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156B1 -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156B1
KR100943156B1 KR1020090108298A KR20090108298A KR100943156B1 KR 100943156 B1 KR100943156 B1 KR 100943156B1 KR 1020090108298 A KR1020090108298 A KR 1020090108298A KR 20090108298 A KR20090108298 A KR 20090108298A KR 100943156 B1 KR100943156 B1 KR 10094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asing
steel
side plates
plat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영
정기택
강창훈
김형준
안태상
박진삼
임종만
Original Assignee
현대엠코 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코 주식회사,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이나 지진으로 인한 진동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과 설계지진(Design-Based Earthquakes)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고감쇠 고무와 설계지진 보다 큰 최대레벨지진(Maximum Considerable Earthquakes)에서만 작동하도록 고안된 슬릿형 강재 댐퍼를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로 조합한 하이브리드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며 복수의 볼트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측면판과, 복수의 측면판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하부 강재 케이싱;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며 복수의 장공이 천공된 복수의 측면판과, 복수의 측면판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고, 각 측면판이 하부 강재 케이싱의 각 측면판과 평행하게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되고 연결판이 하부 강재 케이싱의 연결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부 강재 케이싱과 결합되는 상부 강재 케이싱; 상, 하부 강재 케이싱의 측면판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감쇠 고무; 하부 강재 케이싱의 볼트구멍과 상부 강재 케이싱의 장공 및 고감쇠 고무를 관통하여 상, 하부 강재 케이싱을 결합시키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고감쇠 고무를 압축시키는 복수의 볼트결합수단; 상, 하부 강재 케이싱 사이에 상대변위가 발생했을 때 볼트결합수단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부 강재 케이싱과 볼트결합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미끄럼판; 상부 강재 케이싱에 결합되며, 강판으로 구성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형 강판; 및 슬릿형 강판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단부 강판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90108298
제진장치, 댐퍼, 고감쇠 고무, 강재 댐퍼, 슬릿형 댐퍼, 하이브리드 댐퍼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제진장치{Hybrid vibration-controlling dampers}
본 발명은 바람이나 지진으로 인한 진동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과 설계지진(Design-Based Earthquakes)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고감쇠 고무와 설계지진 보다 큰 최대레벨지진(Maximum Considerable Earthquakes)에서만 작동하도록 고안된 슬릿형 강재 댐퍼를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로 조합한 하이브리드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진장치(Vibration-Controlling Dampers)는 구조물에 입력되는 지진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특수한 장치를 말하며, 일반 구조물의 내진설계 시 사용하는 반응수정계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접합부나 부재의 소성변형으로 인한 광의의 에너지 소산 시스템(Seismic Energy Dissipating System)과는 구별된다. 주 구조시스템의 진동에 따라 작동되는 제진장치는 바람이나 지진과 같이 구조물에 진동을 유도하는 진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를 소산시켜 구조물의 전체적인 동적응답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주 구조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양을 감소시킴으로 주 구조시스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제진장치가 바람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감소시키므로 구조물이 저항해야 하는 풍력(Wind Load)이 감소되어 구조물의 경제적인 설계를 유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설계지진 발생시 이로 인한 입력 에너지를 모두 소산시키도록 설계·배치된 이상적인 경우 주 구조시스템에는 전혀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지진 발생 후 제진장치만 교체하면 구조적으로는 지진 발생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제진장치에는 강재의 항복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소산하도록 제작된 강재 댐퍼(Metallic Damper), 마찰 메커니즘을 에너지 소산 장치로 사용한 마찰 댐퍼(Friction Damper), 속도 의존성을 보이는 점성 물질을 이용하여 입력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점성 댐퍼(Viscous Damper), 속도 의존성과 변위 의존성을 함께 보이는 점·탄성 물질을 이용하여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점탄성 댐퍼 등이 있다. 이 같은 강재 댐퍼, 마찰 댐퍼, 점성 댐퍼 등을 시발점으로 최근 20년 동안 제진장치는 지진공학 및 구조공학계로부터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폭넓은 인정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그 적용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제진장치를 사용한 제진구조물의 우수한 내진성능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실 적용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약진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는 국내에서는 제진장치의 사용이 지극히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간접 피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지진 피해 지역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되면서 국내의 제진장치에 대한 연구와 적용을 위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강재 댐퍼는 소성변형으로 인하여 잔류변형이 발생하여 댐퍼를 교체 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마찰 댐퍼의 경우 마찰력도 중요하지만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재의 마모, 마찰열로 인한 모재의 팽창 등 다양하고 복잡한 마찰현상으로 인한 내력 감소와 강기간 수직압력이 작용된 상태에서의 마찰거동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Cold Welding 등으로 인한 마찰력의 불확실성이 제거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강재 댐퍼와 마찰 댐퍼는 작동 후 잔류변형이 발생하므로 탄성설계를 지향하는 내풍설계 개념과 어울리지 않아 바람에 의한 진동제어에는 사용할 수 없는 추가적인 단점이 있다. 점성 댐퍼는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아울러 강재 댐퍼나 마찰 댐퍼에 비하여 고가인 점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설계에서 급격한 도시화, 인구집중, 건물의 고층화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계지진보다 큰 최대레벨지진에 대한 통계적 안전율을 검토하는 것이 국제적인 추세이다. 경제성을 고려할 때, 앞서 언급한 개별 댐퍼를 구조물에 장착하여 바람과 지진으로 인한 구조물의 진동을 동시에 제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추세인 최대레벨지진에 대한 적절한 안전율을 확보하기는 더욱 힘들어진다.
본 발명은 기존의 강재 댐퍼나 마찰 댐퍼, 점성 댐퍼 및 점탄성 댐퍼의 장점을 가지면서 이들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최대발생가능지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제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며 복수의 볼트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측면판과, 복수의 측면판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하부 강재 케이싱;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며 복수의 장공이 천공된 복수의 측면판과, 복수의 측면판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고, 각 측면판이 하부 강재 케이싱의 각 측면판과 평행하게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되고 연결판이 하부 강재 케이싱의 연결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부 강재 케이싱과 결합되는 상부 강재 케이싱; 상, 하부 강재 케이싱의 측면판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감쇠 고무; 하부 강재 케이싱의 볼트구멍과 상부 강재 케이싱의 장공 및 고감쇠 고무를 관통하여 상, 하부 강재 케이싱을 결합시키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고감쇠 고무를 압축시키는 복수의 볼트결합수단; 상, 하부 강재 케이싱 사이에 상대변위가 발생했을 때 볼트결합수단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부 강재 케이싱과 볼트결합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미끄럼판; 상부 강재 케이싱에 결합되며, 강판으로 구성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형 강판; 및 슬릿형 강판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단부 강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끄럼판은 테프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릿형 강판은,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웨브와. 웨브의 상하단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풍하중과 설계지진 시 작동하는 고감쇠 고무와 최대레벨지진의 지진 동안에 작동되는 강재 댐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람과 중·약진 및 대지진 시에 모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즉, 풍하중과 설계지진에 대해서는 고감쇠 고무의 탄·소성 거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산 능력이 주 구조물의 진동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잔류변형을 최소화시키며, 최대레벨지진에 대해서는 강재의 높은 항복내력과 에너지 소산능력을 가진 강재 댐퍼의 작동으로 구조물의 진동을 제어하여 주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킨다.
또한, 볼트결합수단을 통해 압축된 고감쇠 고무는 압축되지 않은 고감쇠 고무에 비해 더 높은 에너지 소산 능력과 전단내력을 가지게 되어 바람과 설계지진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진동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하부 강재 케이싱(10a), 상부 강재 케이싱(10b), 상,하부 강재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감쇠 고무(20), 상,하부 강재 케이싱을 결합시키고 그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고감쇠 고무(20)를 압축시키는 복수의 볼트결합수단, 상부 강재 케이싱(10b)의 미끄럼 이동을 위한 미끄럼판(50), 상부 강재 케이싱(10b)에 결합되는 슬릿형 강판(70) 및 슬릿형 강판에 결합되는 단부 강판(80)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하부 강재 케이싱(10a)은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한 강재 케이싱 즉, 슬릿형 강판(70)과 연결되지 않는 강재 케이싱을 말하고 상부 강재 케이싱(10b)은 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한 강재 케이싱 즉, 슬릿형 강판(70)과 용접으로 연결되는 강재 케이싱을 말한다.
하부 강재 케이싱(10a)은 전체적으로 U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복수의 볼트구멍(121)이 천공된 적어도 2개의 측면판(11a,12a)과 측면판(11a,12a) 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3a)으로 구성된다. 측면판(11a,12a)들과 연결판(13a)은 주조 등에 의해 일체로 되거나 이들 판을 별개의 판으로 구성하고 용접으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 강재 케이싱(10b)은 하부 강재 케이싱(10b)과 동형의 것으로서, 복수의 장공(122)이 천공된 적어도 2개의 측면판(11b,12b)과 측면판(11b,12b)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3b)으로 구성되고 하부 강재 케이싱(10a)의 1개의 측면판(12a)을 수용하도록 하부 강재 케이싱(10a)과 결합된다. 하부 강재 케이싱(10a)과 마찬가지로 상부 강재 케이싱(10b)은 측면판(11b,12b)들과 연결판(13b)을 주조 등에 의해 일체로 되거나 이들 판을 별개의 판으로 구성하고 용접으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장공(122)의 길이, Ls는 2ΔD+Db에 의해서 결정된다. ΔD는 설계지진에 의한 고감쇠 고무의 전단변형(Shear Deformation)이며, Db는 볼트결합수단의 전단변형 방향의 길이로서 볼트의 지름이 된다. 이상의 방법으로 설계된 복수의 장공(122)으로 인해 최대레벨지진 발생시 볼트결합수단과 강재 케이싱의 지압을 통하여 추가적인 고감쇠 고무의 전단변형이 방지되고 슬릿형 강재 댐퍼가 작동하게 된다.
상, 하부 강재 케이싱(10a,10b)의 측면판(11a,11b,12a,12b) 들은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고 측면판(11a,12a,11b,12b)들 사이의 공간에는 고감쇠 고무(20a,20b,20c)가 설치된다. 상, 하부 강재 케이싱(10a,10b)의 측면판(11a,12a,11b,12b)들은 서로 연결판(13a,13b)으로 연결되어 있어 폭방향으로의 전단력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높이방향으로의 1방향 전단만을 고려하면 된다. 상부 강재 케이싱(10b)에는 폭방향에 비해 높이방향으로의 직경이 큰 장공(122)이 천공되어 있고 하부 강재 케이싱(10a)에는 볼트구멍(121)이 형성되어 있어 풍하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에 대해 상부 강재 케이싱(10b)이 하부 강재 케이싱(10a)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저항하도록 한다. 상,하부 강재 케이싱(10a,10b)의 측면판(11a,12a,11b,12b)과 연결판(13a,13b)의 간격은 설계지진에 의한 고감쇠 고무의 전단변형(Shear Deformation), ΔD가 되도록 설계되어 복수의 장공(122)의 설계와 같이 최대레벨지진 발생시 측면판(11a,12a,11b,12b)과 연결판(13a,13b)의 지압을 통하여 추가적인 고감쇠 고무의 전단변형을 방지하고 슬릿형 댐퍼가 작동하게 된다.
측면판(11a,12a,11b,12b) 사이에 끼워진 고감쇠 고무(20a,20b,20c)는 볼트결합수단에 의한 조임력으로 압축된다. 도 4는 압축을 받는 고감쇠 고무의 힘-변형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높은 압축 상태에 있는 고감쇠 고무는 높은 탄성 강성과 큰 에너지 소산 능력을 나타내고, 약 25%의 감쇠율을 가지며, 감쇠율은 가해진 압축력이 낮을수록 증가하여 압축력이 완전히 제거되었을 때 감쇠율이 약 28%에 이르게 됨을 알 수 있다. 높은 압축 상태에 있는 고감쇠 고무의 높은 탄성 강성으로 인하여 낮은 감쇠율을 보이지만, 높은 내력으로 인하여 실제 에너지 흡수 능력(이력곡선 안의 면적)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무재료는 유기물임으로 기본적으로 사용 연수에 따라 점차 변화하는데, 고무의 경년 열화를 지 배하는 산화현상에 대하여 강재 케이싱(10a,10b)이 적층형태로 구성되어 산소가 고무 내부에 침투할 수 있는 부분은 극히 미미한 표면적에 불과함으로, 표면에서는 미미한 산화 열화가 발생하나 내부고무는 건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고무의 열화 상태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표면에서 5mm 정도까지는 오존 및 산소에 의한 산화 열화로 균열이 발생하였으나, 내부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오존에 의한 산화현상은 고무가 인장된 상태에서는 급속히 진행하나, 고무를 압축한 상태에서는 거의 진행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감쇠 고무를 상, 하부 강재 케이싱(10a,10b)으로 압축함으로써 고감쇠 고무의 경년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감쇠 고무(20a,20b, 20c)에는 상부 강재 케이싱(10b)의 장공(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21)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강재 케이싱(10b)과 같이 풍하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에 대해 하부 강재 케이싱(10a)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저항하도록 한다.
상,하부 강재 케이싱(10a,10b)을 서로 결합시키고 그 사이에 설치된 고감쇠 고무(20a,20b,20c)를 압축시키는 볼트결합수단은 공지의 것으로서 조임력은 토크값으로 조절된다. 볼트결합수단은 상, 하부 강재 케이싱(10a,10b)과 고감쇠 고무(20a,20b,20c)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30), 각 볼트(30)와 하부 강재 케이싱(10a)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와셔(41), 상부 강재 케이싱(10b)의 내측으로 볼트(30)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 와셔(42), 각 제2 와셔(42)의 내측으로 볼트(30)에 결합되는 복수의 너트(60)로 구성된다.
한편, 상부 강재 케이싱(10b)과 제2 와셔(42) 사이에는 마찰계수가 낮은, 바 람직하게는 거의 영(Zero)인 테프론판과 같은 미끄럼판(50)이 설치되어 하부 강재 케이싱(10a)과 상부 강재 케이싱(10b)의 상대변위가 발생시 제2 와셔(42)의 위치는 변하지 않도록 고안되어 댐퍼의 거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볼트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부 강재 케이싱(10b)의 안쪽 측면판(10b)에는 슬릿형 강판(70)이 용접으로 접합된다. 슬릿형 강판(70)은 얇은 강판으로 구성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슬릿(731)이 형성된 웨브(73)와 웨브(93)의 상하단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상,하부 플랜지(71,72)로 구성된다. 이렇게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슬릿(731)이 형성됨에 따라 슬릿(731)들 사이의 강판 부분은 수평력에 대해 스트럿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슬릿(731)은 외력에 의해 웨브(73)의 내부에 발생하는 좌굴을 방지한다. 슬릿(731)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웨브(73)의 강성을 조정할 수 있고 내력 및 에너지 흡수능력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슬릿(731)은 폭방향으로 긴 직사각형태이고 각 모서리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둥글게 처리되어 있다. 상,하부 플랜지(71,72)는 웨브(73)의 면외변형을 구속하여 거동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이상의 슬릿(731)의 사용은 강재 댐퍼의 전단거동을 슬릿(731)의 휨변형으로 전환시켜 보다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슬릿형 강판(70)에는 단부 강판(80)이 용접으로 접합된다. 단부 강판(8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설치 대상 부재에 접합할 때 접합면적을 증가시켜 예기치 못한 접합부 파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강재 댐퍼에 재하될 수 있는 휨모멘트와 축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며 웨브의 보다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풍하중이나 설계지진이 작용할 경우 측면판(11a,12a,11b,12b) 사이에서 볼트의 조임력으로 압축된 고감쇠 고무(20a,20b,20c)가 변형되고 상부 강재 케이싱(10b)이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최대레벨지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슬릿형 강판(70)이 휨 항복(flexural yeilding)하면서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바람과 지진에 모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최대레벨지진시 진동을 흡수하는 슬릿형 강재 댐퍼(이력 댐퍼)와 바람이나 설계지진시 진동을 억제하는 고감쇠 댐퍼를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로 조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바람과 지진에 모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인방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인방보에 설치할 경우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손상시에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구조물이 받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방보에 설치하기 위해 인방보는 좌우측 인방보(100)로 나누어지고 각 인방보(100)에는 매입철근조립체(120)가 매설된다. 매입철근조립체(120)는 한 쌍의 U자형 철근(121)과 U자형 철근(121)의 굴곡부에 결합되는 굴곡강판(122) 및 한 쌍의 U자형 철근(121)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터럽 철근(12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는 매입철근조립체(120)의 U자형 철근(121)에 하부 강재 케이싱(10a)과 단부 강판(80)이 용접으로 접합됨으로써 고정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구성하는 상,하부 강재 케이싱(10a,10b)의 측면판이 2개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측면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는 측면판들 사이에 설치되는 고감쇠 고무(20)의 개수도 대응하여 증가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가새 구조물의 제진 가새 등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설계지진과 최대레벨지진에 대해서도 통상적인 구조물 설계 행위상에서 결정되므로 내진설계하중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의와 다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압축을 받는 고감쇠 고무의 힘-변형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제진장치를 인방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3)

  1.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며 복수의 볼트구멍이 천공된 복수의 측면판과, 복수의 측면판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하부 강재 케이싱;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며 복수의 장공이 천공된 복수의 측면판과, 복수의 측면판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고, 각 측면판이 하부 강재 케이싱의 각 측면판과 평행하게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반복되고 연결판이 하부 강재 케이싱의 연결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부 강재 케이싱과 결합되는 상부 강재 케이싱;
    상, 하부 강재 케이싱의 측면판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감쇠 고무;
    하부 강재 케이싱의 볼트구멍과 상부 강재 케이싱의 장공 및 고감쇠 고무를 관통하여 상, 하부 강재 케이싱을 결합시키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고감쇠 고무를 압축시키는 복수의 볼트결합수단;
    상, 하부 강재 케이싱 사이에 상대변위가 발생했을 때 볼트결합수단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부 강재 케이싱과 볼트결합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미끄럼판;
    상부 강재 케이싱에 결합되며, 강판으로 구성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형 강판; 및
    슬릿형 강판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단부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끄럼판은 테프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릿형 강판은,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웨브와. 웨브의 상하단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KR1020090108298A 2009-11-10 2009-11-10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KR10094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98A KR100943156B1 (ko) 2009-11-10 2009-11-10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98A KR100943156B1 (ko) 2009-11-10 2009-11-10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156B1 true KR100943156B1 (ko) 2010-02-22

Family

ID=4208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298A KR100943156B1 (ko) 2009-11-10 2009-11-10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1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217B1 (ko) * 2010-05-26 2011-04-11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이중강관형 복합제진장치
KR20160043945A (ko) * 2016-04-07 2016-04-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555U (ko) 1986-10-14 1988-04-25
JPH11153194A (ja) 1997-11-20 1999-06-08 Nippon Steel Corp 弾塑性・粘弾性ダンパーを一体化した制振部材
JPH11152932A (ja) * 1997-11-20 1999-06-08 Shimizu Corp 粘性耐震壁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2006266080A (ja) 2006-04-14 2006-10-05 Shimizu Corp 粘性耐震壁の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555U (ko) 1986-10-14 1988-04-25
JPH11153194A (ja) 1997-11-20 1999-06-08 Nippon Steel Corp 弾塑性・粘弾性ダンパーを一体化した制振部材
JPH11152932A (ja) * 1997-11-20 1999-06-08 Shimizu Corp 粘性耐震壁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2006266080A (ja) 2006-04-14 2006-10-05 Shimizu Corp 粘性耐震壁の製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217B1 (ko) * 2010-05-26 2011-04-11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이중강관형 복합제진장치
KR20160043945A (ko) * 2016-04-07 2016-04-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KR101665073B1 (ko) * 2016-04-07 2016-10-1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3699B1 (en) Coupling member for damping vibrations in building structures
EP1948878B1 (en) Structure with increased damping by means of fork configuration dampers
KR101146790B1 (ko) 점탄성댐퍼와 이력댐퍼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KR101460258B1 (ko) 모멘트 프레임 커넥터
JP6001856B2 (ja) モーメントフレームコネクタ
JP5763788B2 (ja) 変位増幅型制震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00105726A (ko) 접합 철물 및 이것을 구비한 건축물
KR101665073B1 (ko)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JP2023520561A (ja) ロックを備えた二段階式振動減衰建築接続部材
KR101615268B1 (ko) 다중 거동 복합감쇠장치
KR100943156B1 (ko)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CN107476631B (zh) 弯剪分离控制型装配式金属阻尼器
KR101028239B1 (ko) 점탄성과 이력특성을 이용한 복합제진장치
KR101051058B1 (ko) 건축물용 댐핑 시스템
CN108978924B (zh) 一种带有可更换功能的拉压加载型软钢阻尼器
KR20200025356A (ko)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중간 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용 제진 장치
JP4547979B2 (ja) 制振間柱
JP6414877B2 (ja) 補強構造及び建物
JP2006183324A (ja) 制振構造
KR100943155B1 (ko) 압축된 고감쇠 댐퍼
KR102500114B1 (ko) 강재 멀티 슬릿 댐퍼
KR20080055260A (ko) 이중바닥용 지지구조물
KR102092412B1 (ko)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제진 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102097821B1 (ko) 이중 강판을 이용한 댐퍼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구조물
KR101141252B1 (ko) 건축 구조물의 댐핑 방법 및 댐핑 장치를 갖는 건축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1