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330B1 - 파이프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330B1
KR100946330B1 KR1020070106898A KR20070106898A KR100946330B1 KR 100946330 B1 KR100946330 B1 KR 100946330B1 KR 1020070106898 A KR1020070106898 A KR 1020070106898A KR 20070106898 A KR20070106898 A KR 20070106898A KR 100946330 B1 KR100946330 B1 KR 100946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ptical fiber
sensing unit
metallic protective
prote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276A (ko
Inventor
장기태
김우영
Original Assignee
(주)지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지 filed Critical (주)지엠지
Priority to KR102007010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3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using photoelast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 G01L1/24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using integrated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3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by using an optical fiber in contact with the device under test [DUT]
    • G01M11/085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by using an optical fiber in contact with the device under test [DUT] the optical fiber being on or near the surface of the DU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2Installation methods in fluid conducts, e.g. pipe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10)가 지지되도록 파이프 받침부(111)가 형성된 파이프 받침부재(100); 파이프 받침부재(10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고, 광섬유 센싱부(200)는 파이프(1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면접촉하여, 파이프(10)의 변형, 온도 변화 등을 감지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를 제시함으로써,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면서도, 모체가 되는 파이프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파이프, 계측, 광섬유

Description

파이프 계측장치{APPARATUS FOR MEASUREMENT OF PIPE}
본 발명은 건설 계측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변형, 누수 여부 등을 탐지하기 위한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의 공급용, 각종 케이블의 보호용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각종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지중 또는 구조물에 매립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므로, 변형에 의한 손상, 누수 등이 발생하더라도, 그 정확한 손상 지점을 찾아내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광섬유 센서(Optical Fiber Sensor)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파이프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광섬유(Optical Fiber)란, 빛의 굴절률이 내부는 높고 외부는 낮게 구성되어 섬유 내부에서 전반사 광학 현상이 일어나도록 형성된 직경 0.1㎜ 정도의 가는 섬유를 말한다.
위 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전송할 때 광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투명도가 고도로 높은 재료가 필요하며, 고순도의 석영이나 광학적 성질이 우수한 고분자재료를 사용한다.
구조는 보통 중앙의 코어(core)라고 하는 부분을 주변에서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하는 부분이 감싸고 있는 이중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그 외부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합성수지 피복을 1∼2차례 입힌다.
보호 피복을 제외한 전체 크기는 지름 백∼수백μm(1μm은 1/1000mm)로 되고, 코어 부분의 굴절률이 클래딩의 굴절률보다 높게 되어 있어서, 빛이 코어 부분에 집속되어 잘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광섬유는 주로 통신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온도, 압력에 의해 광섬유가 신축하는 경우, 그 내부를 통과하는 빛의 간섭무늬 등을 검출하면 온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바, 이를 활용한 센서를 광섬유 센서라 한다.
최근, 건설 계측 분야에서도 이러한 광섬유 센서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세하게는, 압력 변화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처짐, 변형) 계측, 온도 변화에 의한 누수 탐지 등이 그것이다.
다만, 건설 계측 분야에 적용되는 센서는 구조물에 설치(주로 매립)되어, 모체가 되는 구조물과 일체로 거동하는 것이 필요하나, 광섬유는 그 강도가 대단히 취약하므로, 파단이 일어나기 쉬워 구조물에 설치된 광섬유 센서에서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 구조의 보호관(2) 내부에 광섬유(1)를 삽입하고, 이를 파이프(10)에 부착하여 파이프의 변형, 누수 여부 등을 계측하는 방식 등이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구조의 광섬유 센서를 매립 설치하더라도, 광섬유(1)가 파이프(10)와 일체로 거동할 수 없으므로, 파이프의 변형, 누수 여부 에 관한 정확한 계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면서도, 모체가 되는 파이프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의 파이프 계측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10)가 지지되도록 파이프 받침부(111)가 형성된 파이프 받침부재(100); 상기 파이프 받침부재(10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상기 파이프(1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면접촉하여, 상기 파이프(10)의 변형, 온도 변화 등을 감지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파이프 받침부재(100)는 기초저면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를 둘러 보호하도록,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의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파이프 보강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 및 파이프 보강부(12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보강부(120)는 상기 파이프(10)의 측방 변형에 저항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의 상측에 형성된 광섬 유 센싱부 장착홈(112)에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광섬유(210);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광섬유 보호부(220);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2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는 굽힘 발생시에도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면에는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는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로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222);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222)는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222)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222)는 테프론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면서도, 모체가 되는 파이프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의 파이프 계측장치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계측장치는 기본적으로, 파이프(10)가 지지되도록 파이프 받침부(111)가 형성된 파이프 받침부재(100); 파이프 받침부재(10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고, 광섬유 센싱부(200)는 파이프(1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면접촉하여, 파이프(10)의 변형, 온도 변화 등을 감지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파이프 받침부재(100)는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역할, 이에 장착되는 광섬유 센싱부(200)가 파이프(10)의 외면에 면접촉하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광섬유가 모체가 되는 파이프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함에 따라,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파이프 받침부재(100)에 장착되는 광섬유 센싱부(200)는, 광섬유(210); 그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광섬유 보호 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광섬유(210)에 의한 센싱 및 광섬유(210)의 보호라는 2가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센싱부(200)의 광섬유 보호부(220)는,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것으로서,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된 금속성 보호재(2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재질은 우수한 강도를 가지므로 이에 의해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보호하는 경우, 광섬유(21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고, 가요성(유연성 : flexibility)을 가지므로 모체가 되는 구조물의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변위가 그대로 광섬유(210)에 전달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광섬유 센싱부가 주위의 온도 변화를 정확히 계측하여 누수 탐지(누수가 발생한 구간은 주위에 비해 온도가 내려가는 원리를 이용함)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 자체가 어느 정도의 발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센서 자체의 온도가 주위 온도의 변화와 함께 변화한다면, 기준온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온도 변화의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금속 재질은 기본적으로,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불순물의 포함에 의해 저항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한 보호재(221)를 광섬유(210)의 외면에 둘러 센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광섬유 센싱부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확한 주위 온도 변화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금속성 보호재(221)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내부의 광섬유(2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모체인 구조물의 변형에 의해 굽힘이 발생한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형상의 단면(예컨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관 구조가 그것이다.
둘째, 받침부재(100) 또는 후술하는 코팅재(222)와의 견고한 접합을 위해서는,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면에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엠보싱 구조(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구조)가 그것이다.
금속성 보호재(221)는 도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를 취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요건들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조 구조란, 금속사(금속을 얇은 실의 형상으로 가공한 것)를 광섬유 센싱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그물 구조로 엮어 가공함으로써, 자연히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를 말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의 강성에 기인하여 내부의 광섬유(210)를 보호하도록 하면서도, 굽힘 발생시 항상 일정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그물 구조를 취하므로, 이에 대하여 코팅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금속성 보호재(221)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받침부재(100) 또는 후술하는 코팅재(222) 에 매립되어 정착됨에 따라, 대단히 우수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금속성 보호재(2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열 및 전기 전도성, 저항치의 조절 가능성 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예로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 등을 들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은이 상기 요건을 가장 확실하게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5,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센싱부(200)의 광섬유 보호부(220)는, 금속성 보호재(221)와 함께 거동하도록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222)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210)에 대한 금속성 보호재(221)의 피복 작업 후, 일단 그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부를 코팅재(222)에 의해 코팅하여 금속성 보호재(221)를 고정하고, 이에 의해 완성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받침부재(100)의 정착공(201)에 삽입하여 정착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제조의 효율성, 용이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코팅재(222)는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면을 둘러 코팅되는 구조로서, 파이프(10)와 함께 거동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재(222) 내부의 금속성 보호재(2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체의 역할을 겸하므로, 그 외부에 장착되는 코팅재(222)는 약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코팅재(222)의 재질로서 합성수지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테프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파이프 받침부재(100)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파이프 받침부재(100)는 기초저면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110); 본체(11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 파이프(10)의 외주를 둘러 보호하도록, 파이프 받침부(111)의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파이프 보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10)가 지중 또는 구조물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경우, 상부의 하중에 의해 측방으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위 파이프 보강부(120)는 파이프(10)의 양측을 구속하므로 상기 변형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파이프(10)가 원형 단면의 구조를 갖는 경우, 파이프 받침부(111) 및 파이프 보강부(120)도 전체적으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이프 보강부(120)는 파이프(10)의 측방 변형에 저항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광섬유 센싱부(200)는 파이프(10)에 길이방향으로 면접촉되도록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받침부(111)의 상측에 형성된 광섬유 센싱부 장착홈(112)에 장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계측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파이프 계측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파이프 계측장치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파이프 받침부재의 사시도.
도 5는 광섬유 센싱부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제1상태도.
도 7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제2상태도.
도 8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금속성 보호재의 제4실시예의 제1상태도.
도 10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4실시예의 제2상태도.
도 11은 광섬유 센싱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이프 100 : 파이프 받침부재
110 : 본체 111 : 파이프 받침부
112 : 센싱부 장착홈 120 : 파이프 보강부
200 : 광섬유 센싱부 210 : 광섬유
220 : 광섬유 보호부 221 : 금속성 보호재
222 : 코팅재

Claims (15)

  1. 파이프(10)가 지지되도록 파이프 받침부(111)가 형성된 파이프 받침부재(100);
    상기 파이프 받침부재(10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상기 파이프(1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면접촉하여, 상기 파이프(10)의 변형, 온도 변화 등을 감지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 받침부재(100)는
    기초저면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를 둘러 보호하도록,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의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파이프 보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의 상측에 형성된 광섬유 센싱부 장착홈(112)에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 받침부(111) 및 파이프 보강부(12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보강부(120)는
    상기 파이프(10)의 측방 변형에 저항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광섬유(210);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광섬유 보호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는 굽힘 발생시에도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면에는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는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로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금속성 보호재(221)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22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222)는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222)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222)는
    테프론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계측장치.
KR1020070106898A 2007-10-23 2007-10-23 파이프 계측장치 KR10094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98A KR100946330B1 (ko) 2007-10-23 2007-10-23 파이프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98A KR100946330B1 (ko) 2007-10-23 2007-10-23 파이프 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76A KR20090041276A (ko) 2009-04-28
KR100946330B1 true KR100946330B1 (ko) 2010-03-09

Family

ID=4076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898A KR100946330B1 (ko) 2007-10-23 2007-10-23 파이프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7210A (zh) * 2021-02-08 2021-06-18 北京百世通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风险监测预警用传感光纤单元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65A (ko) * 1998-12-28 1999-04-26 윤용수 지반 변위 계측용 파이프
KR20000002549U (ko) * 1998-07-08 2000-02-07 김나연 지하매설용 이중관의 유체누설감지장치
JP2002156215A (ja) * 2000-11-15 2002-05-31 Shimizu Corp 光ファイバセンサの敷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549U (ko) * 1998-07-08 2000-02-07 김나연 지하매설용 이중관의 유체누설감지장치
KR19990030465A (ko) * 1998-12-28 1999-04-26 윤용수 지반 변위 계측용 파이프
JP2002156215A (ja) * 2000-11-15 2002-05-31 Shimizu Corp 光ファイバセンサの敷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76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215B1 (en) Sensor for measuring strain
CN104595727B (zh) 基于分布式光纤光栅传感网络的管道冲击与泄漏定位方法
KR101135513B1 (ko) 변형 및 화재감지용 분포형 광섬유 센서
KR100968533B1 (ko) 광섬유 센서가 장착된 강연선
US20110058778A1 (en) Cable including strain-free fiber and strain-coupled fiber
CA2830281A1 (en) Multi-point pressure sensor and uses thereof
JP2014533366A (ja) 湾曲した表面のためのfbg延びセンサ
CN112833809B (zh) 一种光纤光栅高温应变片及其标定方法
US20180252556A1 (en) Distributed pressure, temperature, strain sensing cable
CN107037551A (zh) 传感光缆
JP2007271513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物理量変動検知センサ、物理量の変動検出方法
NO326938B1 (no) Fiber Braggitter-referansesensor for nøyaktig referansetemperaturmåling
KR20120026937A (ko) 지중관로 변형 및 누출 측정장치
US5661246A (en) Fiber optic displacement sensor for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KR100946330B1 (ko) 파이프 계측장치
KR100941086B1 (ko) 수위 및 누수 측정용 광섬유 센서
CN102374913A (zh) 基于光纤微弯损耗的通用型压力感测装置
KR100969971B1 (ko) 매설형 광섬유 센서
KR101058885B1 (ko) 쓰레기 집하장 관리를 위한 계측 시스템
JP2008180580A (ja) 分布型光ファイバセンサ
KR100975029B1 (ko) 광섬유 센서
JP4732209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4644B1 (ko) 부착형 광섬유 센서
CN102374872A (zh) 基于功能材料的光纤传感装置
CN102478410A (zh) 一种竹节型准分布式光纤传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