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717B1 -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 Google Patents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717B1
KR100944717B1 KR1020090059443A KR20090059443A KR100944717B1 KR 100944717 B1 KR100944717 B1 KR 100944717B1 KR 1020090059443 A KR1020090059443 A KR 1020090059443A KR 20090059443 A KR20090059443 A KR 20090059443A KR 100944717 B1 KR100944717 B1 KR 10094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ish
cooked
irradiated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832A (ko
Inventor
이주운
최종일
김재훈
송범석
변명우
김현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7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조사, 수산 자숙액, 수산 자숙액 추출물, 티로시나제 저해능, 미백, 화장품

Description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irradiated cooking drips and irradiated extract of cooking drips from seafood}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대한민국)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비교적 수산 자원이 풍부한 입지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수산 자원을 단순히 식량자원으로서만 이용하고 있을 뿐, 다방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 수산 자원의 유용성이 밝혀지면서 이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개발 및 기능성 소재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 고 있다 (Heo SJ, Jeon YJ. 2005. Antioxidant effect and protecting against cell damage by enzymatic hydrolysates from marine algae. Food Ind Nutr 10(1): 31-41; Kim SA, Kim J, Woo MK, Kwak CS, Lee M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4): 451-459).
최근에는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변화로 인해 간편성을 부여한 수산가공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수산가공품 제조 및 수출을 목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제품을 찐 다음 건조하는 과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가공부산물인 자숙액은 다양한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폐기되고 있어 경제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
이들 자숙액에는 폴리페놀, 단백질 및 글리코겐과 같은 유용 영양성분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Kim JS, Yeum DM, Kang HG, Kim IS, Kong CS, Lee TG, Heu MS. 2002. Fumdamentals and Applications for Canned 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p 351-360).
한편, 감마선 등과 같은 방사선 조사기술은 식품의 저장 중 영양 및 관능적인 품질의 저하없이 병원성 및 부패성 미생물을 없애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전 세계적으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방사선 조사기술은 잔류독성이 전혀 없고 식품 원래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고 있고, 가공 공정 및 기능성 증진까지 이용범위 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천연물 추출물에 감마선 조사를 적용하여 첨가제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색상을 개선하면서 본래 가지고 있던 생리활성은 유지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Byun MW. 1994. Application of irradiation techniques to food industry. Radioistope news 9: 32-37; Thayer DW. 1990. Food irradiation: Benefits and concerns. J Food Qual 13: 147-169; Lee JW, Yook HS, Cho KH. 2001. The change of allergenic and antigenic properties of egg white albumin (Gal dl)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00-504; Jo C, Son JH, Byun MW. 2003. Irradiation application for color removal and purification of green tea leaves extracts. Radiat Phy Chem 66: 179-184).
이에, 수산가공 폐자원인 톳, 문어, 참치, 굴, 대게, 가다랑어, 오징어 등의 자숙액 및 자숙액 추출물을 식품 및 공중보건산물의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하기 위한 재활용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미생물의 멸균, 색상 개선, 라디칼 산화능 증가, 미백효과, 항고혈압 활성 등의 증가가 이루어져서, 가공성이 개선되고, 생리활성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생리활성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생리활성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수산 자숙액의 가공적성을 개선시키고, 생리활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가공적성을 개선시키고, 생리활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사선의 흡수량이 1 내지 500 kGy이 되도록 조사된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생리활성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사선의 흡수량이 1 내지 500 kGy이 되도록 조사된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생리활성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산 자숙액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 자숙액의 가공적성을 개선하고, 생리활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산 자숙액 추출물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가공적성을 개선하고, 생리활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 또는 티로시나제 저해능 향상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 또는 티로시나제 저해능 향상용 화장품을 제 공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고혈압능 향상용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및 자숙액 추출물은 방사선 비조사구에 비하여 색도 등과 같은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 미백 효과, 항고혈압 활성 등이 증가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생리활성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생리활성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수산 자숙액(water drips from seafood)은, 수산물 가공시 ① 단백질을 열응고시켜서 물과 기름을 유리시키고, ② 가열에 의해 세포막을 연화시켜 압착할 때 수분, 유지 등의 액즙 부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며, ③ 원료에 함유된 효소를 불활성화시켜서 품질을 향상시키고, ④ 부작세균의 사멸로 제품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료를 삶은 후에 발생하는 액상부산물로서, 상기 수 산물로는 톳, 문어, 참치, 굴, 대게, 가다랑어, 오징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자숙(煮熟) 처리가 동반되는 수산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extract of water drips from seafood)은 상기 수산 자숙액의 유기용매 추출물로서, 상기 유기용매로는 천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할 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이나 아세톤 등과 같은 용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가공적성이나 생리활성능의 증가효과 면에서 감마선 또는 전자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사선의 흡수선량은 1 내지 500 kGy,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kGy,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kGy로 조사하는데, 상기 흡수선량이 1 kGy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반면에 500 kGy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 선량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물질분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공적성으로는 색도, 점도, 냄새 등을 들 수 있는데, 예컨대, 본원발명에 의한 방사선이 조사된 수산 자숙액은 비조사구에 비하여 색상이 옅어지기 때문에, 기능성 소재로의 가공특성이 개선된다.
상기 생리활성능으로는 항산화 활성능, 티로시나제 저해능, 항고혈압 활성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 숙액 추출물은 비조사구에 비하여 총페놀 함량, 총단백질 함량, 전자공여능, 미백효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 ACE) 저해활성능 등이 증가된다.
페놀 화합물은 환원성이 강해서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총페놀 함량의 증가는 항산화 활성능을 증가시키게 되고, 전자공여능 역시 항산화 활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티로시나제(tyrosinase)는 사람 피부에 있는 멜라닌 색소는 UV에 의한 손상을 보호해주는 주요한 메커니즘이지만, 기미(melasma), 주근깨(freckles), 광선각화증(senile lentigines) 그리고 과도한 색소 같은 비정상 색소형성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들을 야기시키는데, 티로시나제는 사람의 피부에 멜라닌 생합성을 초래하며, 티로시나제 저해제는 미백효과를 위한 화장품에 사용되는 중요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억제 작용은 항고혈압 활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우리 몸에서 혈압이 올라가는 이유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물질이 작용하기 때문으로서, 이 물질의 작용을 막아주면 혈압을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은 멸균능이 추가적으로 증가되는데, 1kGy의 낮은 선량에서 방사선 조사할 경우에도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수산 자숙액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 자숙액의 가공적성을 개선하고, 생리활성능을 증가시 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수산 자숙액으로부터 수득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가공적성을 개선하고, 생리활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수산 자숙액은, 수산물 가공시 원료를 삶은 후에 발생하는 액상부산물로서, 상기 수산물로는 톳, 문어, 참치, 굴, 대게, 가다랑어, 오징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자숙(煮熟) 처리가 동반되는 수산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은, 상기 수산 자숙액으로부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것으로서, 상기 유기용매로는 천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할 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코올이나 아세톤 등과 같은 용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가공적성이나 생리활성능의 증가효과 면에서 감마선 또는 전자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사선의 흡수선량은 1 내지 500 kGy,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kGy,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kGy로 조사하는데, 상기 흡수선량이 1 kGy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반면에 500 kGy를 초 과하는 경우에는 고 선량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물질분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공적성으로는 색도, 점도, 냄새 등을 들 수 있는데, 예컨대, 본원발명에 의한 방사선이 조사된 수산 자숙액은 비조사구에 비하여 색상이 옅어지기 때문에, 기능성 소재로의 가공특성이 개선된다.
상기 생리활성능으로는 항산화 활성능, 티로시나제 저해능, 항고혈압 활성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은 비조사구에 비하여 총페놀 함량, 총단백질 함량, 전자공여능, 미백효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 ACE) 저해활성능 등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가공적성을 개선하고, 생리활성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수산 자숙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동결건조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수산 자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 또는 티로시나제 저해능 향상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기능성 식품에 함유되는 수산 자숙액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기능성 식품은 항산화능과 미백효과를 갖는 건강 식품으로서, 음료류, 면류, 냉동식품, 유가공 제품, 육가공 제품, 특수용도 식품, 조미식품, 추출 가공식품, 생식류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수산 자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 또는 티로시나제 저해능 향상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장품에 함유되는 수산 자숙액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화장품은 미백용 화장품으로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백 화장품이란 피부에 과도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방지하거나, 기존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기미나 주근깨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장품은 로션, 크림, 젤 등의 제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수산 자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고혈압능 향상용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의약품에 함유되는 수산 자숙액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의약품의 제형은 정제, 과립제, 환제, 액제, 주사제, 크림제, 연고제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 또는 티로시나제 저해능 향상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기능성 식품에 함유되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기능성 식품은 항산화능과 미백효과를 갖는 건강 식품으로서, 음료류, 면류, 냉동식품, 유가공 제품, 육가공 제품, 조미식품, 생식류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 또는 티로시나제 저해능 향상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장품에 함유되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화장품은 미백용 화장품으로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백 화장품이란 피부에 과도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방지하거나, 기존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기미나 주근깨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장품은 로션, 크림, 젤 등의 제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고혈압능 향상용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의약품에 함유되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의약품의 제형은 정제, 과립제, 환제, 액제, 주사제, 크림제, 연고제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기능성 식품, 화장품 또는 의약품의 제조방법은 특별한 제한없이,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톳 자숙액 추출물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톳 자숙액 (영해산업㈜에서 구입)에 70% 에탄올을 톳 자숙액 대비 1:3 (v/v)의 비율로 첨가한 후, 간헐적으로 흔들어 주면서 섞이게 한 후, 워터 페이퍼(water paper) No.4로 여과하여 톳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문어 자숙액 추출물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문어 자숙액 (우영수산㈜에서 구입)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문어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참치 자숙액 (동원산업㈜에서 구입)을 사용하고, 70% 에탄올을 톳 자숙액 대비 1:10 (v/v)의 비율로 첨가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참치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굴 자숙액 추출물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굴 자숙액 (양성수산㈜에서 구입)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굴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대게 자숙액 추출물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대게 자숙액 (대호수산㈜에서 구입)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대게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가다랑어 자숙액 추출물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가다랑어 자숙액 (동원산업㈜에서 구입)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가다랑어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1))
방사선 조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과학연구소(Jeongeup, South Korea) 내 선원 30만 Ci, Co-60 감마선 조사시설(point source AECL, IR-79, MDS Nordion International Co. Ltd., Ottawa, ON, Canada)을 이용하여 실온(14±1℃)에서 시간당 10 kGy의 선량율로 시중에서 구입한 톳 자숙액, 문어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각각 영해산업㈜, 우영수산㈜, 동원산업 ㈜, 양성수산㈜, 대호수산㈜, 동원산업㈜에서 구입) 각각의 자숙액이 1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흡수선량 확인은 알라닌 도시미터(alanine dosimeter ; 5 mm, Bruker Instruments, Rheinstetten, Germany)를 사용하였다. 도시메트리 시스템(dosimetry system)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규격에 준용하여 표준화한 후 사용하였으며, 총 흡수선량의 오차는 2% 이내 이었다.
조사된 각각의 수산 자숙액을 스크류 병(screw-bottle)에 밀봉하여 4℃에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2))
톳 자숙액, 문어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각각 영해산업㈜, 우영수산㈜, 동원산업㈜, 양성수산㈜, 대호수산㈜, 동원산업㈜에서 구입) 각각의 자숙액이 3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3))
톳 자숙액, 문어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각각 영해산업㈜, 우영수산㈜, 동원산업㈜, 양성수산㈜, 대호수산㈜, 동원산업㈜에서 구입) 각각의 자숙액이 5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4))
톳 자숙액, 문어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각각 영해산업㈜, 우영수산㈜, 동원산업㈜, 양성수산㈜, 대호수산㈜, 동원산업㈜에서 구입) 각각의 자숙액이 7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5))
톳 자숙액, 문어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각각 영해산업㈜, 우영수산㈜, 동원산업㈜, 양성수산㈜, 대호수산㈜, 동원산업㈜에서 구입) 각각의 자숙액이 10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6))
톳 자숙액, 문어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각각 영해산업㈜, 우영수산㈜, 동원산업㈜, 양성수산㈜, 대호수산㈜, 동원 산업㈜에서 구입) 각각의 자숙액이 30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수산 자숙액의 방사선 조사(7))
톳 자숙액, 문어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각각 영해산업㈜, 우영수산㈜, 동원산업㈜, 양성수산㈜, 대호수산㈜, 동원산업㈜에서 구입) 각각의 자숙액이 50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1))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 각각의 자숙액 추출물이 1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2))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 각각의 자숙액 추출물이 3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산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3))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 각각의 자숙액 추출물이 5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산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4))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 각각의 자숙액 추출물이 7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산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5))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 각각의 자숙액 추출물이 10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산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6))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 각각의 자숙액 추출물이 30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산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1))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 각각의 자숙액 추출물이 50 kGy의 총 흡수선량을 얻도록 감마선 조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사선 조산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밀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2.5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스프 및 육즙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2.5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각각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그라운드 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우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7.5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및 찹쌀 35 중량%로 구성된 곡물류 분말을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의 건조분말을 곡물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의 건조분말(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6. 건강음료의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취득한 후, 밀봉 멸균시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7. 야채쥬스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8. 과일쥬스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수산 자숙액 추출물로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2.5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스프 및 육즙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2.5 중 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각각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그라운드 비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우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7.5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및 찹쌀 35 중량%로 구성된 곡물류 분말을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의 건조분말을 곡물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6. 건강음료의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용기에 취득한 후, 밀봉 멸균시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7. 야채쥬스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8. 과일쥬스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표 1>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단위 : 중량부)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정제수 100 100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0.0001 1 10
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표 2>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단위 : 중량부)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100 100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실시예 18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
수산 자숙액 추출물로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표 3>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단위 : 중량부)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정제수 100 100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방사선 조사 수산 자숙액 추출물 0.0001 1 10
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표 4>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단위 : 중량부)
조성 가용화 제형1 가용화 제형2  가용화 제형3
1 정제수  100 100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실시예 19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을 함유하는 의약품의 제조)
수산 자숙액으로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을 유효성분으로 약학적 제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산제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2 g
유당......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100 ㎎
옥수수 전분......100 ㎎
유당......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100 ㎎
옥수수 전분......100 ㎎
유당......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1 g
유당......1.5 g
글리세린......1 g
자일리톨......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150 ㎎
대두 추출물......50 ㎎
포도당......200 ㎎
옥수수 전분......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실시예 20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품의 제조)
수산 자숙액 추출물로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약학적 제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산제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2 g
유당......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100 ㎎
옥수수 전분......100 ㎎
유당......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100 ㎎
옥수수 전분......100 ㎎
유당......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1 g
유당......1.5 g
글리세린......1 g
자일리톨......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150 ㎎
대두 추출물......50 ㎎
포도당......200 ㎎
옥수수 전분......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실험예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및 자숙액 추출물의 가공적성 및 생리활성 평가)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및 자숙액 추출물의 가공적성 개선과 생리활성능 증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제조한 수산 자숙액 및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대상으로, 미생물 분석, 색도 측정, 단백질 함량, 전자공여능, 폴리페놀 함량,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및 항고혈압 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은 수산 자숙액 또는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들은 SPSS 소프트웨어(SPSS software)에서 프로그램된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수행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보일 때 평균값 간의 차이를 Duncan의 multiple range test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p < 0.05) (SPSS. 197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Csiences, Norman).
실험예 1 (미생물 분석)
감마선 조사한 수산 자숙액의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 참치 자숙액, 굴 자숙액, 대게 자숙액 및 가다랑어 자숙액 시료 1 mL에 멸균된 식염수 (0.85%, NaCl) 9 mL를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10진 희석법으로 희석한 희석액을 표준한천배지(total plate count agar) 및 PDA 배지(potato dextrose agar ; Difco, Laboratories, Sparks, MD, USA)에 도말하였다.
미생물의 증식은 표준한천배양 방법으로 각각 30℃에서 48시간 및 120시간 배양한 후,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한 배지만 계수하여 시료 1 g당 콜로니 형성단위(colony forming unit ; CFU)로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한 수산 자숙액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는데, 표 5를 참조하면, 톳 자숙액이 4.11 Log CFU/mL의 일반 호기성 미생물과 4.24 Log CFU/mL의 효모 및 곰팡이가 검출되어 다른 수산 자숙액보다 미생물에 오염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수산 자숙액의 경우 2.13~3.22 Log CFU/mL의 일반 호기성 미생물과 2.11~2.94 Log CFU/mL의 효모 및 곰팡이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문어 자숙액의 경 우 일반 호기성 미생물(aerobic bacteria)과 효모(yeast) 및 곰팡이(molds), 대게 자숙액의 경우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1 kGy의 낮은 선량에서 감마선 조사를 적용하였을 때 모든 자숙액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다 내에 서식하고 있는 해양 세균, 또는 가공처리 과정에서의 위생 상태로 인해 미생물이 오염된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수산 자숙액을 식품 및 공중보건산업에서 보다 안전하게 첨가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기술을 적용하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표 5. 자숙액 내의 미생물 오염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사멸
 자숙액 종류 조사량(kGy) 생균수 (Log CFU/mL)
총호기성세균 효모 및 곰팡이
톳 자숙액 0 4.11±0.091) 4.24±0.19
1 ND2) ND
3 ND ND
참치 자숙액 0 2.79±0.08 2.58±0.03
1 ND ND
3 ND ND
굴 자숙액 0 2.57±0.09 2.11±0.05
1 ND ND
3 ND ND
대게 자숙액 0 2.13±0.05 ND
1 ND ND
3 ND ND
가다랑어 자숙액 0 3.22±0.11 2.94±0.05
1 ND ND
3 ND ND
1) 평균±표준편차값(n=3).
2) 감출한계(< 102 CFU/mL)에서 생균 미검출.
실험예 2 (색도 측정)
수산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와 비조사구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2(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경우는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10 mL을 석영 셀(quartz cell ; CM A-98, 10 mm in width)에 옮기고 색차계(color difference meter ; Spectrophotometer CM-3500d, Minolta Co., Ltd., Osak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Illuminant D65 10°광원을 사용하였다.
기계는 측정 전 표준흑판과 표준백판을 표준화한 후 사용하였으며, Hunter color L* (명도, lightness), a* (적색도, redness) 및 b* (황색도, yellowness)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Spectra Magic Software(version 2.11, Minolta Cyber Chrom Inc., Osaka, Japan)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색상 변화를 표 6에 나타내었는데,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문어 자숙액을 제외한 모든 자숙액의 명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수산 원료 내에 색소성분으로 존재하는 퓨코잔틴(fucoxanthin)과 같은 카르티노이드(cartenoids)계 색소의 파괴에 의해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감소되면서 명도가 높아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천연물은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 첨가하여 사용할 때 천연물 자체의 색소로 인하여 다량 첨가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라고 판단된다.
표 6.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색도 개선
 자숙액 추출물 조사량 (kGy) L* (명도) a* (적색도) b* (황색도)
톳 자숙액 추출물 0 57.68f 13.49a 43.59b
1 58.92e 13.24b 45.21a
3 64.28d 8.76c 38.75c
5 71.16b 5.14e 33.95d
7 70.10c 5.18d 32.98e
10 82.42a 1.64f 23.07f
SEM2) 0.07 0.01 0.02
문어 자숙액 추출물 0 77.07 20.09 11.30
1 77.48 20.87 11.41
3 77.29 20.62 11.13
5 77.73 20.32 11.17
7 78.01 20.16 11.26
10 77.63 20.34 11.34
SEM 0.03 0.05 0.05
참치 자숙액 추출물 0 76.08d 6.90a 65.66a
10 85.15c -1.43b 47.69b
30 86.79b -3.05c 44.55c
50 89.34a -5.52d 39.57d
SEM 0.24 0.01 0.01
굴 자숙액 추출물 0 67.88f 3.21a 6.21a
1 68.92e 3.15b 5.32b
3 74.93d 2.78c 3.78c
5 81.51b 2.15e 2.15e
7 82.40c -1.18d -1.06d
10 88.42a -1.64f -1.22f
SEM 0.07 0.03 0.02
대게 자숙액 추출물 0 75.32b 18.23a 9.24a
1 74.26b 18.87a 9.21a
3 72.31b 18.23a 9.35a
5 71.58b 18.56a 9.27a
7 70.61b 18.01a 8.98a
10 87.32a 17.22b 8.55b
SEM 0.05 0.02 0.07
가다랑어 자숙액 추출물 0 71.68f 8.17a 8.73a
1 78.24e 7.88b 8.21b
3 81.31c 7.76c 8.14c
5 85.16b 5.14e 7.95d
7 80.10d 5.08d 7.88e
10 89.42a 3.21f 7.07f
SEM 0.05 0.07 0.02
1) 동열의 다른 첨자(a~f)는 5% 수준의 유의차를 갖는 것을 의미함(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f) within the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 < 0.05)).
2) 평균표준오차(standard errors of the mean )(n = 3).
실험예 3 (단백질 정량실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단백질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 추출물, 문어 자숙액 추출물 및 참치 자숙액 추출물 시료 20㎕에 BCA 용액 (Copper Ⅱ sulfate : Bicinchoninic acid = 1:50) 160㎕를 가하여 37℃에서 1시간 방치 후 ELISA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 Sigma)을 이용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한 후 함량 계산에 활용하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단백질 함량 변화를 표 7에 나타내었는데, 표 7을 참조하면,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톳, 문어, 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7.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색도 개선
자숙액 추출물 선량 (kGy) 단백질 농도 (㎍/ml)
톳 자숙액 추출물  0 172.12
10 215.02
문어 자숙액 추출물 0 167.96
10 735.59
참치 자숙액 추출물  0 215.02
10 556.12
실험예 4 (전자공여능)
수산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Blois의 방법(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2(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경우는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시료 1 mL에 0.2 mM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 DPPH) 1 mL을 넣고 교반한 후 30분 동안 실온에 정치한 다음, 반응용액을 분광광도계(UV 1600 PC, Shimadzu, Tokyo, Japan)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전자공여능 (%) = {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 100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를 도 1a 내지 도 1f에 나타내었는데, 도 1a 내지 도 1f를 참조하면, 감마선 조사에 의해 모든 수산 자숙액의 전자공여능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은 전자공여능이 높은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총 폴리페놀 함량)
감마선 조사한 수산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Gao X, Bjork L, Trajkovski V, Uggla M.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hip 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test system. J Sci Food Agric 80: 2021-2027).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2(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경우는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 시료 0.1 mL에 Folin-Ciocalteu's reagent(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0.2 mL을 첨가하고 23℃에서 1분간 유지시켰다.
그 후 5% 소디움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3 mL을 가하여 23℃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분광광도계(UV 1600 PC, Shimadzu, Tokyo, Japan)를 이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갈릭산(gallic acid ; Sigma)를 이용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한 후, 함량 계산에 활용하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도 2a 내지 도 2f에 나타내었는데,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감마선 조사에 의해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되어 페놀 물질과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확 인할 수 있고,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함량이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자외선에 심하게 노출된 피부에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유도하여 피부노화나 피부손상을 초래하는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는데, 티로시나제 활성저해 측정 방법은 티로시나제의 작용결과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chrome)을 비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Flurkey WH. 1991. Identification of tyrosinase in mushrooms by isoelectric focusing. J Food Sci 55(1): 93-95).
버섯 티로시나제(100 unit/mL)를 0.2 mL 기질로서 DOPA 0.4 mL, 0.1M 인산칼륨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0.2 mL의 혼합액에 시료 0.2 mL을 첨가한 후,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켜 475 nm에서 측정하고, 도파크롬의 변화를 저해능으로 환산하였다. 이때 저해능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저해능(%) = [1-{(A-C)/B}] × 100
A : 시료 자체의 흡광도
B : 시료대신 70% 에탄올을 첨가한 흡광도
C : 효소액 대신 증류수를 첨가한 흡광도
자외선에 심하게 노출된 피부에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유도하여 피부노화나 피부손상을 초래하는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효과를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었는데,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톳, 문어 및 참치 자숙액 에탄올 추출물이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7 (항고혈압 활성)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항고혈압 활성을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을 통해 측벙하였다.
히퍼리-L-히스티딜-L-류신(hippury-L-histidyl-L-leusine ; HHL) 25 mg을 0.1M pH8.3의 소디움 보레이트 완충용액(sodium borate buffer)에 용해하여 제조한 기질 30 ㎕에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방사선 조사된 톳 자숙액 추출물 및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참치 자숙액 추출물 시료 10㎕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다음 시료 대조군을 1N HCl 50㎕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 상기 시료에 ACE (0.5 unit/mL) 10㎕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1N HCl 50㎕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그 후 모든 처리군에 에틸아세이트300 ㎕를 가한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한 후, 상층액 250 ㎕를 취해서 7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다음 증류수 300㎕를 첨가하여 교반 후 분광광도계 (UV 1600 PC, Shimadzu, Tokyo, Japan)를 이용하여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는 0.3 mg/의 에날라프릴 말레이트염(enalapril maleate salt)을 사용하였다. ACE 저해활성 환산식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40063758-pat00001
S   : 시료의 흡광도
S.C. : 시료 대조군의 흡광도
B   : 공시험의 흡광도
B.C : 공시험 대조군의 흡광도
수산 자숙액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항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b에 나타내었는데,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톳 자숙액 추출물과 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항고혈압 활성은 방사선 조사가 증감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감마선 조사가 갈조류에 잔존하는 항고혈압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프로로탄닌(phlorotannin)과 같은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영향을 준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및 자숙액 추출물은 방사선 비조사구에 비하여 색도 등과 같은 가공적성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 미백 효과, 항고혈압 활성 등이 증가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톳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전자공유능의 변화,
도 1b는 문어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전자공유능의 변화,
도 1c는 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전자공유능의 변화,
도 1d는 굴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전자공유능의 변화,
도 1e는 대게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전자공유능의 변화,
도 1f는 가다랑어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전자공유능의 변화,
도 2a는 톳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총페놀함량의 변화,
도 2b는 문어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총페놀함량의 변화,
도 2c는 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총페놀함량의 변화,
도 2d는 굴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총페놀함량의 변화,
도 2e는 대게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총페놀함량의 변화,
도 2f는 가다랑어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총페놀함량의 변화,
도 3a는 톳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티로시나제 저해효과의 변화,
도 3b는 문어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티로시나제 저해효과의 변화,
도 3c는 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티로시나제 저해효과의 변화,
도 4a는 톳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항고혈압능 활성효과의 변 화,
도 4b는 참치 자숙액 추출물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항고혈압능 활성효과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능이 증가된 수산 자숙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수산 자숙액이 톳, 문어 및 참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자숙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는 미백 화장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이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의 흡수선량이 1 내지 500 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숙액의 멸균능이 추가적으로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품.
  5. 삭제
KR1020090059443A 2009-06-30 2009-06-30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KR10094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443A KR100944717B1 (ko) 2009-06-30 2009-06-30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443A KR100944717B1 (ko) 2009-06-30 2009-06-30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017A Division KR100963959B1 (ko) 2008-03-12 2008-03-12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추출물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832A KR20090097832A (ko) 2009-09-16
KR100944717B1 true KR100944717B1 (ko) 2010-03-02

Family

ID=413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443A KR100944717B1 (ko) 2009-06-30 2009-06-30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185B1 (ko) * 2012-01-17 2014-01-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게 껍질의 젖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8(4), pp.435-439(2005)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0(3), pp.210-216(2007)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8), pp.1055-1061(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832A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587B1 (ko)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6682073B2 (ja) 肝機能改善剤
Xu et al. Comparative study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short time processing on quality of clear and cloudy Se-enriched kiwifruit juices
CN104922171A (zh) 红藜萃取物用于制备促进胶原蛋白生成及抗皮肤老化的组合物的用途
EP4238583A1 (en) Composition containing 5-aminolevulinic acid hydrochloride
JP2017141201A (ja) 糖化阻害剤
JP2022173481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
JP2006016387A (ja) 新規なローヤルゼリー配合物
JP2023041873A (ja) 肝機能改善剤
Choi et al. Changes in colou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zikia fusiformis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JP2017141200A (ja)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KR100923974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지치 추출물의 생리활성 증진 방법
KR100944717B1 (ko)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959B1 (ko)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 방사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101276157B1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KR102512796B1 (ko) 항산화성이 증진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0895969B1 (ko) 항산화 및 항콜레스테롤 활성을 갖는 양파추출농축액 및이의 제조방법
KR101918692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광어 연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4521A (ko) 죽염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
KR101805974B1 (ko) 오디가 첨가된 소시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32763A (ja) 笹エキス含有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た化粧料、飲食品
KR102487459B1 (ko) 발효하수오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KR102175244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305388C (zh) 含纳米sod的茶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