 다리는 상기 안경테의 측면에 있는 끝단에서 3개의 판 스프링(3)(4)(5)으로 구성되고, 그 판 표면은 안경 다리가 펼쳐져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6)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며, 3개의 판 스프링의 외측 판 스프링(3)(4)에 형성된 조인트 부재(10)와 협력하여 스위블(swivel)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 부재(6)에 마련된 조인트 부재(9)를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편평한 표면으로 설계된 상기 연결 부재(6)는 상기 조인트 부재(9) 뒤에서 상기 안경 다리(2)의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접혀질 때, 상기 연결 부재(6)의 상기 테이퍼 영역은 각각의 안경 다리(2)의 3개의 판 스프링의 중앙 판 스프링(5)을 위한 받침대(11)를 형성하며,
    각각의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상기 안경 다리(2)의 외측 판 스프링(3)(4)이상기 받침대(11)의 측면에 간섭되지 않게 움직이도록, 외측 판 스프링(3)(4)에 있는 상기 조인트 부재(10)는 각각의 연결 부재(6)의 조인트 부재(9)에 상대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6)의 조인트 부재는 회동 핀(9)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6)의 각각의 안경 다리의 외측 판 스프링(3)(4)에는 연결 부재(6)의 회동 핀(9)이 결합 될 수 있는 고리(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6. 삭제
  7.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있는 안경 다리(2)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있으며 상기 안경 다리의 측면에 있는 그 끝단이 펼쳐진 상태의 안경 다리 방향을 향하는 연결 부재(6)를 가진 안경테(1)를 구비하며, 상기 안경 다리는 상기 안경테의 측면에 있는 끝단에서 3개의 판 스프링(3)(4)(5)으로 구성되고, 그 판 표면은 안경 다리가 펼쳐져 있을 때 상기 연결 부재(6)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며, 3개의 판 스프링의 외측 판 스프링(3)(4)에 형성된 조인트 부재(10)와 협력하여 스위블(swivel)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 부재(6)에 마련된 조인트 부재(9)를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
    편평한 표면으로 설계된 상기 연결 부재(6)는 상기 조인트 부재(9) 뒤에서 상기 안경 다리(2)의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접혀질 때, 상기 연결 부재(6)의 상기 테이퍼 영역은 각각의 안경 다리(2)의 3개의 판 스프링의 중앙 판 스프링(5)을 위한 받침대(11)를 형성하며,
    각각의 안경 다리가 접혀질 때 상기 안경 다리(2)의 외측 판 스프링(3)(4)이상기 받침대(11)의 측면에 간섭되지 않게 움직이도록, 외측 판 스프링(3)(4)에 있는 상기 조인트 부재(10)는 각각의 연결 부재(6)의 조인트 부재(9)에 상대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6)의 조인트 부재는 베어링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6)의 각각의 안경 다리(2)의 외측 판 스프링(3)(4)에는, 연결 부재(6)의 상기 베어링 핀이 결합되는 베어링 쉘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6)는 그 전체 길이에서 상부 바(7) 및 하부 바(8)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6)는 그 전체 길이에서 상부 바(7) 및 하부 바(8)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6)의 분리는 안경테(1)를 통하여, 안경테(1)에 의해 수납되는 렌즈까지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6)의 분리는 안경테(1)를 통하여, 안경테(1)에 의해 수납되는 렌즈까지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2)가 상기 연결 부재(6)에 연결되기 전에, 연결 부재(6) 위로 밀려질 수 있는 슬리브(sleev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모든 구성 부품들은 금속 또는 티타늄 시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판 스프링(3)(4)은, 회동 가능한 연결로 붙잡아 두는 방식(captivated manner)으로 상기 안경 다리 및 상기 연결 부재(6)의 조인트 부재들(9)(10)을 부착하는 조인트 축의 방향으로 실질적인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은 어느 하나의 외측 판 스프링(3 또는 4)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 장력이 다른 외측 판 스프링(4 또는 3)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2)의 판 스프링(3)(4)(5)의 길이 및 상기 받침대(11)의 길이는 상기 탄성이 안경 다리(2) 및 연결 부재(6)의 조인트 부재(9)(10)가 잡혀 있는 곳에서 연결을 확보하도록 하고, 안경 다리의 중앙 판 스프링(5)의 판 스프링 탄성이 접혀진 상태의 안경 다리(2)를 유지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다리(2)의 판 스프링(3)(4)(5)의 길이 및 상기 받침대(11)의 길이는 상기 탄성이 상기 연결 부재(6)의 2개의 바(7)(8)를 결합하는 데 충분하도록 하고, 안경 다리(2)의 중앙 판 스프링(5)의 판 스프링 탄성이 펼쳐진 상태의 안경 다리(2)를 지지하는 크기를 가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18. 삭제
KR1020067025584A 2004-05-13 2005-05-10 안경 KR100949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3840.5 2004-05-13
DE102004023840A DE102004023840B3 (de) 2004-05-13 2004-05-13 Br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31A KR20070012531A (ko) 2007-01-25
KR100949433B1 true KR100949433B1 (ko) 2010-03-24

Family

ID=3493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584A KR100949433B1 (ko) 2004-05-13 2005-05-10 안경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596242B1 (ko)
JP (1) JP4564055B2 (ko)
KR (1) KR100949433B1 (ko)
CN (1) CN100582870C (ko)
AT (1) ATE521911T1 (ko)
CA (1) CA2566608C (ko)
DE (1) DE102004023840B3 (ko)
DK (1) DK1596242T3 (ko)
HK (1) HK1105686A1 (ko)
PL (1) PL1596242T3 (ko)
WO (1) WO2005111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0816A4 (en) * 2008-02-14 2012-02-08 Topsight Optics Ltd TELESCOPIC GLASSES
MY179649A (en) 2010-09-06 2020-11-11 Ic! Berlin Brillenproduktions Gmbh Eyeglass frame and temple
FR2969320B1 (fr) * 2010-12-21 2012-12-14 J R L Monture de lunette
ITBL20110005A1 (it) * 2011-05-11 2012-11-12 Erre B F Occhiali Di Roldo Sabina Cerniera per astine di occhiale, con lamina elasticizzante sul blocchetto squadrato del frontale.
FR2975791B1 (fr) * 2011-05-24 2013-05-31 Guillaume Lefrancois Monture de lunettes sans vis
FR2982041B1 (fr) * 2011-10-27 2014-10-17 Jrl Monture de lunettes a branches articulees, amovibles
CN202649622U (zh) * 2012-06-19 2013-01-02 李观林 弹片组合眼镜
KR101940376B1 (ko) * 2016-08-11 2019-01-18 신상호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IT202000016537A1 (it) * 2020-07-08 2022-01-08 Safilo S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Occhiali a lenti intercambiabi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3424B1 (de) * 1997-01-27 2001-04-11 Philipp Haffmans Dreiteiliges, schraubenloses Brillengestell aus Blech (Wahlweise VA/TI/AL) mit integriertem Federscharnier-Steck-System (Fss), mit formal integrierter Schliessspan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09345A (fr) * 1948-06-09 1952-05-28 Henri Pillet Fils D Système de fixation élastique pour branches de lunette
US3155982A (en) * 1962-05-07 1964-11-10 Pennsylvania Optical Company Eyeshield
US3458866A (en) * 1967-12-07 1969-08-05 Precision Plastics Inc Eyeglass hinge construction
FR2439412A2 (fr) * 1978-10-20 1980-05-16 Must Cartier France Monture de lunettes
JPS6094626U (ja) * 1983-12-01 1985-06-27 池田 正雄 めがねフレ−ム
FR2779241B1 (fr) * 1998-06-02 2000-07-21 Cebe International Sa Paire de lunettes equipee de charnieres elastiques
JP3345407B2 (ja) * 2000-10-11 2002-11-18 孝二 永吉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3424B1 (de) * 1997-01-27 2001-04-11 Philipp Haffmans Dreiteiliges, schraubenloses Brillengestell aus Blech (Wahlweise VA/TI/AL) mit integriertem Federscharnier-Steck-System (Fss), mit formal integrierter Schliesssp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66608A1 (en) 2005-11-21
JP4564055B2 (ja) 2010-10-20
CA2566608C (en) 2012-07-03
DK1596242T3 (da) 2011-12-19
CN100582870C (zh) 2010-01-20
WO2005111698A1 (de) 2005-11-24
ATE521911T1 (de) 2011-09-15
PL1596242T3 (pl) 2012-01-31
EP1596242A1 (de) 2005-11-16
EP1596242B1 (de) 2011-08-24
KR20070012531A (ko) 2007-01-25
HK1105686A1 (en) 2008-02-22
CN1997931A (zh) 2007-07-11
DE102004023840B3 (de) 2005-11-03
JP2007537467A (ja)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543B1 (ko) 안경 프레임
KR100949433B1 (ko) 안경
US7410253B2 (en) Spectacles
US5963296A (en) Detachable cam-biased eyeglass temples
JP4699611B2 (ja) 補助アイウェア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183333B1 (ko) 안경테
US7264349B1 (en) Quick-release eyeglasses hinge
US20070285614A1 (en) Hinge system for eyewear
US5793463A (en) Universal attachment with moveable sideshields for eyeglasses
US20050099591A1 (en) Eyeglass with auxiliary lenses
US20160033790A1 (en) Eyeglasses with removable temples and method
KR20210013902A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WO1998048314A1 (en) Metal frame for eyeglasses
RU2345391C2 (ru) Углубленный шарнир для придания упругости дужкам очков
JP2784996B2 (ja)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JP2004504626A (ja) ワイヤテンプルを具備した眼鏡
KR20010091011A (ko) 안경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US6834954B2 (en) Spectacles of the type without a surround
JP2012053102A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
JP4336389B2 (ja) レンズ交換可能型眼鏡
JP2002131701A (ja) 眼鏡のヒンジ構造
KR20230037882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JP4824474B2 (ja) 眼鏡フレーム
JP2000258730A (ja) 眼鏡レンズ止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122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120

Effective date: 2010022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120

Effective date: 201002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