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971B1 - 매설형 광섬유 센서 - Google Patents

매설형 광섬유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971B1
KR100969971B1 KR1020080044329A KR20080044329A KR100969971B1 KR 100969971 B1 KR100969971 B1 KR 100969971B1 KR 1020080044329 A KR1020080044329 A KR 1020080044329A KR 20080044329 A KR20080044329 A KR 20080044329A KR 100969971 B1 KR100969971 B1 KR 10096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sensor
coupling member
buri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111A (ko
Inventor
김우영
장기태
Original Assignee
(주)지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지 filed Critical (주)지엠지
Publication of KR2009006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2Protective covering with fibre reinforc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6Heat resista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02B6/4488Protective covering using metallic 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좌우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장착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광섬유 장착부(11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를 제시함으로써, 지중 또는 구조물 내부의 변형 기타 거동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한다.
광섬유, 센서, 매설

Description

매설형 광섬유 센서{BURYING TYPE OPTICAL FIBER SENSOR}
본 발명은 건설 계측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중 또는 구조물에 매설되어 이들의 변형, 누수 탐지 등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지중 또는 구조물 내부의 변형 기타 거동을 계측하는 것은, 사면이나 구조물의 붕괴를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왔다.
특히, 지중의 변형은 미세지진과 폭우 등의 자연적인 원인 또는 토목공사 등의 인위적인 원인을 통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지중의 변형이 발생하면, 지중의 침하로 인한 관 기타 매설구조물의 손상, 사면의 붕괴, 터널공사의 경우 막장의 붕괴 등의 사고를 유발한다.
종래에는, 이를 계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상에 소정 간격으로 말뚝을 박고, 이를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와이어의 길이변화를 통해 지중의 변형을 예측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지표면의 거동을 계측할 수 있을 뿐, 지중의 계측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 또는 구조물 내부의 변형 기타 거동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좌우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장착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광섬유 장착부(11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를 제시한다.
상기 본체(100)는 지중 또는 구조물에 매설되어 일체로 거동하도록,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광섬유(210);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광섬유 보호부(220);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상기 본체(100)와 함께 거동하도록,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보강재(2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221)는 원형 단면의 구조이고, 상기 광섬유 장착부(110)는 상기 보강재(221)가 끼워지는 홈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가 상기 광섬유 장착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 기 매설형 광섬유 센서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보강재(221)와 상기 광섬유(210)의 사이에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2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는 굽힘 발생시에도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의 외면에는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는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로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보강재(221)와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 사이에 장착되는 코팅재(223);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223)는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223)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재(223)는 테프론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광섬유 장착부(110) 사이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 합부재 장착홈(120); 상기 결합부재 장착홈(120) 및 타 매설형 광섬유 센서의 본체(100a)의 결합부재 장착홈(120a)에 공통으로 장착되는 결합부재(300); 상기 결합부재(300)를 상기 본체(100)에 고정하는 고정부(310);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 장착홈(120)의 측방 개구의 폭은 상기 결합부재(300)의 폭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310)는 상기 결합부재(30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두부의 폭이 상기 결합부재 장착홈(120)의 측방 개구의 폭에 비해 큰 볼트 부재(3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중 또는 구조물 내부의 변형 기타 거동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설형 광섬유 센서는 기본적으로, 상하좌우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장착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광섬유 장착부(11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섬유(Optical Fiber)란, 빛의 굴절률이 내부는 높고 외부는 낮게 구성되어 섬유 내부에서 전반사 광학 현상이 일어나도록 형성된 직경 0.1㎜ 정도의 가는 섬유를 말한다.
위 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전송할 때 광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투명도가 고도로 높은 재료가 필요하며, 고순도의 석영이나 광학적 성질이 우수한 고분자재료를 사용한다.
구조는 보통 중앙의 코어(core)라고 하는 부분을 주변에서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하는 부분이 감싸고 있는 이중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그 외부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합성수지 피복을 1∼2차례 입힌다.
보호 피복을 제외한 전체 크기는 지름 백∼수백μm(1μm은 1/1000mm)로 되고, 코어 부분의 굴절률이 클래딩의 굴절률보다 높게 되어 있어서, 빛이 코어 부분에 집속되어 잘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광섬유는 주로 통신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온도, 압력에 의해 광섬유가 신축하는 경우, 그 내부를 통과하는 빛의 간섭무늬 등을 검출하면 온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바, 이를 활용한 센서를 광섬유 센서라 한다.
최근, 건설 계측 분야에서도 이러한 광섬유 센서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세하게는, 압력 변화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처짐, 변형) 계측, 온도 변화에 의한 누수 탐지 등이 그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본체(100)의 광섬유 장착부(110)에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광섬유 센싱부(200)를 장착하고, 이를 지중 또는 구조물에 매설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의 단부에서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므로, 지중 또는 구조물 내의 변형, 거동 등을 실시간으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센서는 광섬유 센싱부(200)가 본체(100)의 상하좌우(4방)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므로, 계측의 대상이 되는 모체의 모든 방향의 변위 및 휨 변위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체의 변위에 의해 광섬유 센서가 휨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 상측 광섬유의 변화된 길이에서 하측 광섬유의 변화된 길이를 빼면 (-) 값이 나올 것인바, 이로부터 모체가 하측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 값이 나오는 경우에는 모체가 상측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광섬유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변위가 발생한 지점은 계측이 가능하므로, 위 내용과 조합하면, 모체가 특정 부위에서 침하 거동을 일으켰음을 정확히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광섬유 센서의 좌우측에도 각각 광섬유 센싱부(20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은 원리에 의해 좌우방향의 변위 및 휨 변위의 계측이 가능하다.
이러한 매설형 광섬유 센서를 위험 사면, 공사중인 터널의 천정면에 매설하는 경우, 모체인 토체의 거동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바, 사면, 터널 등의 붕괴에 의한 대형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는 지중 또는 구조물에 매설되어 일체로 거동해야 하므로,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중 또는 구조물에 매설되어 장시간 동안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강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재질(ABS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광섬유는 그 강도가 취약하여 파단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즉, 광섬유 센싱부(100)는 광섬유(210);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광섬유 보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광섬유 보호부(220)가 본체(100)의 광섬유 장착부(110)에 장착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광섬유 보호부(220)도 계측 대상인 모체와 함께 거동해야 하므로, 본체(100)와 함께 거동하도록,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보강재(221)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재(221)는 본체(100)에 장착되어 심부의 광섬유(2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강성, 본체와의 결합성이 우수한 재질(FRP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광섬유 보호부(220)와 본체(100)의 광섬유 장착부(110) 사이의 장착구조는, 상호 독립적인 구조의 접착 방식 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더욱 안정적인 거동 구조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보호부(220)의 보강재(221)는 원형 단면의 구조이고, 광섬유 장착부(110)는 보강재(221)가 끼워지는 홈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 센싱부(200)가 광섬유 장착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매설형 광 섬유 센서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모체와의 일체 거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광섬유 보호부(220)의 보강재(221)와 광섬유(210)의 사이에는 도 5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금속성 보호재(222)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재질은 우수한 강도를 가지므로 이에 의해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보호하는 경우, 광섬유(21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고, 가요성(유연성 : flexibility)을 가지므로 모체가 되는 구조물의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변위가 그대로 광섬유(210)에 전달되도록 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광섬유 센서가 주위의 온도 변화를 정확히 계측하여 누수 탐지(누수가 발생한 구간은 주위에 비해 온도가 내려가는 원리를 이용함)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 자체가 어느 정도의 발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센서 자체의 온도가 주위 온도의 변화와 함께 변화한다면, 기준온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온도 변화의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금속 재질은 기본적으로,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불순물의 포함에 의해 저항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한 보호재(222)를 광섬유(210)의 외면에 둘러 센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광섬유 센서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확한 주위 온도 변화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금속성 보호재(222)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내부의 광섬유(2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모체인 구조물의 변형에 의해 굽힘이 발생한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형상의 단면(예컨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관 구조가 그것이다.
둘째, 보강재(221) 또는 후술하는 코팅재(223)와의 견고한 접합을 위해서는, 금속성 보호재(222)의 외면에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엠보싱 구조(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구조)가 그것이다.
금속성 보호재(222)는 도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를 취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상기 요건들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조 구조란, 금속사(금속을 얇은 실의 형상으로 가공한 것)를 광섬유 센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그물 구조로 엮어 가공함으로써, 자연히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도록 한 구조를 말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의 강성에 기인하여 내부의 광섬유(210)를 보호하도록 하면서도, 굽힘 발생시 항상 일정한 원형 단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그물 구조를 취하므로, 이에 대하여 코팅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금속성 보호재(222)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보강재(221) 또는 후술하는 코팅재(223)에 매립되어 정착됨에 따라, 대단히 우수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금속성 보호재(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열 및 전기 전도성, 저항치의 조절 가능성 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예로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 등을 들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은이 상기 요건을 가장 확실하게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센싱부(100)의 광섬유 보호부(220)는, 금속성 보호재(222)와 함께 거동하도록 금속성 보호재(222)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코팅재(223)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210)에 대한 금속성 보호재(222)의 피복 작업 후, 일단 그 금속성 보호재(222)의 외부를 코팅재(223)에 의해 코팅하여 금속성 보호재(222)를 고정하고, 이를 보강재(221)에 삽입하여 정착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제조의 효율성, 용이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코팅재(223)는 금속성 보호재(222)의 외면을 둘러 코팅되는 구조로서, 보강재(221)와 함께 거동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재(223) 내부의 금속성 보호재(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체의 역할을 겸하므로, 그 외부에 장착되는 코팅재(223)는 약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코팅재(223)의 재질로서 합성수지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테프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매설형 광섬유 센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할 경우,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즉, 도 12,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광섬유 장착부(110) 사이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재 장착홈(120); 결합부재 장착홈(120) 및 타 매설형 광섬유 센서의 본체(100a)의 결합부재 장착홈(120a)에 공통으로 장착되는 결합부재(300); 결합부재(300)를 상기 본체(100)에 고정하는 고정부(310);를 더 구비한 구조가 그것이다.
이 경우, 결합부재(300)를 양측 본체(100,100a)의 결합부재 장착홈(120,120a)에 장착하고, 고정부(310)에 의해 이를 고정하는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재 장착홈(120,120a)에 대한 결합부재(300)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결합부재 장착홈(120)의 측방 개구의 폭이 결합부재(300)의 폭에 비해 작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재(300)가 결합부재 장착홈(120)으로부터 측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310)는 다양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결합부재 장착홈(120)이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두부의 폭이 결합부재 장착홈(120)의 측방 개구의 폭에 비해 큰 볼트 부재(311)를 결합부재(300)의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볼트 부재(311)의 조임에 의해 결합부재(300)와 본체(10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 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1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센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제1상태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제2상태도.
도 5는 광섬유 센싱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제1상태도.
도 7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제2상태도.
도 8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금속성 보호재의 제4실시예의 제1상태도.
도 10은 금속성 보호재의 제4실시예의 제2상태도.
도 11은 광섬유 센싱부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결합 전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3은 결합 후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광섬유 장착부
120 : 결합부재 장착홈 200 : 광섬유 센싱부
210 : 광섬유 220 : 광섬유 보호부
221 : 보강재 222 : 금속성 보호재
223 : 코팅재 300 : 결합부재
310 : 고정부 311 : 볼트 부재

Claims (18)

  1. 상하좌우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광섬유 장착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광섬유 장착부(110)에 장착된 광섬유 센싱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는
    광섬유(210);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광섬유(210)의 외면을 둘러 장착되는 광섬유 보호부(220);를 구비하며,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상기 본체(100)와 함께 거동하도록,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보강재(221)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금속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광섬유(210)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보강재(221)와 상기 광섬유(210)의 사이에 장착되는 금속성 보호재(222)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는 굽힘 발생시에도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지중 또는 구조물에 매설되어 일체로 거동하도록,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21)는 원형 단면의 구조이고,
    상기 광섬유 장착부(110)는 상기 보강재(221)가 끼워지는 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센싱부(200)가 상기 광섬유 장착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매설형 광섬유 센서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의 외면에는 마찰력 증대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는
    금속사에 의한 편조 구조로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는
    은, 구리, 알미늄, 금,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보호부(220)는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와 함께 거동하도록, 상기 보강재(221)와 상기 금속성 보호재(222) 사이에 장착되는 코팅재(22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223)는 200℃ 이상의 고온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내열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223)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223)는
    테프론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6.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광섬유 장착부(110) 사이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재 장착홈(120);
    상기 결합부재 장착홈(120) 및 타 매설형 광섬유 센서의 본체(100a)의 결합부재 장착홈(120a)에 공통으로 장착되는 결합부재(300);
    상기 결합부재(300)를 상기 본체(100)에 고정하는 고정부(3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장착홈(120)의 측방 개구의 폭은 상기 결합부재(300)의 폭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10)는
    상기 결합부재(300)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두부의 폭이 상기 결합부재 장착홈(120)의 측방 개구의 폭에 비해 큰 볼트 부재(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광섬유 센서.
KR1020080044329A 2007-12-07 2008-05-14 매설형 광섬유 센서 KR100969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6897 2007-12-07
KR1020070126897 2007-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111A KR20090060111A (ko) 2009-06-11
KR100969971B1 true KR100969971B1 (ko) 2010-07-15

Family

ID=4099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329A KR100969971B1 (ko) 2007-12-07 2008-05-14 매설형 광섬유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28B1 (ko) 2011-08-11 2013-04-24 주식회사 이제이텍 광섬유 센서 기반 지중 변위계
KR20190085592A (ko)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디피에스글로벌 광섬유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83B1 (ko) * 2019-10-11 2021-03-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변형률 계측용 센서 매립봉의 기설 구조물 설치 구조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7122A (ja) * 2000-09-28 2002-04-10 Ntt Infranet Co Ltd 光ファイバ歪みセンサ及びこのセンサを用いた歪み測定装置
US20040156104A1 (en) * 2001-02-07 2004-08-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7122A (ja) * 2000-09-28 2002-04-10 Ntt Infranet Co Ltd 光ファイバ歪みセンサ及びこのセンサを用いた歪み測定装置
US20040156104A1 (en) * 2001-02-07 2004-08-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28B1 (ko) 2011-08-11 2013-04-24 주식회사 이제이텍 광섬유 센서 기반 지중 변위계
KR20190085592A (ko)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디피에스글로벌 광섬유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111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533B1 (ko) 광섬유 센서가 장착된 강연선
US10170219B2 (en) Load carrying bundle intended for use in a power cable or a power umbilical
JP6781775B2 (ja) ファイバブラッググレーティングセンサを用いた変位測定装置及びその感度並びに耐久性調節方法
KR101135513B1 (ko) 변형 및 화재감지용 분포형 광섬유 센서
US6276215B1 (en) Sensor for measuring strain
US20140056553A1 (en) Sensing cable
US9097562B2 (en) Flexible strip comprising at least one optical fibre for carrying out deformation and/or temperature measurements
US9529169B2 (en) Logging cable
CN107121158B (zh) 一种内封式悬臂梁光纤光栅传感器
Inaudi et al. Development of distributed strain and temperature sensing cables
JP507321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物理量変動検知センサ、物理量の変動検出方法
KR100969971B1 (ko) 매설형 광섬유 센서
US7200292B2 (en) Optical fiber inclinometer
KR101204947B1 (ko) 낙석 경고 시스템
KR100941086B1 (ko) 수위 및 누수 측정용 광섬유 센서
CN209727124U (zh) 一种光纤传感器
CA2924656A1 (en) High temperature fiber optic cable
KR100975029B1 (ko) 광섬유 센서
KR100934644B1 (ko) 부착형 광섬유 센서
CN207147663U (zh) 一种极端环境下多点测量的光纤光栅温度传感器
CN113834448A (zh) 双动态嵌套式光纤空间曲率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205785094U (zh) 一种正四面体光纤光栅三维应变检测结构体
KR101106553B1 (ko) 광섬유 센서
JP2001324358A (ja) 光ファイバセンサ
KR20090041276A (ko) 파이프 계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