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029B1 - 광섬유 센서 - Google Patents

광섬유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029B1
KR100975029B1 KR1020070106219A KR20070106219A KR100975029B1 KR 100975029 B1 KR100975029 B1 KR 100975029B1 KR 1020070106219 A KR1020070106219 A KR 1020070106219A KR 20070106219 A KR20070106219 A KR 20070106219A KR 100975029 B1 KR100975029 B1 KR 10097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metallic protective
delete delete
protective material
fib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729A (ko
Inventor
장기태
김우영
Original Assignee
(주)지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지 filed Critical (주)지엠지
Priority to KR1020070106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3Helical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02B6/4488Protective covering using metallic 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33Functions
    • G02B2006/12138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110);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광섬유(110)와 함께 거동하도록 광섬유(1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120); 금속성 보호재(120)와 함께 거동하도록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130);를 포함하는 광섬유 센서(100)를 제시함으로써,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면서도, 모체가 되는 구조물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광섬유, 센서, 파단

Description

광섬유 센서{OPTICAL FIBER SENSOR}
본 발명은 건설 계측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설 분야에 광섬유를 이용한 계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Optical Fiber)란, 빛의 굴절률이 내부는 높고 외부는 낮게 구성되어 섬유 내부에서 전반사 광학 현상이 일어나도록 형성된 직경 0.1㎜ 정도의 가는 섬유를 말한다.
위 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전송할 때 광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투명도가 고도로 높은 재료가 필요하며, 고순도의 석영이나 광학적 성질이 우수한 고분자재료를 사용한다.
구조는 보통 중앙의 코어(core)라고 하는 부분을 주변에서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하는 부분이 감싸고 있는 이중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그 외부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합성수지 피복을 1∼2차례 입힌다.
보호 피복을 제외한 전체 크기는 지름 백∼수백μm(1μm은 1/1000mm)로 되고, 코어 부분의 굴절률이 클래딩의 굴절률보다 높게 되어 있어서, 빛이 코어 부분에 집속되어 잘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광섬유는 주로 통신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온도, 압력에 의해 광섬유가 신축하는 경우, 그 내부를 통과하는 빛의 간섭무늬 등을 검출하면 온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바, 이를 활용한 센서를 광섬유 센서라 한다.
최근, 건설 계측 분야에서도 이러한 광섬유 센서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세하게는, 압력 변화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처짐, 변형) 계측, 온도 변화에 의한 누수 탐지 등이 그것이다.
다만, 건설 계측 분야에 적용되는 센서는 구조물에 설치(주로 매립)되어, 모체가 되는 구조물과 일체로 거동하는 것이 필요하나, 광섬유는 그 강도가 대단히 취약하므로, 파단이 일어나기 쉬워 구조물에 설치된 광섬유 센서에서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 구조의 보호관(2) 내부에 광섬유(1)를 삽입하는 방식 등이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구조의 광섬유 센서를 구조물에 매립 설치하는 경우, 광섬유(1)가 구조물과 일체로 거동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계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면서도, 모체가 되는 구조물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의 광섬유 센서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섬유(110);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광섬유(1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광섬유(1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120);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130);를 포함하는 광섬유 센서(100)를 제시한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는 굽힘 발생시에도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에는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는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로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130)는 유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130)는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130)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130)는 실리콘, 테프론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110)는 복수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110)는 3개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섬유의 파단을 방지하면서도, 모체가 되는 구조물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센서(100)는 기본적으로, 광섬유(110);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광섬유(110)와 함께 거동하도록 광섬유(1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120); 금속성 보호재(120)와 함께 거동하도록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광섬유(110)의 외면을 금속성 보호재(120)에 의해 둘러 보호하고, 그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은 다시 코팅재(130)에 의해 코팅하여 보호하는 2중의 보호구조를 취하도록 한 것이다.
금속 재질은 우수한 강도를 가지므로 이에 의해 광섬유(110)의 외면을 둘러 보호하는 경우, 광섬유(11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고, 가요성(유연성 : flexibility)을 가지므로 모체가 되는 구조물의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변위가 그대로 광섬유(110)에 전달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광섬유 센서가 주위의 온도 변화를 정확히 계측하여 누수 탐지(누수가 발생한 구간은 주위에 비해 온도가 내려가는 원리를 이용함)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 록 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 자체가 어느 정도의 발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센서 자체의 온도가 주위 온도의 변화와 함께 변화한다면, 기준온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온도 변화의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금속 재질은 기본적으로,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불순물의 포함에 의해 저항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한 보호재(120)를 광섬유(110)의 외면에 둘러 센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광섬유 센서(100)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확한 주위 온도 변화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금속성 보호재(120)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내부의 광섬유(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모체인 구조물의 변형에 의해 굽힘이 발생한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형상의 단면(예컨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관 구조가 그것이다.
둘째, 외부 코팅재(130)와의 견고한 접합을 위해서는,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에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엠보싱 구조(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구조)가 그것이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를 취하는 경우, 자연 스럽게 상기 요건들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조 구조란, 금속사(금속을 얇은 실의 형상으로 가공한 것)를 광섬유 센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그물 구조로 엮어 가공함으로써, 자연히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를 말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의 강성에 기인하여 내부의 광섬유(110)를 보호하도록 하면서도, 굽힘 발생시 항상 일정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그물 구조를 취하므로, 이에 대하여 코팅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금속성 보호재(120)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코팅재(130)에 매립되어 정착됨에 따라, 대단히 우수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금속성 보호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열 및 전기 전도성, 저항치의 조절 가능성 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예로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 등을 들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은이 상기 요건을 가장 확실하게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팅재(130)는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을 둘러 코팅되는 구조로서, 모체인 구조물과 함께 거동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재(130) 내부의 금속성 보호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체의 역할을 겸하므로, 그 외부에 장착되는 코팅재(130)는 약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코팅재(130)의 재질로서 합성수지를 채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테프론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광섬유 센서(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광섬유(110)는 복수가 장착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일부의 광섬유(110)에 파단이 발생한 경우에도, 계측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광섬유 센서(100)가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금속성 보호재(120)의 장착 구조와 관련하여, 광섬유(110)는 3개가 장착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센서의 사시도.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광섬유 센서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제1상태도.
도 4는 금속성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제2상태도.
도 5는 금속성 보호재의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4실시예의 제1상태도.
도 7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4실시예의 제2상태도.
도 8은 광섬유 센서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섬유 센서 110 : 광섬유
120 : 금속성 보호재 130 : 코팅재

Claims (11)

  1. 3개의 광섬유(110);
    은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3개의 광섬유(1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3개의 광섬유(1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120);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는 굽힘 발생시에도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로서 장착되며,
    상기 금속성 보호재(120)의 외면에는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코팅재(130)는 유연성 재질이고,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이며, 실리콘, 테프론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센서(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106219A 2007-10-22 2007-10-22 광섬유 센서 KR10097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219A KR100975029B1 (ko) 2007-10-22 2007-10-22 광섬유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219A KR100975029B1 (ko) 2007-10-22 2007-10-22 광섬유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729A KR20090040729A (ko) 2009-04-27
KR100975029B1 true KR100975029B1 (ko) 2010-08-11

Family

ID=4076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219A KR100975029B1 (ko) 2007-10-22 2007-10-22 광섬유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31B1 (ko) 2020-10-22 2022-03-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연 광섬유를 이용한 구조물 부착형 보강재의 탈락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3637B1 (ko) * 2023-02-28 2024-02-05 주식회사 아원기술 광섬유센서케이블과 이를 구비한 광섬유센서모듈 및 절개지 붕괴감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16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358165Y1 (ko) 2004-04-17 2004-08-05 대경전선공업주식회사 다용도 플라스틱 광케이블
JP2007114218A (ja) * 2007-02-05 2007-05-1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センサ
KR100756056B1 (ko) 2006-11-21 2007-09-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섬유 복합 강연선. 그 광섬유 복합 강연선의 제조방법 및변형률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16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358165Y1 (ko) 2004-04-17 2004-08-05 대경전선공업주식회사 다용도 플라스틱 광케이블
KR100756056B1 (ko) 2006-11-21 2007-09-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섬유 복합 강연선. 그 광섬유 복합 강연선의 제조방법 및변형률 측정 방법
JP2007114218A (ja) * 2007-02-05 2007-05-1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729A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533B1 (ko) 광섬유 센서가 장착된 강연선
US9248615B2 (en) Compact fiber optic sensors
US6276215B1 (en) Sensor for measuring strain
US9138948B2 (en) Suspended and compact fiber optic sensors
CN107179421B (zh) 流速传感器探头及流速测量系统
US7493007B2 (en) Hermetic seal device for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and hermetic seal partition
US10612947B2 (en) Distributed pressure, temperature, strain sensing cable using metal wires with slot grooves and optical fibers in the slot grooves
US9770862B2 (en) Method of making adhesion betwee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and thermoplastic polymers
KR101135513B1 (ko) 변형 및 화재감지용 분포형 광섬유 센서
NO326938B1 (no) Fiber Braggitter-referansesensor for nøyaktig referansetemperaturmåling
US20160147011A1 (en) Polarisation maintaining optical fiber package
KR100975029B1 (ko) 광섬유 센서
JP2009162601A (ja) 光ひずみゲージ
KR100941086B1 (ko) 수위 및 누수 측정용 광섬유 센서
KR100969971B1 (ko) 매설형 광섬유 센서
JP2005249861A (ja) 光ファイバセンサ、及び光ファイバセンサモジュール
WO2015041923A1 (en) High temperature fiber optic cable
KR100934644B1 (ko) 부착형 광섬유 센서
CN109870780B (zh) 一种应力响应复合光缆
KR100946330B1 (ko) 파이프 계측장치
JP6736042B2 (ja) Fbg温度センサ
KR101123402B1 (ko) 광섬유 센서
JP2009192250A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ケーブル
CN110989117A (zh) 微型测温光缆
JP2015121471A (ja) 高温環境用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