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977B1 -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977B1
KR100944977B1 KR1020070118277A KR20070118277A KR100944977B1 KR 100944977 B1 KR100944977 B1 KR 100944977B1 KR 1020070118277 A KR1020070118277 A KR 1020070118277A KR 20070118277 A KR20070118277 A KR 20070118277A KR 100944977 B1 KR100944977 B1 KR 10094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ld
pearl
filling means
manufacturing apparatu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852A (ko
Inventor
주승락
Original Assignee
주승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락 filed Critical 주승락
Priority to KR102007011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9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9/00Producing buttons or semi-finished parts of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filler
    • B29K25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5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는 다수개의 도르래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한조의 탄력밴드를 갖는 거치부가 구비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거치부에 고정되며, 액상의 수지와 진주박이 혼합된 혼합액이 충진되도록 긴 파이프구조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마개가 체결된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에 상기 혼합액을 충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르래와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충진수단과 상기 도르래에 권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충진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무게추와 연결된 작동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프레임 본체에 다수개의 수용관과 충진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수지몰드, 자개단추, 진주박, 충진수단

Description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Mold equipment for center pearl buttonsand}
본 발명은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본체에 다수개의 수용관과 충진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자개단추는 천연자개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천연자개단추는 고가의 천연자개를 소정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자동단축성형기에 의해 요구되는 디자인을 갖는 단추로 성형한 후 이를 세척 및 건조시켜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천연자개단추는 은은하고 다양한 광택 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의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어 그 소비량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가인 천연자개단추를 대신하여 합성수지에 요구되는 액상 또는 가루상태의 진주박(펄,Pearl)을 소정량 혼합하여 봉 형상의 몰드를 제조한 후 그 몰드를 절단하여 소정의 공정을 거처 펄 단추를 성형,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펄 단추용 몰드의 제조장치는 일단이 마개로 막힌 파이프를 테이블에 경사지게 배치시킨 다음 액상의 수지와 진주박(펄)이 혼합된 혼합액을 통상의 깔때기를 통해 상기 파이프에 충진시킨 후 그 파이프를 소정의 건조로에 일정시간 건조시킨 다음 파이프에서 건조된 몰드를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펄 단추용 몰드의 제조장치는 작업자가 깔때기에 혼합액을 충진시켜야 하므로,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혼합액에 포함된 진주박이 일정한 패턴(선)으로밖에 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는 다수개의 도르래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한조의 탄력밴드를 갖는 거치부가 구비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거치부에 고정되며, 액상의 수지와 진주박이 혼합된 혼합액이 충진되도록 긴 파이프구조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마개가 체결된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에 상기 혼합액을 충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르래와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충진수단과 상기 도르래에 권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충진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무게추와 연결된 작동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수단은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상기 혼합액을 공급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와 연결되는 작동관과 상기 작동관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고, 일단에는 상기 혼합액을 토출되는 토출부가 구비된 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관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끈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관에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다양한 문양을 갖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다공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프레임 본체에 다수개의 수용관과 충진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지몰드에 다양한 모양의 진주박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 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있어, 충진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있어, 헤드의 다른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1)(이하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수지몰드 제조장치(1)는 프레임본체(2)와 수용관(3)과 충진수단(4)과 작동끈(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본체(2)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용접 또는 나사체결된 구조물 형태로서, 거치프레임(21)과 그 거치프레임(2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21)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도르래(23)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한조의 탄력밴드(241)로 구성된 거치부(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탄력밴드(241)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21)에 설치되어 후술될 상기 수용관(3)을 지지,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관(3)은 상기 탄력밴드(241) 사이에 지지,고정되며 액상의 수지와 진주박이 혼합된 혼합액(S)이 충진되도록 긴 파이프구조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마개(31)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한 마개(31)는 그 재질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마개(31)는 상기 수용관(3)의 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체결되며, 다르게는 상기 마개(31)를 캡(도시생략) 형태로 형성시켜 상기 수용관(3)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충진수단(4)은 상기한 수용관(3)에 혼합액(S)을 충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르래(23)에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충진수단(4)은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상기 혼합액(S)을 공급하는 호스(41)와 상기 호스(41)와 연결되는 작동관(42)과 상기 작동관(42)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고, 일단에는 상기 혼합액을 토출되는 토출부(431)가 구비된 헤드(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관(42)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끈(5)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리형태의 고정부(423)가 더 형성되어, 상기 작동관(42)의 축선과 상기 작동끈(5)이 일치되게 체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토출부(431)는 다양한 문양을 갖도록 다수개의 관통공(431a)으로 형성된다. 즉 수지몰드(도시생략)에 상기 관통공(431a)들의 형태와 유사하게 진주박이 모여 디자인되도록 한다. 다시말해 상기한 액상의 수지(도시생략)에 포함된 진주박(도시생략)이 상호 응집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수개의 관통공(431a)으로 문양이 형성된 토출부(431)를 혼합액(S)이 관통시 진주박이 그 관통공(431a)들의 문양과 동일하게 뭉치면서 상승하여 수지몰드를 형성함으로써, 건조된 수지몰드를 절단시 단추에 관통공(431a)들의 형상과 유사하게 진주박(펄)이 디자인(형성)될 수 있으며, 수지몰드의 중앙에 상기한 진주박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부(431)의 관통공(431a)은 다양한 형상과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관통공(431a) 이외에 다공망(431b)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관(42)에는 상단부에 상기 호스(41)와 연결되도록 호스연결부(421)가 돌출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헤드(43)와 나사체결되도록 외주연에 나선이 구비된 헤드연결부(4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관(4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6)가 설치된다. 상기한 밸브(6)는 통상의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6)로서, 관로 상의 유체 및 용수를 차단하는 밸브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헤드(43)의 상면에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43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헤드연결부(422)와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끈(5)은 상기 도르래(23)에 권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부(423)와 연결되고, 타단은 무게 추(51)와 연결된다.
이때, 무게 추(51)는 상기 충진수단(4) 즉 호스(41)를 제외한 작동관(42)과 헤드(43)의 무게와 동일한 무게의 무게 추(5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계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본 체(2)의 도르래(23)와 대응되게 상기 거치부(24)에 수용관(3)을 거치시키고, 상기 호스(41)와 헤드(43)가 연결된 작동관(42)을 상기 수용관(3)에 내입시키게 된다. 이때 밸브(6)는 개방시킨다. 다음 상기 작동관(42)의 고정부(423)에 상기 작동끈(5)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고 타측단부에는 무게 추(51)를 연결한 다음 도르래(23)에 상기 작동끈(5)을 권치(걸림)시킴으로서, 상기 수용관(3)에 혼합액(S)을 충진시키기 전의 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41)에는 혼합액(S)이 외부의 펌프(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작동관(42)으로 전달되며, 상기한 펌프 및 혼합액 충진탱크(도시생략) 등은 상기한 거치프레임(21)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작업자가 외부의 펌프(도시생략)를 작동시키면 호스(41)에 혼합액(S)이 전달되어 순차적으로 작동관(42)을 관통하여 수용관(3)에 충진되는데, 이때 도 4b와 같이 상기한 충진수단(4)이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점섬이 있는 혼합액(S)이 상기 수용관(3)에 충진되면서 상기 충진수단(4)을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됨과 아울러 무게 추(51)의 무게에 의해 그 충진수단(4)이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업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수단(4)이 상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작동관(42)의 밸브(6)가 육안으로 확인될 시 그 밸브(6)를 잠그게 되고, 상기 밸브(6)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작동관(42)과 상기 헤드(43) 내부의 혼합액(S)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상기 수용관(3)에 충진된다.
다음, 작업자는 혼합액(S)이 혼합액이 충진된 수용관(3)을 거치부(24)에서 분리시켜 소정의 건조로에서 건조시킨 후 건조된 수지몰드(도시생략)를 수용관(3) 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모든 공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혼합액(S)이 충진된 수용관(3)을 상기 거치부(24)에서 분리시킴과 아울러 혼합액(S)을 충진될 다른 수용관(3)을 상기 거치부(23)는 공정을 반복수행함으로써, 수지몰드(도시생략)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무게 추(51)의 도움으로 상기 충진수단(4)이 상향으로 이동됨으로, 상기 토출부(431)의 형상과 유사하게 진주박(도시생략)으로 문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진수단(4)이 상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관(3)에 충진된 혼합액(S)의 양을 밸브(6)를 통해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관(3)의 외주연에는 높이에 따라 다양한 색을 교호되게 배치시켜 수용관(3)에 혼합액이 충진되는 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있어, 충진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있어, 헤드의 다른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계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수지몰드 제조장치 2 : 프레임 본체
3 : 수용관 4 : 충진수단
5 : 작동끈 6 : 밸브
21 : 거치프레임 22 : 지지프레임
23 : 도르래 24 : 거치부
241 : 탄력밴드 31 : 마개
41 : 호스 43 : 헤드
421 : 호스연결부 422 : 헤드연결부
423 : 고정부 431 : 토출부
432 : 체결부 431a : 관통공
431b : 다공망 51 : 무게 추
S : 혼합액

Claims (6)

  1. 상부에는 도르래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한조의 탄력밴드를 갖는 거치부가 구비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거치부에 고정되며, 액상의 수지와 진주박이 혼합된 혼합액이 충진되도록 긴 파이프구조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마개가 체결된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에 상기 혼합액을 충진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르래와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충진수단과 상기 도르래에 권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충진수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무게추와 연결된 작동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몰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수단은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상기 혼합액을 공급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와 연결되는 작동관과
    상기 작동관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고, 일단에는 상기 혼합액을 토출되는 토출부가 구비된 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관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끈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관에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다양한 문양을 갖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다공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KR1020070118277A 2007-11-20 2007-11-20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KR100944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77A KR100944977B1 (ko) 2007-11-20 2007-11-20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77A KR100944977B1 (ko) 2007-11-20 2007-11-20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852A KR20090051852A (ko) 2009-05-25
KR100944977B1 true KR100944977B1 (ko) 2010-03-02

Family

ID=4085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277A KR100944977B1 (ko) 2007-11-20 2007-11-20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9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671A (ko) * 1986-03-11 1987-10-20 이상희 단추 제조방법
KR20070023205A (ko) * 2005-08-23 2007-02-28 신형운 소재 이송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671A (ko) * 1986-03-11 1987-10-20 이상희 단추 제조방법
KR20070023205A (ko) * 2005-08-23 2007-02-28 신형운 소재 이송량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852A (ko)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9769C (fi) Filterlock foer reningsinsats vid en vattenberedningsanordning med haolroer
EP1974800A1 (en) Hollow-fiber membrane module
KR101522512B1 (ko) 음료 제조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용기
JP2013544607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メーカー用のコーヒー粉末封入カプセル
US8420139B2 (en) Capsule for infusion beverages
WO2009040503A1 (en) Apparatus for investment casting and method of investment casting
KR100944977B1 (ko) 센터펄단추용 수지몰드 제조장치
JP4674594B2 (ja) 洗濯機
CN100579634C (zh) 柱式膜组件及其生产方法
CN204717074U (zh) 充气产品用的阀门结构
CN204817381U (zh) 样本针清洗装置和样本分析仪
JP2017525589A (ja) 繊維セメント製部品の成形システムおよびプロセス
JPH1190427A (ja) 純水製造装置のイオン交換樹脂塔
EP3207970B1 (en) A filling container
CN207153215U (zh) 沐浴设备用的过滤装置
KR101368397B1 (ko) 중공사막 모듈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모듈의 제조방법
JPH08337234A (ja) 食品等の縁厚モールドトレ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CN209669030U (zh) 一种用于化粪池、净化槽分散式处理的固定底板
JP2004283807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30006818U (ko) 장착식 깔때기
JPH09234461A (ja) 浄水器
CN208285777U (zh) 用于黑老虎种子育苗的种子浸泡装置
CN208345805U (zh) 带有能量石的浸泡装置
KR200358794Y1 (ko) 깔때기
CN213726412U (zh) 一种冷却式浸渍胶制备用反应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