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039B1 - 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039B1
KR100949039B1 KR20090125494A KR20090125494A KR100949039B1 KR 100949039 B1 KR100949039 B1 KR 100949039B1 KR 20090125494 A KR20090125494 A KR 20090125494A KR 20090125494 A KR20090125494 A KR 20090125494A KR 100949039 B1 KR100949039 B1 KR 10094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rame
waste
food waste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5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만
Original Assignee
박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만 filed Critical 박진만
Priority to KR2009012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0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2So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1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assembled from a plurality of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PURPOSE: A prefabricated booth embedded with a garbage dispos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mass production of booths for a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tes. CONSTITUTION: A prefabricated booth comprises a frame(10), a food disposal part(30a), a food disposer(32), an outer wall(40), and a solar power generator(42). The frame comprises two entrances(20), a plurality of pillars, a shingle(22), and a space part(30). The food disposal part blocks the inflow of odor from food waste into the space part. A recyclate collection part(34) or a waste paper collection part(36) are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d process space part. The food disposer is installed in the food process space part, accounts a fare according to household by sensing the weight of collected food waste, and dries and discharges the food waste. The solar power generato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hingle, converts received sun 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applies the electrical energy to the food disposer.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재활용품, 폐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고,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ot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a food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s, waste paper, and food waste, and collecting food waste through user authentication.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은 크게 특정 지역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매립방법과 쓰레기를 태워서 처리하는 소각방법이 있다. 그러나 매립방법은 쓰레기 매립지역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침출수에 의한 오염, 그리고 매립지역의 부지선정에 어려움이 있고, 소각방법은 쓰레기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수반된다.Generally, there are two methods of disposing of garbage: landfill in which waste is buried in a specific area and incineration in which waste is burned. However, the landfill method has difficulties in the odor generated from the landfill area, contamination by leachate, and the site selection of the landfill area, and the incineration method involves environmental pollution generated during the incineration of waste.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처리방법에 의해 처리되는 쓰레기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재활용 분리수거방법이 동원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in order to minimize the amount of waste to be treated by the above-described treatment method, recycling and separate collection methods have been mobilized.

즉, 버려지는 쓰레기 중 재활이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수거하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만을 매립 또는 소각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각 세대별에서 쓰레기의 분리배출과 쓰레기 처리업체의 분리 수거가 효율적으로 시행되고, 재생산업이 발달되어야 한다.That is, a method of separately collecting and recycling wastes that can be recycled and discarding or incineration of wastes that cannot be recycled.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this effectively, separate generation of wastes and separate collection of waste disposal companies must be efficiently carried out for each household and the recycling industry needs to be developed.

또한, 분리수거를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가정이나 음식점, 유원지, 공원 등에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비치하고 있으며, 특히 아파트 등의 주택단지나 음식점이 밀집된 상업지역에는 많은 양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별도의 지역에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비치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arry out separate collection, there are separate collection bins in homes, restaurants, amusement parks, and parks, and in order to effectively separate a large amount of garbage in housing complexes such as apartments or commercial areas where restaurants are concentrated. There are separate waste bins in the area.

또한,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비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설치된 구조물에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을 비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have a separate collection bin, a separate structure is installed, and a separate collection bin is provided on the installed structure to efficiently separate the collection.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의 경우, 현장에서 지반에 시공하기 때문에 한번 시공된 구조물의 해체 및 이동의 어려움이 있고, 구조물의 시공과 해체 및 이동 시에 많은 양의 자재가 손실되고 있다.However, such a structure is difficult to dismantle and move the structure once constructed because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at the site, a large amount of material is lost during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and movement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면에 개방된 2 개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전방 및 후방에 다수의 기둥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면이 외부와 차단되게 하는 지붕판이 설치되면서, 지붕판 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골격부; 공간부의 중앙 후방에서, 전방에 개폐가 가능한 출입문을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악취가 공간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음식물 처리 공간부; 음식물 처리 공간부에 내장되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상부는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간부의 투시가 가능한 외벽부; 및 지붕판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to form two entrances that are open to the front, and to install a plurality of pillar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the upper surfac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roof plate is installed, the skeleton portion to form a space portion under the roof plate; A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which forms an entrance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of the space portion to prevent an odor caused by food waste from entering the space portion; A food processing apparatus embedded in the food processing space to detect a weight of collected food waste, settle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dry-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food waste; An outer wall portion of which an upper portion is installed along a plurality of pillars and a lower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to allow a perspective of the space portion from the outside; 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nit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a roof plate and converting received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to be applied to a food processing device.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는, 정면에 개방된 2 개의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전방 및 후방에 다수의 기둥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면이 외부와 차단되게 하는 지붕판(22)이 설치되면서, 상기 지붕판 하부에 공간부(30)를 형성하는 골격부(10); 상기 공간부(30)의 중앙 후방에서, 전방에 개폐가 가능한 출입문(26)을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 한 악취가 상기 공간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상기 공간부 중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에 내장되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32); 상부는 상기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30)의 투시가 가능한 외벽부(40); 및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의 좌우 측에는 각각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품 수거부(34) 또는 폐지를 수거하는 폐지 수거부(36)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booth incorporating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orms two entrances 20 which are open at the front, and fixedly installs a plurality of pillars at the front and the rear, A skeletal portion 10 having a roof plate 22 installed to be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forming a space portion 30 under the roof plate; In the center rear of the space portion 30, the front and rear door 26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food processing space of the space portion that can block the odor caused by food waste to enter the space portion 30 Part 30a; A food processing device (32) built in the food processing space (30a) to sense the weight of the collected food waste, settle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dry-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food waste; An outer wall portion 40 having an upper portion installed along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lower portion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to enable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portion 30 from the outside; 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nit 42 installed above the roof plate 22 and converting received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30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yclables collection unit 34 for collecting the recyclables or the waste paper collection unit 36 for collecting the waste paper.

상기 골격부(10)는, 전방에 개구(12a)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지반과 탈부착되는 바닥골격부(12); 상기 바닥골격부(12)의 후방 프레임 상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의 양단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골격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상기 다수의 기둥(14);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공간부의 상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상기 지붕판(22)의 저면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붕골격부(16); 및 하부 양단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개구(12a) 양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기립하여, 좌우 측에 개방된 상기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정면판(24)을 삽입하는 출입구 프레임(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keletal portion 10 is formed in a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opening 12a in the front,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is the bottom surface detachable from the ground; It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ear fram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while being installed to be fixed vertically to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The plurality of pillars 14 forming the space part 30; A roof skeleton portion 16 fixedly installed on tops of the plurality of pillars,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late 22 being fix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from the outside; And both ends of the lower end is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12a)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to stand vertically, to form the doorway 20 ope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serting the front plate 24 in the center Doorway frame 18 to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는, 각 세대별로 지급된 ID(identification) 카드의 투입시 상기 ID 카드를 인식하여 세대 정보를 파악하는 카드 인식부(32d);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계측부(32e); 계측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대응하여 쓰레기 배출을 위한 요금을 연산하고,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을 기록하는 연산부(32f); 상기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에 대한 정보를 각 세대별 또는 중앙관리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32g); 및 전면 패널을 통해 상기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includes: a card recognition unit 32d for recognizing the ID card and identifying generation information when the ID card issued for each household is inserted; A weight measuring unit 32e for measuring a weight of the food waste put into the container; An operation unit 32f that calculates a charge for discharging waste in response to the measured weight of food waste, and records a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a cumulative weight of food waste; A communication unit (32g) which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the food waste to each household or the central manager; And a display unit 32b displaying the monthly cumulative fe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the food waste through the front panel.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제조방법은, 바닥골격부(12)가 전방에 개구(12a)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지반에 부착되는 바닥골격부 설치단계(S1); 다수의 기둥(14)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후방 프레임 상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의 양단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골격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면서 공간부(30)를 형성하는 기둥 설치단계(S2); 상기 공간부(30) 후방 중앙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32)가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장치 설치단계(S3); 지붕골격부(16)가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공간부(30)의 상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상기 지붕판(22)의 저면을 고정하는 지붕 형성단계(S4); 출입구 프레임(18)의 하부 양단이 상기 바닥 골격부(12)의 개구(12a) 양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기립하고, 좌우 측에 개방된 상기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정면판(24)을 삽입하는 출입구 프레임 설치단계(S5); 외벽부(40)의 상부가 상기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30)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외벽부 설치단계(S6); 및 태양광 발전부(42)가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 설치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booth manufacturing method incorporating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keleton 12 is formed in a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opening 12a in the front, the bottom skeleton is attached to the ground bottom Installation step (S1); A plurality of pillars 14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ear fram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and dispos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A pillar installation step (S2) to be fixed to the vertical and to form the space portion 30; At the rear center of the space part 30, a food processing device is installed in which a food processing device 32 is installed to detect a weight of collected food waste and set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to dry-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food waste. Step S3; Roof framework 16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top of the plurality of pillars, the roof forming step of fix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late 22 to block the top of the space portion 30 to the outside on the upper surface (S4 ); Lower ends of the doorway frame 18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12a of the bottom frame part 12 so that they stand vertically, and form the doorway 20 op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front plate at the center thereof. Doorway frame installation step (S5) for inserting 24; An upper wall portion 40 is installed along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lower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so as to allow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portion 30 to be installed from the outside (S6). ; And a photovoltaic unit 42 installed above the roof plate 22 to convert solar light receiv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to apply the photovoltaic unit 32 to the food processor 32 (S7);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용 분리 수거를 위한 부스를 모듈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주거공간과 공공의 공간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쓰레기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the booth for the separation and recycling of recycling can be used in a variety of residential and public space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ecycling rate of waste.

또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장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건조 후 분쇄하여 위생적이고, 재활용 시설 내의 오염과 주변지역 내 민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food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identify the user, the food waste is hygienic by compressing and drying the food was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pollution in the recycling facility and complaints in the surrounding area.

또한, 자재 등이 모듈화가 되어 있어, 시공의 환경에 따라 크기, 형태 또는 기능 등을 자유로이 변형할 수 있고, 보수나 구조변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s and the like are modularized, the size, shape, or function can be free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there is an effect of easy maintenance and structural chang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조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의 사시도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ooth having a food processing apparat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manufacturing flowchart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ood processing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image of a prefabricated booth with built-in devices.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정면에 개방된 2 개의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전방 및 후방에 다수의 기둥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면이 외부와 차단되게 하는 지붕판(22)이 설치되면서, 상기 지붕판 하부에 공간부(30)를 형성하는 골격부(10); 상기 공간부(30)의 중앙 후방에서, 전방에 개폐가 가능한 출입문(26)을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악취가 상기 공간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상기 공간부 중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에 내장되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32); 상부는 상기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30)의 투시가 가능한 외벽부(40); 및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4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wo entrances 20 that are open at the front, and a plurality of pillars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and the roof plate 22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roof Frame part 10 which forms the space part 30 in the lower board; In the center of the space portion 30, the front and rear door 26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that can block the odor caused by food waste to enter the space portion 30 30a; A food processing device (32) built in the food processing space (30a) to sense the weight of the collected food waste, settle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dry-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food waste; An outer wall portion 40 having an upper portion installed along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lower portion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to enable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portion 30 from the outside; 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nit 42 installed on the roof plate 22 to convert the received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apply the same to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그리고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의 좌우 측에는 각각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품 수거부(34) 또는 폐지를 수거하는 폐지 수거부(36)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recyclables collection unit 34 for collecting the recyclables or the waste paper collection unit 36 for collecting waste paper.

또한, 본 발명은, 바닥골격부(12)가 전방에 개구(12a)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지반에 부착되는 바닥골격부 설치단계(S1); 다수의 기둥(14)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후방 프레임 상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의 양단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골격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면서 공간부(30)를 형성하는 기둥 설치단계(S2); 상기 공간부(30) 후방 중앙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32)가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장치 설치단계(S3); 지붕골격부(16)가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공간부(30)의 상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상기 지붕판(22)의 저면을 고정하는 지붕 형성단계(S4); 출입구 프레임(18)의 하부 양단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개구(12a) 양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기립하고, 좌우 측에 개방된 상기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정면판(24)을 삽입하는 출입구 프레임 설치단계(S5); 외벽부(40)의 상부가 상기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30)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외벽부 설치단계(S6); 및 태양광 발전부(42)가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 설치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is formed in a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opening 12a in the front, the bottom skeleton portion installation step (S1) is attached to the ground bottom; A plurality of pillars 14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ear fram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and dispos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A pillar installation step (S2) to be fixed to the vertical and to form the space portion 30; At the rear center of the space part 30, a food processing device is installed in which a food processing device 32 is installed to detect a weight of collected food waste and set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to dry-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food waste. Step S3; Roof framework 16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top of the plurality of pillars, the roof forming step of fix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late 22 to block the top of the space portion 30 to the outside on the upper surface (S4 ); Lower ends of the doorway frame 18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12a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to stand vertically, and form the doorway 20 op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front plate at the center thereof. Doorway frame installation step (S5) for inserting 24; An upper wall portion 40 is installed along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lower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so as to allow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portion 30 to be installed from the outside (S6). ; And a photovoltaic unit 42 installed above the roof plate 22 to convert solar light receiv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to apply the photovoltaic unit 32 to the food processor 32 (S7);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골격부(10),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 음식물 처리장치(32), 외벽부(40) 및 태양광 발전부(42)는 각각 모듈화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시공 현장에 따라 크기나 형태 등이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keleton portion 10,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the outer wall portion 40 and the photovoltaic unit 42 can be modularized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may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e.

상기 골격부(10)는, 전방에 개구(12a)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지반과 탈부착되는 바닥골격부(12); 상기 바닥골격부(12)의 후방 프레임 상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의 양단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골격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상기 다수의 기둥(14);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공간부의 상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상기 지붕판(22)의 저면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붕골격부(16); 및 하부 양단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개구(12a) 양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기립하여, 좌우 측에 개방된 상기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정면판(24)을 삽입하는 출입구 프레임(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keletal portion 10 is formed in a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opening 12a in the front,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is the bottom surface detachable from the ground; It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ear fram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while being installed to be fixed vertically to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The plurality of pillars 14 forming the space part 30; A roof skeleton portion 16 fixedly installed on tops of the plurality of pillars,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late 22 being fix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from the outside; And both ends of the lower end is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12a)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to stand vertically, to form the doorway 20 ope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serting the front plate 24 in the center Doorway frame 18 to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바닥골격부(12)는 판 형상이 아니라, 철재가 동원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되어 자체 중량을 최소화하고, 내부 모서리에 보강리브(미도시)를 설치하여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is not a plate shape, but the steel is mobiliz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s a whole to minimize its own weight, it is prefera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by installing a reinforcing rib (not shown) in the inner corners (S1).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은 전체가 절개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에 출입구 프레임(18)이 설치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만큼 절개가 되고, 남아 있는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이 수직으로 기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is not cut in its entirety, but is cut in a length enough to allow the entrance frame 18 to be installed in the cent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of the remaining bottom skeletal portion 12 is cut. The pillar may be installed to stand vertically as shown in FIG.

바닥골격부(12)의 저면은 앵커 볼트 등을 동원하여 지면과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 반면 해체도 용이한 결합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2 may be fixed to the ground by mobilizing anchor bolts, etc.,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dismantle.

기둥(14) 각각은 H빔과 같이 철재로 제작되어 중량을 감소하여 시공의 용이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illars 14 is preferably made of steel such as an H beam to reduce the weight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기둥(14)은 바닥골격부(12)의 후방 프레임 상면에서 수직으로 기립하게 설치되는 후방 기둥(14a) 및 전방 프레임 상면에서 수직으로 기립하게 설치되는 전방 기둥(14b)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기둥(14b) 및 후방 기둥(14a)의 크기를 같이할 수 있지만, 시공 현장에 따라 전방 기둥(14b) 및 후방 기둥(14a)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S2).The pillar 14 may be classified into a rear pillar 14a installed vertically on the rear fram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2 and a front pillar 14b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ront frame upper surface. Although the size of the front pillar 14b and the rear pillar 14a can be the same as shown in FIG. 1, 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sizes of the front pillar 14b and the rear pillar 14a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 S2).

기둥(14)은 바닥골격부(12)가 지반에 설치되면, 바닥골격부(12)의 후방 및 전방 상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닥골격부(12)의 후방에는 7개의 후방 기둥(14a)이 동원되었고, 바닥골격부(12)의 전방에는 4개의 전방 기둥(14b)이 동원되고 있다. 기둥은 본 발명에 내부에 내장되는 재활용품 수거부(34), 폐지 수거부(36) 및 음식물 처리장치(32)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동원될 수 있음 당연하다.The pillar 14 may be installed vertically as shown in the rear and front upper surfaces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when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is installed on the grou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ven rear pillars 14a are mobilized at the rear of the bottom skeleton 12, and four front pillars 14b are mobilized at the front of the bottom skeleton 12. Of course, the number of pillars may be variously mobilized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number of the recyclables collection part 34, the waste paper collection part 36, and the food processing device 32 built in the present invention.

기둥(14)이 하단이 바닥골격부(12)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기 위해서 통상의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 등이 동원될 수 있다.Ordinary bolt coupling or welding coupling, etc. may be mobilized in order for the lower end of the pillar 14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keleton 12.

상기 지붕골격부(16)는,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및 후방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다수의 기둥(14)의 상단 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6a)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6a)의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16b);을 포함할 수 있다(S4).The roof skeletal portion 16 includes a pair of main frames 16a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upper portions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and fixed to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illars 14;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s (16b), both ends are fixed to the side of the pair of main frame (16a) (S4).

보조 프레임(16b)의 설치간격은 후방 기둥(14a)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16b)의 후방이 후방 기둥(14a)의 상단에 인접하면서 메인프레임(16a)의 측면에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auxiliary frame 16b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ar pillar 14a. As shown, the rear of the auxiliary frame 16b is adjacent to the top of the rear pillar 14a and the main frame 16a. Can be fixed to the side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22)은 지붕골격부(16)의 상면에 설치하되, 지붕판(22)은 폴리카본네이트 재질을 동원하여 전체 하중을 최소화하면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판(22)은 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잘 견딜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며 폐기할 때 태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붕판(22)은 폐지 및 재활용품이 우천시에 비에 젖는 것에 따른 폐지 및 재활용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oof plate 2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skeleton portion 16, the roof plate 22 may be manufactured while mobilizing a polycarbonate material to minimize the overall load. As such, the roof plate 22 can withst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like,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the advantage of burning when discarded. The roof plate 22 prevents damage of the waste paper and the recycled products due to the rain when the waste paper and the recycled product is wet in the rain, thereby increasing the recycling rate.

또한, 지붕판(22)의 상면에는 태양광 집광패널이 설치되어, 지붕판(22)은 태양광 집광패널을 통해 태양광이 용이하게 수광되기 위한 지지구조로 기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olar light collecting panel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oof plate 22, and the roof plate 22 may function as a supporting structure for easily receiving sunlight through the solar light collecting panel.

상기 출입구 프레임(1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단이 상기 개구(12a)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좌우 측에 개방된 출입구(20)를 각각 형성하는 정면 프레임(18a); 및 상기 정면 프레임(18a)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정면에 장식물이 설치되는 상기 정면판(24);를 포함할 수 있다(S5).As shown in FIG. 1, the doorway frame 18 is fixed to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with both lower end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12a, and standing vertically. A front frame 18a which forms openings and exits 20 which are open on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a front plate 24 inserted into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frame 18a and having a decoration install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S5).

정면 프레임(18a)은 철재의 재질이 동원되어 "W"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 프레임은 3 개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중 중앙부의 개구는 정면판(24)이 삽입되어 결과적으론 양측에 2 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사용자가 통과할 수 있는 출입구(20)가 2개 형 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frame 18a is formed of a "W" shape by mobilizing a material of steel, thereby securing rigidity against deformation caused by external force. The front frame may form three openings, the central opening of which is the front plate 24 is inserted, as a result, two open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entrance 20 through which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ass is provided. Two can be formed.

정면판(24)은 자연 친화적인 느낌을 주기 위하여 목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정면판(24)의 전면에는 자연미를 창출한 다양한 조형물(44)이 설치되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ront plate 24 may be formed of wood in order to give a natural feeling,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4 may be installed various sculptures 44 to create a natural beauty to improve the aesthetics.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는 상기 골격부(10)의 내부에서 상기 출입구(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후방부에 위치하고(S3), 양측에 칸막이 벽이 형성되어 칸막이 벽의 전단에 설치되는 출입문(26)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다.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is located at a rear portion away from the doorway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nterior of the skeleton portion 10 (S3), and partition walls are formed at both sides and ar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artition wall. The door 26 can be opened and closed.

이를 통해, 음식물 처리장치(32)는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에서 칸막이 벽(28) 및 출입문(26)을 통해 외부와 단절되어,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32 is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artition wall 28 and the door 26 in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it can prevent the od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food waste Not exposed to the outside can improve aesthetics.

칸막이 벽(28) 및 출입문(26)의 상단은 지붕골격부(16)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가 공간부(3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즉, 칸막이 벽(28)은 지붕골격부(16)의 보조 프레임(16b) 저면에 밀착되고, 출입문(26)의 상단은 지붕골격부(16)의 보조 프레임(16b) 사이에 별도로 더 설치되는 프레임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다.The top of the partition wall 28 and the entrance door 26 should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frame 16 to prevent odors of food waste from leaking into the space 30. That is, the partition wall 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auxiliary frame 16b of the roof skeleton portion 16,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26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auxiliary frame 16b of the roof frame portion 16 separately.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rame.

칸막이 벽(28) 및 출입문(26)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제작되어,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 내에 다른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tion wall 28 and door 26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nother user in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양 칸막이 벽(28)의 후방에는 외벽부의 상부가 밀착되게 결합하고, 외벽부의 하부에 통풍창(46)이 위치하여 양 칸막이 벽(28)의 후방에 고정되게 결합하고, 외 벽부의 하부에 통풍 장치(48)가 구비된 칸막이 벽(28)이 위치하여 양 칸막이 벽(28)의 후방에 고정되게 결합하여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에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생성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is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two partition walls 28, and a ventilation window 46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so as to be fixedly fixed to the rear of both partition walls 28, and a ventilation devic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The partition wall 28 having the 48 is positioned to be fixed to the rear of both partition walls 28 so that the odor generated from the food waste from the food processing space 30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대(50)가 정면판 후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처리장치(32)를 이용한 사용자가 손을 세척할 수 있다.As shown, the sink 50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ront plate can be washed by the user using the food treatment device (32).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에 내장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식물 처리장치(32)는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할 수 있다.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as shown in FIG. 4 embedded in the food processing space 30a detects the weight of collected food waste and calculates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dry-processes the collected food waste. Can be discharged.

음식물 처리장치(32)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32a)가 형성되고, 상부 좌측에는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중량 및 요금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2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통(32c)이 내장된다.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is formed with an inlet 32a through which food waste can be injected, and a display unit 32b for allowing a user to check the weight and charge of food waste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and the lower portion is dried. A discharge container 32c for discharging the processed food waste is built in.

음식물 처리장치를 통해 각 세대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건조 후 분쇄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어 매일 음식물 쓰레기를 반출하는 기존 공정보다 음식물 쓰레기를 3일~4일 동안 저장할 수 있어 처리과정에 드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 food processing unit can compress and dry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and then crush it.It is hygienic and can reduce the amount of garbage.It can store food waste for 3 ~ 4 days than the conventional process of taking out the food waste every day. The social cost of processing can be reduced.

또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여 버리는 기존 방식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ocial costs associated with the food waste bags in the existing way to buy food waste bags.

또한,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나오는 부유물은 비료나 사료 등으로 이용하여 자원의 재활용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pended solids from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may be recycled resources by using as a fertilizer or feed.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의 좌우 측에는 각각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품 수거부(34) 또는 폐지를 수거하는 폐지 수거부(36)가 내장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d processing space 30a may be provided with a recyclables collection unit 34 for collecting recyclables or a waste paper collection unit 36 for collecting waste pap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의 우측에 상기 공간부(30) 중 재활용품 수거 공간부(30b)가 형성되고,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의 좌측에 상기 공간부(30) 중 폐지 수거 공간부(30c)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재활용품 수거 공간부(30b) 및 폐지 수거 공간부(30c)의 위치가 상호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 As shown in FIG. 1, a recycling collection space portion 30b of the space portion 3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and the space portion (left) on the left side of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The waste paper collection space portion 30c may be formed. 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recyclables collection space 30b and the waste paper collection space 30c may be interchanged.

재활용품 수거 공간부(30b)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활용품 수거부(34)가 내장되어, 재활용 쓰레기인 병, 페트, 캔으로 분리 수거될 수 있다. Recyclables collection space portion (30b) has a built-in recycled material collection unit 34 as shown in Figure 5, can be separated and collected into bottles, PET, cans that are recycled waste.

기존의 분리 수거함은 단순히 캔이나 페트병을 넣어 두었지만, 본 발명에 동원되는 재활용품 수거부(34)는 내부에 파쇄 기능이 있어 재활용품의 부피를 줄여 처리용량을 늘릴 수 있어, 재활용품의 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Existing separate collection box simply put a can or a PET bottle, but the recycling collection unit 34 mob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redding function to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recycled, reducing the processing cost of recycled products It is effective.

또한, 폐지 수거 공간부(30c)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지 수거부(36)가 내장되어 폐지가 상부에서 투입되면서 수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te paper collection space (30c) is built in the waste paper collection unit 36 as shown in Figure 6 may be collected while the waste paper is introduced from the top.

기존의 폐지 수거 방식은 박스나 폐지를 보관 버릴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미관상 좋지 않게 쌓아 두는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동원되는 폐지 수거부(36)는 미감이 향상된 외관을 형성하여 분리 수거 주위환경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부에 이동 바퀴가 구비되어 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the existing waste paper collection method, the reality was that the boxes or the waste paper were not stacked enough to be piled up in aesthetic sense. However, the waste paper collection unit mob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separating the collection 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aesthetic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ement wheels are provided at the bottom to facilitate the treatment.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는, 각 세대별로 지급된 ID(identification) 카드의 투입시 상기 ID 카드를 인식하여 세대 정보를 파악하는 카드 인식부(32d); 내부 에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계측부(32e); 계측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대응하여 쓰레기 배출을 위한 요금을 연산하고,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을 기록하는 연산부(32f); 상기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에 대한 정보를 각 세대별 또는 중앙관리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32g); 및 전면 패널을 통해 상기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includes: a card recognition unit 32d for recognizing the ID card and identifying generation information when the ID card issued for each household is inserted; A weight measuring unit (32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put in; An operation unit 32f that calculates a charge for discharging waste in response to the measured weight of food waste, and records a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a cumulative weight of food waste; A communication unit (32g) which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the food waste to each household or the central manager; And a display unit 32b displaying the monthly cumulative fe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the food waste through the front panel.

ID 카드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이 집단주거시설의 각 세대별로 미리 지급되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구비되는 카드 인식부(32d)를 통해 각 세대별에 대한 세대 정보가 음식물 처리장치(32)에 파악된다.The ID card is paid in advance for each household in a group residential facility, such as an apartment or a townhouse, and household information for each household is provided through the card recognition unit 32d provided in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Is captured).

즉, 본 발명의 사용자가 ID카드를 음식물 처리장치에 투입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각 세대별에 대한 세대정보가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의해 파악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미리 중앙관리자에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when a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an ID card into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s a password, household information for each household is grasped by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To this end,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registers a password with the central administrator in advance.

본 발명에 동원되는 ID카드 RF카드로 형성되어, 접촉식(RF) 또는 비접촉식(RFID) 카드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중앙관리자에 미리 입력시켜 RF카드와의 대조 가능하도록 구성한다.It is formed of an ID card RF card mob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a contact (RF) or contactless (RFID) card. Of course, such user information is inputted to the central administrator in advance so that it can be compared with the RF card.

이를 통한, 인터랙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사용자를 인식하여, 아무나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게 하여 실명제로 쓰레기를 버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the interaction system has the advantage of recognizing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no one can throw away food waste, so that the garbage can be discarded with a real name.

중량 계측부(32e)는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할 수 있다. 즉, 중량 계측부(32e)는 음식물 처리장치의 투입구(32a)의 오픈시 음식물 처리장치 내통의 중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중량에서 내통의 중량을 제외한 쓰레기의 순수 중량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unit 32e may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put into the inside. That is, the weight measuring unit 32e measures the weight of the inner container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when the inlet 32a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is opened, and detects the pure weight of the garbage except the weight of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measured weight. You can do weight.

다음, 중량 계측부(32e)는 계측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대한 중량 정보를 연산부에 인가한다.Next, the weight measuring unit 32e applies the weight information on the measured weight of the food waste to the calculating unit.

연산부(32f)는 중량 계측부(32e)에서 중량 정보를 인가받고, 카드 인식부(32d)에서 세대 정보를 인가받는다.The calculating part 32f receives the weight information from the weight measuring part 32e, and the generation information from the card recognition part 32d.

이를 통해, 연산부(32f)는 계측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대응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연산하고, 각 세대별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을 기록하게 된다. Through this, the calculation unit 32f calculates a fee for each household in response to the measured weight of food waste, and records the cumulative weight of monthly household waste and food waste for each household.

통신부(32g)는 연산부(32f)에서 인가받은 상기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에 대한 정보를 각 세대별 또는 중앙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2g)에서 산출된 요금에 대한 정보는 중앙관리자에 전송되어 중앙관리자가 요금을 일관하여 관리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32g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the food waste, which is authorized by the computing unit 32f, to each household or the central manager. The information on the fee calcula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2g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r so that the central manager manages the fee consistently.

디스플레이부(32b)는 연산부(32f)에서 인가받은 각 세대별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에 대한 정보를 전면 패널을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The display unit 32b provides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ront panel with information on the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food waste for each household licensed by the calculator 32f.

외벽부(40)는, 바닥골격부(1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후방 기둥(14a) 및 전방 기둥(14b)의 외면을 감쌀 수 있게 고정설치되는 외벽판(40a)과; 상기 외벽판(40a)의 하부에서, 인접하는 2 개의 후방 기둥(14a), 인접하는 2 개의 전방 기 둥(14b), 또는 인접하는 후방 기둥(14a) 및 전방 기둥(14b)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외벽 프레임(40b);을 포함할 수 있다(S6).The outer wall portion 4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the outer wall plate (40a) is fixed to be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illar (14a) and the front pillar (14b); Under the outer wall plate 40a, it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rear pillars 14a, two adjacent front pillars 14b, or adjacent rear pillars 14a and front pillars 14b. The outer wall frame 40b may be included (S6).

외벽 프레임(40b)을 통해 골격부(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0)가 외부에서 투시될 수 있다. Through the outer wall frame 40b, the space portion 30 formed inside the skeleton portion 10 may be viewed from the outside.

태양광 발전부(42)는, 저면이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패널을 형성하여(S7), 전기에너지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게 된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42 has a bottom surface installed on the roof plate 22, and forms a solar cell panel for converting solar light received at the top into electrical energy (S7)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al energy. It is applied to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음식물 처리장치는 인가받은 전기에너지를 통해 외부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작동될 수 있다.The food treating apparatus may be operated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power source through an authorized electric energy.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ooth having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조 흐름도이다.2 is a manufacturing flowchart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의 사시도 이미지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ooth having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에 내장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food processing apparatus embedded in the prefabricated booth in which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에 내장되는 재활용품 수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recyclables collection unit built in the prefabricated booth in which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에 내장되는 폐지 수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waste paper collection unit built in the prefabricated booth with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골격부 12: 바닥골격부10: skeleton portion 12: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4: 기둥 16: 지붕골격부14: pillar 16: roof frame

18: 출입구 프레임 22: 지붕판18: doorway frame 22: roof plate

26: 출입문 28: 칸막이벽26: door 28: partition wall

30: 공간부 32: 음식물 처리장치30: space part 32: food processing apparatus

40: 외벽부 42: 태양광 발전부40: outer wall portion 42: solar power generation unit

Claims (4)

재활용품, 폐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조립식 부스에 있어서,In the prefabricated booth for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s, waste paper and food waste, 정면에 개방된 2 개의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전방 및 후방에 다수의 기둥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면이 외부와 차단되게 하는 지붕판(22)이 설치되면서, 상기 지붕판 하부에 공간부(30)를 형성하는 골격부(10);A space par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of plate while forming two entrances 20 that are open at the front, and a plurality of pillars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the rear, and the roof plate 22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 skeleton portion 10 forming a 30; 상기 공간부(30)의 중앙 후방에서, 전방에 개폐가 가능한 출입문(26)을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악취가 상기 공간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상기 공간부 중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In the center of the space portion 30, the front and rear door 26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that can block the odor caused by food waste to enter the space portion 30 30a;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에 내장되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32);A food processing device (32) built in the food processing space (30a) to sense the weight of the collected food waste, settle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dry-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food waste; 상부는 상기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30)의 투시가 가능한 외벽부(40); 및An outer wall portion 40 having an upper portion installed along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lower portion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to enable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portion 30 from the outside; And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42);를 포함하고,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nit 42 installed above the roof plate 22 and converting the received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to apply to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32.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의 좌우 측에는 각각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품 수거부(34) 또는 폐지를 수거하는 폐지 수거부(36)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d processing space portion (30a) prefabricated booth with a food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yclables collection unit 34 for collecting recyclables or the waste paper collection unit 36 for collecting waste pap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골격부(10)는,The skeleton portion 10, 전방에 개구(12a)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지반과 탈부착되는 바닥골격부(12);A bottom skeletal portion 12 formed of a frame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having an opening 12a at the front thereof, and having a bottom surface detachable from the ground; 상기 바닥골격부(12)의 후방 프레임 상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의 양단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골격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상기 다수의 기둥(14);It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ear fram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while being installed to be fixed vertically to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The plurality of pillars 14 forming the space part 30;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공간부의 상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상기 지붕판(22)의 저면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붕골격부(16); 및A roof skeleton portion 16 fixedly installed on tops of the plurality of pillars,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late 22 being fix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from the outside; And 하부 양단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개구(12a) 양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기립하여, 좌우 측에 개방된 상기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정면판(24)을 삽입하는 출입구 프레임(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Lower ends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12a of the bottom skeletal portion 12 to stand vertically to form the doorway 20 that is ope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insert the front plate 24 in the center. Doorway frame (18); prefabricated booth with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는,The food processing device 32, 각 세대별로 지급된 ID(identification) 카드의 투입시 상기 ID 카드를 인식하여 세대 정보를 파악하는 카드 인식부(32d);A card recognition unit 32d for recognizing the ID card and identifying generation information when the ID card issued for each household is inserted;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계측부(32e);A weight measuring unit 32e for measuring a weight of the food waste put into the container; 계측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대응하여 쓰레기 배출을 위한 요금을 연산하고,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을 기록하는 연산부(32f); An operation unit 32f that calculates a charge for discharging waste in response to the measured weight of food waste, and records a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a cumulative weight of food waste; 상기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에 대한 정보를 각 세대별 또는 중앙관리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32g); 및 A communication unit (32g) which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the food waste to each household or the central manager; And 전면 패널을 통해 상기 월별 누적 요금액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누적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And a display unit (32b) displaying the monthly cumulative charge amount and the cumulative weight of the food waste through a front panel. 재활용품, 폐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조립식 부스를 설치하는 조립식 부스 설치방법에 있어서,In the prefabricated booth installation method for installing a prefabricated booth capable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s, waste paper and food waste, 바닥골격부(12)가 전방에 개구(12a)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지반에 부착되는 바닥골격부 설치단계(S1); Bottom skeleton portion 12 is formed in a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opening (12a) in the front, the bottom skeleton portion installation step of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to the ground (S1); 다수의 기둥(14)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후방 프레임 상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골격부(12)의 전방 프레임의 양단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골격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면서 공간부(30)를 형성하는 기둥 설치단계(S2);A plurality of pillars 14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ear fram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and dispos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front frame of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the bottom skeleton portion 12 A pillar installation step (S2) to be fixed to the vertical and to form the space portion 30; 상기 공간부(30) 후방 중앙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32)가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장치 설치단계(S3);At the rear center of the space part 30, a food processing device is installed in which a food processing device 32 is installed to detect a weight of collected food waste and set a fee for each household, and to dry-process and discharge the collected food waste. Step S3; 지붕골격부(16)가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공간부(30)의 상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지붕판(22)의 저면을 고정하는 지붕 형성단계(S4); Roof framework 16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top of the plurality of pillars, the roof forming step of fix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oof plate 22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30 on the upper surface (S4) ; 출입구 프레임(18)의 하부 양단이 상기 바닥골격부(12)의 개구(12a) 양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기립하고, 좌우 측에 개방된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정면판(24)을 삽입하는 출입구 프레임 설치단계(S5);Lower ends of the entrance frame 18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12a of the bottom frame 12 to stand vertically, and form an entrance 20 op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front plate ( Door frame installation step (S5) for inserting 24; 외벽부(40)의 상부가 상기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30)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외벽부 설치단계(S6); 및 An upper wall portion 40 is installed along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lower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so as to allow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portion 30 to be installed from the outside (S6). ; And 태양광 발전부(42)가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 설치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제조방법.Solar power generation unit 42 is installed on the roof plate 22, the photovoltaic unit installation step (S7) to convert the received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to apply to the food processing device (32); Food prefabricated booth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od.
KR20090125494A 2009-12-16 2009-12-16 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949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5494A KR100949039B1 (en) 2009-12-16 2009-12-16 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5494A KR100949039B1 (en) 2009-12-16 2009-12-16 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039B1 true KR100949039B1 (en) 2010-03-24

Family

ID=4218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5494A KR100949039B1 (en) 2009-12-16 2009-12-16 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03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76B1 (en) 2012-01-25 2012-06-28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Pick-up apparatus to charge the taxes at a food garbage
KR101466097B1 (en) * 2013-11-20 2014-11-27 주식회사 비테크 food was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solar energy
KR102311115B1 (en) 2021-03-24 2021-10-13 주식회사 정원엘피 Sepatate collection booth
CN114013870A (en) * 2021-11-05 2022-02-08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Intellig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household garbage input amount
KR102490370B1 (en) * 2022-02-08 2023-01-27 김지원 Artificial Intelligence Multipurpose Garbage Disposa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54Y1 (en) 2004-01-09 2004-04-28 최충현 The soundproofing booth
KR200358766Y1 (en) 2004-05-24 2004-08-11 김경희 A recycled prodect collection box informed recycled prodect collection part in a voice
KR200394710Y1 (en) 2005-06-14 2005-09-05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Fabricated booth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0859012B1 (en)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Food waste colle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54Y1 (en) 2004-01-09 2004-04-28 최충현 The soundproofing booth
KR200358766Y1 (en) 2004-05-24 2004-08-11 김경희 A recycled prodect collection box informed recycled prodect collection part in a voice
KR200394710Y1 (en) 2005-06-14 2005-09-05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Fabricated booth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0859012B1 (en)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Food waste collection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76B1 (en) 2012-01-25 2012-06-28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Pick-up apparatus to charge the taxes at a food garbage
KR101466097B1 (en) * 2013-11-20 2014-11-27 주식회사 비테크 food was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solar energy
KR102311115B1 (en) 2021-03-24 2021-10-13 주식회사 정원엘피 Sepatate collection booth
KR20220133077A (en)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정원엘피 Sepatate collection booth
CN114013870A (en) * 2021-11-05 2022-02-08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Intellig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household garbage input amount
KR102490370B1 (en) * 2022-02-08 2023-01-27 김지원 Artificial Intelligence Multipurpose Garbage Dispos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039B1 (en) Assembling booth embedding a garbage disposer and method for the same
CN103318582B (en) Automatic classification trash can
CN205661911U (en) Intelligent solar energy classification garbage
CN103287770A (en) Underground garbage classified collection system
KR100854117B1 (en) 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a food garbage
CN110893957A (en) Wind-solar complementary mobile dustbin
CN207463305U (en) A kind of environment protection type soil Wood construction waste material reducing mechanism
CN204872347U (en) Multifunctional wastebasket
CN206427564U (en) A kind of dustbin
CN201347263Y (en) Solar compression dustbin
CN204624423U (en) A kind of refuse collector
ITRM940364A1 (en) EQUIPMENT SUITABLE FOR WELCOMING COMPACT AND STORAGE SOLID URBAN WASTE SEPARATELY IN THE DOMESTIC AREA.
CN107161558A (en) A kind of categorized consumer waste collection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CN109677800A (en) A kind of Intelligent refuse classification device based on single-chip microcontroller multisensor
CN105775476A (en) Advertisement cabinet with article recycling function
CN109335385A (en) A kind of dustbin for garbage
CN105857994B (en) Intelligent solar is classified garbage box monitored
CN110254999A (en) A kind of refuse collector
CN210823843U (en) Internet-of-things detachable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environment-friendly recycling bin
CN213355675U (en) Environment-friendly solar dustbin
RU2705263C1 (en) Device for separate collection, sorting and accumulation of solid domestic wastes in apartment buildings
CN205771186U (en) A kind of band article reclaim the advertisement cabinet of function
CN206798354U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dustbin
CN220055030U (en) Wisdom rubbish recycle bin
CN210230978U (en) Intelligent kitchen waste recyc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