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172B1 - 클린룸의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클린룸의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172B1
KR100945172B1 KR1020080007353A KR20080007353A KR100945172B1 KR 100945172 B1 KR100945172 B1 KR 100945172B1 KR 1020080007353 A KR1020080007353 A KR 1020080007353A KR 20080007353 A KR20080007353 A KR 20080007353A KR 100945172 B1 KR100945172 B1 KR 10094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over panel
clean room
partition membe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477A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 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to KR102008000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1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8Partitions for clean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룸의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린룸의 내벽을 오랫동안 깔끔하게 유지하고,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클린룸 내부의 청정환경을 극대화시킨 클린룸의 벽체구조에 관한것이다.
이를 위해, 클림룸의 내벽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격벽부재;상기 클린룸의 내부를 향해 노출된 격벽부재의 노출면을 각각 차폐하며, 일단부는 격벽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이웃하는 격벽부재를 향해 절곡되고 타단부는 격벽부재의 타측면을 향해 다단 절곡된 커버패널;상기 격벽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격벽부재 사이의 틈을 씰링하며, 일면은 격벽부재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타면에는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된 제1삽입홈과, 커버패널의 타단부가 삽입된 제2삽입홈이 형성된 메인 씰링부재; 그리고 상기 메인 씰링부재와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된 보조 씰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린룸의 벽체구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07353
클린룸,벽체,격벽부재,커버패널,메인 씰링부재,제1,2삽입편,보조 씰링부재

Description

클린룸의 벽체구조{wall structure of clean room}
본 발명은 클린룸의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린룸의 내벽을 오랫동안 깔끔하게 유지하고,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클린룸 내부의 청정환경을 극대화시킨 클린룸의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룸(clean room)은 청정실 또는 무균실이라고도 하며, 반도체, LCD 제조공장이나 바이오 연구소 등에 설치된 먼지 없는 작업장을 말한다.
상기 클린룸은 극소량의 불순물(particle)에도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좌우되므로 극히, 청정한 작업 환경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클린룸은 전자, 우주 산업에 필요한 부품처럼 오염에 민감한 기재를 제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클린룸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머리까지 덮는 특수복을 입게 되며, 인공 분사기류나 공기 샤워를 통과하여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기계조립부품은 에어록을 통해 들어가며, 조명과 배선 등은 외부에 시공되어 클린룸 내부의 청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청정 환경의 건축물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클린룸 내벽의 마감에 특히 주의해야 하며, 먼지가 쌓일 가능성과 내벽으로부터 오염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의 클린룸 벽체구조는 복수의 벽체패널이 나란하게 배열되며, 벽체패널 상호간에는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코킹(caulking)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코킹작업은 주로 실리콘(silicone)을 이용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클린룸 벽체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실리콘을 이용해 코킹하는 작업은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비숙련공은 상기한 코킹작업을 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숙련공의 작업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둘째, 실리콘으로 코킹할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변색이 되어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변색된 실리콘으로부터 오염물질이 발생하여 클린룸 내부의 청정한 환경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랜시간동안 클린룸 내벽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실리콘을 이용한 코킹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벽체패널 사이의 틈을 간편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며 클린룸 내부의 청정 환경을 극대화시킨 클린룸의 벽체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클림룸의 내벽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격벽부재;상기 클린룸의 내부를 향해 노출된 격벽부재의 노출면을 각각 차폐하며, 일단부는 격벽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이웃하는 격벽부재를 향해 절곡되고 타단부는 격벽부재의 타측면을 향해 다단 절곡된 커버패널;상기 격벽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격벽부재 사이 의 틈을 씰링하며, 일면은 격벽부재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타면에는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된 제1삽입홈과, 커버패널의 타단부가 삽입된 제2삽입홈이 형성된 메인 씰링부재; 그리고 상기 메인 씰링부재와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된 보조 씰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린룸의 벽체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커버패널의 일단부는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타단부에 밀착되고, 보조 씰링부재는 메인 씰링부재와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에 서로 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한, 상기 커버패널은, 격벽부재의 노출면을 차폐하는 차폐면과, 이 차폐면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격벽부재의 일측면을 차폐하는 절곡면과, 이 절곡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이웃하는 메인 씰링부재의 제1삽입홈에 삽입된 제1삽입편과, 상기 차폐면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격벽부재의 타측면을 향해 다단 절곡되어 격벽부재의 타측면에 설치된 메인 씰링부재의 제2삽입홈에 삽입된 제2삽입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의 벽체구조에 의하면 실리콘을 이용한 코킹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실리콘의 변색으로 인한 클린룸 벽 외관이 지저분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오랫동안 클린룸 벽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클린룸 내부의 청정환경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숙련공이라도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숙련공의 인건비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의 벽체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클린룸의 벽체구조는 격벽부재(10)와, 커버패널(30)과, 메인 씰링부재(50)와, 보조 씰링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격벽부재(10)는 클린룸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며, 클린룸의 내벽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격벽부재(10)는 석고보드임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벽체 전면을 차폐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된다.
다음으로, 커버패널(30)은 격벽부재(10)를 차폐하여 클린룸 내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패널(30)의 재질은 금속임이 바람직하며, 클린룸의 내부를 향해 노출된 격벽부재(10)의 노출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커버패널(30)의 일단부는 격벽부재(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웃하는 격벽부재를 향해 절곡되고, 커버패널(30)의 타단부는 격벽부재의 타측면을 향해 다단으로 절곡된다.
즉, 커버패널(30)의 일단부는 외향 절곡되고, 커버패널(30)의 타단부는 격벽 부재(10)를 향해 내향 절곡된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패널(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버패널(30)은 격벽부재(10)의 노출면을 차폐하는 차폐면(31)과, 이 차폐면(3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격벽부재(10)의 일측면을 차폐하는 절곡면(33)과, 이 절곡면(33)의 단부로부터 이웃하는 격벽부재를 향해 재절곡되어 후술하는 메인 씰링부재(50)의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편(35)과, 차폐면(31)의 타단부로부터 다단 절곡되어 후술하는 메인 씰링부재(50)의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37)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메인 씰링부재(50)는 복수의 격벽부재(10) 사이의 틈을 씰링하며, 격벽부재(10)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즉, 메인 씰링부재(50)의 일면은 상기 격벽부재(10)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메인 씰링부재(50)의 타면에는 복수의 삽입홈(5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1)은 이웃하는 격벽부재를 향한 일방향으로 형성되며, 커버패널(30)의 제1삽입편(35)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51a)과 커버패널(30)의 제2삽입편(37)이 삽입되는 제2삽입홈(51b)으로 구성된다.
이때, 메인 씰링부재(50)의 재질은 씰링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연질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보조 씰링부재(70)는 메인 씰링부재(50)와 더불어 격벽부재(10) 사이의 틈을 더욱 견고하게 씰링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 씰링부재(50)에 설치된다.
이때, 보조 씰링부재(70)는 메인 씰링부재(50) 중, 제1삽입홈(51a)과 제2삽 입홈(51b)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패널(30)의 제2삽입편(37)이 메인 씰링부재(51)의 제2삽입홈(51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 씰링부재(7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조 씰링부재(70)의 재질 역시 씰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연질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클린룸 벽체구조에 대한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복수의 격벽부재(10) 타측면에 각각 메인 씰링부재(50)를 설치시킨다.
이때, 메인 씰링부재(50)는 모두 제1삽입홈(51a) 및 제2삽입홈(51b)이 이웃하는 격벽부재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후, 커버패널(30)을 이용해 격벽부재(10)의 노출면을 차폐시킨다.
이때, 커버패널(30)의 차폐면(31) 내측은 격벽부재(10)의 노출면에 밀착되고, 커버패널(30)의 제2삽입편(37)은 메인 씰링부재(50)의 제2삽입홈(51b)에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패널(30)의 일단부에 해당되는 절곡면(33)은 격벽부재(10)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제1삽입편(35)은 이웃하는 격벽부재의 메인 씰링부재(50)를 향해 대응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결합된 각각의 조립체를 상호 간에 결합시켜 클린룸의 내벽을 완성시킨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조립체를 나란하게 배치시킨다. 이때, 격벽부재(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제1삽입편(35)은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메인 씰링부재(50)의 제1삽입홈(51a)에 대응된다.
이후, 이웃하는 격벽부재(10)들을 서로 밀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격벽부재(10)의 각 제1삽입편(35)은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메인 씰링부재(50)의 제1삽입홈(51a)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메인 씰링부재(50)에 설치된 보조 씰링부재(70)는 이웃하는 격벽부재(10)에 설치된 커버패널(30)의 제1삽입편(35)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보조 씰링부재(70)의 설치는 격벽부재(10) 사이를 통해 혹시 투입될지 모르는 먼지나 이물질을 한 번 더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메인 씰링부재(50)와 더불어 격벽부재(10) 사이의 씰링을 더욱 강화한 것이다.
이로써, 클린룸의 벽체구조에 대한 결합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복수의 격벽부재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실리콘을 이용한 코킹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리콘을 이용함으로써 발생 되었던 변색, 오염물질 발생 등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비숙련공이라도 큰 어려움 없이 클린룸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의 벽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의 벽체가 결합되기 전,후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격벽부재 30 : 커버패널
31 : 차폐면 33 : 절곡면
35 : 제1삽입편 37 : 제삽입편
50 : 메인 씰링부재 51 : 삽입홈
51a : 제1삽입홈 51b : 제삽입홈
70 : 보조 씰링부재

Claims (3)

  1. 클림룸의 내벽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격벽부재;
    상기 클린룸의 내부를 향해 노출된 격벽부재의 노출면을 각각 차폐하며, 일단부는 격벽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이웃하는 격벽부재를 향해 절곡되고 타단부는 격벽부재의 타측면을 향해 다단 절곡된 커버패널;
    상기 격벽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격벽부재 사이의 틈을 씰링하며, 일면은 격벽부재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타면에는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가 삽입된 제1삽입홈과, 커버패널의 타단부가 삽입된 제2삽입홈이 형성된 메인 씰링부재; 그리고
    상기 메인 씰링부재와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된 보조 씰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린룸의 벽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의 일단부는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타단부에 밀착되고, 보조 씰링부재는 메인 씰링부재와 이웃하는 격벽부재에 설치된 커버패널의 일단부에 서로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의 벽체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은,
    격벽부재의 노출면을 차폐하는 차폐면과, 이 차폐면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격벽부재의 일측면을 차폐하는 절곡면과, 이 절곡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이웃하는 메인 씰링부재의 제1삽입홈에 삽입된 제1삽입편과, 상기 차폐면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격벽부재의 타측면을 향해 다단 절곡되어 격벽부재의 타측면에 설치된 메인 씰링부재의 제2삽입홈에 삽입된 제2삽입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의 벽체구조.
KR1020080007353A 2008-01-24 2008-01-24 클린룸의 벽체구조 KR100945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53A KR100945172B1 (ko) 2008-01-24 2008-01-24 클린룸의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53A KR100945172B1 (ko) 2008-01-24 2008-01-24 클린룸의 벽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477A KR20090081477A (ko) 2009-07-29
KR100945172B1 true KR100945172B1 (ko) 2010-03-03

Family

ID=4129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353A KR100945172B1 (ko) 2008-01-24 2008-01-24 클린룸의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1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708A (ko) * 2004-01-09 2005-07-18 이광석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708A (ko) * 2004-01-09 2005-07-18 이광석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477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33494A1 (en) Elevator c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E516590C2 (sv) Isoleringspanel för skåp som innehåller luftbehandlingsutrustning
KR100945172B1 (ko) 클린룸의 벽체구조
KR101614857B1 (ko) 클린룸의 벽체구조
JP6213150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20090087144A (ko) 클린룸의 벽체구조
KR102010685B1 (ko)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JP200718229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CN210851018U (zh) 一种可拆卸的pvc手套生产车间吸尘罩
JP2007205589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CN210112452U (zh) 一种电控盒及空调器
KR102128462B1 (ko)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KR200436874Y1 (ko) 크린부스의 비닐커튼 체결구조
KR101661119B1 (ko) 조립성과 방음 방수성이 개선된 욕실 천정 마감재
JP7316153B2 (ja) パーティション
JP2008082994A (ja) パネル計器
JP4897436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壁体構造
CN110594857A (zh) 空调室内机
KR20080000874A (ko) 결로처리가스켓을 갖는 창호
US20230266038A1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3955054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JP2012117238A (ja) 改装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装方法
JP2542769B2 (ja) 建築用パネル
WO2023187873A1 (ja) 空気調和機
JP2016156228A (ja) 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